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826A -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826A
KR20110047826A KR1020090104604A KR20090104604A KR20110047826A KR 20110047826 A KR20110047826 A KR 20110047826A KR 1020090104604 A KR1020090104604 A KR 1020090104604A KR 20090104604 A KR20090104604 A KR 20090104604A KR 20110047826 A KR20110047826 A KR 2011004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tator
vibration
stator
exci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264B1 (ko
Inventor
배용채
김희수
이욱륜
이두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10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2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8Acoustic or vibra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6Testing of armature or fiel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발전기의 고정자 진동 가진장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가이드부가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원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체결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가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진부는 상기 발전기 고정자 권선을 가진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진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어 이송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체결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가진부는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고정자 권선을 가진하여 진동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Equipment exiting vibration of generator stator}
본 발명은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 고정자의 고장여부를 측정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특성 가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의 운전 중 발전기 권선에서 전기가 생산되면서 전자력이 발생된다. 이 때, 상기 전자력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구조적으로 취약한 권선 단물부에서 전자력에 의한 가진 주파수 성분과 고정자 권선의 고유 특성이 일치되는 경우, 진동이 크게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진동에 의하여 발전기 내부 진동으로 인한 손상 또는 권선 절연물의 박리를 통한 냉각수 흡습으로 대형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발전기 로터를 인출한 후 측정시스템을 활용하여 각 단말 권선의 진동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진동 특성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수행되고, 권선간의 간격이 협소하여 권선 측면에 정확하게 가진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본 발명은 발전기 고정자의 고장 및 고장 진행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발전기 고정자의 권선에 대한 진동 가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어 발전기 고정자를 가진하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전기 고정자를 권선을 신속 정확하게 가진하여 고정자의 진동 특성을 파악한다. 상기 진동 특성을 근거로 발전기 고정자의 파손 및 손상 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100)는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발전기(2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10)는 상기 발전기의 형상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10)는 발전기의 중앙에 배치되는 바디부(111)를 포함한다. 바디부(111)의 일측에는 바디부(11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12)이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12)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들(112)은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각 지지프레임(112)은 서로 120°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지지프레임(112)은 바디부(111)가 상기 발전기의 중앙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각 지지프레임(112)는 사용자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프레임(112)를 일측으로부터 삽입하면, 지지프레임(112)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한편, 각 지지프레임(112)에는 지지프레임(112)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길이조절수단(113)이 배치된다. 길이조절수단(113)는 각 지지프레임(112)의 길이를 사용자가 조절하면, 상기 길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길이조절수단(113)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113)는 각 지지프레임(1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113)는 각 지지프레임(112)가 이동할 때, 상기 길이를 제한하는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들(112)의 일측에는 가이드부(130)가 체결된다. 가이드부(130)는 곡률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130)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들(112)과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체결홈(미표기)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 은 가이드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이드부(130)를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들(112)로부터 이동시킨다.
가이드부(130)의 일측에는 고정자 권선(210)에 가진하는 가진부(150)가 체결된다. 가진부(150)는 가이드부(130)를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이송부(151)를 포함한다. 이송부(151)는 가이드부(130)에 체결되도록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송부(151)를 조작하여 가진부(150)를 다른 고정자(미표기)로 이송시킨다.
가진부(150)는 이송부(151)과 체결되어 고정자(210)를 가진하고 가진주파수 응답를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이송부(151)에 체결되는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지지부(152)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자 권선(210)을 가진하는 가진장치(15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는 가진장치(153)로 고정자 권선(210)을 가진하여 발생하는 응답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100)는 고정자 권선(210)을 가진하여 고정자(2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진동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자 권선(210)에 정확하게 가진함으로써 상기 진동주파수 응답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사용자는 상기 진동주파수 응답을 근거로 고정자 권선(210)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고정자 권선(210)의 특성으로부터 고정자 권선(210) 또는 고정자 권선(210)이 결합된 부분의 파손이나 이상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구조 및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210)의 진동 측정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52)와, 가진장치(153)를 포함한다.
한편, 가진장치(153)는 고정자 권선(210)의 상측을 가진하는 제 1 가진장치(153h)를 포함한다. 또한, 가진장치(153)는 고정자 권선(210)의 측면방향으로 가진하는 제 2 가진장치(153i)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가진장치(153h)의 일측에는 제 1 가진장치(153h)가 고정자(210)에 가진하는 힘의 가진주파수 응답를 측정하는 제 1 로드셀(미도시)이 배치된다. 제 2 가진장치(153i)의 일측에는 제 2 가진장치(153i)가 고정자(210)에 가진하는 힘의 가진주파수 응답를 측정하는 제 2 로드셀(미도시)이 배치된다.
제 1 가진장치(153h)는 지지부(152)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 회전암(153d)를 포함한다. 제 1 회전암(153d)는 굴곡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 1 가진장치(153h)는 제 1 회전암(153d)의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자 권선(210)을 가진하는 가진망치(153c)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가진장치(153i)는 지지부(152)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 회전암(153f)를 포함한다. 제 2 가진장치(153i)는 제 2 회전암(153f)의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자(210)를 가진하는 제 2 가진망치(153e)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가진망치(153c) 및 제 2 가진망치(1533e)의 일측에는 제 1 가진 주파수응답측정장치(미도시) 및 제 2 가진주파수응답측정장치(미도시)가 각각 배치된다.
제 1 회전암(153d)의 일측에는 제 1 회전암(153d)을 구동시키도록 제 1 구동장치(153b)가 체결된다. 또한, 제 2 회전암(153f)의 일측에는 제 2 회전암(153f)을 구동시키도록 제 2 구동장치(153j)가 체결된다.
제 1 구동장치(153b)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동장치(153j)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53j)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장치(153b) 및 제 2 구동장치(153j)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53b)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53j)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을 구동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고정자 권선(210)의 일측에는 가진하여 발생하는 진동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한 진동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100)를 작동하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53b)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153j)가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제 1 솔레노이드밸브(153b)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153j)가 작동하면,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이 회전한다.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은 지지부(152)에 체결되어 소정각도로 회전한다.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이 회전하면, 제 1 가진망치(153c) 및 제 2 가진망치(153e)가 고정자(2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 1 솔레노이브밸브(153b)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153j)가 다시 작동하면,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이 회전한다. 제 1 회전암(153d) 및 제 2 회전암(153f)이 회전하면, 제 1 가진망치(153c) 및 제 2 가진망치(153e)가 고정자(210)을 가진한다.
이 때, 상기 제 1 로드셀 및 상기 제 2 로드셀은 진동 센서(160)과 연계되어 상기 가진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가진주파수 응답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 1 솔레노이브밸브(153b) 및 제 2 솔레노이드밸브(153j)는 복수번 반복하여 작동하여 제 1 가진망치(153c) 및 제 2 가진망치(153e)가 고정자(210)를 가진한다.
복수번 가진한 결과를 상기 제 1 로드셀 및 상기 제 2 로드셀에서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의 결과값을 정리한다.
한편, 제 1 가진망치(153c) 및 제 2 가진망치(153e)가 고정자 권선(210)을 가진할 때, 고정자 권선(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진동 센서(160)와 연계하여 상기 진동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진동주파수 응답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주파수를 근거로 고정자 권선(210)의 진동 특성을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상기 진동 특성을 근거로 고정자 권선(210)의 파손여부를 판별한다.
상기의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이송부(151)를 이동하여 다른 고정자(210)에 상기 센서부를 위치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각 고정자(210)를 측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의 결과를 근거로 고정자(210)의 파손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한다. 또한, 상기의 결과를 근거로 발전기(200)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수리 및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200 : 발전기
110 : 지지부 210 : 고정자
130 : 가이드부
150 : 가진부

