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640A -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640A
KR20110050640A KR1020117003689A KR20117003689A KR20110050640A KR 20110050640 A KR20110050640 A KR 20110050640A KR 1020117003689 A KR1020117003689 A KR 1020117003689A KR 20117003689 A KR20117003689 A KR 20117003689A KR 20110050640 A KR20110050640 A KR 2011005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display cell
user
detecte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800B1 (ko
Inventor
아기리스 다이아만디스
아리스토데모스 프네브마티카키스
Original Assignee
아기리스 다이아만디스
아리스토데모스 프네브마티카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169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506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기리스 다이아만디스, 아리스토데모스 프네브마티카키스 filed Critical 아기리스 다이아만디스
Publication of KR2011005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6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ith answer indicating cards,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표시가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시험지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시험지 등에 작성된 사용자 표시(들)를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비평면 왜곡(들)을 갖는 종이 등에 작성된 사용자 표시(들)를 해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MACHINE-READABLE FORM CONFIGUR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AT LEAST ONE USER MARK}
이 출원은 2008년 8월 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086,180호 및 2008년 8월 4일 출원된 그리스 출원 제20080100525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들 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표시가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시험지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시험지 등에 작성된 사용자 표시(들)를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비평면 왜곡(들)을 갖는 종이 등에 작성된 사용자 표시(들)를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복권 게임 전표(lottery play slip)"는 사용자가 소망의 선택(들)을 지시하기 위해 그 위에 표시를 하는 폼(form)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복권 티켓(lottery ticket)"은 사용자가 작성한 선택(들)을 지시하는 영수증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기준 표시(fiducial mark)"는 계산 또는 측정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위치 기준의 표준 또는 데이터 점을 정의하는 표시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사용자 표시 셀(user marking cell)"은 사용자에 의한 소망의 선택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의 폼 위의 영역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척도 불변(scale invariant)"은 다양한 척도(또는 거리)하에서 변화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의 대응 부분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것"은 적어도 사용자 표시의 존재 및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평면 위치(planar position)"는 폼이 평면이라는 가정하에서, 폼의 요소(예컨대, 기준 표시, 사용자 표시 셀)의 중심 위치의 이미지 위에 투영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권 게임, 조사 등을 위한 용도의 폼은 통상적으로 페이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되어 왔으며, 그 기계적 공급 메커니즘은 스캐닝 헤드로 폼을 제공하기 이전에 또한 롤러와 스프링을 이용하여 폼을 평평하게 한다. 그 후에, 용어 "블라인드 색상"(예컨대, 적색 및 그에 가까운 색상)으로 칭해지는 일군의 색상을 무시하는 제어된 조명 조건하에서 스캐닝이 수행되었다. 사용자 표시와 함께 기기 판독 가능하도록 요구되지 않는 임의의 정보에 대해 의도되는 모든 영역은 통상적으로 이들 블라인드 색상으로 착색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를 함에 대한 적절한 안내가 존재하고 있지만, 이 안내 자체는 본질적으로 스캐닝 센서에 대해 인식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는 사용자 표시 검출 절차를 용이하게 한다. 추가의 기기 판독 가능한 표식은 사용자 표시에 할당된 영역과 구분되어 폼의 측면을 따라 기기 인식되는 잉크로 인쇄되어 있으며, 기기에 의한 가능한 표시 영역(통상적으로 직사각형 격자의 형태로 배열된다)의 추론을 돕는다. 이들 기기 판독 가능한 표시는 통상적으로 스캐닝 절차 중에 마주치는 이미지 이동 및/또는 회전에 대한 보상을 허용하지만, 통상적으로 임의의 다른 공간적 정보(예컨대, 3차원 공간에서의 척도 및/또는 위치)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통상적인 페이지 스캐너는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 부품을 가지며, 그런 까닭에 그 치수는 통상적으로 문서 크기 및 기계적 복잡성에 의해 강요되고, 그 전체 크기 및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추가로, 정기적인 유지관리가 통상적으로 요구되며, 소유 비용을 추가로 상승시킨다.
이들 이유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미지 센서가 이 작업에 대해 제안되어 왔다. 유명한 이미지 센서가 바코드 기호를 판독하기 위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이들 바코드 어플리케이션은 기기 인쇄에 대한 엄격한 인쇄 오차하에서 동작하고 그러한 센서에 의한 판독을 촉진하는 설계의 중복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및 관련 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및 관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술된 이들 이득 및 개선 중에서,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이점이 첨부 도면과 결부되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은 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를 포함하며 그리고 다양한 객체 및 그 특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형태가 본원에 기술되어 있지만, 기술된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결부되어 주어진 실시예 각각은 예시로써 의도되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덧붙여,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며, 일부 특징은 특정 구성요소의 상세를 보여주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임의의 크기, 재료 및 유사한 상세는 물론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술된 특정 구조 및 기능적 상세는 제한으로써 해석되지 않으며, 단지 관련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본 발명을 다양하게 이용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초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사람이 표시한 폼을 판독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그러한 실시형태는 폼 배치, 주변 조명 및/또는 폼 평탄도에 관한 통상의 이미지 센서와 마주치는 통상의 특정한 한계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덧붙여, 본원에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폼이 단일 카메라에 의한 스캐닝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필기로 표시하도록 의도된 인쇄된 폼의 구조(예컨대, 구성)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뢰할 수 있는 표시 해석은 폼의 평탄도와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다(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가 카메라에서 막히지 않는 한, 폼은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심지어는 부서질 수도 있다).
