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104A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104A
KR20110047104A KR1020100018526A KR20100018526A KR20110047104A KR 20110047104 A KR20110047104 A KR 20110047104A KR 1020100018526 A KR1020100018526 A KR 1020100018526A KR 20100018526 A KR20100018526 A KR 20100018526A KR 20110047104 A KR20110047104 A KR 20110047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runway
sprinkler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5349B1 (ko
Inventor
김춘산
Original Assignee
김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산 filed Critical 김춘산
Priority to KR102010001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49B1/ko
Priority to US12/681,889 priority patent/US8348175B2/en
Priority to PCT/KR2010/001719 priority patent/WO2011052857A1/ko
Publication of KR2011004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03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details of the sens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의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의 활주로 주변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개발생시나 발생우려가 있을 경우, 물을 토출시켜 활주로, 유도로, GSE(서비스 도로) 주변의 안개 발생 방지나 발생된 안개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방지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매설된 물탱크(10); 상기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20);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30);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40); 활주로의 양측과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및 활주로 주변의 대기를 향해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링클러(50); 및 상기 물탱크 온도센서로부터 물탱크의 수온이 입력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 히터, 냉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og of runway using sprinkler}
본 발명은 공항의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의 활주로 주변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개발생시나 발생우려가 있을 경우, 물을 토출시켜 활주로, 유도로, GSE(서비스 도로) 주변의 안개 발생 방지나 발생된 안개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방지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 안개가 발생되면, 항공기의 결항이 잦아지면서 공항이용 승객과 화물의 항공운송의 시간적 지연으로 인한 업무의 비능률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착륙지연으로 인한 공항 상공에서 선회에 따른 항공기의 유류의 소비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충분한 시계를 확보하지 못하여 비행기가 위험에 노출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습적으로 안개가 발생하는 활주로에서의 안개 발생을 방지하거나 발생된 안개를 제거하는 장치나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그 예로서, 국내특허출원 제10-2001-0041660호로 제안된 "안개제거시스템"와,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4033호로 제안된 "압축공기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방지 및 제거장치"가 있다.
이중, 전자는 안개제거시스템은 안개지역에 질소와 산소액체를 증발시켜 안개속의 수분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건조한 고온의 질소가스와 산소가스를 노즐을 통해 안개지역에 분사시켜 분리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안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후자는 활주로 주변에 공기압축실을 두고 에어파이프를 통하여 활주로 주변에 설치한 수직방출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소정의 난류를 발생시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국내특허공개제10-2003-0006097호(2003.01.23) 등록실용신안제20-0243412호(2001.10.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국부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으나,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되는 안개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의 가스나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분사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이 요구되므로 현실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범위한 지역에 발생되는 안개를 에너지나 비용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는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매설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활주로의 양측과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및 활주로 주변의 대기를 향해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링클러; 및 상기 물탱크 온도센서로부터 물탱크의 수온이 입력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 히터, 냉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여 안개를 제거하므로 광범위한 지역에 발생되는 안개를 에너지나 비용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자동 수위조절부재가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자동 수위조절부재가 물탱크 내부위 수위가 높아지면서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는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매설된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20)와, 상기 물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30)와, 상기 물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40)와, 활주로의 양측과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및 활주로 주변의 대기를 향해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링클러(50)와, 상기 물탱크 온도센서(20)로부터 물탱크(10)의 수온이 입력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50), 히터(30) 및 냉각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사냉각에 의한 지면근처에 있는 공기가 이슬점 아래로 냉각되어 발생하는 경우(복사안개)와, 온난 다습한 공기가 찬 지면으로 이류하는 경우(이류안개)에 안개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으로서, 항공기상예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표되는 예상온도와 이슬점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기가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활주로 주변의 대기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이거나, 활주로나 활주로 주변으로 이류하는 고온다습한 공기의 영향권에 들지 않도록 활주로 주변의 대기온도를 인위적으로 낮추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10)는 항공기 이착륙에 위험요소가 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매장된다. 특히 활주로의 주변이 주로 넓은 녹지대인 것을 감안할 때, 상기 물탱크(10)는 이 녹지대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1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입수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수구(11)는 활주로 주변에 설치된 집수로와 연결되어 집수로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나 낙숫물을 비롯하여 지하수나 수돗물 등이 자연스럽게 물탱크(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집수로와 연결된 별도의 물공급관(12)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10)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상기 집수로측 단부에는 필터(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집수로측으로 유입되는 물들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거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13)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0)의 바닥에는 활주로 주변에 설치된 배수로와 연결된 제1물배출관(14)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물배출관(14)을 통해 물탱크(10)에 물이 가득차거나 물탱크(10)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폐수를 배수로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탱크(10)는 단열재 커버에 의해 감싸져 히터(30)나 냉각기(40)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 물탱크(10)의 수온이 외부로 전도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10)의 내부에는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물탱크 온도센서(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30)와,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30)와 냉각기(40)는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통상의 히터(30)와 냉각기(40)이다.
