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899A -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 Google Patents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899A
KR20110045899A KR1020090102647A KR20090102647A KR20110045899A KR 20110045899 A KR20110045899 A KR 20110045899A KR 1020090102647 A KR1020090102647 A KR 1020090102647A KR 20090102647 A KR20090102647 A KR 20090102647A KR 20110045899 A KR20110045899 A KR 2011004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urglass
light
transparent len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용두조경개발(주)
뎀코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두조경개발(주), 뎀코 (주) filed Critical 용두조경개발(주)
Priority to KR102009010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5899A/ko
Publication of KR2011004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의 내부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엘이디 램프를 내장하고, 그 엘이디 램프의 점/소등시간 및 조도를 조절하여 빛이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모래시계 형태를 연출시켜 조명등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엘이디램프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발광부를 갖는 조명등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된 모래시계 형태의 입체형투명렌즈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의 내부에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된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와, 상기 수평램프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하여 된 수직램프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된 보호판과, 상기 수평램프 및 수직램프의 밝기조정 및 점/소등을 제어하여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모래시계 형태로 표현되도록 베이스에 내장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조명등, 모래시계, 태양광, GPS

Description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Lamp type hourglass}
본 발명은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의 내부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엘이디 램프를 내장하고, 그 엘이디 램프의 점/소등시간 및 조도를 조절하여 빛이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모래시계 형태를 연출시켜 조명등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즉 가로등은 그 설치 높이에 따라 도로를 조명하기 위하여 약 4미터 이상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100W ~ 300W의 고휘도 가로등과 공원 및 보도를 조명하기 위하여 2.2미터~3미터 높이에 설치되는 30W ~ 90W의 중휘도 가로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가로등은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램프는 수은램프, 할로겐램프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저 전력 고 휘도의 엘이디 램프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엘이디 램프는 종래의 수은램프 및 할로겐렘프에 비하여 그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전력소모가 감소되어 엘이디 램프가 내장된 가로등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가로등(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10)에 설치되는 플 레이트(1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플레이트(110)의 상면 중앙에는 지주(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120)의 상단에는 암(1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130)의 단부에는 발광부(140)를 설치하되 그 발광부(14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엘이디 램프(도면 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표면에는 엘이디 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14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발광부(140)에 내장된 엘이디 램프가 점등되고 그 엘이디 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은 렌즈(141)를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목적하는 곳 즉 지면(10)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도로 주변을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로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지주(120), 암(130) 및 발광부(140)의 모양을 단순 변경하는데 국한되므로 가로등을 이용하여 도로의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도로를 조명하는 단순한 기능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회전식 점등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905673호가 있으며 동일한 수의 발광체들이 상하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표시부; 상기 시간표시부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발광체를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고,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발광체를 그에 대응하여 점멸시키는 발광제어부; 상기 시간표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발광제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간표시부는 발광색의 변화에 의해 서로 다른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발광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제어부는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는 숫자에 대응하는 발광색이 점등되도록 상기 발광체를 제어하여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음향 신호 입력, 기 설정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될 때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회전식 점등장치는 상하 두 영역으로 구분되는 평면상의 시간표시부 내측 가장자리에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발광체(LED)를 설치하여 발광제어부에서 상기 발광체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빛(조명)의 입체적인 모래시계 연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로 또는 실외나 실내(이하 "해당목적지"라 칭함)의 해당 선택된 곳을 조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등의 발광부를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하고, 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모래시계의 동작형태를 표현하여 해당목적지를 조명하는 조명등의 기본 기능은 물론, 해당 목적지의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등에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발광부의 표면에 표시부를 설치하여 해당목적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은 물론,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이디램프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발광부를 갖는 조명등에 있어서,
