KR20110054282A - 섀시 자동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섀시 자동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282A
KR20110054282A KR1020090110874A KR20090110874A KR20110054282A KR 20110054282 A KR20110054282 A KR 20110054282A KR 1020090110874 A KR1020090110874 A KR 1020090110874A KR 20090110874 A KR20090110874 A KR 20090110874A KR 20110054282 A KR20110054282 A KR 2011005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chassis
base
guid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459B1 (ko
Inventor
이동호
조재연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이동호
조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조재연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102009011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4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32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co-operating stamping and counter-stam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Abstract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베이스(80)와;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며, 섀시(90)를 안착하기 위하여 섀시 안착부(94)를 갖는 지그(100)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일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200)와;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타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 마킹장치(400)로 이루어지며, 경사 마킹장치 및 수평 마킹장치는 각기 섀시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종래의 수작업에 비하여 그 효율이 현저히 상승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휴대폰, 섀시, 마킹

Description

섀시 자동 마킹장치{Automatic Chassis M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섀시 자동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에 안착된 섀시에 자동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섀시 자동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용 섀시(90: 이하, 섀시라고 함) 는 테이블(25)상에 지그(30)를 설치하고, 상기 지그(30)에 섀시(90)를 수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섀시(90)는 그 내측에 백라이트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폰용 섀시(90)에 백라이트 모듈을 삽입시, 섀시(90)의 도시되지 않은 틈새사이로 광(빛)이 유입되게 되면 백라이트 모듈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모듈의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섀시(90)의 상부 및 하부 마킹부위(10, 12 : 20)를 정하고, 이 부위를 소정의 펜으로 마킹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 광(빛)이 유입되지 않게 해야 된다.
종래에는 상기 휴대폰용 섀시(90)에 마킹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지그(30)에 안착된 섀시(90)의 상부 마킹부위(10, 12) 및 하부 마킹부위(20)에 직접 펜(도 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하나씩 하나씩 수작업으로 상부 및 하부 마킹부위(10, 12 : 20)를 마킹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섀시(90)의 상부 및 하부 마킹부위(10, 12 : 20)를 연속적으로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단조로운 작업의 반복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하루 종일 서서 일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마킹 작업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자가 계속 작업을 하게 되면, 섀시의 상부 및 하부 마킹부위(10, 12 : 20)이외의 곳에 마킹을 하게 되어 섀시의 자체 불량은 물론 이로 인해 백라이트의 불량 발생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섀시에 상부 및 하부 마킹부위에 마킹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섀시를 지그에 안정되게 안착한 상태에서 마킹을 수행하게 되므로 마킹시 다른 부위에 마킹하게 되어 발생되는 불량을 줄일 수 섀시 자동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킹용 펜을 갖는 수직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베이스부재가 LM 가이드와 연결되어 공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LM 레일을 따라 이동하 면서 자동으로 마킹하게 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며, 섀시를 안착하기 위하여 섀시 안착부를 갖는 지그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섀시의 일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와;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며, 섀시의 타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 마킹장치로 이루어지며, 경사 마킹장치 및 수평 마킹장치는 각기 섀시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종래 수동으로 작업하던 것을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와 수평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섀시에 마킹을 하게 되므로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섀시에 정확하게 마킹을 수행하게 되므로 휴대폰 백라이트 안으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휴대폰 백라이트 모듈의 보호기능도 향상되게 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휴대폰 조립라인의 불량발생을 줄이고 이로 인해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80)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며, 섀시(90)를 안착하기 위하여 섀시 안착부(94)를 갖는 지그(10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일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200)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타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 마킹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80)의 중앙에는 섀시(90)를 안착하기 위한 섀시 안착부(94)를 갖는 지그(10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지그(100)는 4개의 지그 바아(102)에 의해 지지되며, 아울러 이들에 의해 소정 높이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그(100)상에는 