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210A -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210A
KR20110046210A KR1020090119838A KR20090119838A KR20110046210A KR 20110046210 A KR20110046210 A KR 20110046210A KR 1020090119838 A KR1020090119838 A KR 1020090119838A KR 20090119838 A KR20090119838 A KR 20090119838A KR 20110046210 A KR20110046210 A KR 2011004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weight
extract
herbal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792B1 (ko
Inventor
박진홍
조영인
김준한
유병혁
박주석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조용택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조효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택,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조효제 filed Critical 조용택
Priority to KR102009011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라지, 감초 및 대추의 최적 추출조건과, 생약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농축액의 최적 배합비율을 확립하는 동시에 이들을 이용하여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공정을 확립함으로써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의 당도, pH, 색도, 갈색도 및 총균수에 있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생약 추출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대추농축액, 음료

Description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herb medicine extrac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약 추출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생명과학 및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수명이 연장되어 향후 20년 이내에 평균수명이 85세 이상이 될 가능성이 크고, 2010년 이후에는 전체인구의 10~15%까지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 즉 치매, 동맥경화, 관절염 등의 퇴행성 질환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본인과 가족들에까지 경제적, 정신적인 어려움을 가져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퇴행성 질환 관련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시장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퇴행성 질환에 대한 근원적인 치료 또는 예방의약의 개발은 아 직 부족한 실정이다. 노화 및 관련 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주로 약물과 수술에만 치우쳐 있고, 예방의 차원에서 보건 기능성 식품은 거의 없다. 따라서 임상적인 측면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식품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영향성을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개념의 노화예방식품의 개발이 필요하고, 노화 예방식 및 질환예방식품의 관심은 노인계층의 증가와 더불어 증대되고 있다.
생명과학의 발달로 민간에서 사용해오던 약용 및 식용 자원에서 기능성식품 소재 및 제품개발이 추진되어 산업계에 급속도로 파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우리나라는 노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55세 이상의 경우 80%, 75세 이상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골관절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관절염은 우리나라에도 최소 60만명 이상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 세계적으로 골질환(관절염, 골다공증)관련 치료제가 가장 많이 판매가 되었음(질환별 치료제 세계시장현황, 2005).
이런 관절염과 같은 퇴행성 질환은 나이와 식습관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여러 치료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인구노령화와 서구적인 식습관으로 인해 여전히 심각한 질환으로 남아 있으며 치사율은 낮지만 운동성을 방해하고 생산성을 낮추는 등의 삶의 질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퇴행성 질환 개선 소재 발굴 및 기능성식품의 개발을 위한 생리활성물질의 효능평가 및 연구 확립은 보다 많은 기능성식품 후보물질의 실용화 및 상품화를 앞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질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식생활 등의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일어나므로 예방효과가 있는 식품을 꾸준히 섭치 함으로서 면역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생물소재에 함유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물질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노령화사회에 또 하나의 문제점은 의료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사회생활이 윤택해 질수록 노령화사회의 진입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노화로 인해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화에 관련된 원인은 스트레스, 자외선 및 프리라디칼 등의 여러 가지요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해결점은 아직 없는 상태이며 성형을 제외한 여러 가지 천연 한방소재를 이용하여 기능성을 높이는 추세에 있다. 이를 위해 기능성 소재개발, 이 소재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흡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전달시스템 소재 개발, 간편한 사용 및 디자인 개발 등으로 세계적인 상품화에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2008년 식품의약품안전청 자료에 의하면 2007년 우리나라에서 판매된 건강기능식품은 총 7,234억원이며, 이 가운데 홍삼제품이 3,270억원으로 전체 45.2%를 차지했으며 이어 알로에제품(797억원), 비타민/칼슘보충제(785억원), 인삼제품(350억원), 글루코사민함유 제품(269억원)등이 판매됨. 특히 글루코사민 함유 제품은 노인계층에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관절염의 예방치료에 글루코사민이 정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선 의학계와 관련업계간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음. 제조업체들은 글루코사민이 연골을 구성하는 단백질 생성을 촉진하여 중장년층과 갱년기 여성에게 연골의 건강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 의사들은 관절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통제 효과는 있지만 관절염 예방이나 치료효과는 검증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최근, 전통의약이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천연물로부터 관절염 관련 기 능성 식품 및 천연물 신약을 발견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천연소재 식물들로부터 뇌신경 보호물질을 분리, 동정하여 의약품으로 개발하려는 기초 및 임상연구가 선진각국의 연구기관들을 통해 진행 중이며, 비교적 안정성이 높고 효과가 탁월한 천연 식품으로부터 건강기능식품 및 천연물 신약 개발을 추진하고자 세계 굴지의 제약회사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노화억제 및 미용에 관련한 국내 화장품 산업은 2007년 8조원의 시장을 형성하는 블루오션산업으로 정밀화학 제품 중 의약산업 다음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며 국가 산업을 지탱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매년 8%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현재 기능성화장품 원료는 90% 이상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그 수입 증가율도 점점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가지고 세계화장품 시장을 석권할 수 있는 신소재 개발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휴식 및 운동과 같은 기본적인 방법과 물리치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과적 약물 치료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관절염 치료 중 항염치료에는 비스테로이성 소염제나 글루코코르이드의 등의 관절 내 주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관절질병조절 치료로 쓰이는 항말라리아제, 이지티오프린, 금염(gold salt), 시클로포스파미드, 술파살라진, 페니실린 및 메토트렉세이트 등이 있으나 이들 화합물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며 효과도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골질환 중 관절염의 원인은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화농성, 염증성 관절염 등 몇 가지 질환을 제외하고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최근 많은 연구에서 강직성 척추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선천적요인의 질병 특이 유전자가가 발견된 바 있다.
