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459A -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459A
KR20110047459A KR1020090104093A KR20090104093A KR20110047459A KR 20110047459 A KR20110047459 A KR 20110047459A KR 1020090104093 A KR1020090104093 A KR 1020090104093A KR 20090104093 A KR20090104093 A KR 20090104093A KR 20110047459 A KR20110047459 A KR 20110047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bracket
sensor support
lo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905B1 (ko
Inventor
윤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09010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웹(web)과, 상기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flange) 및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제1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일측에는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제2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웹과 플랜지를 구비한 간단한 구조를 하기 때문에 센서 지지 브라켓으로 사용하기 경제적이다. 또한, 장공과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이 플랜지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조절볼트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간 굴절이 가능하므로 차체 부품에 부착된 부착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센서, 지지 브라켓, 웹, 플랜지, 장공, 삽입홀, 고정홀

Description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Bracket for supporting sensor and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부품에 부착된 부착물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체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피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체 부품(P)을 제작하고, 그 차체 부품(P) 상의 필요한 위치에 볼트, 너트 등의 부착물(N)을 용접한다. 그 후 볼트, 너트 등의 부착물(N)이 용접된 복수의 차체 부품(P)끼리도 서로 용접한다. 그러고 나서, 용접된 차체 부품들(P)에 도장공정 등을 실시함으로써 깔끔한 외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즉, 도장공정 이전에 용접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복수의 차체 부품(P)끼리 용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차체 부품들(P)에 부착물(N)이 잘 부착되었는지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차체 부품들(P)은 지지대(B)와 브라켓(B1, B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브라켓('지그'라고도 한다)(B1)은 지지 대(B) 상에 배치된다. 지지 브라켓(B1)의 상부에는 차체 부품(P)에 부착된 부착물(N)이 정확하게 배치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부착물(N)의 해당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S)가 필요하다. 근접 센서(S)는 지지 브라켓(B1)에서 연장된 연장 브라켓(B2)에 고정된다. 도 1에는 지지 브라켓(B1)이 4개만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 및 형상은 차체 부품(P)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브라켓(B2)은 일반적으로 지지 브라켓(B1)의 일측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한다. 연장 브라켓(B2)은 체결부재의 너트를 풀어서 지지 브라켓(B1)에 대해 지지 브라켓(B2) 상에서 약간의 상하방향 회전은 가능하지만, 차체 부품(P)의 형상과 볼트, 너트 등의 부착물(N)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일정 범위 이상 달라지게 되면 지지 브라켓을 다시 사용할 수 없다. 만일 본래의 지지 브라켓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지 브라켓(B1)과 연장 브라켓(B2)을 해체하여 다시 용접 등을 통해 재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면에서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체 부품에 부착된 부착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은 웹(web)과, 상기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flange) 및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조절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웹에는, 센서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는 제1 웹과, 상기 제1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센서 지지 브라켓; 제2 웹과, 상기 제2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3 플랜지와 제4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4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센서 지지 브라켓;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삽입홀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플랜지의 삽입홀은,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에 삽입된 후, 상기 너트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4 플랜지의 반대측에서 상기 볼트와 결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웹 및 상기 제2 웹에는, 센서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이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3 웹과, 상기 제3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5 플랜 지와 제6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5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6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3 센서 지지 브라켓;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6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3 플랜지의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6 플랜지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에 따르면,
첫째, 웹과 플랜지를 구비한 간단한 구조를 하기 때문에 센서 지지 브라켓으로 사용하기 경제적이다.
둘째, 장공과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이 플랜지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조절볼트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간 굴절이 가능하므로 차체 부품에 부착된 부착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셋째, 차체 부품의 형상과 볼트, 너트 등 부착물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일정 범위 이상 달라져도 센서 지지 브라켓 간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므로 재활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지지 브라켓(20)은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웹(web)(21), 제1 플랜지(flange)(22), 그리고 제2 플랜지(23)를 구비한다. 제1 플랜지(22)와 제2 플랜지(23)는 웹(21)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된다.
