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54A - 이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이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54A
KR20090003954A KR1020070067798A KR20070067798A KR20090003954A KR 20090003954 A KR20090003954 A KR 20090003954A KR 1020070067798 A KR1020070067798 A KR 1020070067798A KR 20070067798 A KR20070067798 A KR 20070067798A KR 20090003954 A KR20090003954 A KR 2009000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pipe
filter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제돈
Original Assignee
(주) 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중원 filed Critical (주) 중원
Priority to KR102007006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54A/ko
Publication of KR2009000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배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의 후단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망필터와; 상기 망필터의 후단에 구비되어 원수의 투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시에 투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전기분해하는 전해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상기 정수출수관 또는 전해조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배출하도록 개폐되는 3웨이 방식의 분기밸브와;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된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배출하는 외부로 메인출수관과; 전해조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출수관과 정수출수관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온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고,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수도배관의 녹 또는 찌꺼기와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이 망필터에서 사전에 걸러지게 되어 급수밸브 등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최소화하는 장점도 있다.
이온, 정수, 산성수, 알칼리수

Description

이온 정수기 { Water purifier having electrolyz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온 정수기 112: 메인출수관
114: 정수출수관 120: 조작패널
130: 망필터 140: 정수필터
142: 입수관 150: 전해조
152: 배수관 160: 급수밸브
162: 분기밸브 170: 제어판넬
본 발명은 이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시에 배수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정수와 이온수의 배출을 위한 출수관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그 사용이 편리한 이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 정수기는 이온수와 정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에 직접 연결하는 수도직결형 이온 정수기는 저수탱크가 없어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전해조를 거쳐 배출구를 통해 출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해조는 정수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선택적으로 전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알칼리수는 주로 소화기 계통에 유익하며, 산성수는 피부보호 및 세척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이온 정수기는 이온수를 사용하지 않고 정수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링된 정수가 전해조를 거쳐 단일구조의 배출구로 출수됨으로 인해 정수가 전해조에 형성된 퇴수구로 배출되어 정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등록특허 제0580375호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원수급수밸브의 조정에 의해 투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수를 전기분해하는 전해조, 일측이 상기 급수밸브에 연결되며 상 기 정수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과, 전해조 후단에 배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출수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수밸브에는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이 연결된다. 이때,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는 3웨이밸브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정수와 알칼리수 및 산성수가 상기 출수밸브를 통해 배출되며 이는 플렉시블관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이온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배출되는 물이 정수인지 아니면 알칼리수 및 산성수인지를 알 수 없어 반드시 조작패널을 보면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아울러, 정수 또는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선택 배출하기 위해 바이패스관과 2개의 3웨이 밸브를 이용하게 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원수(原水)가 원수급수밸브로 여과없이 투입되는 구조로 인해, 수도배관의 녹 또는 찌꺼기와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이 직접 투입되어 원수급수밸브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배출하는 메인출수관 정수만을 배출하는 정수출수관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온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배관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원수가 투입되는 경우 수도배관의 녹 또는 찌꺼기와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여 밸브등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이온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수도배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의 후단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망필터와; 상기 망필터의 후단에 구비되어 원수의 투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시에 투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전기분해하는 전해조와; 상기 정수필터를 거친 정수를 상기 정수출수관 또는 전해조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배출하도록 개폐되는 3웨이 방식의 분기밸브와;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된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배출하는 외부로 메인출수관과; 전해조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를 도 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10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자바라식의 메인출수관(112)이 구비되고, 그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정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정수출수관(11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10)의 정면에는 알칼리수와 산성수 및 정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알칼리수버튼(122)과, 산성수버튼(123)과, 정수버튼(124) 및 출수/정지버튼(125)과, 그와 같은 버튼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LCD(126)로 이루어지는 조작패널(12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후측에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캡(132)으로 마감되는 망필터(1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10) 내부에는 착탈이 용이하게 캡(141)으로 마감되는 정수필터(140)가 구비되며, 케이스(110)의 하부 일측에는 수도배관(10)이 너트와 같은 연결부재(11)로 연결되는 입수관(142)과, 전해조(150)에서 배출되는 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1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출수관(112)은 자바라식으로 구성되어 회동이 자유롭고 힌지부(112a)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출수관(114)은 자바라식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나, 측면에서 힌지부(114a)에 의해 제한된 궤도 이내에서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100)는 수도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原水)중에 섞여있는 중금속 이나 찌꺼기 중에 입자가 큰 것을 1차로 제거하기 위해 입수관(142)의 후단에 망필터(1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망필터(130)는 잦은 청소를 요하므로 케이스(110)의 후면 하부 일캡(132)에 의해 나사식으로 착탈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의 일측에 입수관(142)과 급수밸브(160)을 배관으로 연통되는 수용부(134)가 형성되며, 그 수용부(134)에 망필터(13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망필터(130)를 커버하는 캡(132)의 측면에는 수나사산(13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3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34a)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망필터(130)를 경유하는 원수는 조작판넬(120)의 조작에 따라 제어판넬(170)은 급수밸브(1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개방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정수필터(140)에 원수가 공급되어 필터링(filtering)된다.