섀시(90)를 용이하게 안착하기 위하여 섀시 안내홈(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섀시(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형태의 얇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80)의 일측 즉, 하부 일측에는 섀시(90)의 일측에 각기 마킹용 펜(270)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 마킹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LM(Linear Motion) 레일(310a, 310b)을 따라 각기 LM(Linear Motion) 가이드(320a, 320b)가 이동하게 되므로 LM 가이드(320a, 320b)에 연결된 경사 마킹장치(200)들도 예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섀시(90)의 마킹부위(10, 12)에 각기 마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80)의 일측 즉, 상부 일측에는 섀시(90)의 타측을 각기 마킹용 펜(27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 마킹장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 마킹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LM 레일(310, 310)을 따라 각기 LM 가이드(320, 320)가 이동하게 되므로 LM 가이드(320, 320)에 연결된 수평 마킹장치(400)들도 예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섀시(90)의 마킹부위(20)에 각기 마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200, 200) 및 수평 마킹장치(400, 400)는 각기 섀시(90)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마킹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경사 및 수평 마킹장치(200, 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0)와; 각기 베이스 부재(190)와 로드(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가이드부재(220)와; 수직 가이드부재(220)와 연결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 조절부재(230)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보조 지지부재(240)이 설치되는 지지부재 (250)와; 지지부재(250)의 경사 조절부재(23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60)에 끼워지는 마킹용 펜(270)과; 베이스 부재(190)를 안내하기 위하여 LM 레일(310)과, 상기 LM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는 LM 가이드(320)로 이루어진 안내부재(350)와, 브라켓(440)과, 상기 브라켓(440)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9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430)와 연결된 공압 실린더(420)를 갖는 이동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부재(190)는 그 상부 일측에 수직 가이드부재(220)가 설치되게 되고, 그의 하부에는 베이스 부재(190)를 이동을 안내하는 LM 가이드(320)와 연결 부재(430)가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게 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220)는 베이스부재(190)상에 안착된 지지대(224)에 설치된 3개의 로드(210)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3개의 로드(210)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3개의 로드(210)는 그 양측에 있는 것은 중앙에 설치된 것에 비하여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50)는 그 일측에 마킹용 펜(270)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 조절부재(23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재(230)는 그의 일측에는 마킹용 펜(270)을 삽설하기 위한 관통홀(260)이 형성되고, 그의 타측에는 경사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3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50)는 그의 내측으로 한쌍의 보조로드(252)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드(252)를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로드(252)는 그 하부에 설치된 보조 지지부재(240)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보조 지지부재(240)는 그의 일측에 지지부재의 이동시 무게를 안정되게 하여 안내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재(24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경사 조절부재(23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60)에는 마킹용 펜(270)을 끼울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용 펜(270)은 그 하부에 펜심(272)이 형성되고, 상기 펜심(272)은 경사진 형태, 둥근 형태 및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킹용 펜(270)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 색깔의 잉크(여기서는 검정색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저장부(274)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350)는 LM 레일(310)과 LM 가이드(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LM 레일(310)은 베이스(8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LM 가이드(320)는 LM 레일(3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LM 가이드(320)는 베이스 부재(190)의 일측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이동부재(450)는 브라켓(440)과 공압 실린더(4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공압 실린더(420)는 브라켓(440)에 설치되고, 베이스 부재(19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430)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압실린더(420)는 그의 로드(410)가 연결부재(430)의 일측에 끼워지고, 연결부재(430)는 상기 로드(410)의 이동에 따라 안내부재(35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압실린더(420)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공급원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지지바아(102)에 의해 지지된 지그(100)상에 소정의 사각형 형태의 섀시(90)를 수작업에 의해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섀시(90)는 그의 프레임의 폭이 너무 좁고 얇기 때문에 픽커에 의해 흡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지그(100)상에 올려놓게 된다.
그리고, 경사 마킹부재 및 수평 마킹부재(200, 400)에 설치된 마킹용 펜(270)의 경사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설정하기 위하여 경사조절부재(230)의 관통홀(260)에 마킹용 펜(270)을 삽입하고 소정의 각도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부재(230)를 고정부재(234)를 이용하여 지지부재(250)에 고정하게 된 다.