최근 류마티스 관졀염 등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IL-6, TNF-α 등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접근법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인데, TNF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약물(예: Reicade)이나 TNF 수용체 단백질 약물(예 : Enbrel)은 최근 시판되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IL-6 억제제에 대한 새로운 관절염 약도 개발중에 있으며(2006), 장기나 체액 속에 분포하면서 자궁수축, 모세혈관 확장작용, 위액분비 억제작용, 기관지 근육의 수축 ·이완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를 상승시켜 염증반응을 조기 종결시키는 새로운 기전의 항염증약물도 개발 중에 있다.
피부노화의 외적 요인으로 자외선, 공해, 음주, 스트레스, 영양부족 등이 있으며 이들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기본 연구로는 피부보습, 보호, 활력의 세 부분이 있으며, 피부보습 연구에 있어서는 새로운 보습제의 개발과 세라마이드와 같은 세포간지질에 의한 보습 효과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 보호에는 자외선 방어에 관한 연구, 유해산소 같은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 및 피부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자 하는 연구 등을 들 수 있으며 활력 차원에서는 천연물이나 생명 공학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혈행을 촉진시키고 피부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주름 개선의 대표적인 원료로 레티놀 및 이의 안정화 원료, 레티놀유도체가 주류이며 민간요법 또는 전통의학에 근거한 천연추출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미약하며 레티놀의 경우 구조가매우불안정하여 파괴되기 쉬워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원료로 알려져 있는 레티놀, 레티놀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메디민 A, 이외에도 각 사에서 독자적으로 주름개선 기능성 신소재로 응용하고 있는 다양한 신소재 개발이 추진 중에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소재들의 기본 후보 물질들은 과거에 주로 병원 피부과에서 유래되었으며 피부세포 활성화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등을 이용한 단일물질이 주로 개발 및 응용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 관련한 국내 특허현황은 약 300여건이 출원되어 있으며, 천연물 소재의 항염증관련 특허와 해조추출물 소재 및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들이 출원되어 있다. 또한 인공관절소재에 관해서는 2005년까지 약 120건의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기존의 관절질환 치료 의약품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며 효과도 작아서 부작용이 적은 기능성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노인계층에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글루코사민 함유 제품은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의학계에선 관절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통제 효과는 있지만 관절염 예방이나 치료효과는 검증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효능이 뒷받침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 탐색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관절질환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골질환 개선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 온 민간요법을 토대로 전통생물 자원으로 부터 유용성분을 검색하고, 보다 효과적인 골관절 보호 및 골질환 예방 기능성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전통 한방 조성물 가공식품들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전환 사례를 제시하고, 선진국 대비 50% 정도인 국내의 기능성소재 기술의 경쟁력 향상과 전통 소재의 유용성분에 대한 개별 약효 인증기법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 치료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발명하고 이에 대하여 발명의 명칭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한방 조성물"로 2009년 9월 16일자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87517 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허출원을 바탕으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염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음료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골관절염 치료 활성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베이스로 하여, 추가로 기능성을 부여하고 기호도를 높게하기 위해 도라지농축액, 대추농축액, 감초농축액을 혼합하여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도라지는 폐기(肺氣)를 맑게 하고 인후(咽喉)에 이로우며 가슴이 답답한 것을 풀어주며, 사포닌 성분이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기 때문에 기관지염은 물론 편도선염, 인후염 등에 약으로도 쓰인다. 또한 기혈을 보강해주고 뱃속의 냉기를 덜어주어 심장쇠약, 설사, 주독 등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비타민과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약재의 성분을 완충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과일보다는 약으로 더 많이 인식되고 있다. 또한 대추는 비위(비장과 위장, 즉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키며,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인 사 람이 복용하면 속을 편하게 하고, 비장의 기운을 길러주고 위장의 기운을 북돋워 식욕을 촉진시킨다. 대추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류나 식이성 섬유,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등은 노화방지는 물론 항암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대추의 식이성 섬유는 그러한 발암물질을 흡착, 배출해 몸 밖으로 밀어낸다. 