덧붙여, 본원에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폼의 비평면 왜곡에 의해 유도되는 변형을 극복하는 폼 구조를 활용하고, 따라서 폼의 전체 이미지를 취할 수 있는 단일 이미지 센서로부터 폼 표시의 해석을 허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 및 적어도 하나의 기준 표시를 포함하고, 이때 기준 표시는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 것인 폼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그러한 측정 가능한 속성은 기준 표시의 내부 또는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기준 표시의 영역의 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및 시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폼은 복수의 사용자 표시 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표시의 영역(즉, 윤곽선을 포함하여 윤곽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과 본질적으로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지 않는 색상으로 인쇄된 내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따라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빈 것처럼 인식되고 그리고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표시의 영역, 즉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윤곽선을 포함한다)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과 또한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내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이미지 센서가 윤곽선과 내부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과 내부 부분 사이에 충분한 대비(및/또는 식별 특징(들))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표시의 영역(즉, 윤곽선을 포함하여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배향 정보를 제공하는 형상(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 사다리꼴, 도면부호 401A 또는 401B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그 위에 기준 표시가 인쇄되는 폼의 부분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는(예컨대, 계산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준 표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표시 셀(예컨대, 그러한 셀의 윤곽선)이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식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표시 셀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식은 숫자 및/또는 문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때 이미지 센서 및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a)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의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고 있을 때 적어도 폼 위의 제 1 기준 표시와 폼 위의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과, 그리고 (b)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와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이때 기준 표시는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a)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의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고 있을 때 적어도 폼 위의 제 1 기준 표시와 폼 위의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과, 그리고 (b)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이미지 센서와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이때 기준 표시는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을 포함하는 폼을 제공하며, 이때 사용자 표시 셀은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및 시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폼은 복수의 사용자 표시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사용자 표시 셀은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폼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기준 표시는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다(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그러한 측정 가능한 속성은 기준 표시의 내부 또는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기준 표시의 영역의 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에 대한 표시의 영역(즉, 윤곽선을 포함하여 윤곽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과 본질적으로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지 않는 색상으로 인쇄된 내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따라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빈 것처럼 인식되고 그리고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표시의 영역, 즉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윤곽선을 포함한다)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빈 윤곽선과 또한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된 내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이미지 센서가 윤곽선과 내부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과 내부 부분 사이에 충분한 대비(및/또는 식별 특징(들))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기준 표시의 내부 부분(즉,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한 표시의 영역(즉, 윤곽선을 포함하여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비가 미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배향 정보를 제공하는 형상(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 사다리꼴, 도면부호 401A 또는 401B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표시는 그 위에 기준 표시가 인쇄되는 폼의 부분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는(예컨대, 계산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준 표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표시 셀(예컨대, 그러한 셀의 윤곽선)이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식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표시 셀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식은 숫자 및/또는 문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때 이미지 센서와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가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시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는 색상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폼 위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의 중앙 위치를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 평면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폼 위의 이상적 평면 사용자 표시 셀에 연관된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은 그에 가장 가까운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로부터 가장 먼 거리로 진행하는, 기준 주변의 원형 방식에서 이루어진다(이는 기준 부근의 공지의 척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장 가까운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의 제 1 중심은 만일 그 분리가 소정량보다 작다면 가장 가까운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에 연관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관 평면 및 검출된 위치 사이의 변위 벡터가 계산된다. 이 실시예에서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의 임의의 연속 중심은 먼저 그 가장 가까운 연관 이웃의 변위 벡터에 의해 표시되는 양만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한 중심은 이후에 만일 그 거리가 소정량보다 작다면 가장 가까운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에 연관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절차는 가능한 사용자 표시 셀의 모든 평면 위치에 대하여 반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임의의 비-연관 평면 위치는 그 연관 이웃에서 보간된 자신의 변위 벡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면의 내용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유명한, 모든 특징(들)이 이 내용으로부터 직접 명확해지지 않는다면,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및 관련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및 관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권 게임 전표(400)의 상세를 도시한다(특히 기준 표시 401A 및 401B에 주의한다).
도 5는 통상적인 복권 게임 전표(500)의 상세를 도시한다(특히 통상의 기준 표시 501A 및 501B에 주의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 각각의) 복권 게임 전표들(400 및 500)의 보다 큰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복권 게임 전표(700A 및 700B)의 큰 부분을 도시한다[복권 게임 전표 700A는 비-블라인드 색상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기준 표시(701A 및 701B) 및 사용자 표시 셀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반면 복권 게임 전표 700B는 통상 유형의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권 게임 전표(800)의 상세를 도시한다(특히 비-블라인드 색상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사용자 표시 셀의 격자에 주의한다).
도 9는 통상적인 복권 게임 전표(900)의 상세를 도시한다(특히 블라인드 색상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사용자 표시 셀의 격자에 주의한다).
