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691A - 이온수기 - Google Patents

이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691A
KR20110048691A KR1020090105374A KR20090105374A KR20110048691A KR 20110048691 A KR20110048691 A KR 20110048691A KR 1020090105374 A KR1020090105374 A KR 1020090105374A KR 20090105374 A KR20090105374 A KR 20090105374A KR 20110048691 A KR20110048691 A KR 2011004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main body
nozzle holder
i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876B1 (ko
Inventor
우상기
신성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8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와 연결되며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된 원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카리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원하는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며, 상기 전해조에서 생성된 이온수의 외부 배출을 위한 출수노즐 및 상기 본체 일측에서 상기 출수노즐과 전해조를 연결하는 노즐홀더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출수노즐 내부에는 출수노즐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본체의 긁힘 방지를 위해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는 굽힘 방지관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출수 노즐에 의한 본체의 긁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온수기, 전해조, 급수호스, 산성수 출수호스, 출수 노즐, 노즐홀더 어셈블리

Description

이온수기{ A water ionizer }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수기(Water ionizer)는 물을 전기분해 하여 이온화시키는 기구로서 격막에 의해 음극과 양극으로 구분되는 전해조 내부에 물을 투입하고 직류 전기를 인가하여 음극에서 캄슘이온, 마그네슘이온, 칼륨이온, 나트륨이온, 알칼리성 이온 등이 모여 알카리 이온수를 생성하고, 양극에서 염화이온, 황이온, 산성이온 등이 모여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알카리 이온수는 물 입자가 작아 체내에서 흡수가 빠르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음용함으로써 산성화된 체질을 약알칼리 체질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산성 이온수는 살균 및 표백 기능이 있어, 목욕이나 세안 시, 도마나 식기 및 행주 등의 세척 시, 벌레에 물렸거나 피부에 난 상처를 소독할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득수준의 증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상기와 같은 이온수기의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이온수기의 개발 및 판매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 노즐의 위치 이동시 본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수 노즐에 의한 본체의 긁힘이 방지되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와 연결되며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된 원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카리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원하는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며, 상기 전해조에서 생성된 이온수의 외부 배출을 위한 출수노즐 및 상기 본체 일측에서 상기 출수노즐과 전해조를 연결하는 노즐홀더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출수노즐 내부에는 출수노즐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본체의 긁힘 방지를 위해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는 굽힘 방지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해조에서 생성된 이온수가 노즐홀더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은 원하는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내부에 구비되는 굽힘 방지관에 의해 노즐홀더 어셈블리 단부에서 본체 측단에 이르는 거리만큼 굽힘이 방지되어, 출수 노즐의 위치 이동시 출수 노즐에 의한 본체 긁힘이 방지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노즐홀더 어셈블리와 본체 및 출수노즐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이온수기(1)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알칼리 이온수(이하“알카리수”라고 함) 또는 선택적인 산성 이온수(이하“산성수”라고 함)를 취출하는 출수노즐(800) 및 상기 출수노즐(800)과 본체(100)를 연결하는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0)는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며, 이온수기(1)의 작동상태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표시부(300) 및 조작부(400)가 포함되는 프런트 어셈블리(140)와, 상기 본체(100)의 상/하면과 측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20)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 어셈블리(140)는 상기 리어커버(120)와 체결되는 프런트커버(142) 및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와 데코플레이트(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300)와 조작부(4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되는 도안 또는 문자에 대응되어 상기 프런트커버(142)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된 도안 또는 문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엘이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도안 또는 문자의 형상과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빛을 통해 이온수기(1)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된 도안 또는 문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안 또는 문자를 터치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전위변화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400)에는 상기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의 배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정전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에 접촉되는 인체에 의한 전위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회로가 형성된 피씨비(PCB)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과 강화유리 플레이트(144) 사이에 구비되어 접촉 감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감지쿠션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플레이트(146)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상측에 이온 수기(1)의 운전 또는 정지를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조작 방식의 운전버튼(14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600)는 상기 리어커버(120)의 상면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200 도 5 참조)와 연통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커버(120)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600)가 장착되는 노즐홀더 체결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홀더 