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025A -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025A
KR20110048025A KR1020107028905A KR20107028905A KR20110048025A KR 20110048025 A KR20110048025 A KR 20110048025A KR 1020107028905 A KR1020107028905 A KR 1020107028905A KR 20107028905 A KR20107028905 A KR 20107028905A KR 20110048025 A KR20110048025 A KR 2011004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external memory
portable device
selector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탄 마르디크스
Original Assignee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filed Critical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4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휴대용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n(n≥2)개의 전기적 소켓들과, 여기서 상기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수용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그리고 이렇게 선택된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거나 혹은 이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아이덴티티,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저장 용량과 관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A PORTABLE DEVICE FOR MANAGING MEMORY CAR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저장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들은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더 작은 메모리 카드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백업하고, 그리고 전달함에 있어 상당한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작은 메모리 카드들은 메모리 카드들의 운반과 관련된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아울러 이들을 다루는 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는 분실될 수 있고,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form factor)는 인쇄된 정보를 지니기에는 너무 작을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수 개의 메모리 카드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들 각각을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 개별적으로 연결해야만 할 것이고, 이는 불편하고 성가신 일이며, 메모리 카드의 전기적 콘택들이 단락되어 단락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등등이다. 또한, 작은 메모리 카드들을 둔 위치는 쉽게 잊어버릴 수 있다.
저장 메모리 카드에 일정 보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메모리 카드 홀더(holder)들이 현재 시장에서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일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작은 박스형 플라스틱 홀더는 메모리 카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크기 작기 때문에, 박스형 플라스틱 홀더도 또한 메모리 카드처럼 쉽게 지갑이나 가방에서 발견이 안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보호 캐리어(plastic protective carrier)가 제공되며, 이는 카드가 캐리어 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 전달 포트들 위에 놓이는 보호 밴드를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단단한 외부 쉘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쉘 내에 탄력성 삽입물을 수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충격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메모리 디바이스를 보호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들을 유용하게 하는 방식의 해법을 갖도록 이러한 메모리 카드들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저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모리 카드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청취가능한 정보(이 정보는 저장된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PC로 하여금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가 메모리 카드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청취가능한 정보(저장된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PC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관리가 더 편리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능력이 구현되도록 설계되었고, 그 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다음의 실시예들 및 그 실시형태는 시스템들, 툴들, 및 방법들과 연계하여 설명되며, 이것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내부 혹은 매립된 메모리 디바이스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호스트의 하우징 혹은 봉입부가 개방 혹은 분해돼야만 한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PC")들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들은 이들의 마더보드에 플러그인되는 메모리 카드들(예를 들어, ROM, RAM, 및 EEPROM)을 사용하며, 이는 이러한 카드들이 "내부"에 있도록 하고 "휴대할 수 없게" 한다. 통상적으로 기술자는, 호스트들 간의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가 아닌, 이러한 메모리 카드들이 오작동할 때 이들을 제거 혹은 대체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호스트의 봉입부 혹은 하우징을 개방함이 없이 외부로부터 호스트와 분리가능하게 전기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호스트의 봉입부 혹은 하우징을 개방할 필요 없이, 호스트(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소켓에 플러그인되도록 구성된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사용한다. 외부의 탈착가능한 메모리 카드는, 기술적 능력 또는 보조를 요구함이 없이, 하나의 호스트로부터 다른 호스트로 최종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n(n≥2)개의 전기적 소켓들과 여기서 이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이 수용되고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선택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혹은 판독된 데이터와 관련된, 그리고 앞서 선택된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음)와;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 카드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또한,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이렇게 선택된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혹은 이 판독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 혹은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테두리(rim)를 가지며, 그 상부에 혹은 그 내부에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이 분산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거나 아니면 위치할 수 있다.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폼 팩터들을 갖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과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로 하여금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 각각은 각각의 전기적 소켓에 통합 혹은 매립되거나, 아니면 각각의 전기적 소켓과 관련된다.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은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들의 자동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사용자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n개의 사용자 입력들 각각은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상태 회전가능 선택기(n-state rotatable selector)(예를 들어, 회전가능 선택 휠(rotatable selection wheel))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n-state slidable selector)이고, n-상태 선택기의 n개의 상태들 각각은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1 상태 회전가능 선택기이고, n-상태 선택기의 n개의 상태들의 각각의 상태는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를 스위치온(switch on)시키고, 그리고 n+1 상태 선택기의 n+1 상태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스위치오프(switch off)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n+1 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이고, n+1 상태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셧다운(shut down)(즉, 스위치오프)시킨다. "휴대용 디바이스를 스위치오프시키는 것"의 의미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체적 셧다운을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슬리프(sleep)" 모드 혹은 파워 절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하나의 누룸가능한 푸시 버튼(depressible push button)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푸시 버튼은, 이 푸시 버튼이 눌려지는 각각의 경우에,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이 순환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달리 말하면 순차적으로 그 다음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의 선택이 일어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된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출력 디바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제어기로부터 정보 또는 그 수정된 버전을 수신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는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되거나 이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인터페이스 혹은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어기는,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해 외부 디바이스에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될 수 있다.