도 10은 복권 게임 전표(1000A 및 1000B)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복권 게임 전표 1000A는 비-블라인드 색상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사용자 표시 셀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1은 통상의 복권 게임 전표(1100)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특히 통상의 기준 표시(1101A 및 1101B)에 주의하고 특히 블라인드 색상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사용자 표시 셀의 격자에 주의한다].
도 12는 다수의 통상 복권 게임 전표(1200A - 1200D)를 도시한다[특히 통상의 기준 표시에 주의하고 특히 블라인드 색상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사용자 표시 셀의 격자에 주의하고, 그리고 "클록"(즉, 폼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따른 표시)에 주의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결정에 관한 추가의 상세를 제공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물론, 도시된 것처럼, 도 13a의 하부의 (A)에서 도 13b의 상부의 (A)까지 흐름이 연결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101)은 그 위에 이미지 센서(예컨대, 단색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는 폼 받침면(103)을 포함한다[센서는 하우징(105) 내측에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받침면(103)에 대한 수직선에서 몇 도 정도 벗어난 광축을 가질 수도 있다. 받침면(103)은 요홈이 형성되거나 경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달리 장벽 또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폼이 그 내부에 완전히 배치되도록 한다. 도 1에 하나의 장벽(107)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두 개의 장벽(207A 및 207B)을 구비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미지 센서에는 폼 받침면(103) 위에 놓여진 폼(들)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렌즈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에 따라 설계되고 정렬되어 이미지 센서는 받침면(103)과 그 위에 놓여지는 임의의 폼에 대해 모든 범위 내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광학 필터가 광 경로에, 예를 들어 렌즈의 전방, 후방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특정 색상(예컨대, 적색) 및 그에 가깝게 부합하는 색상의 색조가 본질적으로 이미지 센서에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 상에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주변 조명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하나 이상의 광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및/또는 다른 광원]이 활용되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광원(들)은 예컨대, 하우징(105)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폼 받침면 위에 알려진 치수 및 상대적 위치를 구비한 선험적으로 결정된 기기 인식되는 표시의 패턴이 예컨대, 일군의 작은 사각형으로 (각인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영구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예컨대, 도 3의 표시 301A 내지 301D 참조). 이들 표시는 예컨대, 폼 받침면에 대한 이미지 센서 위치의 판단, 그리고 3차원 공간 내의 폼 받침면과 센서의 상대적 배치로 인한 투영 변환 왜곡(projective transformation distortion)의 보상을 허용하는 "초기설정"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동작시에, 시스템은 고정된 폼의 존재에 대해 폼 받침면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예컨대, 폼이 사용자에 의해 시야 안으로 이송되어 놓여진 이후에). 그러한 상황의 검출시에, (예컨대, 폼 받침면 위에 배치된 단일 폼으로부터 또는 적층된 폼들의 최상위 폼으로부터) 고해상도의 이미지가 획득되고 처리되어 사용자 표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에서 관심 있는 폼을 검출하고, 이미지로부터 인쇄된 표시 및 사용자 표시를 추출하고, 그리고 표시용으로 의도된 특정 셀과 사용자 표시를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구부러지고, 접히고, 및/또는 부스러져 결과적으로 비평면 왜곡을 가져오는 폼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그러한 왜곡된 폼의 이미지를 얻을 때, 왜곡은 통상적으로 전체적인 척도와 배향을 보존할 수 없는 국부적 투영 변환의 결과로 나타난다(예컨대, 전체적인 척도와 배향은 폼 받침면 표시 및 폼 위의 기기 판독 가능한 표시로부터 추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써, 이들 조건하에서 사용자 셀의 정확한 위치는 폼의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 따른 기기 판독 가능한 표시로부터 적절하게 추론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한 비평면 폼 위의 사용자 표시의 해석을 돕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폼은 그 위에 다음을 배치한다:
1. 폼의 검출을 위한 복수의 척도 불변의 기기 인쇄 표시(용어 "기준 표시"); 및
2. 사용자 표시를 위해 의도된 셀 각각에 대한 비-블라인드 색상의 테두리