스프링클러(50)는 활주로의 양측과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및 활주로 주변의 대기를 향해 물을 분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프링클러(50)는 물탱크(10)와 연결된 스프링클러관(51)과 상기 스프링클러관(51)에 연결된 모터펌프(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0)에는 제어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온도센서(20)로부터 물탱크(10)의 수온을 입력받게 되며, 지상의 관제탑이나 기타 관리부서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유/무선을 통해 입력받아 스프링클러(50), 히터(30), 냉각기(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는 물탱크(10)와 함께 지하에 매설될 수도 있으며 외부조작 및 원활한 원격 송수신을 위해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60)가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 관리자는 상기 히터(30)와 냉각기(4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온도센서(20)와 연결된 온도표시장치와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셋팅 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히터(30)와 냉각기(40)에 연결되어 셋팅되어지는 온도에 맞추어 히터(30)와 냉각기(4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관리자는 온도표시장치에서 알려주는 현재의 수온을 파악한 다음 온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온도를 셋팅하여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수온을 셋팅된 온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로 입력되는 작동신호는 목표온도 제어신호와 스프링클러 작동중지신호로 이루어진다.
만일 수신받은 작동신호가 목표온도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물탱크(10)의 수온이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터(30) 또는 냉각기(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물탱크(10)의 수온이 수신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스프링클러(5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수신받은 작동신호가 스프링클러 작동중지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스프링클러(50)와 히터(30) 또는 냉각기(40)의 동작이 동시에 중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부동액이나 염화칼슘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물탱크(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7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70)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뚜껑(71)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절기에 상기 투입구(70)를 통해 부동액이나 염화칼슘을 투입하면 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쉽게 얼지 않게 됨은 물론 스프링클러(50)를 통해 분사된 물도 쉽게 얼지 않게 된다.
미설명부호 15는 상기 물공급관(12)에 설치되어 물탱크(10)에 일정수위 이상으로 물이 채워진 경우 물공급관(12)을 폐쇄하도록 제어부(60)나 외부에서 동작제어가 가능한 밸브이며, 미설명부호 14a는 물탱크(10)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 물이 저장되면 자동으로 배수로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물배출관(14) 또는 배수로와 연결된 제2물배출관(14a)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10)의 내부에는 물탱크(10)의 수위변화에 따라 입수구(11)를 개폐하여 물탱크(10)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 자동조절부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자동조절부재(80)는 물탱크(10)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86)와, 상기 지지대(86)에 회동가능하게 매달린 "L" 자형 회동지지대(87)와, 상기 회동지지대(87)의 단부에 고정되어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정도를 달리하면서 상기 회동지지대(87)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부구(83)와, 상기 회동지지대(87)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견인바(88)와, 상기 견인바(88)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물공급관(1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부구(83)가 상승함에 따라 입수구(11)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견인바(88)에 이끌려 입수구(11)측으로 이동하는 개폐볼(89)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부구(83)에는 중량체(M)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체(M)는 부구(83)가 하강하여 견인바(88)가 입수구(11)측으로 이동될 때 입수구(11)를 막고 있던 개폐볼(89)을 입수구(11)의 반대측으로 강하게 밀어내도록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M)는 물공급관(12)를 통해 입수구(11)측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압에 의해 개폐볼(89)이 다시 유입구(11)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물탱크(10)의 수위가 일정수위보다 낮아질 때 입수구(11)를 확실하게 개방시켜주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폐볼(89)의 표면에는 입수구(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수구(11)를 통해 물탱크(10)의 내부로 더 이상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입수구(11)와 접촉되는 수밀유지용 러버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위 자동조절부재(80)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입수구를 통해 물탱크(1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부구(83)가 상승하면서 지지대(86)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지지대(8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개폐볼(89)이 견인바(88)에 이끌려 입수구(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부구(83)가 완전히 상승하면서 개폐볼(89)이 입수구(11)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물탱크(10)의 수위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며, 물탱크(10)의 수위가 다시 하강할 때까지 물탱크(10) 내부로의 유입수의 유입은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위 자동조절부재(80)와 밸브(15)와 제2물배출관(14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6은 상기 제1물배출관(14)에 설치되어 물탱크(10)를 청소할 때와 같이 물탱크(10) 내부의 물을 인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60)나 외부에서 동작제어가 가능한 밸브이다. 상기 밸브들(15,16)은 물공급관(12)과 제1물배출관(14)이 지하에 매설되는 것을 고려할 때 전자밸브가 적당하다.