외부의 맞물린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는 그 메모리 카드의 디지털 콘텐츠, 또는 그 메모리 카드의 아이덴티티(identity), 또는 그 메모리 카드의 저장 용량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롯들에 매립될 수 있는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MMC"),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SD") 메모리 카드, 마이크로SD 카드(microSD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MS"), 메모리 스틱 마이크로(Memory Stick Micro) 및 콤팩트플래시 카드(CompactFlash card) 중 적어도 하나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탈착가능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여기서 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i) n(n≥2)개의 전기적 소켓들과, 여기서 이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 혹은 설계되고, (ii)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iii)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수용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맞물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이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ii) 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전달된 정보는 선택된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거나 혹은 이 테이터와 관련되어 있다.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된 정보는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아이덴티티, 및/또는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저장 용량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메모리 카드 검출기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이 메모리 카드 검출기는,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전기적 소켓에 통합되거나 매립되거나 아니면 관련된다.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를 데이터 판독을 위해 메모리 카드 검출기에 의해 선택하는 것은, 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전기적 소켓에 삽입할 때,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전기적 소켓과 관련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n-상태 회전가능 선택기와 n-상태 슬리이드가능 선택기 중 하나로부터의 선택된 n-상태 선택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n-상태 선택기의 n개의 상태들의 각각의 상태는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다.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n+1-상태 회전가능 선택기와 n+1-상태 슬리이드가능 선택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n+1 상태 선택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n+1 상태 선택기의 n개의 상태들의 각각의 상태는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고,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를 스위치온시키며, 그리고 n+1-상태 선택기의 n+1 상태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스위치오프시킨다.
데이터 판독을 위해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누룸가능한 푸시 버튼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누룸가능한 푸시 버튼은 이 푸시 버튼이 눌려지는 각각의 경우에,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이 순환 방식으로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된다.
이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되거나 이 외부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다. 외부 디바이스에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예시적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추가하여, 다른 실시형태 및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함과 아울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연구함으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한정적 의미가 아닌 예시적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읽혀지는 경우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한 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은 일정한 비율로 반드시 도시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참조 번호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들과 같은 것을 표시하기 위해 여러 도면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예시적 실시예들의 다양한 세부적 사항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며, 대신에 본 발명의 다양한 원리 및 그 실시의 방식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여기서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들을 홀딩/운반 및 운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이하에서는 간략하게 "메모리 카드들"로서 언급됨)을 관리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몸체(body)(도 1에서는 미도시)를 포함하고, 이 몸체는, 최대 n개의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함과 아울러 이들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n(n>2)개의 전기적 소켓(Eectrical Socket, ES)들(도 1에서 ES1(110), ES2(120), ..., 및 ESn(130)으로 지정됨)을 포함한다.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서로 다른 전기적 소켓들이 다른 타입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도록 다른 크기 혹은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110)은 마이크로SD 카드로서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탈착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즉, 여기서의 탈착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카드(115)일 수 있음) 설계될 수 있다. 마이크로SD는 모바일 전화기에 주로 사용되지만, 핸드헬드 GPS 디바이스들,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임 콘솔, 확장가능 USB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등에도 또한 사용된다. 현재, 마이크로SD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가장 작은 탈착가능한 메모리 카드이다. 그 크기가 15mm x 11mm x 0.7mm로, 보안 디지털(Secured Digital)("SD") 카드 크기의 대략 사분의일 크기이다. 마이크로SD 카드가 SD, 미니 SD, 혹은 메모리 스틱 듀오 카드 용의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들이 있지만, 이들은 범용으로 호환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120)은 MMC로 알려진 탈착가능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MMC 및SD카드들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일 타입의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MC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타입의 메모리 카드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전기적 소켓(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120))은 다른 타입의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다른 타입의 메모리 카드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들(110 및 130)은 각각 메모리 카드들(115 및 135)을 수용함과 아울러 이 메모리 카드들과 맞물리도록 도시되었다. 메모리 카드(115)와 같은 메모리 카드가 전기적 소켓(110)과 같은 전기적 소켓에 의해 수용됨과 아울러 이 전기적 소켓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를 빈 전기적 소켓에 삽입해야만 한다. "메모리 카드가 전기적 소켓에 의해 수용된다"는 의미는, 메모리 카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 소켓 내에 있게 되고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가 이 전기적 소켓으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가 전기적 소켓과 전기적으로 맞물린다"는 의미는, 메모리 카드가 전기적 소켓에 의해 수용될 때 메모리 카드 상의 전기적 콘택이 전기적 소켓 상의 대응하는 전기적 콘택과 접촉함을 나타내고, 이것을 통해 전력이 메모리 카드에 제공될 수 있으며 메모리 카드와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또한,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를 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선택하도록 구성 혹은 설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40)는 사용자-동작가능 메모리 카드 선택기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후 이것은 "메모리 카드 선택기"로 언급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는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들 중에서 데이터 판독을 위한 메모리 카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평평한 터치 감지 스위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상태 혹은 복수 위치의 선택 회전가능 휠(wheel)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는 데이터 판독을 위해 메모리 카드(115)를 선택하도록 도시되었고, 이 선택은 점선 라인들(151 및 152)과 반대로 실선의 화살표(150)로 도시되었는바, 여기서 점선 라인들은 선택되지 않은 혹은 선택해제된 메모리 카드들 혹은 전기적 소켓들을 가리킨다. 