뿐만 아니라 대추에 함유된 베타카로틴은 체내 유해 활성산소를 제독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감초는 여러 가지 다른 성분의 약재들이 서로 깎아내리거나 너무 튀지 않고 잘 어울려 하나의 훌륭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천연감미제로서의 역할도 하여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대추농축액, 감초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대추농축액, 감초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기호도 평가를 통해 도라지농축액, 대추농축액, 감초농축액의 최적 배합비를 선택하고, 상기 농축액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는 한편, 음료 조성물의 최적 제조 공정을 확립함으로써 최적 조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평가를 통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을 각각 등량으로 혼합한 한방 복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도라지, 감초 및 대추를 각각 열수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약 추출물이라 함은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을 각각 등량으로 혼합한 한방 복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생약 추출물은 생약 혼합물을 이온수에 침지시켜 초음파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생성된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냉침하고, 상층액을 재차 감압농축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오가피 15 내지 25중량%, 우슬 15 내 지 25중량%, 해동피 15 내지 25중량% 및 한방 복합물 35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라지농축액은 도라지를 열수추출한 후,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된다. 이 때 도라지에 분해효소, 예를 들어 복합효소, 아밀라아제, 팩티나제를 첨가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추농축액은 대추를 열수추출한 후,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된다. 이 때 도라지에 분해효소, 예를 들어 복합효소를 첨가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농축액은 감초를 열수추출한 후,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조된다. 감초농축액의 경우 상기 도라지농축액 및 대추농축액과는 달리 열수추출만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한 생약 추출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 45 내지 50중량%, 도라지 농축액 0.1 내지 0.3중량%, 감초농축액 0.2 내지 0.5중량%, 대추농축액 0.1 내지 0.3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생약 추출물 45 내지 50중량%, 도라지 농축액 0.1 내지 0.3중량%, 감초농축액 0.2 내지 0.5중량%, 대추농축액 0.1 내지 0.3중량%, 허브추출물 0.1 내지 0.3중량%, 구연산 0.01 내지 0.03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5 내지 2중 량%, 글루코사민 0.5 내지 1.0중량%, 자몽종자추출물 0.01 내지 0.05중량%, 꿀 5 내지 10중량%, 정제수 40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에 첨가되는 허브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허브의 추출물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허브 1종, 또는 2종 이상의 허브를 혼합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에 첨가되는 다른 성분들은 당업계에서 음료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라지, 감초 및 대추의 최적 추출조건과, 생약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농축액의 최적 배합비율을 확립하는 동시에 이들을 이용하여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공정을 확립함으로써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의 당도, pH, 색도, 갈색도 및 총균수에 있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한방 및 민간처방에서 생약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3가지 생약인 오가피, 우슬 및 해동피를 주재료로 하고,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의 18종 생약을 등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한방 복합물을 이용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일반명칭 학명 공급처
오가피 Acanthopanax gracilistylus Smith) 중국산
우 슬 Achyranthis japonica Nakai 국 산
해동피 Kalopanax pictus 중국산
한방복합물
(18종)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사인 국산
우선, 오가피 20g, 우슬 20g, 해동피 20g 및 한방 복합물 40g을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약 혼합물 100 g을 1 L 이온수를 사용하여 40℃에서 3 시간 동안 2회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Whatman No. 2)하였다.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100 ml 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냉침하고, 상층액을 재차 감압농축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열수추출물을 생약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소비자 기호도 평가에 의한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배합비 확정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대추농축액 및 감초농축액의 최적 배합비를 얻기 위해 4회에 걸친 평가를 실시하였 다.
실시예 2-1 : 1차 기호도 평가
1차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패널 대상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차 검사에서는 생약 추출물(Brix10)을 47.1 중량%로 고정한 후 도라지농축액(brix30)의 양을 0.5, 0.3 및 0.1 중량%로 다르게 첨가한 3가지 시료를 준비하였다(표 2 참조).
