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127A -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127A
KR20110045127A KR1020090101539A KR20090101539A KR20110045127A KR 20110045127 A KR20110045127 A KR 20110045127A KR 1020090101539 A KR1020090101539 A KR 1020090101539A KR 20090101539 A KR20090101539 A KR 20090101539A KR 20110045127 A KR20110045127 A KR 2011004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members
spac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714B1 (ko
Inventor
이도명
한만흥
강건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7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버스바부재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서로 간격이 일정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 간격유지부재, 인서트사출

Description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BUSBAR ASSEMBLY AND PROOD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카의 인버터에 삽입되는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바는 하이브리드 카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인버터에 삽입되는 부품으로 전류를 다른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1은 종래 버스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버스바(10)는 복수개의 버스바 부재(11)가 상호 조립된 형태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버스바 부재(11)는 각각 그 형태와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된다. 각각의 버스바 부재(11)들은 인버터 내에 각각 삽입되는데 서로의 위치를 고정시켜줄 수단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각의 버스바 부재(11)들이 상호 일정한 간격(A)을 유지한 채 전류를 다른 방향으로 전달시켜야 하는데 위치 고정 수단이 없어 버스바 부재(11)들이 유동되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 부재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버스바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스바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버스바 조립체는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버스바부재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 간의 수평간격 및 수직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각각 인서트사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스바 조립체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 제조방법은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1차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에 간격유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서트사출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2차 인서트사출하여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는 복수개의 버스바의 간격을 상호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재와,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도록 결합되어 복수개의 버스바를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므로 인버터에 결합되어 동작할 때 복수개의 버스바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버스바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는 제1 인서트 사출과정을 통해 복수의 버스바에 간격유지부재를 결합시키고, 제2인서트 사출과정을 통해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버스바에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제조된다. 이에 의해 버스바와 간격유지부재 및 결합부재가 서로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100)는 복수개의 버스바부재(110)와, 복수개의 버스바부재(110)를 그룹핑하여 결합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부재(120)와, 복수개의 버스바부재(110)를 상호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버스바부재(110)는 인버터(미도시)에 삽입되어 전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부재(110)는 6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제1버스바(111), 제2버스바(112),,,제6버스바(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수직길이와 수평길이, 그리고 서로 다른 절곡 형상을 갖는다. 6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형상은 하이브리드 카의 인버터(미도시)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부재(110)는 6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조합으로 구비되나 경우에 따라 인버터(미도시)의 형상에 맞도록 상이한 개수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는 도전성 재료인 구리합금(copper alloy) 재질로 구비된다.
간격유지부재(120)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부재(110)에 결합되어 6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간격유지부재(120)는 복수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를 일정개수로 그룹핑하고, 그룹된 된 버스바에 결합되어 이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120)는6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를 세 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이를 위해 간격유지부재(120)는 제1간격유지부재(121), 제2간격유지부재(123) 및 제3간격유지부재(125)의 세 개로 구비된다.
제1간격유지부재(12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스바(111), 제2버스바(112) 및 제3버스바(113)에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이들을 함께 결합시킨다. 제1간격유지부재(121)는 제1버스바(111)와 제2버스바(112) 및 제3버스바(113) 간의 수직간격 및 수평간격이 모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제2간격유지부재(123)는 제3버스바(113)와 제4버스바(114) 및 제5버스바(115)에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제3간격유지부재(125)는 제5버스바(115) 및 제6버스바(116)에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제2간격유지부재(123)는 제1간격유지부재(121)에 의해 결합된 제3버스바(113)와 제3간격유지부재(125)에 의해 결합된 제5버스바(115)에 함께 결합되어 제1버스바(111) 내지 제6버스바(116)가 함께 위치가 고정되어 서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간격유지부재(120)는 비도전성 재료인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며 버스바부 재(110)에 1차 인서트사출 과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1차 인서트사출기(미도시)는 도3a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가 적재되는 하부몰드(미도시)와 이를 커버하는 상부몰드(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출수지를 공급하여 세 개의 간격유지부재(121,123,125)가 버스바(111,112,113,114,115,116)와 함꼐 사출성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120)는 세 개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네 개 이상 또는 2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간격유지부재(120)의 개수는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개수와 각각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에 절곡부위가 많고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 사출성형시 사출압력에 대한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유동성을 줄이기 위해 보다 많은 개수의 간격유지부재(120)가 사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간격유지부재(120)에 의해 서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의 버스바부재(11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결합부재(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간격유지부재(120)가 결합된 버스바부재(110)에 결합되어 버스바부재(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 때, 결합부재(130)는 각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모두 커버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인버터(미도시) 내에 삽입될 때 버스바부재(110)를 일체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된다. 결합부재(130)는 간격유지부 재(120)가 결합된 버스바부재(110)를 2차 인서트사출하여 형성된다. 2차 인서트사출기(미도시)는 간격유지부재(120)가 결합된 버스바부재(110)가 적재되는 하부몰드(미도시)와, 하부몰드(미도시)와 결합되어 결합부재(130)의 형상이 사출성형되는 상부몰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때, 결합부재(130)는 간격유지부재(120)가 수용되는 수용공(131,133,135)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2차 사출성형 후 결합부재(130)와 간격유지부재(120)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사출을 통해 제조가 완료된 버스바 조립체(100)의 단면형상에서 결합부재(130)와 간격유지부재(120)가 버스바(115,116)로부터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사출성형된다.
여기서, 간격유지부재(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 상호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130) 결합시 사출수지의 공급압력에 의해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간격유지부재(120)가 없이 복수개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에 결합부재(130)를 직접 결합시킬 경우 사출수지의 공급압력에 의해 각각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어느 일방향으로 편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 성형이 완료된 버스바조립체에 버스바가 결합부재(130) 밖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20)는 각각의 버스바(111,112,113,114,115,116)의 위치를 서로 일정하게 고정시켜 주므로 결합부재(130)의 결합을 위한 2차 사출시 안정적인 사출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는 복수개의 버스바의 간격을 상호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재와,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도록 결합되어 복수개의 버스바를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므로 인버터에 결합되어 동작할 때 복수개의 버스바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버스바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는 제1 인서트 사출과정을 통해 복수의 버스바에 간격유지부재를 결합시키고, 제2인서트 사출과정을 통해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버스바에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제조된다. 이에 의해 버스바와 간격유지부재 및 결합부재가 서로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버스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버스바와 간격유지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버스바와 결합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도2의 V-V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스바 조립체 110 : 버스바부재
111 : 제1버스바 112 : 제2버스바
113 : 제3버스바 114 : 제4버스바
115 : 제5버스바 116 : 제6버스바
120 : 간격유지부재 121 : 제1간격유지부재
123 : 제2간격유지부재 125 : 제3간격유지부재
130 : 결합부재 131,133,135 : 간격유지부재 수용공