이제, 한 쌍의 경사 마킹부재 및 수평 마킹부재(200, 40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부재(450)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에어 공급원에 연결된 버튼을 누르게 된다. 상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각각의 공압실린더(420)가 작동하게 되고, 공압실린더(420)의 작동에 따라 로드(410)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 로드(410)가 전진하게 되면, 수평 마킹부재(400)는 예정된 위치에서 수직 가이드부재(200)가 로드(210)을 따라 하강하여 섀시(90)의 마킹부위(20)를 마킹하게 된다. 여기서, 수평 마킹부재(4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마킹부위(20)의 반씩을 각기 나누어 마킹을 하게 된다. 상기 로드(410)의 전진시, LM 레일(310)을 따라 LM 가이드(320)가 이동하게 되어 이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연결부재(430)도 전진하게 된다.
한편, 경사 마킹장치(200)는 로드(410)의 전진시, 각각의 LM 레일(310a, 310b)을 따라 LM 가이드(320a, 320b)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드(410)의 전진하는 동안 경사 마킹장치(200)의 수직 가이드부재(220)가 로드(210)을 따라 하강하면서 섀시(90)의 마킹부위(10, 12)를 각기 마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위(10, 12)는 섀시(9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되므로 경사지게 LM 레일(310a, 310b)과 LM 가이드(320a, 320b)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경사 마킹장치(200)와 수평 마킹장치(400)는 각각 마킹 작업이 완료되게 되면, 다시 각각의 로드(210)를 따라 수직 가이드부재(220)이 상승하면서, LM 레일(310a, 310b: 310)을 따라 LM 가이드(320a, 320b: 320)가 이동하게 되어 원래 의 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반복하게 되면서 섀시(90)의 마킹부위(10, 12, 20)에 각기 마킹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종래 사용자가 섀시에 일일이 마킹을 하는 것에 비하여 자동으로 섀시에 마킹을 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은 휴대폰용 섀시에 자동으로 마킹을 수행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에 널리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섀시 자동 마킹장치는 섀시는 물론 패널, 반도체 부품 등에 소정의 작업을 하기 위하여 마킹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반도체 마킹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섀시 마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시 자동 마킹장치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시 자동 마킹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 및 수평 마킹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12, 20 : 마킹 부위 80 : 베이스
90 : 섀시 100 : 지그
200 : 경사 마킹장치 220 : 수직 가이드부재
230 : 경사 조절부재 250 : 지지부재
270 : 마킹용 펜 310 : LM 레일
320 : LM 가이드 350 : 안내부재
400 : 수평 마킹장치 420 : 공압 실린더
450 : 이동부재

Claims (7)

  1. 베이스(80)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며, 섀시(90)를 안착하기 위하여 섀시 안착부(94)를 갖는 지그(10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일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경사 마킹장치(200)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며, 섀시(90)의 타측에 각기 마킹용 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마킹을 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 마킹장치(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 마킹장치 및 수평 마킹장치는 각기 섀시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마킹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사 및 수평 마킹장치는, 베이스 부재(190)와;
    각기 베이스 부재(190)와 로드(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가이드부재(220)와;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220)와 연결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 조절부재(230)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보조 지지부재(240)이 설치되는 지지부재(250)와;
    상기 지지부재(250)의 경사 조절부재(23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60)에 끼워지는 마킹용 펜(270)과;
    상기 베이스 부재(190)를 안내하기 위하여 LM(Linear Motion) 레일(310)과, 상기 LM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는 LM(Linear Motion) 가이드(320)로 이루어진 안내부재(350)와,
    브라켓(440)과, 상기 브라켓(440)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9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430)와 연결된 공압실린더(420)를 갖는 이동부재(4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220)와 지지부재(250)의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 연결부재(23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0)의 경사 조절부재(230)는 그의 일측에는 마킹용 펜(270)을 삽설하기 위한 관통홀(260)이 형성되고, 그의 타측에는 경사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0)는 한쌍의 보조 로드(252)를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보조 로드(252)는 보조 지지부재(2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240)는 그의 일측에 지지부재의 이동시 무게를 안정되게 안내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재(24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50)의 공압실린더(420)는 그의 로드(410)가 연결부재(430)의 일측에 끼워지고, 연결부재(430)는 상기 로드(410)의 이동에 따라 안내부재(35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자동 마킹장치.