<표 2>
1차 기호도 평가에 사용된 배합비(중량%)
No.9Q7 No.13 No.j08
생약 추출물(Brix10) 47.1 47.1 47.1
도라지 농축액(Brix30) 0.5 0.3 0.1
정제수 52.4 52.6 52.8
실험 전날 시료를 제조하여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고, 실험 5분 전 냉장고에서 꺼내 검사 직전에 일회용 플라스틱용기(직경 4.5cm, 높이 5.5cm)에 약 30mL씩 담아 평가 시 온도가 5.5±1℃가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의 용기에는 난수표에서 선택한 세 자리 숫자를 표시하였고, 제시 순서는 임의의 No.를 부합하여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시료와 시료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된 물(20±2℃)과 뱉는 컵을 함께 제공하여 시료를 평가하기 전에 시료의 특성에 따른 전 시료와의 혼란과 감각의 둔화를 줄이기 위해 2~3번 정도 충분히 입안을 헹군 후 실시토록 하였다.
평가는 소비자 패널과 1:1 면접방식으로 진행하여 타인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단맛, 쓴만,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의 순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10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1점은 ‘매우 좋지 않다’, 10점은 ‘매우 좋다’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왼쪽의 시료부터 실시하였으며, 한 시료에 대해 단맛, 쓴맛,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를 한 번에 평가하는 절차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3>
1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
No.9Q7 No.13 No.j08
단맛 7.26 ± 0.703 7.6 ± 0.632 7.8 ± 0.774
쓴맛 6.86 ± 0.915 7.13 ± 0.639 7.2 ± 0.560
식감 7.4 ± 1.242 7.6 ± 0.985 7.73 ± 0.961
풍미 7.33 ± 1.112 7.4 ± 1.055 7.8 ±1.014
종합적기호도 7.06 ± 0.703 7.6 ± 0.910 8.33 ± 0.723
실시예 2-2 : 2차 기호도 평가
2차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패널 대상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차 검사에서는 생약 추출물(brix10) 47.1중량%, 도라지농축액(Brix30) 0.1중량%로 고정하고 대추농축액(Brix16)의 양만을 0.2, 0.4 및 0.6중량%로 달리하여 첨가한 3가지 시료를 준비하였다(표 4 참조).
<표 4>
2차 기호도 평가에 사용된 배합비(중량%)
No.96d No.d86 No.5e3
약재추출액(Brix10) 47.1 47.1 47.1
도라지농축액(Brix30) 0.1 0.1 0.1
대추농축액(Brix16) 0.2 0.4 0.6
정제수 52.6 52.4 52.2
1차 소비자 기호도 검사와 마찬가지로 실험 전날 시료를 제조하여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고, 실험 5분 전 냉장고에서 꺼내 검사 직전에 일회용 플라스틱용기(직경 4.5cm, 높이 5.5cm)에 약 30mL씩 담아 평가 시 온도가 5.5±1℃가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의 용기에는 난수표에서 선택한 세 자리 숫자를 표시하였고, 제시 순서는 임의의 No.를 부합하여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시료와 시료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된 물(20±2℃)과 뱉는 컵을 함께 제공하여 시료를 평가하기 전에 시료의 특성에 따른 전 시료와의 혼란과 감각의 둔화를 줄이기 위해 2~3번 정도 충분히 입안을 헹군 후 실시토록 하였다.
평가는 소비자 패널과 1:1 면접방식으로 진행하여 타인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단맛, 쓴만,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의 순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10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1점은 ‘매우 좋지 않다’, 10점은 ‘매우 좋다’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왼쪽의 시료부터 실시하였으며, 한 시료에 대해 단맛, 쓴맛,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를 한 번에 평가하는 절차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5>
2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표
No.96d No.d86 No.5e3
단맛 7.33 ± 0.975 7.13 ± 0.915 6.8 ± 0.774
쓴맛 6.73 ± 0.703 7.2 ± 0.941 7.2 ± 0.861
식감 7.4 ± 0.828 7.6 ± 0.910 7.73 ± 0.703
풍미 7.53 ± 0.743 7.33 ± 0.816 7.2 ± 0.861
종합적기호도 8.26 ± 0.798 7.8 ± 0.941 7.66 ± 0.899
실시예 2-3 : 3차 기호도 평가
3차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패널 대상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차 검사에서는 약재추출액(Brix10) 47.1중량%, 도라지농축액(Brix30) 0.1중량%, 대추농축액(Brix16) 0.2중량%로 고정하고, 감초농축액(Brix22)의 양만을 0.2, 0.3 및 0.4중량%로 달리 첨가한 3가지 시료를 준비하였다(표 6 참조).