이때, 상기 정수필터(140)를 커버하는 캡(141)의 측면에는 수나사산(141a)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필터가 안착되는 수용부(14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43a)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고 그 캡(141)의 후측에는 캡(14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45)가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급수밸브(160)로 투입되는 원수는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급수밸브(160)의 개방으로 정수필터(140)를 거쳐 필터링된 정수(淨水)는 분기밸브(162)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밸브(160)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2웨이 밸브를 사용하고, 분기밸브(162)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3웨이 밸브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밸브(162)에 제어판넬(170)에서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정수를 선택하게 되면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는 정수출수관(114)으로 배출되고, 알칼리수나 산성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는 전해조(150)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전해조(150)는 정수필터(140)를 거쳐 유입된 정수는 조작판넬(120)에 의해 설정된 대로 제어판넬(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분해되어 알칼리수나 산성수로 된다.
이때, 전해조(150) 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퇴수는 배수관(152)을 통해 배출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의 작동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100)를 사용시에 가정용 전원코드(미도시됨)를 콘센트에 접속시키게 되면, 조작판넬(120)의 LCD(126)에 전원이 투입되어 점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판넬(120)의 초기상태에서 출수/정수 스위치(125)를 누르면 알칼리수가 자동선택된다. 물론, 산성수버튼(123)과 알칼리수버튼(122)이 함께 조작판넬(120)에 구비되어 있어 조작판넬(120)의 조작에 따라 산성수와 알칼리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 산성수버튼(123)을 누른 경우에는 출수/정지 스위치(125)를 눌러 이온 정수기(1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산성수 내지는 알칼리수를 선택하고 출수/정지 스위치(125)를 누르게 되면, 급수밸브(160)가 개방되어 수도배관(10)을 통해 입수관(142)으로 공급되는 원수(原水)는 입수관(142)의 후단에 구비되는 망필터(130)를 거치면서 원수 중에 섞여있는 중금속이나 찌꺼기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필터(140)에 공급되며 그와 같은 정수필터(140)를 거치면서 필터링(filtering)된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140)를 거쳐 필터링된 정수는 3웨이 방식의 분기밸브(162)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밸브(162)는 전해조(150) 방향으로 개방되어 정수필터(140)를 거쳐 필터링된 정수는 전해조(150)로 투입되고 전기분해되어 알칼리수나 산성수로 되어 메인출수관(112)으로 배출된다. 상기 전해조(150) 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퇴수는 배수관(15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알칼리수나 산성수를 사용한 사용자가 재차 출수/정지 스위치(125)를 누르게 되면, 급수밸브(160)가 폐쇄되고 전해조(150)의 작동이 정지되어 메인출수관(112)으로 알칼리수나 산성수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출수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알칼리수 내지는 산성수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판넬(120)의 정수버튼(124)을 누르게 되면, 급수밸브(160)가 개방되어 수도배관(10)을 통해 입수관(142)으로 공급되는 원수(原水)는 입수관(142)의 후단에 구비되는 망필터(130)를 거치면서 원수 중에 섞여있는 중금속이나 찌꺼기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필터(140)에 공급되며 그와 같은 정수필터(140)를 거치면서 필터링(filtering)되며, 그 필터링된 정수는 분기밸브(162)가 정수출수관(114) 방향으로 개방되어 정수필터(140)를 거쳐 필터링된 정수는 전해조(150)로 투입되지 않고 정수출수관(114)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는 전해조(150)를 거치지 않게 되어 전해조(150)의 배수관(152)을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정수출수관(11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조작판넬(120)의 LCD(126)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정수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배출하는 메인출 수관(112)과, 정수만을 배출하는 정수출수관(114)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온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단가를 낮추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수도배관의 녹 또는 찌꺼기와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이 망필터(130)에서 사전에 걸러지게 되어 급수밸브 등의 파손 및 수명단축을 최소화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수도배관(10)과 연결되는 입수관(142)의 후단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망필터(130)와; 상기 망필터(130)의 후단에 구비되어 원수의 투입을 개폐하는 급수밸브(160)와; 상기 급수밸브(160)가 개방시에 투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필터(140)와; 상기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수출수관(114)과; 상기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를 전기분해하는 전해조(150)와; 상기 정수필터(140)를 거친 정수를 상기 정수출수관(114) 또는 전해조(150)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배출하도록 개폐되는 3웨이 방식의 분기밸브(162)와; 상기 전해조(150)에서 전기분해된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배출하는 외부로 메인출수관(112)과; 전해조(150) 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1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160) 및 분기밸브(162)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정수기.