Claims (10)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어 발전기 고정자를 가진하고 발생하는 가진주파수 응답를 측정하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가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들은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곡률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 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가진하여 발생하는 가진주파수 응답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가진하는 가진장치와,
    상기 가진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진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인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진장치는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상측을 가진하는 제 1 가진장치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으로 가진하는 제 2 가진장치를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진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가진하는 가진망치를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암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암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암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KR1020090104604A 2009-10-30 2009-10-30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KR101174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604A KR101174264B1 (ko) 2009-10-30 2009-10-30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604A KR101174264B1 (ko) 2009-10-30 2009-10-30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826A true KR20110047826A (ko) 2011-05-09
KR101174264B1 KR101174264B1 (ko) 2012-08-14

Family

ID=4423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604A KR101174264B1 (ko) 2009-10-30 2009-10-30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940A (ko) * 2015-12-03 2018-03-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기 지지 기구, 압축기, 및 과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132B1 (ko) 2002-09-28 2005-05-24 박계정 모터 검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940A (ko) * 2015-12-03 2018-03-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기 지지 기구, 압축기, 및 과급기
CN108292874A (zh) * 2015-12-03 2018-07-17 三菱重工业株式会社 电动机支承机构、压缩机及增压器
US10630144B2 (en) 2015-12-03 2020-04-2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Electric motor support mechanism, compressor, and turbocharger
CN108292874B (zh) * 2015-12-03 2020-09-04 三菱重工船用机械株式会社 电动机支承机构、压缩机及增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264B1 (ko)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351B2 (en) Wire rope inspection apparatus
JP2936005B2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エッジの衝撃試験装置
EP25641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the tightness of an electric machine stator core
WO2009127428A9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von schäden an einer arbeitsmaschine
KR100976224B1 (ko) 영구자석형 회전기기의 회전 손실 측정장치
JP2014109574A (ja) 動電式モード試験インパク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51579B2 (ja) ワイヤーロープ探傷装置の取付装置
CN106965392B (zh) 成形品取出机
TW200802557A (en) Ion beam current uniformity monitor, ion implanter and related method
JP4503972B2 (ja) 試験プローブ
KR20110047826A (ko) 발전기 고정자의 진동 가진장치
JP2014130021A (ja) 渦電流探傷装置、渦電流探傷プローブおよび渦電流探傷方法
KR101129641B1 (ko) 충격 가진기
JP2009014542A (ja) 材料試験機
JP6177909B2 (ja) 電気機械の監視システム
KR20130005156A (ko)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JP5875277B2 (ja) ワイヤソー
KR101411510B1 (ko) 선박의 케이블 드럼 지그
JP2009227363A (ja) チェーン張力測定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張力測定方法
KR101235996B1 (ko) 인장시험장치
KR101152897B1 (ko) 자기부착식 발전기 고정자 철심 표면 검사장치
JP6902447B2 (ja) 点検装置、および、点検装置付きケーブル
US20190131853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EP2573028A3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ecking yarn tension
KR200485095Y1 (ko) 하중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