<표 6>
3차 기호도 평가에 사용된 배합비(중량%)
No.f34 No.6j7 No.05h
약재추출액(Brix10) 47.1 47.1 47.1
도라지농축액(Brix30) 0.1 0.1 0.1
대추농축액(Brix16) 0.2 0.2 0.2
감초농축액(Brix22) 0.2 0.3 0.4
정제수 52.4 52.3 52.2
실험 전날 시료를 제조하여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고, 실험 5분 전 냉장고에서 꺼내 검사 직전에 일회용 플라스틱용기(직경 4.5cm, 높이 5.5cm)에 약 30mL씩 담아 평가 시 온도가 5.5±1℃가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의 용기에는 난수표에서 선택한 세 자리 숫자를 표시하였고, 제시 순서는 임의의 No.를 부합하여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시료와 시료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된 물(20±2℃)과 뱉는 컵을 함께 제공하여 시료를 평가하기 전에 시료의 특성에 따른 전 시료와의 혼란과 감각의 둔화를 줄이기 위해 2~3번 정도 충분히 입안을 헹군 후 실시토록 하였다.
평가는 소비자 패널과 1:1 면접방식으로 진행하여 타인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단맛, 쓴만,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의 순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10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1점은 ‘매우 좋지 않다’, 10점은 ‘매우 좋다’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왼쪽의 시료부터 실시하였으며, 한 시료에 대해 단맛, 쓴맛,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를 한 번에 평가하는 절차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7>
3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표
No.f34 No.6j7 No.05h
단맛 7.26 ± 1.162 7.4 ± 1.121 7.6 ± 1.055
쓴맛 6.4 ± 0.507 6.8 ± 0.774 6.2 ± 0.676
식감 7.6 ± 0.632 7.8 ± 0.676 7.33 ± 1.112
풍미 7.8 ± 1.014 8.13 ± 0.915 7.66 ± 1.234
종합적기호도 8.13 ± 0.99 8.4 ± 0.632 7.8 ± 0.861
실시예 2-4 : 최종 기호도 평가
최종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패널 대상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검사에서는 약재추출액(Brix10) 47.1중량%, 도라지농축액(Brix30) 0.1중량%, 대추농축액(Brix16) 0.2중량% 및 감초농축액(Brix22) 0.3중량%에 복합허브추출물 0.2중량%, 구연산(함수) 0.02중량%, 폴리덱스트로즈(중합체80이상) 1중량%, 글루코사민 0.8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4중량%를 첨가하여 음료의 단맛을 결정하기 위해 꿀의 양만을 6, 7 및 8중량%로 달리 첨가한 3가지 시료를 준비하였다(표 8 참조).
<표 8>
최종 기호도 평가에 사용된 배합비(중량%)
No.56s No.493 No.si3
약재추출액(Brix10) 47.1 47.1 47.1
도라지농축액(Brix30) 0.1 0.1 0.1
대추농축액(Brix16) 0.2 0.2 0.2
감초농축액(Brix22) 0.3 0.3 0.3
복합허브추출물 0.2 0.2 0.2
구연산(함수) 0.02 0.02 0.02
폴리덱스트로즈
(중합체80이상)
1 1 1
글루코사민
(아미코젠, 국산)
0.8 0.8 0.8
자몽종자추출물 0.04 0.04 0.04
6 7 8
정제수 44.24 43.24 42.24
실험 전날 시료를 제조하여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고, 실험 5분 전 냉장고에서 꺼내 검사 직전에 일회용 플라스틱용기(직경 4.5cm, 높이 5.5cm)에 약 30mL씩 담아 평가 시 온도가 5.5±1℃가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의 용기에는 난수표에서 선택한 세 자리 숫자를 표시하였고, 제시 순서는 임의의 No.를 부합하여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시료와 시료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된 물(20±2℃)과 뱉는 컵을 함께 제공하여 시료를 평가하기 전에 시료의 특성에 따른 전 시료와의 혼란과 감각의 둔화를 줄이기 위해 2~3번 정도 충분히 입안을 헹군 후 실시토록 하였다.
평가는 소비자 패널과 1:1 면접방식으로 진행하여 타인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단맛, 쓴만,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의 순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10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1점은 ‘매우 좋지 않다’, 10점은 ‘매우 좋다’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왼쪽의 시료부터 실시하였으며, 한 시료에 대해 단맛, 쓴맛, 식감,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를 한 번에 평가하는 절차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9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9>
최종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표
No.56s No.493 No.si3
단맛 7.33 ± 0.899 7.53 ± 0.991 7.4 ± 1.055
쓴맛 6.26 ± 0.883 6.86 ± 1.06 6.66 ± 0.899
식감 7.6 ± 0.828 7.8 ± 0.941 8.4 ± 0.736
풍미 7.86 ± 0.99 8.2 ± 0.774 8.4 ± 0.632
종합적기호도 7.06 ± 0.961 7.53 ± 0.915 8.33 ± 0.723
실시예 3 : 제조 공정의 확립
본 실시예에서는 도라지, 대추 및 감초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혼합, 살균 및 충진 공정을 확립하였다.