고정부재(2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링(231)과, 상기 연결링(231)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232)와, 상기 베이스(232)의 상단에 설치된 모래시계 형태의 입체형투명렌즈(233)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내부에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된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234)와, 상기 수평램프(23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하여 된 수직램프(235)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커버(236)와, 상기 상부커버(236)의 상측에 연결바(237)를 매개로 설치된 보호판(238)과, 상기 수평램프(234) 및 수직램프(235)의 밝기조정 및 점/소등을 제어하여 발광부(230)에서 발생되는 빛이 모래시계 형태로 표현되도록 베이스(232)에 내장된 제어부(2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238)의 일측에 설치된 GPS 수신기(240)와, 상기 GPS 수신기(240)에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베이스(232)의 표면에 설치된 표시부(2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호판(238)의 표면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변환 수단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도록 솔라셀(26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해당목적지를 조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등의 발광부를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하고, 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모래시계의 동작형태를 표현하여 해당목적지를 조명하는 조명등의 기본 기능은 물론, 해당목적지의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등에 설치된 GPS 수신기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발광부의 표면에 설치된 표시부 통하여 문자 또는 영상을 표현하게 되므로 해당목적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200)은 고정부재(2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링(2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연결링(231)의 상단에는 베이스(232)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232)의 상단에는 이후에 설명할 입체형투명렌즈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입체형투명렌즈(233)가 설치되는데, 그 입체형투명렌즈(233)는 상부와 하부의 직경은 크고 중앙부의 직경은 점점 작아지는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내부에는 수평램프(234)와 수직램프(2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되, 상기 수평램프(234)는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직램프(235)는 상기 수평램프(234)의 중앙부에 수직한 상태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단 상기 각각의 수평램프(234)와 수직램프(235)에는 빛이 발생되는 엘이디(L)가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상단에는 상부커버(23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커버(236)의 상측에는 연결바(237)를 매개로 보호판(23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232)의 내부에는 발광부(230)에서 발생되는 빛이 모래시계 형태로 표현되도록 수평램프(234) 및 수직램프(235)의 밝기 및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70)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판(238)의 일 측에는 GPS 수신기(240)를 설치하고, 베이스(232)의 표면에 표시부(25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GPS 수신기(24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시간, 안내문구 등)를 표시부(250)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명등(200)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판(238)의 표면에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변환수단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도록 솔라셀(260)이 설치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200)은 다양한 형태로 점등할 수 있는 것이며, 즉 입체형투명렌즈(233)의 내부에 내장된 수직램프(235) 및 수평램프(234)를 모두 점등할 경우에는 모래시계 형태의 입체형투명렌즈(233) 전체 면에서 빛이 발생되어 해당목적지를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입체형투명렌즈(233)에서 발생되는 빛이 모레시계의 동작상태(모래가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표현하도록 수직램프(235) 및 수평램프(234)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제어부(270)에서 수직램프(235) 및 수평램프(23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먼저, 모래시계의 상부에 모래가 충입된 상태처럼 표현할 경우에는 도 4의 (가)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형투명렌즈(233) 하부의 수평램프(234) 및 수직램프(235)는 소등하고, 입체형투명렌즈(233) 상부의 수평램프(234) 및 수직램프(235)를 점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모래가 하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의 (나)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램프(234) 중 상단으로부터 밝기가 점점 감소되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과 동시에 하단에 설치된 수평램프(234)의 밝기가 점점 증가되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입체형투명램프가 소등된 부분 즉, 입체형투명렌즈(233)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수직램프(235)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래가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램프(235) 및 수평램프(234)의 점/소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 여 시간이 경과되면, 도 4의 (다)부분에 나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형투명렌즈(233) 상단의 입체형투명램프는 소등되고, 입체형투명렌즈(233) 하단의 입체형투명램프는 점등되어 모래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GPS 수신기(240)에 수신된 정보는 베이스(232)의 표면에 설치된 표시부(250)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문자,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이거나 문자와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정보 내용은 시간은 물론, 교통상황, 날씨, 각종 홍보내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은 해당목적지를 조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등의 발광부를 모래시계 형태로 형성하고, 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모래시계의 동작형태를 표현하여 해당목적지를 조명하는 조명등의 기본 기능은 물론, 해당 목적지의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와 아울러 조명등에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발광부의 표면에 표시부를 설치하여 해당목적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은 물론,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명등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면 200 : 조명등
210 : 플레이트 220 : 고정부재
230 : 발광부 231 : 연결링
232 : 베이스 233 : 렌즈
234 : 수평 램프 235 : 수직 램프
236 : 상부커버 237 : 연결바
238 : 보호판 240 : GPS 수신기
250 : 표시부 260 : 솔라셀
270 : 제어부

