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5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54B1
KR101630754B1 KR1020090098877A KR20090098877A KR101630754B1 KR 101630754 B1 KR101630754 B1 KR 101630754B1 KR 1020090098877 A KR1020090098877 A KR 1020090098877A KR 20090098877 A KR20090098877 A KR 20090098877A KR 101630754 B1 KR101630754 B1 KR 10163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bjects
display unit
output
threshol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862A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54B1/ko
Priority to US12/905,724 priority patent/US20110090165A1/en
Publication of KR2011004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된다.
인터페이스, 터치, CE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장치가 급속도록 보급되고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휴대성은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힘입어 터치 센서가 포함된 표시 수단이 모바일 장치에 장착되고 있다.
사용자는 작은 크기의 모바일 장치내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함으로써 원하는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제 1 화면이 출력된 표시 수단으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상기 제 2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상기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1 화면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1 화면에서 상기 제 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상기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1 화면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화면과 상기 제 2 화면이 계층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2 화면에서 상기 제 1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된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2 화면에서 상기 제 1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복수개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제 2 화면이 숨겨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제 1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접촉 감지부(120), 판단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된다.
접촉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 감지부(120)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나 감압식의 터치 센서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로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통한 접촉을 감지한다.
판단부(130)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화면에 표시된 성분들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성분들을 지칭한다. 일 예로, 오브젝트에는 아이콘이나 링크가 부여된 텍스트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 1 임계 거리를 미리 설정해둔다. 사용자는 제 1 임계 거리를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임계 거리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환경 설정등을 통하여 제 1 임계 거리를 지정된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 1 임계 거리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기존에 설정된 값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매번 제 1 임계 거리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지를 통하여 기준이 되는 지점을 설정하고 중지를 드래그하여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임계 거리의 설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판단부(130)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복수 개의 오브젝트이 인접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브젝트들이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출력부(140)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
출력부(140)는 생성부(142) 및 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42)는 제 1 화면 내에서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한다. 제 2 화면은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조정된 것을 제외하면 제 1 화면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생성부(144)가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하고,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만이 포함된 제 2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44)는 제 2 화면과 제 1 화면이 동시에 출력되거나 제 1 화면이 제 2 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 1 화면과 제 2 화면이 계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44)는 제 2 화면이 출력된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제 2 화면내의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제 2 화면이 출력된 후 소정이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스크롤을 내리는 등의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화면 전환과 관련된 제어부(130)의 동작예는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제 1 화면(210)에는 제 1 아이콘(201)내지 제 6 아이콘(206)이 오브젝트로써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도 2a에서는 사용자가 제 1 임계 거리의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제 1 임계 거리가 초기 값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 1 화면(210)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에 접촉하였다. 판단부(130)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 1 임계 거리 이내의 원에 둘 이상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도 2a에서는 손가락이 접촉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내에 제 3 아이콘(213) 내지 제 6 아이콘(216)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는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검지를 제 1 화면(210)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에 접촉한 후, 중지를 드래그하여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하였다. 판단부(130)는 검지가 접촉된 지점부터 중지가 드래그 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해당 원 내에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도 2b에서는 손가락이 접촉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내에 제 3 아이콘(213) 내지 제 6 아이콘(216)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는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 1 임계 거리 설정 모드로 변경한 후 화면을 드래그 함으로써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일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전환을 시간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최초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제 1 화면(310)이 출력된다. 제 1 화면(310)에는 제 1 아이콘(301)내지 제 6 아이콘(306)이 오브젝트로써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 3 오브젝트(303)와 제 6 오브젝트(306)의 사이에 손가락을 접촉하였다. 판단부(13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30)는 손가락을 접촉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도 3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지점으로 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제 3 오브젝트(303) 내지 제 6 오브젝트(306)가 존재하며, 제 3 오브젝트(303) 내지 제 6 오브젝트(306)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이다.
따라서, 출력부(140)는 제 2 화면(320)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42)는 제 3 오브젝트(303) 내지 제 6 오브젝트(306)들 각각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제 3 오브젝트(303) 내지 제 6 오브젝트(30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제 2 화면(320)을 생성한다. 제어부(144)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제 1 화면(310)에서 제 2 화면(320)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제 2 화면(320)내의 아이콘들(301 내지 306) 중에서 제 6 아이콘(306)을 선택하였다. 제어부(144)는 사용자가 제 2 화면(320)내에서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제 2 화면(320)에서 제 1 화면(310)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제 1 화면(310)이 다시 출력되게 된다.
제 1 화면(310)에서는 오브젝트들이 인접하여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100)는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조정한 제 2 화면(320)을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오브젝트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한다.
최초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제 1 화면(410)이 출력된다. 제 1 화면(410)에는 제 1 아이콘(401)내지 제 6 아이콘(406)이 오브젝트로써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 3 오브젝트(403)와 제 6 오브젝트(406)의 사이에 손가락을 접촉하였다. 도 4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제 3 오브젝트(403) 내지 제 6 오브젝트(406)가 존재하며, 제 3 오브젝트(403) 내지 제 6 오브젝트(406)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이다.
생성부(142)는 제 3 오브젝트(403) 내지 제 6 오브젝트(406)들 각각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제 3 오브젝트(403) 내지 제 6 오브젝트(40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제 2 화면(420)을 생성한다. 이 때,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 3 오브젝트(403) 내지 제 6 오브젝트(606)들만이 존재하도록 제 2 화면(420)을 구성한다.
제어부(142)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제 1 화면(410)과 제 2 화면(420)이 계층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제 1 화면(410)과 제 2 화면(410)을 별도의 레이어로 형성하여 제 1 화면(410)에 제 2 화면(420)이 겹쳐져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4에서는 제 1 화면(410)이 하위 레이어로 형성되고, 제 2 화면(420)이 상위 레이어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점선으로 표시된 아이콘들은 제 1 화면(410)내의 가려진 아이콘들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아이콘들은 외부에 드러난 아이콘들이다.