실시예 3-1 : 추출조건의 확립
각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최종 고형분의 함량이 가장 높은 수치를 최적추출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제 제품 생산을 고려하여 생산에 용의한 열수 추출과 열수 추출에 분해효소를 가하는 2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여, 고형분 함량이 높은 쪽으로 조건을 확정하였으며, 이때는 원물의 투입대비 추출물의 가격이 가장 저렴한 것을 최적으로 하였다.
예를 들어 일반 열수 추출일 경우, g당 100원짜리 원물 100g이 투입되었을 때 일반 1brix 용액 1000mL이 추출되었다면 산술적으로 약 10g의 고형분이 추출된 것으로 보고, 추출물은 100g에 1,000원이 된다. 반면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 g당 100원하는 원물을 투입하여 열수추출 할 때 분해효소 A(25,000원/Kg), 분해효소B(30,000원/Kg)를 각각 0.2%, 0.3%를 투입하였다. 즉 원물 100원 + 효소A값 50원 + 효소B값 90원이 더 투입되어 투입시의 총 금액은 240원이 된다. 하지만 이 추출액이 최종 Brix 5, 용액 1000mL가 추출되었다면, 고형분 함량은 산술적으로 50g의 고형분이 추출된 것으로 본다. 이때의 추출물은 100g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 480원이 된다. 그러므로 분해효소가 투입된 열수추출의 경우가 최종 추출물의 비용이 더 저렴함으로 이를 최적 추출조건으로 설정하였다.
1) 도라지의 추출조건 확립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열수 추출과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를 비교하여 g당 단가를 계산하여 비용이 저렴한 쪽을 선택하였다. 도라지의 경우 아래의 표 10에 열수추출시의 g당 단가를 나타내었고, 표 11에는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때의 g당 단가를 나타내었다.
<표 10>
도라지 열수추출시의 g당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도라지 100 98 9,800
정제수 3,000 - -
3,100 12 9,800
여과수율: 73% 9,800/3,100/0.73
=4.33
농축수율: 22%(Brix30) 4.33/0.22=19.68
<표 11>
도라지의 분해효소사용시의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도라지 100 98 9,800
정제수 3,000 -
복합효소 0.3 31 9.3
아밀라제 0.2 30 6
펙티나제 0.3 38 11.4
3,100.8 9,826.79
여과수율: 71% 9,826.79/3,100.8/0.71=4.463
농축수율: 25%(Brix30) 4.463/0.25=17.852
열수추출만을 했을 경우, 총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73%였으며, Brix30으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22%였다. 따라서 최종 단가는 19.68원이 된다. 또한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71%, Brix30으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25%였으며 최종단가는 17.85원이 되었다. 따라서 도라지의 경우 분해효소를 사용한 열수추출의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추의 추출조건 확립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열수 추출과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를 비교하여 g당 단가를 계산하여 비용이 저렴한 쪽을 선택하였다. 대추의 경우 아래의 표 12에 열수추출시의 단가를 나타내었고, 표 13에는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때의 g당 단가를 나타내었다.
<표 12>
대추 열수추출시의 g당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대추 100 87 8,700
정제수 4,000 - -
4,100 8,700
여과수율: 81% 8,700/4,100/0.81
=2.62
농축수율: 5%(Brix16) 2.62/0.05
=52.4
<표 13>
대추의 분해효소사용시의 g당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대추 100 87 8,700
정제수 4,000 -
CIROZYME
(복합효소, 노보자임)
0.2 30 6
4,100.2 8,706
여과수율: 92% 8,706/4,100.2/0.92
=2.3
농축수율: 4.8%(Brix16) 2.3/0.048=47.91
열수추출만을 했을 경우, 총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91%였으며, Brix16으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5%였다. 따라서 최종 단가는 52.4원이 된다. 또한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92%, Brix16으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4.8%였으며 최종단가는 47.91원이 되었다. 따라서 대추의 경우 분해효소를 사용한 열수추출의 방법이 열수만으로 추출한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감초의 추출조건 확립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열수 추출과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를 비교하여 g당 단가를 계산하여 비용이 저렴한 쪽을 선택하였다. 감초의 경우 아래의 표 14에 열수추출시의 g당 단가를 나타내었고, 표 15에는 분해효소를 사용하였 을 때의 g당 단가를 나타내었다.