운영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해당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전기적 소켓을 선택하는 것은 메모리 카드 자체를 선택하는 것과 동일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 카드를 선택한다"의 의미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혹은 운영자에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시각적으로 제공되든 혹은 청각적으로 제공되든 아니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함께 제공되든 상관없음)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맞물린 메모리 카드들로부터 선택된 메모리 카드에 관한 정보 또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 혹은 이 정보 모두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185)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85)는 이 정보,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그리고 메모리 카드에 관한 혹은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의 타입) 혹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 혹은 양쪽 모두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85)는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혹은 이러한 파일 또는 메모리 카드에 관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스피커(165)와 같은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또한,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즉, 메모리 선택 신호)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170)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예를 들어, 선택 신호(155))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170)는 또한, 선택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선택된 맞물린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거나 이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185)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된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이 전달된 정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 상에 혹은 스피커(165)를 통해, 혹은 디스플레이(160)와 스피커(165) 양쪽 모두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혹은 운영자에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 디바이스(185)에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로부터 전해진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가 도 1에서 실선 화살표(155)의 심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전송된 정보의 오디오 버전을 스피커(165)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기(170)는 스피커(165)에 이 정보 혹은 이 정보의 수정된 버전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115) 및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조작하여, 메모리 카드 선택기로 하여금 그 선택된 메모리 카드(즉, 메모리 카드(115))와 관련된 메모리 선택 신호(155)를 제어기(170)에 전송하도록 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서,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가 메모리 카드(115)를 가리키도록 도시되어 있다. 선택된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거나, 혹은 이 데이터에 기반을 둘 수 있거나, 혹은 이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의 식별(ID) 관련 세부사항들,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 및 메모리 카드 저장 용량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된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 카드 혹은 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다른 혹은 추가적 특성 또는 특징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거나 이 특성 또는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 카드의 타입 및 메모리 카드의 펌웨어의 버전은 메모리 카드의 예시적 특징이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155)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170)는 메모리 카드(115)로부터 (145로 표시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 이 데이터 및/또는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기(170)는 메모리 카드(115)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185)(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메모리 카드의 "볼륨 ID(Volume ID)", 저장 블럭 번호 i(여기서 i = 1, 2, 3, ...,)로부터의 처음 P(여기서 p = 1, 2, 3, ...,)개의 문자들, 또는 어떤 혹은 사전에 특정된 파일 명칭을 갖는 파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85)에 전달된 데이터 또는 정보는 사전에 결정된 데이터 또는 정보이거나 디폴트 데이터 또는 정보일 수 있고, 또는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서의 전용 파일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돼야만 하는 정보에 관한 제어기(170)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데이터 판독을 위해 또 다른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135))를 선택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조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비어있는 전기적 소켓(즉, 전기적 소켓(120))이 우연히 선택되었다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 상에 에러 메시지(예를 들어, "에러! 소켓 번호 2에는 메모리 카드 없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전기적 소켓들(110 내지 130) 중 어느 전기적 소켓이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때때로 혹은 간헐적으로 스캔 싸이클(scan cycle)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이후,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모든 전기적 소켓의 번호 또는 명칭(예를 들어, 110으로 표시된 "ES1")과, 그리고 추가적으로, 수용된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NVM")(175)에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캔 싸이클은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조작하는 운영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시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기(170)로 하여금 앞서 설명된 정보(즉, 전기적 소켓의 번호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190)(도 1에서 도시된 예는 개인용 컴퓨터("PC")임)에 전달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PC(190)의 요청에 대해, 임의의 수용된 메모리 카드에 관한 정보를 PC(19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는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과 관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는 각각의 전기적 소켓에 통합되거나 매립된다. 제어기(170)는, 맞물린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메모리 카드 검출기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전기적 소켓을 스캔닝(scanning) 혹은 프로빙(probing)함으로써, 예를 들어 핑(ping)" 매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맞물린 메모리 카드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거나 "감지"할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핑"은 특정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 툴이다. 이 툴은 타겟 디바이스에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그 응답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특정 시간 주기(예를 들어, 수 밀리초) 동안 어떤 응답도 없다면, 타겟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타겟 디바이스가 오작동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에 의해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들의 자동 검출이 용이하게 된다.