제1 플랜지(22)에는 길다란 장공(22a)이 형성되고, 그 장공(22a)의 일측에는 삽입홀(22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장공(22a)의 길이방향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2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23a)이 형성된다. 제1 플랜지(22)의 삽입홀(22b)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웹(21)에는 센서(S)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1)는 장공(22a)에 삽입되어 장공(22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 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조절볼트(32)는 삽입홀(32b)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센서 지지 브라켓(20)은 웹(21)과 플랜지(22, 23)를 구비한 간단한 구조를 하기 때문에 지지 브라켓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경제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AS)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AS)는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 슬라이딩부재(310) 및 조절볼트(320, 330)를 포함한다.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제1 웹(110)과, 제1 웹(11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120)와 제2 플랜지(130)를 구비한다. 제1 플랜지(120)에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장공(121)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122a, 123a)이 형성된 삽입홀(122, 12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2 플랜지(130)에는 고정홀(13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제2 웹(210)과, 제2 웹(21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3 플랜지(220)와 제4 플랜지(230)를 구비한다. 제3 플랜지(220)에는 장공(221)이 형성되고, 장공(221)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222a, 223a)이 형성된 삽입홀(222, 22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4 플랜지(230)에는 고정홀(231)이 형성된다.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의 제1 웹(110), 제1 플랜지(120), 제2 플랜지(130)의 형상 및 치수는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의 제1 웹(210), 제1 플랜지(220), 제2 플랜지(230)의 형상 및 치수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장공(121, 221)의 길이 방향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웹(110) 및 제2 웹(210)에는 센서(S)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110a, 210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센서고정홀(110a, 210a)은 제1 웹(110) 및 제2 웹(210) 자체에도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웹(110) 및 제2 웹(21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11, 21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120)의 삽입홀(122, 123)은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다. 마찬가지로, 제3 플랜지(220)의 삽입홀(222, 223) 역시 제3 플랜지(220)의 장공(221)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된다. 물론 삽입홀(122, 123, 222, 22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플랜지(130)의 고정홀(131)과 제4 플랜지(230)의 고정홀(231)도 장공의 형상일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재(3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과 제4 플랜지(230)의 고정홀(231)에 삽입 고정되어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310)는 볼트(310a) 및 너트(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제4 플랜지(230)의 고정홀(231)은 내면에 나사산(231a)이 형성되며, 볼트(310a)는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에 삽입된 후, 너트(310b)와 결합하고, 다시 제4 플랜지(230)의 고정홀(231)의 나사산(231a)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만약 너트(130b)를 보이지 않게 숨기려면, 제1 플랜지(120) 또는/및 제4 플랜지(230)에 너트가 삽입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그 안에 너트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또는, 슬라이딩부재(310)는 볼트(310c) 및 너트(31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310c)는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과 제4 플랜지(230)의 고정홀(231)에 삽입되고, 너트(310d)는 제4 플랜지(230)의 반대측에서 볼트(310c)와 결합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부재(310)는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을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조절볼트(320, 330)는 제1 플랜지(120)의 삽입홀(122, 123)의 나사산(122a, 123a)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제1 플랜지(120)와 제4 플랜지(23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 슬라이딩부재(310), 조절볼트(320, 330)의 작용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슬라이딩 및 회전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굴절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지지 브라켓들(100, 200)은 앞서 설명한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과 슬라이딩부재(310)에 의해 플랜지(120, 230)의 평면 방향(A)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310)에 의해 축방향 회전(R1)이 상대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조절볼트(320, 330)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100, 200)간 굴절이 가능하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조절볼트(320)의 노출길이(d1)를 다른 조절볼트(330)의 노출길이(d2)보다 길게 하면,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이 각도 θ만큼 굴절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절볼트(320)의 노출길이(d1)를 다른 조절볼트(330)의 노출길이(d2)보다 짧게 하면,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이 반대방향으로 굴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및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AS)는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 이외에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도 9에는 편의상 제2 및 제3 센서 지지 브라켓만을 도시하였다). 즉,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AS)는 센서 지지 브라켓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더 가 감할 수 있다.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은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과 마찬가지로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제3 웹(310)과, 제3 웹(31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5 플랜지(320)와 제6 플랜지(330)를 구비한다.