<표 14>
감초 열수추출시의 g당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감초 100 45 4,500
정제수 4,000 - -
4,100 4,500
여과수율: 93% 4,500/4,100/0.93
=1.18
농축수율: 3.1%(Brix22) 1.18/0.031= 38.06
<표 15>
감초의 분해효소사용시의 g당 단가
원료배합 배합비(g) 원료단가(원/g)
감초 100 45 4,500
정제수 4,000 -
아밀라제 0.2 30 6
4,100.2 4,506
여과수율: 91% 4,506/4,100.2/0.91=1.21
농축수율: 3.1%(Brix22) 1.21/0.031=39.03
감초의 경우는 열수추출만을 했을 경우, 총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93%였으며, Brix22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3.1%였다. 따라서 최종 단가는 38.06원이 된다. 또한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액량대비 여과수율이 91%, Brix22로 농축하였을 때의 농축수율은 3.1%였으며 최종단가는 39.03원이 되었다. 따라서 감초의 경우 분해효소를 사용한 열수추출의 방법보다 일반 열수추출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초와 같이 특유의 목질상 형태의 원물은 열수추출 자체의 어려움이 있고, 분해효소를 사용하여도 화학적 분해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원물을 조분쇄하여 2메쉬 정도의 크기로 잘 게 부순 후 추출한다면 그 추출수율이 훨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3-2 : 혼합 조건 확립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혼합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2의 최종 기호도 평가 결과 가장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No.si3에 따라, 생약 추출물(Brix10) 47.1중량%, 도라지농축액(Brix16) 0.2중량%, 대추농축액(Brix30) 0.2중량%, 감초농축액(Brix22) 0.3중량%, 복합허브추출물 0.2중량%, 구연산(함수) 0.02중량%, 폴리덱스트로즈(중합체 80이상) 1중량%, 글루코사민 0.8중량%, 자몽종자추출물 0.04중량%, 꿀 8중량%, 정제수 42.24중량%의 비율로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 살균 조건 확립
상기 실시예 3-2에서 혼합한 음료 조성물을 98℃의 온도에서 5분간 살균하였다.
실시예 3-4 : 충진 조건 확립
상기 실시예 3-3에서 살균된 음료 조성물을 파우치에 충진하여 냉각하였다. 이때에는 80℃이상의 핫필링을 하였다.
실험예 1 : 음료 조성물의 품질변화 실험
실험예 1-1 : 당도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의 당도는 휴대용 굴절계(hand refractometer) N-1E (ATAGO C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 샘플링한 시료는 20℃로 유지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당도측정의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당도는 저장기간이나 보존환경에 크게 차이가 생기지는 않았다.
실험예 1-2 : pH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의 pH는 pH 측정기(Metrohm Co., Swiss)를 사용하여 25℃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pH측정의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pH는 저장기간이나 보존환경에 크게 차이가 생기지는 않았다.
실험예 1-3 : 색도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의 색도는 크로마 측정기(Chroma meter) CT-310 (Minolta camera Co.,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헌터 척도(Hunter scale)에 의해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 값으로 나타내었다.
샘플의 색도변화 중 L값(Lightness)의 경우 4℃에서는 1주차와 16주차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20℃와 30℃의 경우 7주 이후부터 수치가 낮아 졌으며, 50℃와 60℃의 경우는 3주차가 지나면서 급격히 낮아졌다. L값의 변화는 도 7에 나 타내었다.
샘플의 색도변화 중 a값(Redness)와 b값(yellowness)의 경우 a값 중 4℃의 샘플은 4.82에서 16주 후 5.83으로 증가하였고, 20℃의 샘플도 4℃와 비슷하였다. 30℃에서 60℃까지의 샘플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a 및 b값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4 : 갈색도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의 갈색도는 UV-VIS 분광광도계(UV-200S, Shimadzu Co.)를 사용하여 4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장 기간별 음료의 갈색도 변화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50℃와 60℃의 경우는 4주차를 지나면서 갈색도의 값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침전물이 강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5 : 총균수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 시료의 총균수 측정을 위해 따로 샘플링한 것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였다. 시료를 단계별로 희석하고 포링(poring)법으로 배지(plate count agar; Merck, Germany)를 이용하여, 35±1℃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계측하였다. 단 총균수 측정은 20℃와 30℃저장시료에 한해서만 실시하였으며, 시료는 각 온도당 3개씩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저장기간별 총균수 측정결과는 표 16에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20℃와 30℃의 두 군데서 확인 실험을 하였는데, 두 군데 모두 미생물이 검출되지는 않았다. 이는 살균의 방법이 적절하며 장기간 유통시에도 안정적인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표 16>
저장기간별 총균수 측정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11주 12주