KR1020070067798A 2007-07-06 2007-07-06 이온 정수기 KR20090003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98A KR20090003954A (ko) 2007-07-06 2007-07-06 이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98A KR20090003954A (ko) 2007-07-06 2007-07-06 이온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54A true KR20090003954A (ko) 2009-01-12

Family

ID=4048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798A KR20090003954A (ko) 2007-07-06 2007-07-06 이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5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691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수기
WO2011162443A1 (ko) * 2010-06-21 2011-12-29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1437995B1 (ko) * 2012-09-10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KR101506152B1 (ko) * 2014-07-15 2015-03-26 주식회사 에스엘지 이온수기
KR20160095460A (ko) * 2015-02-03 2016-08-11 남성태 가정용 산소수 제조기
KR20210053656A (ko) * 2019-11-04 2021-05-12 조규대 산성 이온수 급수 시스템
KR20210053657A (ko) * 2019-11-04 2021-05-12 조규대 산성 이온수 급수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691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수기
WO2011162443A1 (ko) * 2010-06-21 2011-12-29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1299687B1 (ko) * 2010-06-21 2013-08-26 주식회사 바이온텍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1437995B1 (ko) * 2012-09-10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KR101506152B1 (ko) * 2014-07-15 2015-03-26 주식회사 에스엘지 이온수기
KR20160095460A (ko) * 2015-02-03 2016-08-11 남성태 가정용 산소수 제조기
KR20210053656A (ko) * 2019-11-04 2021-05-12 조규대 산성 이온수 급수 시스템
KR20210053657A (ko) * 2019-11-04 2021-05-12 조규대 산성 이온수 급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954A (ko) 이온 정수기
KR101974523B1 (ko) 필터세척이 용이한 정수기
CN201271534Y (zh) 前端预处理器
CN105906095B (zh) 带反冲洗过滤及净水的水处理器
CN219517974U (zh) 过滤器
KR100856887B1 (ko) 신선한 이온수 공급을 위한 이온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0856886B1 (ko) 냉온수탱크 후방에 전해조를 구비한 이온정수기
CN109091943B (zh) 净水装置和热水器
CN211283806U (zh) 一体式净水器
KR20100008472A (ko) 정수기의 필터모듈 및 그 체결구조
CN2446171Y (zh) 储存二次供水净化系统
KR100317551B1 (ko) 절수형 이동식 세척기
CN110615505A (zh) 一体式净水器
CN211813879U (zh) 一种小型便携式净水器
JP2001310183A (ja) 水質改善装置
JPH0824841A (ja) 浄水濾過器およびこの浄水濾過器を用いた電解水生成装置
KR20030010939A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정수기
CN214914038U (zh) 一种温控过滤器结构
KR100942688B1 (ko) 필터 시스템의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정방법
CN217265258U (zh) 一种新型预加热直饮机
KR200409340Y1 (ko) 이온정수기의 세정 장치
CN208121905U (zh) 一种智能消毒过滤的马桶过滤器装置
KR100833575B1 (ko) 전기필터
KR100583408B1 (ko) 세균억제장치를 구비한 이온 정수기
KR100476653B1 (ko) 이온수용 정수기의 일체형 컨트롤박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