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56A -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56A
KR20130005156A KR1020110066566A KR20110066566A KR20130005156A KR 20130005156 A KR20130005156 A KR 20130005156A KR 1020110066566 A KR1020110066566 A KR 1020110066566A KR 20110066566 A KR20110066566 A KR 20110066566A KR 20130005156 A KR20130005156 A KR 20130005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tator
generator
v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서
박성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156A/ko
Publication of KR2013000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는 발전기의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의 웨지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와, 상기 몸체부의에 설치되며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진동 값을 출력하는 진동 측정부와, 상기 진동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 값을 전달받고 상기 진동 값을 근거로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측정하는 조임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A test device for stator wedge of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권선이 수납되며 중공이 형성된 고정자 및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며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발전기는 전기를 발전한다.
발전기의 고정자는 권선이 수납되는 슬롯이 형성된다. 슬롯은 고정자의 외부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슬롯은 고정자의 원주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된다.
슬롯의 내부에는 권선이 삽입된다. 슬롯은 권선이 고정자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웨지(wedge)가 결합된다. 웨지는 일정한 지지압력을 갖도록 슬롯의 일측에 결합된다.
웨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지지압력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웨지는 고정자의 중량에 의해 지지압력이 약해질 수 있다. 웨지의 지지압력이 약해지면 슬롯에 삽입된 권선이 움직일 수 있다. 발전기가 작동되는 동안 권선이 움직이면 절연파괴 등의 발전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웨지는 발전소의 안전을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지지압력을 점검받는다. 이때, 웨지는 조임상태가 측정됨으로써 지지압력을 점검받는다.
종래의 웨지의 조임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은 회전자가 인출된 고정자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웨지의 조임상태를 측정하였다. 이때, 작업자는 별도의 망치 등의 타격기구를 사용하여 웨지의 표면을 타격하고 타격에 의해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리를 근거로 웨지의 조임상태를 점검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리를 근거로 웨지의 조임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개인차가 발생하여 웨지의 조임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자를 인출하고 점검을 해야하는 종래의 웨지 점검방법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자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자 웨지의 조임상태를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자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자 웨지의 조임상태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전기의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의 웨지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와, 상기 몸체부의에 설치되며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진동 값을 출력하는 진동 측정부와, 상기 진동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 값을 전달받고 상기 진동 값을 근거로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측정하는 조임 측정부를 포함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소정부분은 자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머부는, 상기 고정자 웨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타격셀과, 상기 타격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격셀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셀 이동부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측정부는, 상기 고정자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가 발전기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됨으로써 고정자로부터 회전자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자 웨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3은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의 하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내부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소정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전기의 고정자는 발전기의 회전자가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소정높이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가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상기 회전자가 상기 고정자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의 웨지를 점검할 수 있다.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이동부(120)를 포함한다. 이동부(12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몸체부(110)를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기 중공의 곡률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소정부분은 자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력을 갖는 소재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기력을 갖는 소재가 자석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10)의 소정부분은 상기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양측 하부는 상기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상기 고정자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120)는 바퀴부(121)를 포함한다. 바퀴부(121)는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퀴부(121)는 복수개의 바퀴들(121a, 121b, 121c, 121d, 121e, 121f)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바퀴들(121a, 121b, 121c, 121d, 121e, 121f)은 몸체부(1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바퀴들(121a, 121b, 121c, 121d, 121e, 121f)이 제 1 바퀴(121a), 제 2 바퀴(121b), 제 3 바퀴(121c), 제 4 바퀴(121d), 제 5 바퀴(121e) 및 제 6 바퀴(121f)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바퀴(121a), 제 2 바퀴(121b) 및 제 3 바퀴(121c)는 몸체부(110)의 우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4 바퀴(121d), 제 5 바퀴(121e) 및 제 6 바퀴(121f)는 몸체부(110)의 좌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120)는 회전부(122)를 포함한다. 회전부(122)는 바퀴부(1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22)는 바퀴부(121)에 연결되어 바퀴부(12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부(122)는 몸체부(1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 2 바퀴(121b)를 회전시키는 제 1 회전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바퀴(121b)와 제 1 회전부(122a)는 기어에 의해 치합될 수 있다. 제 2 바퀴(121b)와 제 1 회전부(122a)가 치합됨으로써 제 1 회전부(122a)는 제 2 바퀴(121b)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2 바퀴(121b)는 체인에 의해 제 3 바퀴(121c)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회전부(122a)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제 2 바퀴(121b)와 상기 체인에 의해 연결된 제 3 바퀴(121c)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부(122)는 몸체부(1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 6 바퀴(121f)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바퀴(121f)와 제 2 회전부(122b)는 기어에 의해 치합될 수 있다. 