Claims (4)

  1. 버스바 조립체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버스바부재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 간의 수평간격 및 수직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각각 인서트사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조립체.
  4. 버스바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1차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스바부재에 간격유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서트사출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된 복수의 버스바부재를 2차 인서트사출하여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조립체 제조방법.
KR1020090101539A 2009-10-26 2009-10-26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39A KR101077714B1 (ko) 2009-10-26 2009-10-26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539A KR101077714B1 (ko) 2009-10-26 2009-10-26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127A true KR20110045127A (ko) 2011-05-04
KR101077714B1 KR101077714B1 (ko) 2011-10-27

Family

ID=4424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539A KR101077714B1 (ko) 2009-10-26 2009-10-26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7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83U (ko) * 2014-10-20 2016-04-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WO2018186684A1 (ko) * 2017-04-04 2018-10-11 대산전자 주식회사 버스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스바
WO2019045197A1 (ko) * 2017-08-30 2019-03-07 주식회사 비엠티 확장형 조립 부스바
US10894346B2 (en) 2017-04-04 2021-01-19 Dae San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and manufacturing busbar throug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67Y1 (ko) 2013-12-12 2014-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102037202B1 (ko) 2019-01-31 2019-10-28 주식회사 티엔디 단조 처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486B2 (ja) * 2004-05-20 2009-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ユニット
JP2009153321A (ja) * 2007-12-21 2009-07-09 Yazaki Corp バスバー相互の保持構造とそれを備えた回路基板組立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83U (ko) * 2014-10-20 2016-04-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WO2018186684A1 (ko) * 2017-04-04 2018-10-11 대산전자 주식회사 버스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스바
US10894346B2 (en) 2017-04-04 2021-01-19 Dae San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and manufacturing busbar through the same
CN112743749A (zh) * 2017-04-04 2021-05-04 大山电子株式会社 汇流条的制造方法以及通过该制造方法而制造的汇流条
US11465320B2 (en) 2017-04-04 2022-10-11 Dae San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and manufacturing busbar through the same
WO2019045197A1 (ko) * 2017-08-30 2019-03-07 주식회사 비엠티 확장형 조립 부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714B1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714B1 (ko)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978037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
CN102630138B (zh) 电连接盒
WO2014136488A1 (ja)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10769B2 (en) Connection module
CN104425785A (zh) 母线保持部件以及电池组
JP2011181453A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CN102891277A (zh) 电线保持结构
US20060240683A1 (en) Section for supporting electrical components
CN103493308A (zh) 连接器
US10483508B2 (en) Wiring module
JP6332428B2 (ja) 外部接続バスバー保持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接続モジュール
JP2013149512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CN102856138A (zh) 熔丝块以及具有该熔丝块的电接线箱
KR100875268B1 (ko) 분전반용 부스바
EP3273756B1 (en) Board guide member and housing
CN202905972U (zh) 一种接线模块及模块化接线装置
CN203933822U (zh) 一种液晶电视前框组件安装结构
CN103050846B (zh) 连接器固定夹及使用该固定夹的集线器
CN204651576U (zh) 连接器
CN204571612U (zh) 门锁安装结构及具有该门锁安装结构的洗碗机
KR101153392B1 (ko) 조립식 고정 단자대
CN206379521U (zh) Hdmi连接器
CN217009461U (zh) 线束板及电池组
CN211293397U (zh) 一种用于光缆交接箱的卡装式六位导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