KR1020090110874A 2009-11-17 2009-11-17 섀시 자동 마킹장치 KR10112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74A KR101127459B1 (ko) 2009-11-17 2009-11-17 섀시 자동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74A KR101127459B1 (ko) 2009-11-17 2009-11-17 섀시 자동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82A true KR20110054282A (ko) 2011-05-25
KR101127459B1 KR101127459B1 (ko) 2012-03-22

Family

ID=4436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74A KR101127459B1 (ko) 2009-11-17 2009-11-17 섀시 자동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38B1 (ko) * 2019-05-29 2019-09-24 기득산업 주식회사 형강마킹장치
KR102336965B1 (ko) * 2021-07-29 2021-12-09 주식회사 아성 마스크 프레임용 qr코드 레이저 마킹 장치
CN114802989A (zh) * 2022-05-24 2022-07-29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标记不合格条盒烟包的装置
KR20220153883A (ko) * 2021-05-12 2022-11-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반전기를 포함하는 벌크헤드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9761A (en) 1980-09-29 1982-04-10 Suiriyou Plast Kk Foil stamping device
KR200303502Y1 (ko) * 2002-11-19 2003-02-07 주식회사 세종글로벌 새시 표면에 색상과 무늬를 인쇄하고 코팅하는 장치
KR100558431B1 (ko) * 2003-06-11 2006-03-13 주식회사 대영테크 휴대폰 프론트 커버용 인쇄장치
KR100553613B1 (ko) * 2004-03-04 2006-02-22 대륙프랜지공업(주) 플랜지용 자동마킹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38B1 (ko) * 2019-05-29 2019-09-24 기득산업 주식회사 형강마킹장치
KR20220153883A (ko) * 2021-05-12 2022-11-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반전기를 포함하는 벌크헤드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KR102336965B1 (ko) * 2021-07-29 2021-12-09 주식회사 아성 마스크 프레임용 qr코드 레이저 마킹 장치
CN114802989A (zh) * 2022-05-24 2022-07-29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标记不合格条盒烟包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459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459B1 (ko) 섀시 자동 마킹장치
KR101978166B1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CN103506786B (zh) 一种摇臂自动焊接设备
CN105736537A (zh) 用于汽车玻璃生产线的玻璃托架安装工装
JP2007088344A5 (ko)
EP1787820A3 (en) Line head chassis detachably attaching jig in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CN110887842A (zh) 一种盖板双面视觉检测机构
CN205151337U (zh) 上料机
KR20120031795A (ko) 지그 교체장치
CN211866959U (zh) 直线段轨道定位气动设备
CN210651950U (zh) 软按键真空吸附校准装配设备
KR20130005989U (ko) 용접토치 가이드장치
CN210655075U (zh) 一种应用于在线印刷一体机的万向式针定位结构
CN203331550U (zh) 平网制网机网框的夹装及定位装置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CN107440416B (zh) 一种升降办公台用的同步浮动屏风机构
CN207656064U (zh) 一种手持导轨点焊工装
KR101341141B1 (ko) 실크 인쇄장치
CN111360470A (zh) 一种垂撑件钢结构装配工艺装备
CN215501777U (zh) 一种具有防夹手功能的升降展示桌
CN218461598U (zh) 一种可调式光机
CN218612328U (zh) 激光切割用板材辅助定位机构及激光切割装置
CN211315648U (zh) 一种防尘可调节高度的投影仪
CN219094300U (zh) 侧挂式床身结构
KR20140004563U (ko)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