또한, 겨울철 스프링클러관(51)의 동파방지를 위하여 상기 스프링클러관(51)에 열선(90)이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90)은 외부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제어부와 연결된 온도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스프링클러관(51)의 온도정보를 입력받아 스프링클러관(51)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판단하면 스프링클러관(51)이 특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열선(9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선(90)은 스프링클러관(51) 이외에 제1물배출관(14), 제2물배출관(14a) 및 물공급관(12) 등 동파가능성이 있는 모든 관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50)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는 관제탑이나 기타 관리부서에서 활주로에 안개가 발생된 경우나 발생될 것으로 예상될 때, 제어부(60)로 유/무선을 통해 작동신호를 보낸다. 이때의 작동신호는 목표온도 제어신호로서, 관제탑이나 기타 관리부서에서는 기상대에서 알려주는 기상예보를 파악하여 안개를 없애기 위하여 대기중에 분사되어야 할 온도를 목표온도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목표온도는 복사안개인 경우에는 예보온도보다 5℃ 이상 높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표온도는 이류안개인 경우 이류된 공기보다 5℃ 이상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60)는 물탱크(10)의 수온이 수신된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30) 또는 냉각기(4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온도센서(20)로부터 물탱크(10)의 수온이 수신된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프링클러(50)를 동작시킨다.
활주로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클러(50a)들은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에 물을 분사시켜 활주로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활주로에서의 안개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더 이상의 안개 생성을 막는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클러(50)로부터 분사된 물은 안개에 포함된 물분자와 결합한 상태로 바닥에 낙하함으로써 활주로에 이미 생생된 안개를 제거해 준다. 즉, 제어부(60)는 이류안개가 발생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냉각기(40)를 작동시켜 대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스프링클러(5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복사안개가 발생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히터(30)를 작동시켜 대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물이 스프링클러(5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활주로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클러(50a)들과 마찬가지로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50b)들은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활주로 주변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서의 안개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이미 생성된 안개의 확산을 막는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클러(50)로부터 분사된 물은 안개에 포함된 물분자와 결합한 상태로 바닥에 낙하함으로써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이미 생생된 안개를 제거해 준다. 이때,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50b)들은 보다 넓은 지역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전방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클러(50)의 작동으로 안개가 제거되면, 관제탑이나 기타 관리부서에서 스프링클러(50) 작동중지 신호를 제어부(60)로 보내고 이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60)는 스프링클러(50)와 히터(30) 또는 냉각기(40)의 동작을 동시에 중지시킨다.
한편, 스프링클러(50)를 통해 분사된 물들은 활주로 주변의 집수로에 모여지고 다시 물공급관(12)을 따라 물탱크(10)의 입수구(11)를 통해 물탱크(10)로 회수된다. 이때, 회수된 물은 물공급관(12)에 설치된 필터(13)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회수된다. 관리자는 이 필터(13)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해 준다. 따라서, 스프링클러(50)에서 분사된 물이 낙하하여 집수로를 따라 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급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물탱크(10) 내에는 항상 일정수위의 물이 채워지게 된다.