만약 메모리 카드가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된다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가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고, 선택에 따라서는 혹은 대안적으로, 스피커(165)로 하여금 그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메시지를 소리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제어기(170)는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선택된 전기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을 셧다운 혹은 뮤팅(muting)시킴으로써 파워 절약 모드로 들어간다. 대안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누름가능 푸시 버튼, 예를 들어, 푸시 버튼(171)을 가질 수 있는바, 이는 만약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적어도 3초) 동안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다면 제어기(170)에 신호를 보내, 제어기(170)로 하여금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파워 절약 모드로 들어가게 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제 1 말단(260)과 제 1 말단(260)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말단(261)을 구비한 몸체(201)를 갖는다. 몸체(201)는 또한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제 1 외면(outer surface) 및 제 2 외면을 가지며, 각각 202 및 203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몸체(201) 내에서 제 1 외면(202)과 제 2 외면(203) 사이에 있을 수 있고,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몸체(201)는 8개(즉, n=8)의 전기적 소켓들을 포함하는 바, 이중 네 개는 도면에서 볼 수 있고(즉, 전기적 소켓들(210, 220, 230, 및 240)) 그리고 다른 네 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가려져 있다(전체적으로 250으로 표시되어 있음). n(본 예에서, n=8)개의 전기적 소켓들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주변 둘레에 걸쳐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몸체(201)는 테두리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상부에 혹은 그 내부에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이 분산 혹은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비록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기적 소켓들은, 서로 다른 폼 팩터들 혹은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함과 아울러 이 메모리 카드들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치수 및 전기적 콘택 레이아웃에 있어 서로 다를 수 있다. 외면이 비록 평행하고 평평하게 도시되었지만, 다른 외면과 비교하여 기울어질 수 있거나 외면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도 1과 함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메모리 카드 선택기(도 1에서 140으로 표시됨)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여덟 개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이 수단은 "1" 내지 "8"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210)에는 번호 "1"(216으로 표시되어 있음)이 할당되어 있다. 식별("ID") 번호들 "1" 내지 "8"이 또한 전기적 소켓들에 각각 할당되어 휴대용 디바이스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여덟 개의 사용자 입력 수단들 1 내지 8 각각은 전기적 소켓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번호 1을 가진 사용자 입력 수단(215로 표시되어 있음)은 전기적 소켓(210)과 관련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 수단(225)은 전기적 소켓(220)과 관련되어 있는 등등이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전기적 소켓들(210, 220, 230, 240, 및 250)에 의해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7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280)가 임의의 전기적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이 메모리 카드(280)를 저장하기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적합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전기적 소켓(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210))에 이 메모리 카드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메모리 카드(280)가 전기적 소켓(210) 내에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디자인 방식에 적합한 전기적 소켓 내에 있다면,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280)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운영자 혹은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280)를 전기적 소켓(210)에 삽입한다고 가정하면, 메모리 카드(280)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수단(215)(즉, 메모리 카드(280)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수단)을 조작해야만 한다. 만약 메모리 카드(280)가 전기적 소켓과 맞물린다면, 메모리 카드(280)의 전기적 소켓들(281)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전기적 소켓 내의 전기적 콘택들과 맞물려 이들과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며, 이 통신 경로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한다. 메모리 카드(28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SD, MMC, 또는 SD 플래시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215)은 평평한 터치 감지 스위치 혹은 평평한 누룸가능 스위치일 수 있고,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수단(215)의 타입에 따라, 사용자 입력 수단(215)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메모리 카드(280)의 선택을 실행할 수 있다. 간략히 말하면, 터치 감지 스위치는 광 터치 혹은 근접에 의해 활성화되는 스위치이다. 일부 터치 감지 스위치들은 감지 필드를 공기 혹은 임의의 절연체를 통해 투사시키고, 그 감지 감도는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스위치들은 유리 및 플라스틱 같은 비전도성 패널 뒤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다른 타입의 평평한 터치 감지 스위치들은 멤브레인(membrane)을 포함한다. 평평한 터치 감지 스위치들은 몸체(201)의 제 1 외면(202)에 통합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215)을 조작하는(즉, 터치함으로써, 혹은 누름으로써)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215)은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제어기(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기로 하여금, 휴대용 디바이스의 운영자가 메모리 카드(280)와 관련된 정보 내지는 메모리 카드(280)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 수단(215)으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제어기는 요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0)에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280)가 전기적 소켓(210)에 있는 동안 사용자 입력 수단(215)을 동작시키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0)에 의해 "소켓1 : 음악 파일들(5) 35 MB"(290로 표시됨)의 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스피커(295)를 포함하고,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대응하거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이 스피커(295)에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파워 소스(296)를 포함한다. 전기적 파워 소스(296)는 시계 배터리, 버튼 셀, 또는 코인 셀일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손목 시계, 포켓 계산기, 및 보청기에서의 사용을 위해 설계된 폼 팩터가 작은 배터리이다. 전기적 파워 소스(296)는 재충전가능 배터리일 수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296)는 특수한 전기적 커넥터(도 2에서는 미도시)를 통해 혹은 통신 인터페이스(도 3에 도시되어 있음, 즉 USB 포트일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들 중 하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단(215))는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스위치온시키고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용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297))가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스위치온시키고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멍(hole)(265)이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고형 몸체(201)를 완전히 관통하여, 키 링(key ring) 또는 다른 부속 디바이스가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키 링에 다양한 키들과 함께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매우 편리하게 지니고 다닐 수 있게 해준다.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제어기는 도 1의 제어기(17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몸체(201)의 외면이, 비록 평행하고 평평하게 도시되었지만, 다른 외면과 비교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몸체(201)의 외면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도 2의 휴대용 디바이스(200)가 비록 신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있지만, 휴대용 디바이스의 몸체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는 신장된 계란형 형상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3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몸체(301)를 갖는다. 몸체(301)는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제 1 외면 및 제 2 외면을 가지며, 이 두 외면들 중 단 하나의 외면만이 참조된다(즉, 외면(302)).
