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445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1445A KR20110051445A KR1020090108024A KR20090108024A KR20110051445A KR 20110051445 A KR20110051445 A KR 20110051445A KR 1020090108024 A KR1020090108024 A KR 1020090108024A KR 20090108024 A KR20090108024 A KR 20090108024A KR 20110051445 A KR20110051445 A KR 201100514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uction port
- outdoor
- indoor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는 그 하우징의 내측에 그 일단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실내 공기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덕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에 마련된 배출구에 빗물을 막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도 배출덕트를 통한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속감소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다시 실내로 흡입되는 현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하는데 사용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환기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된 실외기가를 포함하며, 실내기와 실외기는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덕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실내 공간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외기는 그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에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다. 흡입구 및 배출구에는 그 상단 인접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된 커버부가 마련되어 커버부를 통해 우천 시 빗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버부는 유로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실내 공기가 배출구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현저히 줄어들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속이 줄어들 경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다시 실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흡입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하며, 실외기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실내 공기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에는 배출덕트의 일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덕트가 설치되는 배출구가 마련된다.
또한 배출구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보호망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에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가 마련된다.
또한 흡입구는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흡입구와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전면 흡입구와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그 상단 인접부로부터 전면 흡입구와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측으로 연장된 커버부가 마련된다.
또한 전면 흡입구와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는 배출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한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흡입구는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흡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배출구는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하면 흡입구는 하우징의 하면 후 방측에 제한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에는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배출덕트 타단은 연결공의 상측 일부 영역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연결공의 나머지 영역은 하우징 내부와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며, 실외기는 실내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연결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이 연결공과 연통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장치는 배출덕트의 일단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구에 빗물을 막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도 배출덕트를 통한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속감소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다시 실내로 흡입되는 현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10)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20)와, 건물의 벽(W)을 관통하여 일단은 실내기(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기(20)에 연결되는 연결덕트(30)를 포함하여, 실내기(10)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연결덕트(30) 및 실외기(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실외기(20)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가 연결덕트(30) 및 실내기(10)를 통해 실내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실내기(10)는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내 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위한 송풍팬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 등이 배치된다.
실내기(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을 포함한 것으로, 벽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하우징(21)의 후면에는 연결덕트(30)가 연결되는 연결공(21a)이 마련되며, 하우징(21)의 전면에는 실내 공기가 실외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21b)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21)에는 실외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흡입구(21c, 21d, 21f)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21c, 21d, 21f)는 하우징(21)의 전면 및 양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포함하며,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에는 그 상단 인접부로부터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의 전방 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된 커버부(21e)가 마련되어, 커버부(21e)를 통해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통해 빗물 등이 하우징(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하면에는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통해 불가피하게 빗물 등이 유입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빗물 등이 하우징(2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흡입구(21f)가 마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하면 흡입구(21f)를 통해 실외 공기가 하우징(21) 내면에 흡입되다가 우천 시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통해 하우징(21)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하면 흡입구(21f)를 통해 하우징(2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1) 내부에는 그 전단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공기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배출덕트(22)가 설치된다. 