다음으로, 특정한 기기 판독 가능한 표시, 즉 기준 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만일 논의 중인 폼이 적층 내 최상위 폼이라면, 이미지에 모두 존재하여야 하는 인쇄된 기준 표시의 유효 그룹에 대한 체크를 통해 검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미리 결정된 기기 판독 가능한 기준 표시가 폼 위에 인쇄되고 그러한 기준 표시는 폼의 상대적 이동 및 회전과 함께 임의의 척도 차이[예를 들어, 다수의 적층(및 가능하게는 비평면 폼)과 그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최상위(및/또는 비평면의) 폼의 거리를 줄이는 것에 의해 야기된다]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에 대해 상대적인 이들 기기 판독 가능한 기준 표시의 위치는 선험적으로 알려져야 하지만, 폼 위의 그 절대 위치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기기 판독 가능한 기준 표시의 설계는 기기 판독 가능한 기준 표시의 형상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표시의(그리고 결과적으로 표시가 그 위에 배치되는 폼의) 척도 및 배향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기 판독 가능한 기준 표시의 설계에 대해 특정한 주의가 제공되어 이들 기준 표시가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 것을 보증한다(통상적으로, 비평면 폼 왜곡 조건하에서, 크기 정보는 손실되고 형상은 왜곡된다). 이들 환경 하에서 기준 표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준 표시(예컨대, 도 4 및 도 6의 도면부호 401A 및 401B, 그리고 도 7의 도면부호 701A 및 701B 참조)는 예컨대, 기준 표시의 내부(또는 빈) 부분의 영역에 대해 표시의 영역(즉, 윤곽선을 포함하여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비가 미리 결정되는, 빈 객체로써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 객체는 윤곽선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빈 객체는 [그러한 빈 객체에 대비하여, 예컨대 도 5 및 도 6의 통상의 기준 표시 501A, 501B(본질적으로 중실형 사각형), 및 도 11의 통상의 기준 표시 1100A, 1100B(본질적으로 중실형 사각형) 참조] 블라인드 색상으로 인쇄된 내부를 구비한 기기 판독 가능한 윤곽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의 빈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의 이러한 비가 척도 변화에 대해 불변이기 때문에, 그러한 구성은 카메라로부터의 임의의 거리에서 기준 표시의 검출을 허용할 수 있다(카메라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영역 폼 설계에 대해 논의한다. 통상적으로 실시되어 온 것처럼, 수 개의 소형 셀이 사용자가 소망하는 임의의 표시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제공된다(셀은 예컨대 통상의 균일한 직사각형 격자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과거에는, 사용자 표시 셀은 기기에 대한 검출 부담을 제거하기 위해, 기기에 인식되지 않는 색상으로 인쇄되어 왔다(예컨대, 도 7의 복권 게임 전표 700B, 도 9의 복권 게임 전표 900, 도 10의 복권 게임 전표 1000B, 도 11의 복권 게임 전표 1100 및 도 12의 복권 게임 전표 1200A 내지 1200D 참조).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하에서, 사용자가 표시를 할 수 있는 셀이 일부 비-블라인드 색상으로 인쇄된 윤곽선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각 개개의 셀을 기기에 대해 인식 가능하도록 한다(예컨대 도 8의 복권 게임 전표 800 및 도 10의 복권 게임 전표 1000A 참조). 이는 비평면 왜곡 상태에서 각 사용자 표시 셀의 검출을 돕는다. 물론, 비평면 왜곡으로 인해,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은 폼에 대해 기본적으로 설계된 격자 상에, 즉 예상되는 셀 위치에 더 이상 배열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 표시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 검출된 셀은 예상되는 셀 위치에 연관될 필요가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기준 표시에 가장 가까운 사용자 표시 셀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상되는 셀 위치에 대한 연관성에 있어서, 변위 벡터가 검출된 셀에 대해 얻어질 수 있다. 인접한 사용자 표시 셀이 그 후에 기준으로써 그 이웃한 셀의 변위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이 절차는 이미지 사진 요소 상의 폼의 셀 윤곽선의 완전한 패턴을 점차로 나타내기 위해 반복된다. 중요하게는, 이 배열에 뒤이어, 사용자 표시 셀은 균일하거나 또는 직사각형 격자 배열 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표시 셀은 미적 감각이 요구하는 임의의 소망의 위치에서 나타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은 최소의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구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부적합한 조명 조건으로 인해) 검출되지 않은 임의의 사용자 표시 셀은 그 이웃한 셀의 변위 벡터를 보간함으로써 추정되는 그 변위 벡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로써, 만일 사용자 표시 셀 자체가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셀 경계의 검출에 의해 발견되지 않는다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와 같은, 폼의 이미지 상에서 모든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가 추정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그 후에 사전에 결정된 사용자 표시 셀 중심에 대해 이미지의 영역으로부터 임의의 가능한 사용 표시를 추출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비평면 왜곡이 자체 음영을 야기할 수 있고 주변 조명이 다른 음영을 야기하여 사용자 표시 검출 절차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표시의 존재를 가리키는 후보 이미지 픽셀을 찾기 이전에 그 효과를 감쇠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인식되는 사용자 표시 셀 경계의 외측의 픽셀에 근거하여 휘도의 2차원 선형 구배를 추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표시가 사용자 셀 경계의 밖으로 연장되는 것은 드물기 때문에, 이들 픽셀의 활용은 유리할 수 있다.
그 후에, 선형 구배는 사용자 표시 셀에 대한 이미지 영역 주변에서 보상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사용자 표시의 존재는 각 셀의 내측의 처리 정보를 검사함으로써 확증될 수도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결정 방법(예컨대, 컴퓨터 구현 알고리즘)에 관한 추가의 상세를 제공한다.
1. 인쇄된 표시에 대한 이미지 이진화
2. 기준 & ID 줄무늬 조합 유효? 만일 아니라면, 폐기. 만일 그렇다면, 3으로 진행.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의 검출을 위한 수평 & 수직 필터링 및 이진화
4. 검출된 사용자 표시 셀의 중심의 추출을 위한 형태학적 처리
5. 모든 검출된 사용자 셀에 대하여 5.a. 고유의 카메라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미지 평면으로부터 폼 좌표계로 투영
5.b. 미리 연관된 이웃의 변위에 따라 검출된 중심을 이동
5.c. 사용자 표시 셀의 평면 위치와 연관 시도 만일 아니라면, 폐기한다. 만일 그렇다면, 5.d.로 진행.