제 6 바퀴(121f)와 제 2 회전부(122b)가 치합됨으로써 제 2 회전부(122b)는 제 6 바퀴(121f)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6 바퀴(121f)는 체인에 의해 제 5 바퀴(121e)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회전부(122b)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제 6 바퀴(121f)와 상기 체인에 의해 연결된 제 5 바퀴(121e)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하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3을 참고 하면,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고정자의 웨지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130)를 포함한다. 해머부(13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결합홀(111)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해머부(130)는 결합홀(111)에 설치될 수 있다. 해머부(130)는 일측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결합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해머부(130)는 타격셀(131)을 포함한다. 타격셀(131)은 강도가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셀(131)은 상기 웨지의 표면을 가격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해머부(130)는 타격셀 이동부(132)를 포함한다. 타격셀 이동부(132)는 타격셀(13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타격셀 이동부(132)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셀 이동부(132)는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타격셀(13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타격셀(131)은 타격셀 이동부(13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부(130)는 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140)를 포함한다. 진동 측정부(14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측정부(140)는 해머부(13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측정부(140)는 진동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센서(141)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진동센서(141)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진동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측정부(141)는 센서 이동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이동부(142)는 진동센서(14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센서 이동부(14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와 상기 진동센서(141)는 치합될 수 있다. 센서 이동부(142)는 상기 회전력을 진동센서(141)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센서(141)는 센서 이동부(14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센서 이동부(142)는 진동센서(141)를 몸체부(110)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진동센서(141)는 센서 이동부(142)에 의해 상기 웨지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센서(141)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조임 측정부(150)를 포함한다.(도 1참고) 조임 측정부(150)는 진동 측정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진동 측정부(140)의 진동센서(141)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진동센서(141)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진동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진동 값을 근거로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조임 측정부(15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자는 조임 측정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웨지를 점검할 수 있다.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컨트롤부(160)를 포함한다.(도 1참고) 컨트롤부(160)는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회전부(122), 타격셀 이동부(132) 및 센서 이동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회전부(122)에 연결되어 회전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제 1 회전부(122a) 및 제 2 회전부(122b)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160)가 제 1 회전부(122a) 및 제 2 회전부(122b)의 회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이동되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부(160)가 제 1 회전부(122a) 및 제 2 회전부(122b)의 회전력을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60)가 제 1 회전부(122a) 및 제 2 회전부(122b)의 회전력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타격셀 이동부(132)에 연결되어 타격셀 이동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타격셀 이동부(132)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타격셀 이동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격셀 이동부(132)는 타격셀(131)을 선택적으로 몸체부(110)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센서 이동부(142)에 연결되어 센서 이동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센서 이동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이동부(142)는 진동센서(141)를 선택적으로 몸체부(110)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카메라부(170)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부(170)는 몸체부(110)의 앞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가 이동되는 동안 카메라부(170)는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컨트롤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촬영된 화면을 컨트롤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부(160)는 별도의 모니터부(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는 카메라부(17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카메라부(17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상기 모니터부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웨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18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해머부(13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상기 고정자에 삽입됨으로써 몸체부(110)가 이동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자는 권선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상기 웨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지는 상기 고정자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들어가도록 상기 삽입홈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자는 표면이 요철(凹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상기 고정자의 인입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80)는 몸체부(110)가 이동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가 상기 고정자의 측면을 이동되는 경우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가 상기 고정자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제 1 가이드부(181)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부(181)는 이동가능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181)는 상기 고정자의 인입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제 2 가이드부(182)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부(182)는 이동가능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182)는 제 1 가이드부(18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182)는 상기 고정자의 인입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폭조절나사(183)를 포함한다.(도 1참고) 폭조절나사(183)의 일측은 제 1 가이드부(181)에 치합될 수 있다. 폭조절나사(183)의 타측은 제 2 가이드부(182)에 치합될 수 있다.