제5 플랜지(320)에는 장공(321)이 형성되고, 장공(321)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322a, 323a)이 형성된 삽입홀(322, 323)이 형성되며, 제6 플랜지(330)에는 고정홀(331)이 형성된다.
여기서도,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과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을 연결하는 슬라이딩부재(410)와 조절볼트(420, 430)가 마련된다.
슬라이딩부재(410)는 제3 플랜지(220)의 장공(221)과 제6 플랜지(330)의 고정홀(331)에 삽입 고정되어 제3 플랜지(220)의 장공(2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조절볼트(420, 430)는 제3 플랜지(220)의 삽입홀(222, 223)의 나사산(222a, 223a)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제3 플랜지(220)와 제6 플랜지(33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410)와 조절볼트(420, 430)는 앞서 설명한 슬라이딩부재(310)와 조절볼트(320, 330)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 슬라이딩부재(310, 410), 조절볼트(320, 330, 420, 430)의 작용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제1,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슬라이딩 및 회전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제1,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굴절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제2 센서 지지 브라켓(100, 200)은 앞서 설명한 제1 플랜지(120)의 장공(121)과 슬라이딩부재(310)에 의해 플랜지(120, 230)의 평면 방향(A)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310)에 의해 축방향 회전(R1)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200, 300)은 앞서 설명한 제3 플랜지(220)의 장공(221)과 슬라이딩부재(410)에 의해 플랜지(220, 330)의 평면 방향(B)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410)에 의해 축방향 회전(R2)이 상대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조절볼트(320, 330, 420, 430)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100, 200, 300)간 굴절이 가능하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볼트(330)의 노출길이를 다른 조절볼트(320)의 노출길이보다 길게 하면,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이 각도 θ1만큼 굴절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절볼트(330)의 노출길이를 다른 조절볼트(320)의 노출길이보다 짧게 하면, 제1 센서 지지 브라켓(100)과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이 반대방향으로 굴절된다.
마찬가지로, 조절볼트(420)의 노출길이를 다른 조절볼트(430)의 노출길이보다 길게 하면,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과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이 각도 θ2만큼 굴절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절볼트(420)의 노출길이를 다른 조절볼트의 노출길이보다 짧게 하면, 제2 센서 지지 브라켓(200)과 제3 센서 지지 브라켓(300)이 반대방향으로 굴절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공(121, 221)과 슬라이딩부재(310, 410)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100, 200, 300)이 플랜지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슬라이딩부재(310, 410)에 의해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조절볼트(320, 330, 420, 430)에 의해 센서 지지 브라켓들(100, 200, 300)간 굴절이 가능하므로 차체 부품에 부착된 부착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 및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의 형상과 볼트, 너트 등 부착물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일정 범위 이상 달라져도 센서 지지 브라켓(100, 200, 300) 간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므로 재활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차체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슬라이딩 및 회전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 지지 브라켓의 굴절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및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제1,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슬라이딩 및 회전 개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제1,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의 굴절 개 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S...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100, 200, 300...제1, 제2, 제3 센서 지지 브라켓
110, 210, 310...제1, 제2, 제3 웹
120, 220, 320...제1, 제3, 제5 플랜지
130, 230, 330...제2, 제4, 제6 플랜지
310, 410...슬라이딩 부재
320, 330, 420, 430...조절볼트

Claims (9)

  1. 웹(web)과, 상기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flange) 및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센서 지지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조절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에는,
    센서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 브 라켓.
  4. 제1 웹과, 상기 제1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1 센서 지지 브라켓;
    제2 웹과, 상기 제2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3 플랜지와 제4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4 플랜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센서 지지 브라켓;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삽입홀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플랜지의 삽입홀은,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에 삽입된 후, 상기 너트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4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4 플랜지의 반대측에서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웹 및 상기 제2 웹에는,
    센서가 삽입되는 센서고정홀이 각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지 지 브라켓 조립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제3 웹과, 상기 제3 웹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5 플랜지와 제6 플랜지를 구비하는 ㄷ자 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5 플랜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6 플랜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제3 센서 지지 브라켓;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과 상기 제6 플랜지의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3 플랜지의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3 플랜지의 삽입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6 플랜지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센서 지지 브라켓 조립체.