체결부(12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노즐홀더(62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함몰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분의 중앙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알카리수 출수관(210 도 5 참조)이 관통하여 상기 출수노즐(8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천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에는 상기 노즐홀더 체결부(124)에 안착되어 상기 출수노즐(8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홀더(620)와, 상기 노즐홀더(620)와 장착되는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가 장착된 노즐 홀더(620)를 감싸는 노즐홀더 하우징(640) 및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의 상면을 차폐하는 노즐홀더 캡(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노즐홀더(62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홀더(620)의 내부에는 상기 출수관(210 도 3 참조)과 상기 출수노즐(800)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 피팅(610)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연결 피팅(610)은 대략“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노즐홀더(620) 하측으로 절곡된 부분이 출수관(210 도 5 참조)과 연결되고 노즐홀더(620) 측부로 절곡된 부분이 출수노즐(800)과 연결되며, 상기 노즐홀더(620)의 측부에는 상기 배관연결 피팅(610)이 출수노즐(8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피팅연결홀(6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즐홀더(620)에 장착되는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는 무드 엘이디(672)를 이용하여 이온수기(1)의 사용상태에 따라 외부로 발하는 빛의 색상 또는 발광패턴이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300)에서 발하는 빛의 색상 또는 발광패턴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는 메인피씨비(51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가 장착된 노즐홀더(620)에는 노즐홀더 하우징(640)이 장착된다.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은 상기 노즐홀더(620)의 측부를 모두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팅연결홀(6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출수노즐(800)이 장착되는 노즐체결홀(642)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체결홀(642)은 내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출수노즐(8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이 장착된 이후에는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의 상측으로 무드 엘이디 피시비커버(6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커버(680)는 가장자리 부분만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의 내주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670)에 구비되는 엘이디의 빛은 고리 형상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의 상측에는 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노즐홀더 캡(6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노즐홀더 캡(660)은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커버(680)가 외부로 노출되어 엘이디 빛이 발산될 수 있게 상기 무드 엘이디 피씨비커버(680)의 가장자리 부분을 차폐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홀더 하우징(64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에 출수노즐(800)이 장착되면, 사용자가 상기 출수노즐(80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전해조(200)에서 생성된 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출수노즐(800)은 다양한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며 굽혀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 노즐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 노즐의 굽힘 방지부의 길이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출수노즐(800)은 크게 상기 전해조(200 도 5 참조)에서 생성된 이온수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튜브(850)와, 상기 튜브(850) 의 외면을 감싸는 주름관(8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름관(810)에는 상기 노즐체결홀(642)에 회전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단(820)과, 사용자에 의해 굽힘이 가능한 절곡부(880) 및 사용자가 굽히지 못하는 부분인 굽힘 방지부(86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절곡부(880)는 내부에 상기 튜브(850)와 튜브(850)를 감싸는 주름관(810)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될 경우 쉽게 굽혀진 이후 굽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굽힘 방지부(860)에는 상기 튜브(850)와 주름관(810) 사이에 소정 길이의 굽힘 방지관(83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굽힘 방지관(830)에 의해 튜브(850) 및 주름관(810)이 절곡되지 못하도록 지지되어 사용자가 상기 굽힘 방지부(860) 즉, 상기 굽힘 방지관(830)이 삽입된 위치에서는 출수노즐(800)을 원하는 방향으로 굽히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의 굽힘 방지관(830)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의 측단에서 상기 본체(100)의 측단에 이르는 최장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 에서“A”로 도시되는 굽힘 방지관(830)의 길이는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의 측단과 본체(100) 측단 사이의 거리가 대응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출수노즐(800)의 절곡부(880) 형성위치가 상기 본체(100)의 측단 이후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800)이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에 장착되어 회동한 이후 어느 방향으로 굽혀지더라도 상기 굽힘 방지부(860) 만큼 본체(100)의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절곡부(880)에서 굽힘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상기 본체(100)와 출수노즐(800)이 닿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800)을 통해 배출되는 이온수는 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전해조(200 도 5 참조)에서 생성되는 알카리수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배관 및 전기배선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전해조(200)로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220)가 상기 전해조(200)와 격리된 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장착부(19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장착부(190)는 상기 리어커버(120)의 일측에 체결되는 필터커버(12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필터(220)는 상기 전해조(200)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700)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호스(700) 