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실험예 2 :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요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표준시료를 대조구로 하여 다른 온도에서 보관한 시료와 비교하여 1~10점의 관능점수를 부여하였다. 제품의 가치가 상실되는 지점을 6.0점으로 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20℃와 30℃에 비해 40℃, 50℃와 60℃에서는 2~3주 후에도 관능에서 낮은 점수가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30℃이하 상온 정도와 그 이상의 차이가 현저함을 알 수 있게 하는 결과치이며, 상품 자체의 상품가치로서 소멸성을 가지는 값은 관능의 최종 종합적기호도가 6점 이하인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도 1은 1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2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3차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최종 기호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저장기간별 음료의 당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저장기간별 음료의 pH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저장기간별 음료의 L값(Lightness)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저장기간별 음료의 a값(Redness)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저장기간별 음료의 b값(yellowness)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저장기간별 음료의 갈색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저장기간별 음료의 관능평가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을 각각 등량으로 혼합한 한방 복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도라지, 감초 및 대추를 각각 열수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농축액과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이 오가피 15 내지 25중량%, 우슬 15 내지 25중량%, 해동피 15 내지 25중량% 및 한방 복합물 35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이 등량으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과 도라지농축액, 감초농축액 및 대추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조성물이 생약 추출물 45 내지 50중량%, 도라지 농축액 0.1 내지 0.3중량%, 감초농축액 0.2 내지 0.5중량%, 대추농축액 0.1 내지 0.3중량% 및 정제수 45 내지 55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5. 오가피, 해동피 및 우슬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창출. 진피,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천궁, 계피, 감초, 소회향, 도인, 홍화, 두충, 속단, 녹각 및 사인이 등량으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 45 내지 50중량%, 도라지 농축액 0.1 내지 0.3중량%, 감초농축액 0.2 내지 0.5중량%, 대추농축액 0.1 내지 0.3중량%, 허브추출물 0.1 내지 0.3중량%, 구연산 0.01 내지 0.03중량%, 폴리덱스트로즈 0.5 내지 2중량%, 글루코사민 0.5 내지 1.0중량%, 자몽종자추출물 0.01 내지 0.05중량%, 꿀 5 내지 10중량%, 정제수 40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KR1020090119838A 2009-10-28 2009-12-04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38A KR101218792B1 (ko) 2009-10-28 2009-12-04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2693 2009-10-28
KR1020090102693 2009-10-28
KR1020090119838A KR101218792B1 (ko) 2009-10-28 2009-12-04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210A true KR20110046210A (ko) 2011-05-04
KR101218792B1 KR101218792B1 (ko) 2013-01-14

Family

ID=4424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38A KR101218792B1 (ko) 2009-10-28 2009-12-04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390A (ko) * 2015-04-27 2016-11-04 유창우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녹각 추출 건강 기능성 조성물
KR20190107780A (ko) * 2018-03-13 2019-09-23 한약진흥재단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456A (ko) * 2000-09-22 2002-03-29 조근식 해동피를 주원료로 한 과립상 건강 식품 조성물
KR100468653B1 (ko) * 2001-08-31 2005-02-21 학교법인 영광학원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당알코올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그 제조방법
KR20050047579A (ko) * 2003-11-18 2005-05-23 신준식 혼합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390A (ko) * 2015-04-27 2016-11-04 유창우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녹각 추출 건강 기능성 조성물
KR20190107780A (ko) * 2018-03-13 2019-09-23 한약진흥재단 식품첨가물을 가하지 않은 대추 농축음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792B1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7604B (zh) 一种降糖、降压、减肥、通便养颜、抗疲劳保健品及其生产工艺
CN103054113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复合果蔬汁饮料
US9950024B2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CN103734421B (zh) 一种益肝补肾健胃茶及其制作方法
CN109316517A (zh) 一种鲜人参膏的制备方法及应用
CN101904375A (zh) 一种女性保健养生饮品
CN103653144B (zh) 提高免疫力的保健饮料其制备方法
Kumar et al. Green blood therapy of wheat grass-Nature’s finest medicine’-A literature review
CN105532998A (zh) 一种含有蛹虫草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5124347A (zh) 一种辣木降血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343567A (zh) 一种诺丽果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18792B1 (ko) 생약 추출물 함유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962698A (zh) 一种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261244A (zh) 一种蜜柑西番莲蜂蜜饮料及其制作方法
CN102787048A (zh) 一种龙葵果保健型酒的酿制方法
CN112369546A (zh) 一种藏红花葛根枸杞子固体饮料的组分及其制备方法
CN106261235A (zh) 一种金桔西番莲蜂蜜饮料及其制作方法
CN106010849A (zh) 一种sod葡萄酒
CN108477361A (zh) 一种黄秋葵籽中药咖啡饮品及其制备方法
CN103222655B (zh) 一种祛黄斑苹果醋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10124444A (ko) 냉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Mishra An Analysis of Health Benefits of Bitter Melon
CN107495364B (zh) 一种延缓衰老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