일반적으로,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이 몸체(301) 내에서 몸체(301)의 서로 반대 방향에 있는 제 1 외면과 제 2 외면 사이에 있을 수 있다.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몸체(301)는 네 개(즉, n=4)의 전기적 소켓들(즉, 소켓들(310, 320, 330, 및 340))을 포함한다. 비록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기적 소켓들은, 폼 팩터, 형상, 또는 디자인에 있어 서로 다른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함과 아울러 이 메모리 카드들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치수 및 전기적 콘택 레이아웃에 있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어떤 전기적 콘택은 특정 타입의 메모리 카드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네 개의 전기적 소켓들(310, 320, 330 및 340)이 ID 번호 "1" 내지 "4"로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소켓(310)은 번호 "1"(316으로 표시됨)로 할당되어 있다. 식별("ID") 번호 "1" 내지 "4"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전기적 소켓들(310 내지 340)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도 1과 함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메모리 카드 선택기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n-상태 메모리 카드 선택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카드 선택기의 n개의 상태들 각각은 휴대용 디바이스의 n개의 소켓들 중 하나에 유일하게 대응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n-상태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n-상태 회전가능 선택 휠(350)로서 구현된다. 이 예에서, n-상태 회전가능 선택기는 네 개의 상태(즉, n=4)를 가지는데, 왜냐하면 이 예에서는 네 개의 소켓들(310, 320, 330, 및 340)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n-상태 선택기는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도 3에서는 미도시)로서 구현될 수 있는바, 이 선택기의 슬라이드가능 부재를 n개의 길이방향 위치들 중 하나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소켓의 선택이 가능하여 원하는 소켓에 대응하는 상태 혹은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고유한 선택 번호에 할당되어 있는 n-상태 회전가능 선택 휠(350)의 n개의 상태들 각각은 서로 다른 전기적 소켓과 관련되어 있다. n-상태 회전가능 선택 휠(350)의 선택 번호들은 선택 휠(350)의 상부 표면(351) 상에 임프린트될 수 있어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의한 메모리 카드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몸체(301)의 외면(302)은 관측 개구부(360)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관측 개구부를 통해 n개의 선택 번호들이 관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가능 선택 휠(350) 상에 임프린트된 선택 번호 "1" 내지 "4"(이중 도면에서는 선택 번호 "2"만이 365로 표시되어 있고, 관측 개구부 혹은 윈도우(360)을 통해 보여지고 있음)는 각각, 전기적 소켓들(310 내지 340)에 할당된 ID 번호 "1" 내지 "4"와 관련되어 있다. 관측 개구부(360)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진 보호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메모리 카드(370)가 전기적 소켓과 맞물린다면, 메모리 카드(370)의 전기적 소켓들(371)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전기적 소켓 내의 전기적 콘택들과 맞물려 이들과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며, 이 통신 경로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300)와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을 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370)(예를 들어, MMC, SD 카드, 마이크로SD 카드, 혹은 콤팩트플래시 카드일 수 있음)가 임의의 전기적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운영자 혹은 사용자는,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 내에 이 메모리 카드를 저장하기 위해, 전기적 소켓(320)에 메모리 카드(370)를 삽입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또한, 전기적 소켓들(310, 320, 330 및 340)에 의해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38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370)가 전기적 소켓(320) 내에 있거나 혹은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임의의 다른 디자인 방식에 적합한 전기적 소켓 내에 있는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80)으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370)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370)를 전기적 소켓(320)에 삽입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전기적 소켓(320)과 관련된 혹은 전기적 소켓(320)에 관한 선택 번호(즉, 선택 번호 "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 개구부(360)을 통해 관측가능하게 될 때까지, 4-상태 선택 휠(350)을 회전시킴으로써 (메모리 카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370)의 선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4-상태 선택 회전가능 휠(350)을 도 3에 도시된 원하는 상태까지 회전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4-상태 회전가능 선택 휠(350)은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제어기(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기로 하여금, 휴대용 디바이스의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370)와 관련된 정보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4-상태 회전가능 선택 휠(350)로부터 메모리 카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제어기는 요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380)에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메모리 카드(370)가 320으로 표기된 번호가 "2"인 전기적 소켓 내에 있는 동안) 선택 휠(350)이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80) 상에는 "소켓2 : 데이터 파일들(15), 3 MB"(390으로 도시되어 있음)의 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포함할 수 있어, 통신 인터페이스(355)의 전기적 콘택들(356)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의 정보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에는 보호 케이스 혹은 캡이 제공될 수 있거나, 통신 인터페이스(355) 자체가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55)에 케이블이 부착 혹은 결합되어, 이 케이블을 잡아 당김으로써 통신 인터페이스(355)가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 자체가 "내부로 수납"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내부로 수납된 위치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그리고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통신 인터페이스(355)가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에 수동으로 플러그인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신장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내부로 수납된 위치에서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몸체(301) 안에 그 전체가 있게 된다. 