일측에는 원수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급수솔레노이드(760)와 누적유량의 감지하여 상기 필터(200)의 교체시기를 알리기 위한 유량센서(7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유량센서(740)는 상기 표시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220)로 공급된 원수의 누적유량이 일정량 이상이 될 경우, 상기 표시부(300)를 통해 필터(220)의 교체 시기를 알리기 위한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표시부(300)에서는 적어도 1단계 이상의 교체 알림 상태를 도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필터(2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장착부(190)에는 상기 필터(220)의 교체가 완료된 이후 상기 유량센서(740)의 누적유량 감지 결과를 리셋하기 위한 필터 리셋 스위치(19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20)의 교체 이후에는 상기 필터 리셋 스위치(192)를 일정 시간 눌러줌으로써, 교체된 필터(220)에 해당하는 누적유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런트 어셈블리(140)는 상기 리어커버(120)와 체결되는 프런트커버(142) 및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와 데코플레이트(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와 조작부(4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되는 도안 또는 문자에 대응되어 상기 프런트커버(142)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된 도안 또는 문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도안 또는 문자의 형상과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빛을 통해 이온수기(1)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프런트커버(142)에 인쇄된 도안 또는 문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안 또는 문자를 터치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전위변화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400)에는 상기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의 배면과 연 결되는 부분에 정전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강화유리 플레이트(144)에 접촉되는 인체에 의한 전위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회로가 형성된 피씨비(PCB)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과 강화유리 플레이트(800) 사이에 구비되어 접촉 감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감지쿠션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플레이트(146)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상측에 이온수기(1)의 운전대기 또는 정지를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조작 방식의 운전버튼(145)이 구비된다. 상기 운전버튼(145)은 전원공급을 위해 별도의 파워피씨비(380 도 4 참조)와 연결되며, 상기 파워피씨비(380)는 이온수기(1)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피씨비(51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200)는 5매의 백금 티타늄 전극판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빠른 시간에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출수시마다 전극 및 출수유로가 변경되어 전극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해조(200)에는 음극부와 양극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70)과 상기 연결관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드레인관(280) 및 상기 연결관(270)과 드레인관(28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급수밸브(260) 및 드레인밸브(2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260) 및 드레인밸브(280)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관(270)과 드레인관(280)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이온수의 출수 유로가 가변 될 수 있다.
또한, 산성수가 배출되는 출수유로는 산성수 출수호스(940)와 배수 솔레노이 드(950) 및 이와 연결된 산성수 파우셋(900)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산성수 출수호스(940) 일측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역지밸브(9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해조(200)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경로 상에는 원활한 전기분해를 위하여 칼슘케이스(2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칼슘케이스(240) 내부에는 글리세린산 칼슘이 구비되어 원수에 글리세린산 칼슘이 원수에 녹아들어 전해조(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분해가 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칼슘케이스(240)는 상기 리어커버(120)의 상면에서 회동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칼슘케이스(240)의 상면에는 상기 칼슘케이스(240)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는 칼슘캡(242)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전원공급과 급수와 배수 및 이온수의 출수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 및 조작부(400) 등을 제어하기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에는 메인피씨비(510)와, 디스플레이 피씨비(364) 및 파워피씨비(380) 및 전술한 무드엘이디(620)의 제어를 위한 무드엘이디 피씨비(미도시)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피씨비(510)에는 전원공급 및 분배를 위한 제 1 트랜스(530)와 상기 제 1 트랜스(53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64)로 제공하여 상기 표시부(300) 및 조작부(4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트랜스(54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트랜스(540)는 상기 메인피 씨비(5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스(530)는 전원코드(500)를 통해 제공되는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 2 트랜스(540)로 감압된 전원의 일부를 제공하고, 상기 전해조(200)로 감압된 전원 중 일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전원소켓(10)에 전원플러그(520)가 끼움 장착되면,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트랜스(530)에서 상기 전해조(200)로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표시부(300) 및 조작부(400)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구분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트랜스(530)의 2차 측은 더 부분으로 구분되고, 구분된 2차 측에서는 전해조(200)에서 요구되는 전압레벨과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64)에서 용구되는 전압레벨로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피씨비(510)는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메인피씨비 커버(55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이온수기(1)는 기 설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된 이후 상기 운전버튼(145)가 눌려져 대기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카리수를 생성하고 이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400)에서 알카리 