사용자는 제 2 화면(420)내의 아이콘들(411 내지 416) 중에서 제 6 아이콘(406)을 선택하였다. 사용자가 제 2 화면(420)내에서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 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 2 화면(420)이 사라진다. 따라서, 제 1 화면(410)만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한다.
최초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제 1 화면(510)이 출력된다. 제 1 화면(510)에는 제 1 아이콘(501)내지 제 6 아이콘(506)이 오브젝트로써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 3 오브젝트(503)와 제 6 오브젝트(506)의 사이에 손가락을 접촉하였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제 3 오브젝트(503) 내지 제 6 오브젝트(506)가 존재하며, 제 3 오브젝트(503) 내지 제 6 오브젝트(506)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이다.
생성부(142)는 제 3 오브젝트(503) 내지 제 6 오브젝트(506)들 각각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제 3 오브젝트(503) 내지 제 6 오브젝트(50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제 2 화면(520)을 생성한다. 제어부(142)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제 1 화면(510)에서 제 2 화면(520)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 1 아이콘(501) 및 제 2 아이콘(502)의 사이로 드래그 하였다. 생성부(142)는 제 1 오브젝트(501) 및 제 2 오브젝트(502)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제 1 오브젝트(501) 내지 제 2 오브젝트(502)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제 3 화면(530)을 생성한다. 제어부(142)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제 2 화면(520)에서 제 3 화 면(530)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610에서는,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한다.
단계 S620에서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30에서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제 1 화면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이 제 1 화면에서 제 2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제 1 화면과 제 2 화면이 계층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에 제 1 화면이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710에서는,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한다.
단계 S720에서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면, 단계 S730을 수행한다.
단계 S730에서는,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오브젝트들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내이면, 단계 S740를 출력한다.
단계 S740에서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 1 임계 거리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일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의 다른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오브젝트 이외 지점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상기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1 화면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1 화면에서 상기 제 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2 화면에서 상기 제 1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거리 이내에 선택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과 계층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복수개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제 2 화면이 숨겨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
  8. 제 1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브젝트 이외의 지점에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상기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1 화면내에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1 화면에서 상기 제 2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된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제 2 화면에서 상기 제 1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오브젝트 이외의 지점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 거리 이내에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과 계층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기 제 2 화면이 숨겨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화면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제 1 임계거리 이내에 선택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재배치한 제 2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과 계층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90098877A 2009-10-16 2009-10-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KR10163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77A KR101630754B1 (ko) 2009-10-16 2009-10-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US12/905,724 US20110090165A1 (en) 2009-10-16 2010-10-15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77A KR101630754B1 (ko) 2009-10-16 2009-10-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62A KR20110041862A (ko) 2011-04-22
KR101630754B1 true KR101630754B1 (ko) 2016-06-24

Family

ID=4387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77A KR101630754B1 (ko) 2009-10-16 2009-10-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90165A1 (ko)
KR (1) KR10163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6017A (zh) * 2012-02-20 2012-08-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及装置
US8694791B1 (en) * 2012-10-15 2014-04-08 Google Inc. Transitioning between access states of a computing device
AU2013395362B2 (en) * 2013-07-25 2017-12-14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objects
CN104238877B (zh) 2014-09-04 2018-03-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图标的方法和终端
US9678656B2 (en) * 2014-12-19 2017-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venting accidental selection events on a touch screen
CN106708349A (zh) * 2015-07-17 2017-05-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提供对象信息的方法和设备
CN105426042A (zh) * 2015-11-05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标位置互换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6786A1 (en) * 2005-01-14 2008-06-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ving Objects Presented By a Touch Input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1801B2 (en) * 2005-04-26 2010-07-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070139386A1 (en) * 2005-12-16 2007-06-21 Xerox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digital reprographic device with pop-up menu display
US7843427B2 (en) * 2006-09-06 2010-11-30 Apple Inc. Methods for determining a cursor position from a finger contac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7692629B2 (en) * 2006-12-07 2010-04-06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touch screen interfaces
US8009146B2 (en) * 2007-06-28 2011-08-30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data entry via a touchscreen
US8471823B2 (en) * 2007-08-16 2013-06-25 Son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20100077361A1 (en) * 2008-09-24 2010-03-25 Andrew Watkins Method of displaying multiple points of interest on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KR101586627B1 (ko) * 2008-10-06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8279185B2 (en) * 2009-05-08 2012-10-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ositioning icons on a touch sensitive 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6786A1 (en) * 2005-01-14 2008-06-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ving Objects Presented By a Touch Inpu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62A (ko) 2011-04-22
US20110090165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8434A1 (en) Editing interface
KR101630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EP2631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KR101103161B1 (ko)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해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47754B1 (ko) 근접 기반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US10025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edge-to-edge display system for multi-touch devices
US88788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location information and physical contact information
KR20170046624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2107448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70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KR20070113022A (ko)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AU2012304858A1 (en) Multi-cell selection using touch input
JP2012502393A (ja) 相対的ジェスチャー認識モードを有する携帯用電子デバイス
KR20150083730A (ko)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복사 실행 방법, 컨텐츠 붙여넣기 실행 방법 및 컴퓨팅 디바이스
CA282693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20140091302A (ko)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136855A (ko)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809903B (zh) 用于控制虚拟屏幕的方法和装置
TW200923739A (en) Detection method of a touch panel
KR20140091693A (ko) 간접 상호작용 디바이스를 위한 상호작용 모델
KR201100639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감지방법
KR101656753B1 (ko) 터치에 기초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6805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다중 객체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20113834A (ko) 이북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