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589A -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589A
KR20110049589A KR1020090106664A KR20090106664A KR20110049589A KR 20110049589 A KR20110049589 A KR 20110049589A KR 1020090106664 A KR1020090106664 A KR 1020090106664A KR 20090106664 A KR20090106664 A KR 20090106664A KR 20110049589 A KR20110049589 A KR 20110049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finger
touch input
touch
touch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842B1 (ko
Inventor
서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842B1/ko
Priority to US12/940,672 priority patent/US9081489B2/en
Publication of KR2011004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여,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터치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Touch input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입력 방법 및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과 터치면의 접촉 특징에 기초한 터치 입력 방법 및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터치 센서가 포함된 표시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급속도록 보급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터치 센서를 이용한 직관적이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사용자는 작은 크기의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에 접촉함으로써 원하는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입력된 엄지손가락을 인식하고,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입력을 구분하여 다양한 터치 입력 및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방법은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접촉 영역의 무게 중심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 먼 상기 접촉 영역의 경계점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정도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정도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접촉 영역에서 기준축을 기준으로 좌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우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왼손 엄지손가락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오른손 엄지손가락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향하여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지게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아웃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은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상기 엄지손가락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는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접촉 영역 검출부;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방법은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감지부(110), 접촉 영역 검출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터치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터치 감지부(110)에 터치하는 경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감지부(110)는 수신한 손가락 터치 입력 신호를 접촉 영역 검출부(120) 또는 제어부(13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10)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110)는 터치 감지 표면 상에서의 터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10)는 용량성 감지, 저항성 감지, 표면 탄성파 감지, 압력 감지, 광학 감지 등의 감지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감지부(110)는 단일점 감지 또는 다중점 감지를 할 수도 있다. 단일점 감지는 단일의 터치만을 구별할 수 있고, 다중점 감지는 동시에 일어나는 다수의 터치를 구별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10)는 표시부(140) 상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10)는 표시부(140)과 일체로 되어 있을 수 있거나, 별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110)는 터치 감지부(110)에서 손가락을 드래그, 즉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접촉 영역 검출부(120)는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터치 감지부(110)와 접촉 영역을 검출한다.
제어부(130)는 접촉 영역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에는,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인체 구조상 사용자가 터치 감지부(110)에 엄지손가락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을 뉘어서 터치하게 된다. 즉, 엄지손가락의 옆면이 터치 감지부(110)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부(110)와 접촉되는 영역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긴 타원과 유사하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긴 도 형의 모양이 된다. 그러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의 경우에는, 인체 구조상 사용자는 손가락을 수평적으로 터치 감지부(110)에 터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접촉 영역의 모양은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 모양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에 가까운 타원의 경우에는 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임계값이 미리 설정된다. 임계값은 제조자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으로 정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시험적인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접촉 영역이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의 경우에는, 곡률의 임계값 미만으로 간주하여 원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접촉 영역이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긴 타원이거나, 이에 유사한 불규칙한 모양의 경우에는 곡률의 임계값 이상으로 간주하여 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제어부(130)는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한다. 기존의 엄지손가락의 인식을 다른 손가락과의 면적의 차이로 인식하는 경우는 엄지손가락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손가락 입력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엄지손가락의 1회 입력만으로 엄지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터치 감지 장치의 좌표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형태만으로 엄지손가락을 인식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엄지손가락 터치 입력을 인식한 후에,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와의 접촉 영역의 대칭성에 기초하여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칭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방법은 제어부(130)는 그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여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 왼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한다. 대칭성을 판단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부(130)가 그 접촉 영역의 무게중심을 구하여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가장 먼 접촉 영역의 경계점을 연결하여 이 선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지 판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엄지손가락의 대칭성의 판단 방법은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의 옆면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되기 때문에, 그 접촉 영역의 모양을 보면 일측이 타측보다 더 볼록한 모양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기준축을 기준으로 우측의 면적이 좌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터치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터치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의 1회 입력만으로 접촉 영역에 기초하여 엄지손가락인지 검출이 가능하며, 엄지손가락이 입력된 경우에는 그 접촉 영역의 형태에 따라 어느 손 엄지손가락인지 바로 검출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인식하였다는 신호를 표시부(140)에 송신한다.