버튼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알카리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300)와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에서는 엘이디를 통해 동일한 색상이 발광하면서 알카리수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한편, 상기 알카리 버튼이 선택되면, 이전에 선택된 알카리수의 pH가 상기 표시부(300)를 통해 노출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노출되는 이전 알카리수의 pH 상태를 확인하면서 음용하고자 하는 pH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알카리 선택버튼을 재차 누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300)에 도시되는 알카리수의 pH 가 가변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을 통해 알카리수의 pH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전해조(200)에서는 전기분해가 발생되어 알카리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알카리수는 상기 연결관(272)과 알카리수 출수관(210)을 통해 출수노즐(800)로 이송되고, 사용자는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600)와 절곡부(880)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노즐(800)의 단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 및 절곡시킨 뒤 알카리수를 취출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노즐홀더 어셈블리와 본체 및 출수노즐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 노즐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 노즐의 굽힘 방지부의 길이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기의 배관 및 전기배선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리어커버
200..... 전해조 300..... 표시부
400..... 조작부 600..... 노즐홀더 어셈블리
620..... 노즐홀더 640..... 노즐홀더 하우징
660..... 노즐홀더 캡 670..... 무드 엘이디 피씨비
800..... 출수노즐 820..... 체결단
830..... 굽힘 방지관 860..... 굽힘 방지부
880..... 절곡부 940..... 산성수 출수호스
942..... 배수관 피팅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와 연결되며,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된 원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카리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원하는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며, 상기 전해조에서 생성된 이온수의 외부 배출을 위한 출수노즐; 및
    상기 본체 일측에서 상기 출수노즐과 전해조를 연결하는 노즐홀더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출수노즐 내부에는,
    출수노즐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본체의 긁힘 방지를 위해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는 굽힘 방지관이 구비되는 이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온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방지관의 길이는 상기 노즐홀더 어셈블리의 측단에서 상기 본체의 측단에 이르는 최장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이온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방지관은 스레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는 이온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홀더 어셈블리에는 나선이 형성된 노즐 체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노즐 체결홀에 회전하면서 체결되는 이온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방지관의 길이는 상기 본체의 측단을 향하여 회동한 노즐 체결홀의 중심에서 상기 본체의 측단에 이르는 수평길이와 대응되는 이온수기.
KR1020090105374A 2009-11-03 2009-11-03 이온수기 KR10163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374A KR101630876B1 (ko) 2009-11-03 2009-11-03 이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374A KR101630876B1 (ko) 2009-11-03 2009-11-03 이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91A true KR20110048691A (ko) 2011-05-12
KR101630876B1 KR101630876B1 (ko) 2016-06-15

Family

ID=4435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374A KR101630876B1 (ko) 2009-11-03 2009-11-03 이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60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파세코 급수호스 꺾임 방지 구조
KR20040110320A (ko) * 2003-06-18 2004-12-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데스크형 이온 정수기
KR100778361B1 (ko) * 2006-07-21 2007-11-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수기와, 정수기용 호스 조립체와, 이온수기용 호스 조립체
KR20090003954A (ko) * 2007-07-06 2009-01-12 (주) 중원 이온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20A (ko) * 2003-06-18 2004-12-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데스크형 이온 정수기
KR200339760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파세코 급수호스 꺾임 방지 구조
KR100778361B1 (ko) * 2006-07-21 2007-11-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수기와, 정수기용 호스 조립체와, 이온수기용 호스 조립체
KR20090003954A (ko) * 2007-07-06 2009-01-12 (주) 중원 이온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876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7437C (en)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CN102061737B (zh) 热水清洗坐便器
JP2008168237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101648585B1 (ko) 이온수기
JP6663583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KR20110048691A (ko) 이온수기
JP200618771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20110048679A (ko) 이온수기
KR101601278B1 (ko) 이온수기
JP4613834B2 (ja) 水処理装置
KR20150105010A (ko) 투명창을 가지고 살균력이 증가된 살균수 샤워기
KR101635644B1 (ko) 이온수기
KR20110048696A (ko) 이온수기
KR20150105012A (ko) 투명창을 가지고 살균력이 증가된 살균수 정수기
JP3174882U (ja) 噴霧型微アルカリ性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KR101038737B1 (ko)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JP4386093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10017040A (ko) 필터교체식 정수기
CN211132317U (zh) 一种人体感应可触控消毒灯
US20240140834A1 (en) Dual faucet with sterile water and regular water supply function
CN212251432U (zh) 一种能够指示出水模式的水龙头
JP4321282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6697670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JP4586401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20160000467U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