누름가능 잠금/해제 버튼(예를 들어 잠금/해제 버튼(357))이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신장시키고 그 신장된 위치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잠그어 고정시킬 수 있고, 그리고 (비록 현재는 신장된 위치에 있지만) 통신 인터페이스(355) 자체를 내부로 수납시켜 내부로 수납된 위치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잠그어 고정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슬라이딩 부재(sliding member)(예를 들어, 잠금/해제 버튼(357)) 및 슬라이딩 경로(sliding path)(예를 들어, 슬라이딩 경로(358))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매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신장될 수 있고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신장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이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잠금/해제 버튼(357)(이 버튼은 통신 인터페이스(355)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내부로 수납된" 위치(즉, "신장된" 위치의 반대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내부로 수납시키는 것은 슬라이딩 잠금/해제 버튼(357)을 오른쪽으로 완전히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실행된다.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3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파워 소스(396)를 포함한다. 전기적 파워 소스(396)는 시계 배터리, 버튼 셀, 또는 코인 셀일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손목 시계, 포켓 계산기, 및 보청기에서의 사용을 위해 설계된 폼 팩터가 작은 배터리이다. 전기적 파워 소스(396)는 재충전가능 배터리일 수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396)는 전기적 소켓들(310, 320, 330 및 340) 중 하나를 통해 혹은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회전가능 선택 휠(350)이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300)를 스위치온 및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가능 선택 휠(350)에 이러한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 회전가능 선택 휠(350)에는 추가적인 상태(위치 "O", "상태 "n+1", 혹은 "온/오프 상태"로 언급됨)가 제공되고, 이 상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스위치오프되며, 반면에 선택된 전기적 소켓 혹은 맞물린 메모리 카드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상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스위치온"된다. 달리 말하면, 전기적 소켓 혹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은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300)를 스위치온시킬 수 있다. 소켓/메모리 카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의 스위치온 및 스위치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가능 선택 휠은 n+1개의 상태들을 갖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혹은 "n+1 상태 선택기"로서 언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용의 개별 스위치(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가 휴대용 디바이스(300)를 스위치온 및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마지막 동작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자동으로 스위치오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상태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에는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상태, 즉, "온/오프 상태"가 제공될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300)는 도 2에서의 구멍(265)과 유사한 구멍을 가질 수 있어 키 링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4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 선택기는 사용자 누름가능 푸시 버튼(497)과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47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한 세트의 지시자들, 표시자들, 혹은 포인터들(460 및 491)로서 구현된다.
지시자들, 표시자들, 혹은 포인터들(460 및 491) 각각은 예시적으로 여덟 개(즉, n=8)의 전기적 소켓들(410, 420, 430, 440 및 450)(이 중 단지 네 개만이 도 4에서 볼 수 있고, 전기적 소켓들(410, 420, 430 및 440)임) 중 하나와 유일하게 기능적으로 관련 혹은 연관되어 있다. 사용자가 어느 전기적 소켓이 현재 선택되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디스플레이가능 표시자는 이 표시자와 관련된 전기적 소켓 가까이 위치하거나 이 전기적 소켓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능 표시자(491)는 전기적 소켓(410) 가까이 위치하거나 전기적 소켓(410)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지시자들, 표시자들, 혹은 포인터들(460)은 선택되지 않았거나 선택해제된 전기적 소켓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된 삼각형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이 경우 이러한 표시자들 혹은 포인터들 각각은 "비활성" 상태로 고려될 수 있거나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자 혹은 포인터(491)는 선택된 전기적 소켓(즉, 전기적 소켓(410))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내부가 채워진 삼각형으로서 디스플레이되며, 이 경우 이 표시자 혹은 포인터는 "활성" 상태로 고려될 수 있거나 언급될 수 있다. 배터리 파워를 절약하기 위해(도 4에서 배터리는 도시되지 않음), 단지 하나의 표시자/포인터만이, 다시 말해, 활성화된 포인터(즉, 현재 선택된 전기적 소켓과 관련된 표시자/포인터)만이 한번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전기적 소켓이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린다면, "선택된 전기적 소켓"은 또한 선택된 메모리 카드를 의미한다.
사용자 누룸가능 푸시 버튼(497)은 전기적으로 맞물린 메모리 카드들이 데이터 판독(즉, 휴대용 디바이스(400)의 제어기에 의한 데이터 판독)을 위해 순환 방식으로 선택되도록(즉, 그 푸시 버튼을 각각 누름으로써)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메모리 카드(480)가 전기적 소켓(410)과 전기적으로 맞물리고,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된다면, 표시자/포인터(491)는 휴대용 디바이스(400)의 제어기(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된/삽입된) 메모리 카드(48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예정임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판독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정상 상태(즉, 비점멸)의 속이 찬 표시자/포인터는 선택된 전기적 소켓을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점멸하는 속이 찬 표시자/포인터는 데이터 판독 프로세스(즉,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가 진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누룸가능 푸시 버튼(497)을 누룸으로써, 단지 점유된 전기적 소켓들과 관련된 그러한 표시자들/포인터들만이 디스플레이 스크린(47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점유된 전기적 소켓"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전기적 소켓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될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소켓들에 이전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카드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510)에서, 하나 이상의 삽입된 메모리 카드들 중 임의의 메모리 카드가 데이터 혹은 정보 판독을 위해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점검된다.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카드 검출기를 사용함으로써, 혹은 핑 매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혹은 메모리 카드 선택기(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어떠한 메모리 카드도 선택되지 않았다면(단계(510)에서 "아니오"로 표시됨), 단계(520)에서, 제어기(170)는 이러한 선택을 기다린다.