5.d. 변위 벡터 추정
5.e. 5.a.로 반복
6. 모든 비연관 평면 위치에 대하여 6.a. 연관된 이웃의 벡터를 보간함으로써 변위 벡터 추정
6.b. 이미지 상에 이동한 이상적인 셀 중심 투영
6.c. 6.a.로 반복
7. 이미지 상의 모든 사용자 표시 셀 중심에 대하여 7.a. 사용자 표시 셀 경계들 간의 빈 영역을 이용하여 국부적 화이트 레벨을 추정
7.b. 국부적 화이트 레벨 추정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표시 셀의 내부를 이진화
7.c. 셀 내 사용자 표시의 흔적으로부터 활성 픽셀 수집
7.d. 만일 흔적이 소정량을 초과한다면 사용자 표시의 존재를 선언
7.e. 7.a.로 반복
다음으로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결정 방법(예컨대, 컴퓨터 구현 알고리즘)에 관한 추가의 상세를 제공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카메라(예컨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 참조)의 시야에 폼(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 400 및 도 7의 폼 700A 참조)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이때 폼은 그 위에 적어도 제 1 기준 표시[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기준 표시(401A 및 401B) 및 도 7의 폼(700A)의 기준 표시(701A 및 701B) 참조] 및 제 2 기준 표시[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기준 표시(401A 및 401B) 및 도 7의 폼(700A)의 기준 표시(701A 및 701B) 참조]를 포함하고,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 각각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 것인, 배치 단계; 카메라를 활용하여 폼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전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카메라와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 장치[예컨대,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101) 참조]를 이용하여 적어도 제 1 기준 표시와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폼 위에서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 셀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로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1 사용자 표시 셀이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되는 것인, 검출 단계;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에 대비하여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폼 위에서 적어도 제 2 사용자 표시 셀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로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2 사용자 표시 셀이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되는 것인, 검출 단계; (a)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1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a)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2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표시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에 대한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폼 위에서 적어도 제 3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a)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3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3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중 적어도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사이의 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폼 위에서 적어도 제 3 사용자 표시 셀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3 사용자 표시 셀이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a)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3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3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중 적어도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사이의 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폼이 카메라의 시야에 놓여진 이후에 본질적으로 고정될 때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폼 위의 식별 정보를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해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 1 표식이 폐쇄형 경계를 형성할 수 있고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 2 표식이 폐쇄형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각 표식은 잉크로 인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표식은 카메라 및 사람 모두에 대해 인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장치는 단일 프로세서(예컨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예컨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및 시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서 인접한 사용자 표시 셀 사이에 본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을 구비하는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에서 인접한 사용자 표시 셀 사이에 본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을 구비하는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은 비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표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표시 셀 내측의 표식은 사람에게 인식되고 카메라에 대해 인식되지 않는 잉크로 인쇄된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단계가 인용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카메라(예컨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 참조); 카메라와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 장치(예컨대,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 참조); 및 적어도 하나의 폼(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 400 및 도 7의 폼 700A 참조)을 포함하는, 사용자 표시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때, 폼은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기준 표시(401A 및 401B), 도 7의 폼(700A)의 기준 표시(701A 및 701B) 참조]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 각각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가지며, 이때, 폼이 카메라의 시야에 놓여질 때, 카메라 및 프로세서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폼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전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적어도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폼 위에서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 셀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로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1 사용자 표시 셀이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되는 것인, 검출 단계;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에 대비하여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폼 위에서 적어도 제 2 사용자 표시 셀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로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예컨대, 도 4 및 도 6의 폼(400)의 사용자 표시 셀, 도 7의 폼(700A)의 사용자 표시 셀, 도 8의 폼(800)의 사용자 표시 셀 및 도 10의 폼(1000A)의 사용자 표시 셀 참조], 그리고 제 2 사용자 표시 셀이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되는 것인, 검출 단계; (a)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1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a)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성의 정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2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장치는 단일 프로세서(예컨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예컨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101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및 프로세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이들 단계가 인용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고정된 폼의 존재를 프로세서 장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표시 각각은 알고리즘(예컨대,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표시 각각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예컨대,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휘도 유사성은 화이트 레벨(예컨대, 국부적 화이트 레벨)에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기 유사성은 본원에 기술된 휘도 유사성에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도 유사성은 본원에 기술된 휘도 유사성에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명세서를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기 판독 가능한 폼에 컴퓨터 데이터/명령어를 저장하는 매체이다. 실시예로써,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함께 통신 매체, 방법 및/또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및/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의, 제거 가능하고/하거나 제거 불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기타 고체 상태 메모리(solid state memory) 기술; CD-ROM, DVD, 및/또는 기타 광학 저장소; 카세트, 테이프, 디스크, 및/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및/또는 소망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기타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론,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컴퓨터 하드웨어 및/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종류[예컨대, 하나 이상의 메인 프레임, 하나 이상의 서버 컴퓨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하나 이상의 미니 컴퓨터, 하나 이상의 개인용 컴퓨터("PC"),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예컨대,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의 종류(예컨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예컨대, C++, Basic)에 매우 익숙하다. 상술한 예시는 물론,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이다.