Claims (3)

  1. 엘이디램프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발광부를 갖는 조명등에 있어서,
    고정부재(2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링(231)과, 상기 연결링(231)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232)와, 상기 베이스(232)의 상단에 설치된 모래시계 형태의 입체형투명렌즈(233)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내부에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된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234)와, 상기 수평램프(23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엘이디램프를 설치하여 된 수직램프(235)와, 상기 입체형투명렌즈(233)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커버(236)와, 상기 상부커버(236)의 상측에 연결바(237)를 매개로 설치된 보호판(238)과, 상기 수평램프(234) 및 수직램프(235)의 밝기조정 및 점/소등을 제어하여 발광부(230)에서 발생되는 빛이 모래시계 형태로 표현되도록 베이스(232)에 내장된 제어부(2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38)의 일측에 설치된 GPS 수신기(240)와, 상기 GPS 수신기(240)에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베이스(232)의 표면에 설치된 표시부(250)가 더 포함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38)의 표면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변환수단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도록 솔라셀(2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KR1020090102647A 2009-10-28 2009-10-28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KR20110045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7A KR20110045899A (ko) 2009-10-28 2009-10-28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7A KR20110045899A (ko) 2009-10-28 2009-10-28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99A true KR20110045899A (ko) 2011-05-04

Family

ID=4424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47A KR20110045899A (ko) 2009-10-28 2009-10-28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5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797A (ko) * 2014-10-31 2016-05-11 박준원 소리출력형 태양광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797A (ko) * 2014-10-31 2016-05-11 박준원 소리출력형 태양광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4101A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Road and/or Street Lighting
JP2009016180A (ja) 街路灯用照明器具並びに街路灯
CN204313194U (zh) 一种古典式太阳能led路灯
JP2008135381A (ja) 屋外用照明器具及び照明方法
KR20080098265A (ko) 조명 블럭
JP2008258007A (ja) 街路灯
KR20110045899A (ko) 모래시계 연출이 가능한 조명등
KR101679836B1 (ko) 광장용 상징 가로등
JP2016108894A (ja) 車両誘導装置
JP2008140651A (ja) 地中埋込照明器具
CN211399574U (zh) 一种超薄感应led地砖灯、地砖灯系统
CN209101176U (zh) 自动补光式太阳能照明灯
JP3160414U (ja) 照明装置及び街路灯
KR20100081723A (ko) 가로등
KR200430630Y1 (ko) 엘이디 표지함이 장착된 가로등 기구
KR200408103Y1 (ko) 가로등
KR20080095591A (ko) 이중 점등 엘이디 등기구
CN204829500U (zh) 一种可实现主照明与功能照明切换的灯具
KR100870958B1 (ko) 지주 직결형 보행등을 갖는 가로등
WO2014077676A1 (en) Lighting unit for street furniture
KR101179762B1 (ko) 차량 통제용 교통 신호등
KR200326191Y1 (ko) 조명 홍보판을 결합한 가로등
CN208204806U (zh) 一种远程遥控式路灯
KR101170927B1 (ko) 이중 광원 조명기기
KR20030073922A (ko) 미적 조형물이 부설되고 태양전지와 발광 다이오드를이용한 전방 조명식 안내표지판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