만약 전기적 소켓이 메모리 카드 검출기를 포함한다면, 이러한 소켓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 검출기는 제어기(170)에게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예를 들어, 제어기(170)에 대응하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통지하고, 이 통지에 응답하여 제어기(170)는 (i) (단계(530)에서)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판독하고, (ii) (단계(540)에서) 이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185)에 전송하고, 그리고 (iii) (단계(55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바, 이 정보 제공은 해당 메모리 카드에 대한 정보(즉, 해당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혹은 이 메모리 카드에 관한 정보 또는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185)(즉, 디스플레이(160) 또는 스피커(165), 또는 이들 모두)에 전달함으로써 행해진다.
만약 제어기(170)가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프로빙 매커니즘(예를 들어, "핑" 매커니즘)을 사용한다면, 제어기(170)는 각각의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주기적으로 "방문"하고, 제어기(170)에 의해 방문된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대해 단계들(530, 540 및 550)이 반복된다. 만약 어떠한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 및 제어기(170)도 핑 매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제어기(170)는, 단계(52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사용하여 데이터/정보 판독을 위해 메모리 카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해야만 한다. 주목할 사항으로서,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을 포함하는지 혹은 제어기(170)가 핑 툴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를 사용하여 데이터/정보 판독을 위해 메모리 카드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메모리 카드 선택기(140)의 사용이 이러한 검출기들의 사용 및 핑 툴의 사용을 우선할 수 있다(즉, 이러한 검출기들의 사용 및 핑 툴의 사용보다 높은 우선권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적 표현 및 "임의의"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내용상 하나 혹은 이보다 많음(즉, 적어도 하나)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요소" 혹은 "임의의 요소"는 하나의 요소 혹은 하나보다 많은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는 어구 "포함하지만 이러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서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 "혹은", "그리고", "및"은, 문맥이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다면, 용어 "그리고/또는", "및/또는"의 의미를 가지면, 서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와 같은"은 어구 "~와 같은 하지만 이러한 것에만 한정되지는 않는"의 의미를 가지면, 서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갖는 자들에게는 명백해지는 것으로서, 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더 많은 모듈, 더 적은 모듈, 그리고/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다양한 타입의 전기적 소켓들 및 다양한 메모리 카드들, 예들 들어, SD 구동 플래시 메모리 카드, 플래시 저장 디바이스, 비-플래시 저장 디바이스들 등과 관련된다.

Claims (27)

  1. 복수의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a) n(n≥2)개의 전기적 소켓들을 포함하는 몸체와, 여기서 상기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b)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c) 출력 디바이스와; 그리고
    (d)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메모리 카드 선택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함과 아울러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달된 정보는 상기 선택된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정보이거나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테두리에 매립되어 있거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서로 다른 폼 팩터(form factor)들을 갖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 각각은 각각의 전기적 소켓에 통합되거나 각각의 전기적 소켓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들 중 임의의 메모리 카드 검출기는, 전기적으로 맞물리 외부 메모리 카드를 데이터 판독을 위해 자동으로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사용자 입력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 입력 수단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상태들을 갖는 선택기이고, 상기 선택기는 n-상태 회전가능 선택기(n-state shdable selector)와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n-state slidable selector) 중 하나이고, 상기 n개의 상태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n+1개의 상태들을 가지며, 이처럼 하나 더 있는 상태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스위치 오프(switch off)를 위해 상기 선택기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누름가능 푸시 버튼(depressible push button)이고, 상기 누름가능 푸시 버튼은 눌려지는 각각의 경우 순차적으로 그 다음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전달된 정보 혹은 상기 전달된 정보의 수정된 버전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혹은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판독되거나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에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와 무선 인터페이스(wireless interfac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아이덴티티(identity),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저장 용량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슬롯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은, 멀티 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보안 디지털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마이크로SD 카드(microSD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및 콤팩트플래시 카드(CompactFlash card) 중 하나 이상의 것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하나 이상의 것과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8.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n(n≥2)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은 상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b) 상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탈착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c) 상기 판독된 데이터와 관련되거나 혹은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메모리 카드 검출기이고, 각각의 상기 검출기는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중 하나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를 데이터 판독을 위해 선택하는 것이 상기 외부 메모리 카드와 맞물린 상기 전기적 소켓과 관련된 메모리 카드 검출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n개의 상태들을 갖는 선택기이고, 상기 선택기는 n-상태 회전가능 선택기와 n-상태 슬라이드가능 선택기 중 하나이고, 상기 n개의 상태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전기적 소켓들 각각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n+1개의 상태들을 가지며, 이처럼 하나 더 있는 상태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스위치 오프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누름가능 푸시 버튼이고, 상기 누름가능 푸시 버튼은 눌려지는 각각의 경우 전기적으로 맞물린 외부 메모리 카드들이 데이터 판독을 위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d)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달하는 것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정보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아이덴티티, 또는 상기 선택된 외부 메모리 카드의 저장 용량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107028905A 2008-07-08 2009-07-07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KR20110048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9,361 2008-07-08