제어부(130)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터치 감지 부(110)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줌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줌아웃 신호를 생성하고,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게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줌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또는, 단색 디스플레이, CGA(Color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EGA(Enhanced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VGA(Variable Graphics Array) 디스플레이, 슈퍼 VGA, CRT(Cathode Ray Tube), 기타 등등의 디스플레이일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40)는 터치 감지부(1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왼손 엄지손가락 인식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부(140)의 좌측 상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오른손 엄지 손가락 인식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부(140)의 우측 상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줌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화면을 축소하고, 줌아웃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화면을 확대하고,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화면의 뷰 포인트를 조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입력 장치 내의 터치 감지 장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단계 220 내지 단계 240은 도 3a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터치 감지 장치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22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한다. 도 3a에서, 세 개의 손가락 입력에 대한 접촉 영역(310, 320, 33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23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접촉 영역이 원으로 입력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곡률의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 240으로 이동하고, 곡률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지 않고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체 구조상 터치 감지 장치에 엄지손가락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의 옆면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와 접촉되는 영역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긴 타원과 유사하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긴 도형의 모양이 된다. 그러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의 경우에는, 그 모양이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 모양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에 가까운 타원의 경우에는 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임계값이 설정된다. 임계값은 제조자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으로 정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시험적인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 장치는 접촉 영역이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의 경우에는, 곡률의 임계값 미만으로 간주하여 원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는 접촉 영역이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긴 타원이거나, 이에 유사한 불규칙한 모양의 경우에는 곡률의 임계값 이상으로 간주하여 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터치 입력 장치는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110)와 접촉된 영역(310)은 불규칙한 곡률을 갖는 긴 타원의 모양이 된다.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310)은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임계값 영역(340)을 벗어난다. 또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두 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110)와 접촉된 영역(320, 330)은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의 모양을 가진다.
단계 25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엄지손가락의 터치로 인식된 접촉 영역에서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와의 접촉 영역의 대칭성에 기초하여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다. 접촉 영역에서 무게중심에서 가장 먼 접촉 영역의 지점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 또는,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지 판단한다.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단계 260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면적이 좌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단계 270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의 옆면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되기 때문에, 그 접촉 영역의 모양을 보면 일측이 타측보다 더 볼록한 모양이 된다.
단계 26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기준축을 기준으로 할 때, 좌측의 면적이 우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터치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한다.
단계 270에서,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된 경우, 터 치 감지 장치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측 상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단계 28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기준축을 기준으로 할 때, 우측의 면적이 좌측의 면적보다 더 큰 경우에는 터치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한다.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는 도 3a에서 엄지손가락의 터치로 인식된 접촉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선(310)은 엄지손가락과 터치 감지 장치와의 접촉 영역의 모양이고, 점선(350)은 엄지손가락의 터치로 인식된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나타낸다. 도 3b에서 기준축(350)을 기준으로 우측의 모양이 좌측의 모양보다 더 볼록하다. 즉, 우측의 면적이 좌측의 면적보다 더 크다. 이 경우,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터치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반대의 경우에는, 왼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단계 290에서,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우측 상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인체 구조상 사용자는 손의 움직임 없이 다른 손가락으로 입력을 쉽게 할 수가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이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단일점 터치가 가능하며, 또한, 엄 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다중점 터치도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오른손 엄지손가락(410)이 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401~404)이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왼손 엄지손가락(420)이 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401~404)이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 내지 단계 540은 도 2의 단계 210 내지 단계 24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55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은 인식된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장치는 왼손 엄지손가락이 먼저 인식되고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입력되더라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단계 56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줌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입력 장치는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줌아웃 신호를 생성하고,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게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줌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터치 입력 장치는 줌아웃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하고, 줌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610)의 우측이 볼록한 형태이므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입력된 것이다. 이 경우,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기준 손가락이 된다. 다른 손가락의 접촉 영역(620)이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610)과 멀어지는 방향(630)으로 접촉 영역(640)까지 선형적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터치 입력 장치는 줌 아웃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하게 된다.
단계 570에서, 터치 입력 장치는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3D 인터페이스인 경우, 회전 방향에 따라 3개의 축 조절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710)의 우측이 볼록한 형태이므 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터치 입력된 것이다. 이 경우,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기준 손가락이 된다. 다른 손가락의 접촉 영역(720)이 엄지손가락의 접촉 영역(7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730)으로 접촉 영역(740)까지 드래그되는 경우, 터치 입력 장치는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터치 입력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터치 감지 장치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의 무게 중심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 먼 상기 접촉 영역의 경계점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정도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정도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에서 기준축을 기준으로 좌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우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왼손 엄지손가락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오른손 엄지손가락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향하여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지게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아웃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 장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상기 엄지손가락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