KR1020090104093A 2009-10-30 2009-10-30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KR10106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93A KR101061905B1 (ko) 2009-10-30 2009-10-30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93A KR101061905B1 (ko) 2009-10-30 2009-10-30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459A true KR20110047459A (ko) 2011-05-09
KR101061905B1 KR101061905B1 (ko) 2011-09-02

Family

ID=4423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93A KR101061905B1 (ko) 2009-10-30 2009-10-30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9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2073A1 (en) * 2012-11-26 2014-05-30 Thorlabs, Inc. Bi-stable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shutter
CN109630826A (zh) * 2019-01-31 2019-04-16 河北工业大学 一种可以调节位置的传感器支撑架
KR20190002855U (ko) * 2018-05-08 2019-11-18 김수정 저항모듈용 케이스의 브라켓 구조
US20200108511A1 (en) * 2018-10-05 2020-04-09 Fanuc Corporation Sensor bracket and robot system
KR20220103663A (ko) * 2022-07-05 2022-07-22 김상은 자동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WO2022261178A1 (en) * 2021-06-09 2022-12-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lamp for laser level det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80B1 (ko) 2015-09-25 2022-02-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와이어링 브라켓
KR102474918B1 (ko) 2022-10-07 2022-12-0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배플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2073A1 (en) * 2012-11-26 2014-05-30 Thorlabs, Inc. Bi-stable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shutter
US9671676B2 (en) 2012-11-26 2017-06-06 Thorlabs, Inc. Bi-stable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shutter
KR20190002855U (ko) * 2018-05-08 2019-11-18 김수정 저항모듈용 케이스의 브라켓 구조
US20200108511A1 (en) * 2018-10-05 2020-04-09 Fanuc Corporation Sensor bracket and robot system
US11685063B2 (en) * 2018-10-05 2023-06-27 Fanuc Corporation Sensor bracket and robot system
CN109630826A (zh) * 2019-01-31 2019-04-16 河北工业大学 一种可以调节位置的传感器支撑架
CN109630826B (zh) * 2019-01-31 2023-08-18 河北工业大学 一种可以调节位置的传感器支撑架
WO2022261178A1 (en) * 2021-06-09 2022-12-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lamp for laser level detector
KR20220103663A (ko) * 2022-07-05 2022-07-22 김상은 자동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905B1 (ko) 201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905B1 (ko) 센서 지지 브라켓 및 그 조립체
EP2682616B1 (en) Bracket with nut
CN109629934A (zh) 具有外手柄单元的车门及用于装配外手柄单元的方法
KR102433164B1 (ko)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행거
CN101403468B (zh) 支承零件
US9351572B2 (en) Bathroom shelf assembly and bathroom shelf having the same
US20050110917A1 (en) Liquid-crystal modul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6341697B2 (ja) つば付き締結部材を有する樹脂部材
US9220340B2 (en) Bathroom shelf assembly and bathroom shelf having the same
KR20150054131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타이 로드 결합 구조
KR20130123429A (ko) 끼워맞춤 보조 지그
JP2007309045A (ja) 手摺材の連結構造
KR200442885Y1 (ko) 에이치 빔 보강 부재
JP2009030266A (ja) 壁パネル取付構造
KR200398323Y1 (ko) 사각파이프와 사각파이프의 결합구조
EP3470593B1 (en) A system of a profile and a t-connector for connecting profiles
KR20140025344A (ko) 스트립 렌즈용 조정가능한 렌즈 마운트
EP2110484A1 (en) Modular structure for outdoor use
JP5096350B2 (ja) 繊維機械におけるドラフト機構の配置構造
JP2007279123A (ja) レンズ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JP2008087686A (ja) ステアリングギア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6406874B2 (ja) 板材の螺子締結構造
AU2004282983B2 (en) Curtain rod with tensioning device
US20190113157A1 (en) Reinforcement element for the securing of a mixing valve to a mounting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