US12/169,361 US8862821B2 (en) 2008-07-08 2008-07-08 Portable device for managing memory cards
PCT/IB2009/006165 WO2010004402A1 (en) 2008-07-08 2009-07-07 A portable device for managing memory car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25A true KR20110048025A (ko) 2011-05-09

Family

ID=4107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905A KR20110048025A (ko) 2008-07-08 2009-07-07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2821B2 (ko)
EP (1) EP2297734A1 (ko)
KR (1) KR20110048025A (ko)
CN (1) CN102067227A (ko)
TW (1) TW201009587A (ko)
WO (1) WO20100044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41A (ko) * 2015-02-06 2016-08-17 김다정 포터블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3757A1 (en) * 2009-06-19 2010-12-23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Data Using a Memory Module in a Cellular Phone
KR102188862B1 (ko) * 2019-05-30 2020-12-09 권오경 컨텐츠 월렛, 단말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582A (ja) 1998-07-13 2000-01-28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2000029998A (ja) 1998-07-14 2000-01-28 Sony Corp メモリカード記録再生装置
FI991167A (fi) * 1999-05-24 2000-11-2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käyttöliittymäohjelmiston lataamiseksi
CN1386242A (zh) 2000-06-09 2002-12-18 索尼株式会社 用于在ic卡记录和/或从ic卡复制数据的设备
US6820148B1 (en) * 2000-08-17 2004-11-16 Sandisk Corporation Multiple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s serially communicating with a host
US6594154B1 (en) 2000-11-06 2003-07-15 Sandisk Corporation Key chain holders for small electronic circuit cards
JP2002358485A (ja) 2001-06-01 2002-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カード識別器
US20030010829A1 (en) 2001-07-12 2003-01-16 Marcelo Kryg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nging flash memory cards
US6644556B2 (en) 2002-01-18 2003-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orage device including storage space indication
CN1311676C (zh) 2002-03-27 2007-04-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数字效果滤波器的电子照相机
US7093049B2 (en) 2002-06-27 2006-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holder having one or more recording mediums
JP2004062850A (ja) 2002-07-25 2004-02-26 Loyalty Founder Enterprise Co Ltd ポータブル型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US20040039876A1 (en) * 2002-08-21 2004-02-26 Nelson James R. Portable mass memory device with memory card reader
US20040068601A1 (en) * 2002-10-08 2004-04-08 Minebea Co., Ltd. Information input device with multiple memory card reader
US7306159B1 (en) 2003-06-07 2007-12-11 Rochelo Donald R Protective case for six different sized memory cards
US8055361B2 (en) * 2003-11-13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7325744B2 (en) 2004-01-09 2008-02-05 Arthur James Porter Memory card holder device
US20060026350A1 (en) * 2004-07-28 2006-02-02 Lee Kyoung-Jae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switch memory cards in a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removable disc driver
JP4631811B2 (ja) 2006-06-12 2011-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US8037266B2 (en) 2007-01-02 2011-10-11 Sandisk Il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41A (ko) * 2015-02-06 2016-08-17 김다정 포터블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4402A1 (en) 2010-01-14
US20100011163A1 (en) 2010-01-14
US8862821B2 (en) 2014-10-14
TW201009587A (en) 2010-03-01
CN102067227A (zh) 2011-05-18
EP2297734A1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1939C (zh) 集成数字设备及其选择方法
US7825913B2 (en) Computer stylus with integrated memory
AU2011255509B2 (en) Modular mobile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20210181611A1 (en) Handheld gimbal
US20130069381A1 (en) Carrying case
JP2007095365A (ja) 情報読取システム
EP2717734A2 (en)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JP2017510809A (ja) バッテリで動作するバイオセンサメータのための無線送信機アダプタおよびその提供方法
EP16008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expansible function module
KR20110048025A (ko) 메모리 카드들을 관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US9706344B2 (en) Data update and transmission of updated data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 storage apparatus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US20170097791A1 (en) Data retrieval for a host device by a portable memory device including a memory region for storing data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KR100777864B1 (ko) 휴대용 정보 단말 및 휴대용 정보 단말 제어 방법
JP5417465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50155901A1 (en) Holder for Smart Device
JP3197660U (ja) リムーバブル記憶設備
JP2007140677A (ja) メモリカード
US20100054488A1 (en)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id Batteries
JP3197659U (ja) 複数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usbディスク
GB2438448A (en)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 system operated by insertion of a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 unit into a hand-held device
AU2015261691A1 (en) Modular mobile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20060143339A1 (en) Hybri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2914109Y (zh) 随插即用智能型卫星导航接收器
RU69304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пирования файлов
CN205485997U (zh) 可插接记忆卡的无线收发器、电脑周边装置及电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