  11.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접촉 영역 검출부;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정도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영역에서 기준축을 기준으로 좌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우측의 면적이 더 큰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경 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왼손 엄지손가락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오른손 엄지손가락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선형으로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향하여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지게 동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줌아웃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터치 감지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상기 다른 손가락이 접촉 상태로 상기 엄지손가락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뷰 포인트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20. 터치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감지 장치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엄지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106664A 2009-11-05 2009-11-05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66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64A KR101660842B1 (ko) 2009-11-05 2009-11-05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12/940,672 US9081489B2 (en) 2009-11-05 2010-11-05 Touch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distinguishing finger contact on a touch sensing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64A KR101660842B1 (ko) 2009-11-05 2009-11-05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589A true KR20110049589A (ko) 2011-05-12
KR101660842B1 KR101660842B1 (ko) 2016-09-29

Family

ID=4392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664A KR101660842B1 (ko) 2009-11-05 2009-11-05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81489B2 (ko)
KR (1) KR1016608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26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장치에서 다섯 손가락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18851B1 (ko) * 2015-11-02 2017-03-22 염의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572066B2 (en) 2017-04-13 2020-02-25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touch error
KR20220082522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616B1 (ko) * 2010-11-30 2016-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67445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24388B1 (ko) * 2011-06-10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436828B1 (en) * 2012-01-27 2013-05-07 Google Inc. Smart touchscreen key activation detection
US20130207913A1 (en) * 2012-02-09 2013-08-15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ouch panel device, portable terminal,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30265235A1 (en) * 2012-04-10 2013-10-10 Google Inc. Floating navigational controls in a tablet computer
CN102736854B (zh) * 2012-05-24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讯终端及基于该移动通讯终端的屏幕调整方法
US20140160054A1 (en) * 2012-12-06 2014-06-12 Qualcomm Incorporated Anchor-drag touch symbol recognition
US9389718B1 (en) * 2013-04-04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Thumb touch interface
US9310933B2 (en) 2014-02-26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for host based touch processing
CN106325725A (zh) * 2015-06-25 2017-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屏控制方法和装置、移动终端
CN108762547B (zh) * 2018-04-27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终端的操作方法和移动终端
WO2021090306A1 (en) * 2019-11-05 2021-05-14 Reflect Innovat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tr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107B1 (en) * 1996-05-23 2001-09-11 Nike,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human extremities using peripheral illumination techniques
US20060026521A1 (en) * 2004-07-30 2006-02-02 Apple Computer,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20090101741A (ko) * 2008-03-24 2009-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와 같은 기능을갖는 장치
KR20090108063A (ko) * 2007-01-03 2009-10-14 애플 인크. 멀티-터치 입력 구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8924B1 (en) * 1998-01-26 2012-06-13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GB0201074D0 (en) * 2002-01-18 2002-03-06 3G Lab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data processing device
KR100481220B1 (ko) 2002-11-13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5301844A (ja) 2004-04-15 2005-10-27 Murata Mach Ltd 入力装置
US8130203B2 (en) * 2007-01-03 2012-03-06 Apple Inc. Multi-touch input discrimination
JP2009163278A (ja) *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US20110012848A1 (en) * 2008-04-03 2011-01-20 Dong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ulti-object touch handheld device with touch sensitive display
JP5164675B2 (ja) * 2008-06-04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46374B2 (en) * 2008-11-12 2013-05-21 Apple Inc. Detecting a palm touch on a surface
US8294047B2 (en) * 2008-12-08 2012-10-23 Apple Inc.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US8154529B2 (en) * 2009-05-14 2012-04-10 Atmel Corporation Two-dimensional touch sens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107B1 (en) * 1996-05-23 2001-09-11 Nike,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human extremities using peripheral illumination techniques
US20060026521A1 (en) * 2004-07-30 2006-02-02 Apple Computer,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20090108063A (ko) * 2007-01-03 2009-10-14 애플 인크. 멀티-터치 입력 구별
KR20090101741A (ko) * 2008-03-24 2009-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와 같은 기능을갖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26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장치에서 다섯 손가락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18851B1 (ko) * 2015-11-02 2017-03-22 염의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078398A1 (ko) * 2015-11-02 2017-05-11 염의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416880B2 (en) 2015-11-02 2019-09-17 Xogames Inc. Touch input method for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572066B2 (en) 2017-04-13 2020-02-25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touch error
KR20220082522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1489B2 (en) 2015-07-14
US20110102351A1 (en) 2011-05-05
KR101660842B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589A (ko)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9870137B2 (en) Speed/positional mode translations
US9880655B2 (en) Method of disambiguating water from a finger touch on a touch sensor panel
US7924271B2 (en) Detecting gestures on multi-event sensitive devices
US9182884B2 (en) Pinch-throw and translation gestures
EP2508965B1 (e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thereof
KR101718893B1 (ko)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0073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002290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ouch Displays Using Single-Touch and Multi-Touch Gestures
AU20132230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WO2015085919A1 (zh) 一种基于悬浮触控的点击对象放大方法及装置
US10956030B2 (en)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JP2006146936A (ja) 偶発的なタッチセンシティブ装置の活動化の低減のための入力方法
WO2011026389A1 (zh) 触摸控制方法、处理装置及处理系统
KR201100639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감지방법
KR101630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WO201816025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xtending effective reach of a user's finger on a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101134192B1 (ko)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이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및 모바일 기기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KR101348370B1 (ko) 가변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06085218A (ja) 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
KR20150065122A (ko) 터치에 기초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62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ush input recognition and display for touchscreen devices
KR20100106638A (ko)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터치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