배출덕트(22)는 그 전단이 배출구(21b)에 연결되고 후단이 연결공(21a)의 상부 일부 영역과 연통되어 연결덕트(30)를 통해 전달된 실내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공(21a)의 나머지 영역은 하우징(21)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흡입구(21c, 21d, 21f)를 통해 하우징(21) 내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배출구(21b)와 연결된 배출덕트(22)의 전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출구(21b)에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배출덕트(22)를 형성할 경우, 배출구(21b)에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더라고 배출덕트(22)를 통해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21b)에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는 없으나 일정 크 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격자 형태의 보호망(21g)이 배치되어, 배출구(21b)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에 작용하는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배출구(21b)를 통한 이물질 유입은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우천 시 배출구(21b)에 설치된 보호망(21g)의 격자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이러한 빗물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덕트(22)의 전단 내면을 따라 다시 배출구(21b) 외측으로 배출되며, 배출덕트(22)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충분한 속도를 가진 상태로 배출구(21b) 및 보호망(21g)을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21b)를 통해 토출된 실내 공기가 흡입구(21c, 21d, 21f)들을 통해 재 유입되는 현상은 현저히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는 배출구(21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한적으로 형성되며, 하면 흡입구(21f)는 하면 후방측에 제한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1) 전면을 마련된 배출구(21b)를 통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실내 공기가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덕트(30)를 통해 전달된 실내 공기는 배출덕트(22)를 통해 배출구(21b)로 안내되어 배출되며, 전면 흡입구(21c) 및 측면 흡입구(21d)를 통해 흡입된 실외 공기는 배출덕트(22)의 양 측면과 하우징(21)의 내부 양 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결공(21a)으로 흡입되어 연결덕트(30)에 전달되고, 하면 흡입구(21f)를 통해 흡입된 실외 공기는 연결공(21a)으로 곧바로 흡입 되어 연결덕트(30)에 전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외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외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외기를 통해 환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실내기 20: 실외기
21: 하우징 21a: 연결공
21b: 배출구 21d: 측면 흡입구
21e: 커버부 21f: 하면 흡입구
21g: 보호망 22: 배출덕트
30: 연결덕트
Claims (14)
-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하며,상기 실외기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실내 공기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덕트가 설치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환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보호망이 배치되는 환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에는 실외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환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상기 전면 흡입구와 상기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그 상단 인접부로부터 상기 전면 흡입구와 상기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측으로 연장된 커버부가 마련되는 환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 흡입구와 상기 측면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출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한적으로 마련되는 환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상기 하면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후방측에 제한적으로 마련되는 환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 결덕트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상기 배출덕트 타단은 상기 연결공의 상측 일부 영역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환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공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통되는 환기장치.
-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와,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며,상기 실외기는 실내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연결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에는 격자 형태의 보호망이 배치되는 환기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8024A KR20110051445A (ko) | 2009-11-10 | 2009-11-10 |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8024A KR20110051445A (ko) | 2009-11-10 | 2009-11-10 | 환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1445A true KR20110051445A (ko) | 2011-05-18 |
Family
ID=4436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8024A KR20110051445A (ko) | 2009-11-10 | 2009-11-10 |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5144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82051A (zh) * | 2018-12-29 | 2019-04-26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一种空调防护装置及空调器 |
-
2009
- 2009-11-10 KR KR1020090108024A patent/KR201100514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82051A (zh) * | 2018-12-29 | 2019-04-26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一种空调防护装置及空调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219348A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5174949B2 (ja) | 同時給排形換気扇 | |
KR101528028B1 (ko) | 환기용 외부 후드캡 | |
KR20050023790A (ko) |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 |
KR100726000B1 (ko) | 급,배기 후드 | |
KR100628042B1 (ko) | 환기시스템 | |
CN111023545A (zh) | 底盘壳体、窗式空调器 | |
KR20110051445A (ko) | 환기장치 | |
KR101035950B1 (ko) |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 |
JP2013249994A (ja) | 天井埋込ダクト型室内ユニット | |
JP6422227B2 (ja) | 暖房換気扇 | |
JP2012072937A (ja) | 空気調和装置 | |
KR200436421Y1 (ko) |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 |
KR101286457B1 (ko) | 주차장용 배기가스 다단 유인팬 | |
KR20070053399A (ko) | 공기 조화 시스템 | |
JP6775440B2 (ja) | 換気装置 | |
CN112503644A (zh) | 整体式空调器 | |
KR100582458B1 (ko) | 환기장치 | |
KR20100079728A (ko) | 역풍을 방지하는 급기 및 배기 후드 | |
KR200382865Y1 (ko) |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 |
KR100636342B1 (ko) |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 |
KR20080015979A (ko) | 환기 장치 | |
CN217057811U (zh) | 室外新风单元 | |
KR100563533B1 (ko) | 환기장치용 후드 | |
CN217541035U (zh) | 风管和新风空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