폭조절나사(183)를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1 가이드부(181)와 제 2 가이드부(18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조절나사(18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 1 가이드부(181)와 제 2 가이드부(182)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폭조절나사(18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1 가이드부(181)와 제 2 가이드부(182)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80)는 상기 고정자의 인입된 부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 하면,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웨지에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컨트롤부(160)를 사용함으로써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를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웨지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컨트롤부(160)에 기 설정된 별도의 알고리즘 또는 작업순서도에 의해 발전기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가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웨지에 도착하면 진동센서(141)가 센서 이동부(142)에 의해 몸체부(110)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웨지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 하면, 진동센서(141)가 상기 웨지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해머부(130)의 타격셀(131)이 몸체부(110)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웨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웨지는 해머부(13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진동센서(141)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 값을 조임 측정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진동센서(141)는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주파수로 출력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웨지의 조임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141)에서 출력되는 상기 주파수는 상기 웨지가 단단하게 조여져 있을수록 최대 진폭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조임 측정부(150)는 상기 주파수의 최대 진폭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웨지의 조임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웨지의 조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100: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110: 몸체부
120: 이동부
130: 해머부
140: 진동 측정부
150: 조임 측정부
160: 컨트롤부
170: 카메라부
180: 가이드부

Claims (10)

  1. 발전기의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의 웨지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와,
    상기 몸체부의에 설치되며 상기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진동 값을 출력하는 진동 측정부와,
    상기 진동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 값을 전달받고 상기 진동 값을 근거로 상기 웨지의 조임 상태를 측정하는 조임 측정부를 포함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발전기의 고정지 웨지 점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소정부분은 자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는,
    상기 고정자 웨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는 타격셀과,
    상기 타격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격셀 이동부를 구비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격셀 이동부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측정부는,
    상기 고정자 웨지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부를 구비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를 더 구비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KR1020110066566A 2011-07-05 2011-07-05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KR20130005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66A KR20130005156A (ko) 2011-07-05 2011-07-05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66A KR20130005156A (ko) 2011-07-05 2011-07-05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56A true KR20130005156A (ko) 2013-01-15

Family

ID=4783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66A KR20130005156A (ko) 2011-07-05 2011-07-05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1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140A (ko) * 2017-01-23 2019-08-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의 웨지 이완 검사 장치
WO2019182200A1 (ko) * 2018-03-21 2019-09-26 한국전력공사 체결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 강도 검사 시스템
KR20210006731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전력공사 고정자의 웨지체결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20210034171A (ko) 2019-09-20 2021-03-30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고정자의 웨지 체결 강도 진단 방법
CN113924484A (zh) * 2019-06-14 2022-01-11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装置、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系统及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140A (ko) * 2017-01-23 2019-08-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의 웨지 이완 검사 장치
WO2019182200A1 (ko) * 2018-03-21 2019-09-26 한국전력공사 체결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 강도 검사 시스템
CN113924484A (zh) * 2019-06-14 2022-01-11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装置、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系统及旋转电机楔块松动检查方法
EP3971565A4 (en) * 2019-06-14 2022-05-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LATHE KEY LOOSENESS CHECKING DEVICE, ELECTRIC LATHE KEY LOOSENESS INSPECTION SYSTEM, AND ELECTRIC LATHE KEY LOOSENESS INSPECTION METHOD
KR20210006731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전력공사 고정자의 웨지체결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20210034171A (ko) 2019-09-20 2021-03-30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고정자의 웨지 체결 강도 진단 방법
KR20210113121A (ko) 2019-09-20 2021-09-15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고정자의 웨지 체결 강도 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156A (ko) 발전기의 고정자 웨지 점검장치
US7743675B2 (en) Apparatus for impact testing for electric generator stator wedge tightness
US52953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act testing for electric generator stator wedge tightness
JP2936005B2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エッジの衝撃試験装置
US10222351B2 (en) Wire rope inspection apparatus
CA2024443C (en) Prober for testing generator stator wedge tightness with rotor in place
CN104880248B (zh) 一种电机结构噪声激励源的贡献量定量识别方法
CN109318181A (zh) 冲击工具
DE202004015141U1 (de) Bodenverdichter
CN104913894A (zh) 管道防甩装置水平冲击试验方法及设备
JP6869499B2 (ja) 変圧器内部異常および劣化の診断方法と診断装置
KR20160037494A (ko) 콘크리트 전주 손상 진단장치
KR101937309B1 (ko) 지중 경사계 시스템
EP3572784B1 (en) Wedge loosening inspection device for dynamo-electric machine
CN109073602A (zh) 旋转电机的槽楔敲击装置及旋转电机的槽楔检查系统
JP4542957B2 (ja) 電気機器の積層鉄板鉄心のゆるみ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6338760B1 (ja) ピーニング較正ユニット、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システム
KR101302671B1 (ko) 풍력 발전기의 요 드라이브 및 피치 드라이브 내구성 수명 시험기
JP2010071748A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の損傷検知方法
JP3215768U (ja) インパクト工具
EP310295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windungsschlüssen sowie elektrische maschine
JP5368491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の出力確認方法及び出力確認装置
KR200410496Y1 (ko) 발전기 공극 측정장치
KR102020189B1 (ko) 체결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 강도 검사 시스템
KR101187737B1 (ko) 이동식 대차헌팅센서 시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