물론,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형태/실시예[또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형태/실시예의 임의의 특징부(들)]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또는 본원에 기술된 그러한 다른 실시형태/실시예의 임의의 특징부(들)]와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형태/실시예가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형태/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많은 수정이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특정 방법이 "컴퓨터 구현 가능하거나" 또는 "컴퓨터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에, 모든 단계가 반드시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다양한 실시형태의 기준 표시는 임의의 소망의 빈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기준 표시는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폼이 검출될 수 있고/있거나 복수 폼의 적층이 존재할 때(예컨대, 이때 적층 내 모든 폼이 정렬되지 않는 경우) 특히 유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표시 셀은 임의의 소망의 형상이 될 수 있고 임의의 소망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폼은 요구에 따라 임의의 통상의 특징부(예컨대, 클록)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표시 및/또는 사용자 표시 셀은 인쇄 또는 다른 방식으로 폼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단계가 임의의 소망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그리고 임의의 소망의 단계가 추가되고/되거나 임의의 소망의 단계가 제거될 수도 있다).
101: 시스템
103: 폼 받침면
105: 하우징
107, 207A, 207B: 장벽
301A, 301B, 301C, 301D: 표시
400, 500, 700A, 700B, 800, 900, 1000A, 1000B, 1100: 복권 게임 전표
1200A, 1200B, 1200C, 1200D: 복권 게임 전표
401A, 401B, 501A, 501B, 701A, 701B, 1100A, 1100B: 기준 표시

Claims (32)

  1. 사용자 표시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카메라의 시야에 폼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이때 폼은 그 위에 적어도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각각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갖는 것인, 상기 폼 배치 단계;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여 상기 폼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전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와 동작가능하게 통신하는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고, 상기 전자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상기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 검출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 대비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2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 검출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2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 대비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3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된 제 3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3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중의 적어도 양쪽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 사이의 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3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제 3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최소의 제 3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중 적어도 양쪽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표시 셀은, (a)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및 (b)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위치 사이의 보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검출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이 상기 카메라의 시야에 놓여진 이후 언제 본질적으로 고정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식별 정보를 해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 1 표식은 폐쇄형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 2 표식은 폐쇄형 경계를 형성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각 표식은 잉크로 인쇄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각 표식은 카메라 및 사람에 모두에 대해 인식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복권 게임 전표; 조사서; 및 시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 셀들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사용자 표시 셀들 사이에 본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 셀들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양쪽 모두의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사용자 표시 셀들 사이에 본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 셀들은 비격자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 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표식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 셀 내측의 표식은 카메라에 대해 인식 불가능하고 사람에 대해 인식되는 잉크로 인쇄된,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인용된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방법.
  26. 사용자 표시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동작가능하게 통신하는 프로세서 메커니즘; 및
    적어도 하나의 폼
    을 포함하고,
    상기 폼은 그 위에 적어도 제 1 기준 표시 및 제 2 기준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각각은 본질적으로 척도 불변인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가지며;
    상기 폼이 상기 카메라의 시야에 놓여질 때, 상기 카메라 및 프로세서 메커니즘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폼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전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이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제 1 기준 표시 및 상기 제 2 기준 표시 사이의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 검출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이상적인 평면 위치 대비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폼 위의 적어도 제 2 사용자 표시 셀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카메라에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은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변위 벡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인,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 검출 단계;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1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제 1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적어도 제 1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a)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을 에워싸는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과, (b) 상기 제 2 사용자 표시 셀의 경계를 형성하는 표식 내측에 포함된 상기 전자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휘도 유사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제 2 사용자 표시 셀 내의 적어도 제 2 사용자 표시의 흔적을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통해 수행되는 상기 단계들은 인용된 순서로 수행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고정된 폼의 존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표시 검출 시스템.