만일 일정수위 이상으로 물탱크(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수위 자동조절부재(80)나 제2물배출관(14a)을 통해 자동적으로 물탱크(10)의 수위가 조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밸브(15,16)를 통해 인위적으로 물탱크(10)의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물탱크 11...입수구
12...물공급관 13...필터
14...제1물배출관 14a...제2물배출관
15,16...밸브 20...물탱크 온도센서
30...히터 40...냉각기
50...스프링클러 60...제어부
70...투입구 71...뚜껑
80...수위 자동조절부재 86...지지바
87...회동지지대 88...견인바
89...개폐볼 90...열선

Claims (10)

  1.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매설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활주로의 양측과 활주로 주변의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활주로 및 활주로 주변의 대기를 향해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링클러; 및
    상기 물탱크 온도센서로부터 물탱크의 수온이 입력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 히터, 냉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활주로 주변에 설치된 집수로와 연결된 입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로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로와 입수구를 연결하는 물공급관의 집수로측 단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바닥에는 활주로 주변에 설치된 배수로와 연결된 제1물배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목표온도 제어신호와 스프링클러 작동중지신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받은 작동신호가 목표온도 제어신호인 경우에 물탱크의 수온이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터 또는 냉각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물탱크의 수온이 수신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고,
    수신받은 작동신호가 스프링클러 작동중지 신호인 경우에 스프링클러와 히터 또는 냉각기의 동작이 동시에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부동액이나 염화칼슘 등과 같은 기능성물질들을 물탱크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뚜껑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는 물탱크의 수위변화에 따라 입수구를 개폐하여 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 자동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자동조절부재는
    물탱크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매달린 "L" 자형 회동지지대와, 상기 회동지지대의 단부에 고정되어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정도를 달리하면서 상기 회동지지대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에 매달린 중량체와, 상기 회동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된 견인바와, 상기 견인바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물공급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부구가 상승함에 따라 입수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견인바에 이끌려 입수구측으로 이동하는 개폐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관에는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이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KR1020100018526A 2009-10-29 2010-03-02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KR10120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26A KR101205349B1 (ko) 2009-10-29 2010-03-02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US12/681,889 US8348175B2 (en) 2009-10-29 2010-03-19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og at runway using sprinklers
PCT/KR2010/001719 WO2011052857A1 (ko) 2009-10-29 2010-03-19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10 2009-10-29
KR1020100018526A KR101205349B1 (ko) 2009-10-29 2010-03-02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04A true KR20110047104A (ko) 2011-05-06
KR101205349B1 KR101205349B1 (ko) 2012-11-28

Family

ID=4423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526A KR101205349B1 (ko) 2009-10-29 2010-03-02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28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동양기술 가스 분사장치
KR102487300B1 (ko) * 2022-03-16 2023-01-1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정수저장수단을 갖는 부양식 분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87B1 (ko) * 2012-08-31 2014-04-08 대한민국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개 저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368B2 (ja) * 1999-02-23 2002-04-22 アース建設コンサルタント株式会社 消霧方法および消霧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28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동양기술 가스 분사장치
KR102487300B1 (ko) * 2022-03-16 2023-01-1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정수저장수단을 갖는 부양식 분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349B1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321A (en) Deicing fluid recovery system e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deicing apparatus
CN110158445B (zh) 一种基于plc控制的城市高架桥雨水综合回收利用系统
CN207277494U (zh) 一种水循环利用的自动喷淋降尘降温系统
KR102127782B1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KR101221616B1 (ko) 노면 결빙방지장치
CN108405485B (zh) 一种斜拉桥钢绞线拉索除冰防冰系统及方法
KR101205349B1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KR102069229B1 (ko)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KR101430107B1 (ko) 노즐의 잔압에 의한 물 떨어짐 방지 기능을 갖는 분무 냉각 시스템
KR102254840B1 (ko) 온라인 통합 관리형 클린로드 및 제설 시스템
WO2011052857A1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KR100885119B1 (ko) 무동력 물 뿌림 장치
JP2016089491A (ja) 散水装置
US20060204647A1 (en) De-icing system for driveways, walkways, sidewalks and other surfaces
CN109131433A (zh) 携热微砂喷射式高速列车转向架快速除积雪结冰系统及方法
CN108487166B (zh) 一种带亮化报警的固定式除雾防冰喷淋控制系统
CN205188799U (zh) 一种自动除冰系统喷嘴控制装置
CN205311631U (zh) 动车组车底转向架自动喷淋防冰液装置
CN207331598U (zh) 一种采用喷洒融雪剂的智能融雪除冰系统
CN208733559U (zh) 一种除雪除冰自动喷淋系统
KR20200142662A (ko) 가로등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및 방법
CN205875068U (zh) 一种多用途街道清理装置
KR20090129630A (ko) 열풍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 장지 장치
CN206971156U (zh) 道路洒水装置及使用该装置的道路洒水系统
KR100912341B1 (ko) 수분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해빙액 살포장치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