KR1020117003689A 2008-08-04 2009-07-29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KR101679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20080100525A GR1006531B (el) 2008-08-04 2008-08-04 Διαμορφωση εντυπου πολλαπλων επιλογων αναγνωσιμου με ηλεκτρονικο μεσο και συστημα και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ερμηνεια κατ' ελαχιστον μιας επιλογης του χρηστη
GR20080100525 2008-08-04
US8618008P 2008-08-05 2008-08-05
US61/086,180 2008-08-05
PCT/IB2009/006652 WO2010015930A1 (en) 2008-08-04 2009-07-29 Machine-readable form configur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at least one user mar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447A Division KR101766470B1 (ko) 2008-08-04 2009-07-29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640A true KR20110050640A (ko) 2011-05-16
KR101679800B1 KR101679800B1 (ko) 2016-11-25

Family

ID=404169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447A KR101766470B1 (ko) 2008-08-04 2009-07-29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KR1020117003689A KR101679800B1 (ko) 2008-08-04 2009-07-29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447A KR101766470B1 (ko) 2008-08-04 2009-07-29 기기 판독 가능한 폼 구조 및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5) US8587663B2 (ko)
EP (3) EP2367142B1 (ko)
KR (2) KR101766470B1 (ko)
CN (1) CN102112996B (ko)
AT (1) ATE504047T1 (ko)
AU (1) AU2009278854B2 (ko)
BR (1) BRPI0917401B8 (ko)
CA (1) CA2732916C (ko)
DE (1) DE602009000973D1 (ko)
DK (3) DK2565823T3 (ko)
ES (3) ES2656980T3 (ko)
GR (1) GR1006531B (ko)
HR (3) HRP20110440T1 (ko)
IL (1) IL210671A (ko)
MA (1) MA32533B1 (ko)
MY (1) MY154451A (ko)
NO (2) NO2367142T3 (ko)
NZ (1) NZ590921A (ko)
PT (2) PT2565823T (ko)
RU (1) RU2486589C2 (ko)
TW (1) TWI369639B (ko)
WO (1) WO2010015930A1 (ko)
ZA (1) ZA2011009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6531B (el) 2008-08-04 2009-09-10 Διαμορφωση εντυπου πολλαπλων επιλογων αναγνωσιμου με ηλεκτρονικο μεσο και συστημα και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ερμηνεια κατ' ελαχιστον μιας επιλογης του χρηστη
CN107395977B (zh) * 2012-12-27 2019-12-1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通信方法
USD733803S1 (en) 2014-01-07 2015-07-07 Intralot S.A. Integrated Lottery Systems and Services Lottery terminal
ES2544802B1 (es) * 2014-03-03 2016-10-19 María MEDINA DE ARESPACOCHAGA Método para transformar un resultado de un formulario de un test que comprende varias opciones de respuesta a un resultado de un formulario de un test que comprende respuestas en escala dicotómica positivo o negativo
US9361536B1 (en) 2014-12-16 2016-06-07 Xerox Corporation Identifying user marks using patterned lines on pre-printed forms
CN109902671A (zh) * 2018-12-29 2019-06-18 上海智位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视觉数据智能读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123A (en) * 1979-01-02 1981-11-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tical reading system
US5140139A (en) * 1989-11-13 1992-08-18 Cognitronics Corporation Preparing mark/read documents with markable boxes and locating the boxes from the document scan data
CA2038264C (en) * 1990-06-26 1995-06-27 Richard James Eickemeyer In-memory preprocessor for a scalable compound instruction set machine processor
US5418865A (en) * 1992-03-20 1995-05-23 Xerox Corporation Mark sensing on a form
US5818026A (en) * 1996-02-06 1998-10-06 Symbol Technologies, Inc. Hand-marked lottery selection slip scanning system and method
US6298176B2 (en) * 1997-10-17 2001-10-02 Welch Allyn Data Collection, Inc. Symbol-controlled image data reading system
US6711293B1 (en) * 1999-03-08 2004-03-2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cale invariant features in an image and use of same for locating an object in an image
DE19914702A1 (de) * 1999-03-31 2000-10-05 Norbert Hampp Verfahren und Zubereitung zur photochromen Markierung und/oder Sicherung der Authentizität von Gegenständen
US6741738B2 (en) * 2000-03-13 2004-05-25 Tms, Inc. Method of optical mark recognition
US7657128B2 (en) * 2000-05-23 2010-02-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Optical force sensor
US20030020889A1 (en) * 2000-08-02 2003-01-30 Nikon Corporation Stage unit, measurement unit and measurement method, and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US20020082857A1 (en) * 2000-09-08 2002-06-27 Val Skord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nline document and input form creation and storage system
AUPR105000A0 (en) * 2000-10-27 2000-11-2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marks
US7016532B2 (en) * 2000-11-06 2006-03-21 Evryx Technologies Image capture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US6640008B1 (en) 2001-06-29 2003-10-28 Shih-Jong J. Lee Rotation and scale invariant pattern matching method
GB2381687B (en) * 2001-10-31 2005-08-24 Hewlett Packard Co Assisted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US7070115B2 (en) * 2002-01-23 2006-07-04 Debiase Salvatore E Ballot form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US7028907B2 (en) * 2002-06-05 2006-04-18 Gtech Rhode Island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ata input
AU2002951815A0 (en) * 2002-10-03 2002-10-24 Canon Kabushiki Kaisha Mark embedding and detection using projective transforms
US20070128899A1 (en) * 2003-01-12 2007-06-07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KR100539365B1 (ko) 2003-02-19 2005-12-28 (주)디지탈이노텍 제르니크 모멘트를 사용한 불변 이미지 워터마크
US20040186813A1 (en) * 2003-02-26 2004-09-23 Tedesco Daniel E. Image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that is structured with multiple layers and differentially weighted neurons
US7292723B2 (en) * 2003-02-26 2007-11-06 Walker Digital, Llc System for image analysis in a network that is structured with multiple layers and differentially weighted neurons
JP4269059B2 (ja) * 2003-05-30 2009-05-27 株式会社Pfu 帳票処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DE10337831A1 (de) * 2003-08-18 2005-03-24 Sick Ag Verfahren zur optischen Erkennung von alphanumerischen Zeichen
WO2005045763A1 (en) * 2003-11-04 2005-05-1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estimating an affine relation between images
US7095531B2 (en) * 2003-11-06 2006-08-22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for streaks in images
KR100468461B1 (ko) 2004-02-26 2005-01-31 김완묵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한 OMR독취 (Local 또는 원격 처리)
US8090218B2 (en) * 2004-03-31 2012-0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system performance measurement
US7298901B2 (en) * 2004-04-07 2007-11-20 Scantron Corporation Scannable form and system
US7668376B2 (en) * 2004-06-30 2010-02-23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hape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US7791756B2 (en) * 2005-05-03 2010-09-07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identifying marks using a digital master document and scanned image enhancement
US20080311551A1 (en) * 2005-08-23 2008-12-18 Mazer Corporation, The Testing Scoring System and Method
JP4670658B2 (ja) * 2006-01-25 2011-04-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64587B2 (en) 2006-05-24 2009-07-21 Scan-0ptics LLC Method of scoring a printed form having targets to be marked
US8087780B2 (en) * 2006-07-31 2012-01-03 Hsu-Chieh Yeh High precision visual field tester with unprecedented detailed results
US20080227075A1 (en) * 2007-03-15 2008-09-18 Ctb/Mcgraw-Hill, Llc Method and system for redundant data capture from scanned documents
US7830554B2 (en) * 2007-06-29 2010-11-09 Xerox Corporation Fiducial artifact detection and compensation algorithm
GR1006531B (el) 2008-08-04 2009-09-10 Διαμορφωση εντυπου πολλαπλων επιλογων αναγνωσιμου με ηλεκτρονικο μεσο και συστημα και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ερμηνεια κατ' ελαχιστον μιας επιλογης του χρηστ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2916A1 (en) 2010-02-11
EP2367142A3 (en) 2012-03-28
US20190311208A1 (en) 2019-10-10
EP2151788B1 (en) 2011-03-30
IL210671A (en) 2016-02-29
PT2367142T (pt) 2018-01-09
EP2367142A2 (en) 2011-09-21
US20180253615A1 (en) 2018-09-06
KR101679800B1 (ko) 2016-11-25
KR101766470B1 (ko) 2017-08-08
CN102112996B (zh) 2015-03-25
EP2151788A3 (en) 2010-03-17
US20160267342A1 (en) 2016-09-15
RU2486589C2 (ru) 2013-06-27
EP2565823A3 (en) 2014-11-19
EP2367142B1 (en) 2017-10-04
DK2565823T3 (en) 2018-01-15
EP2565823A2 (en) 2013-03-06
CA2732916C (en) 2015-10-13
WO2010015930A1 (en) 2010-02-11
DK2151788T3 (da) 2011-06-27
GR1006531B (el) 2009-09-10
RU2011108301A (ru) 2012-09-10
TW201020936A (en) 2010-06-01
MA32533B1 (fr) 2011-08-01
HRP20180003T1 (hr) 2018-03-23
US9349064B2 (en) 2016-05-24
NZ590921A (en) 2013-11-29
PT2565823T (pt) 2018-01-10
MY154451A (en) 2015-06-15
NO2565823T3 (ko) 2018-03-03
KR20160137661A (ko) 2016-11-30
DK2367142T3 (en) 2018-01-15
ES2363415T3 (es) 2011-08-03
ATE504047T1 (de) 2011-04-15
IL210671A0 (en) 2011-03-31
HRP20180004T1 (hr) 2018-03-23
EP2565823B1 (en) 2017-10-04
CN102112996A (zh) 2011-06-29
HRP20110440T1 (hr) 2011-07-31
BRPI0917401B1 (pt) 2019-12-03
ES2656980T3 (es) 2018-03-01
US20100091109A1 (en) 2010-04-15
ES2656844T3 (es) 2018-02-28
US9965693B2 (en) 2018-05-08
NO2367142T3 (ko) 2018-03-03
EP2151788A2 (en) 2010-02-10
BRPI0917401B8 (pt) 2021-03-09
TWI369639B (en) 2012-08-01
US20140055622A1 (en) 2014-02-27
AU2009278854A1 (en) 2010-02-11
BRPI0917401A2 (pt) 2015-12-01
DE602009000973D1 (de) 2011-05-12
ZA201100928B (en) 2011-10-26
AU2009278854B2 (en) 2014-10-02
US8587663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693B2 (en) Machine-readable form configur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at least one user mark
JP5002144B2 (ja) 三次元計測用投影装置及びシステム
JP4848166B2 (ja) 三次元計測用投影装置及びシステム
JP4828195B2 (ja) カラーコード付き標識
US200900848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ing Bar Code Positioning for Imaging Scanning
JP2015045952A (ja) 位置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69037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s on a document
JP5280337B2 (ja) 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US8096474B2 (en) Method for decoding data
EP4214632A1 (en) Optically readable markers
JP2021009560A (ja) 機器検出装置および機器検出方法
KR20070015864A (ko) 삼차원 계측시스템, 삼차원 계측방법 및 컬러코드 부착표식
JPH05205102A (ja) イメージスキャナによる図面読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