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875A -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875A
KR20110044875A KR1020117003996A KR20117003996A KR20110044875A KR 20110044875 A KR20110044875 A KR 20110044875A KR 1020117003996 A KR1020117003996 A KR 1020117003996A KR 20117003996 A KR20117003996 A KR 20117003996A KR 20110044875 A KR20110044875 A KR 2011004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resource
section
drx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4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SPS에 의한 데이터신호의 송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 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하는 것. 이 기지국장치(200)는, DRX의 수신구간 내의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값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 제어에 있어서의 수신구간을 결정하는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와, 상기 유저장치(100)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하는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를 구비한다.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DRX 제어에 있어서의 수신구간의 선두로부터 PDCCH for SPS와 SPS PUSCH의 사이의 시간구간(4ms)에, CQI, 스케줄링 리퀘스트 등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에 간헐수신제어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SPS:Semi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 방식이나 HSDPA 방식의 후계가 되는 통신 방식, 즉,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이, W-CDMA의 표준화단체인 3GPP에 의해 검토되고, 그 사양 책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LTE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가 이용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이용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 상에,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하게 나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LTE 방식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 하나 내지 둘 이상의 물리채널을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이라 불리고, LTE 방식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이다.
또, 상기 공유채널은,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Uplink Shared Channel)'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LTE 방식에서는 1ms)마다, 어느 이동국(UE)에 대해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동국(UE)에 대해, 공유채널을 할당할 것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불려도 좋다.
이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 방식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링크 L1/L2 제어채널(DL-L1/L2 Control Channel:Downlink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또한, 상술한,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이동국(UE)에 대해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선택하는 처리를, 일반적으로 '스케줄링'이라 부른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마다, 동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 이동국(UE)을 선택하기 때문에, '동적(Dynamic) 스케줄링'이라 불려도 좋다. 또, 상술한 '공유채널을 할당한다'란, '공유채널을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고 표현되어도 좋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등이 포함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하향링크 스케쥴링 정보(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스트림의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은, Downlink Scheduling Grant 또는 Downlink Assignment Information이라 불려도 좋다.
또, 'Uplink Scheduling Grant'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나 'Uplink Scheduling Grant'는, 묶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 불려도 좋다.
한편, VoIP 등을 실현하기 위해 검토되고 있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SPS:Semi Persistent Scheduling)'에서는, 하향링크에 관해서는, 무선기지국(eNB)은, PDCCH를 통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한 서브프레임(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PDSCH)를,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해당 이동국에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향링크에 관해서는, 기지국장치(eNB)는, PDCCH를 통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ms 후의 서브프레임(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상기 상향 무선리소스(PUSCH)를,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한다.
또, LTE 방식의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나 스케줄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각 유저장치에 대해 할당된다. 상기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는 채널 퀄러티 인디케이터(Channel Quality Indicator)(CQI)라 불리며, 기지국장치는, 상기 CQI에 기초하여, 상술한 Dynamic 스케줄링이나 Semi Persistent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줄링 리퀘스트는, 유저장치가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 상술한 제어신호에 더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도 각 유저장치에 대해 할당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스케줄링이나 송신전력제어에 이용되는 참조신호(혹은, 파일럿신호)이다.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송신된다. 또,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그런데, LTE에 있어서는, 간헐수신(DRX:Discontinuous Reception)제어가 적용된다. 간헐수신제어는, 기지국장치와 유저장치가 접속중이고, 그리고,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되고, 간헐수신상태에 있는 유저장치는, 주기적으로, 즉, 간헐적으로 하향링크의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한다. 이 경우, 유저장치는, 모든 타이밍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하향링크의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하면 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것(배터리 세이빙)이 가능해진다. 상기 간헐수신제어에 있어서의, 간헐적으로 하향링크의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하는 시간구간은, DRX의 ON 구간, 또는, On―duration이라 불린다. 또, 상기 On―duration이 설정되는 주기는, DRX 주기(DRX Cycle)라 불린다.
또한, 상술한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상술한 배터리 세이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On―duration에 있어서만 송신된다.
도 12에, SPS와 DRX 제어의 이미지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DRX 주기 및 SPS의 송신주기를 20ms로 하고, ON 구간(On―duration)의 길이를, 7ms로 하고 있다. DRX 제어에 관해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n×20∼n×20+6(단, n은 정수)'인 서브프레임이, ON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SPS에 있어서는, SPS를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서브프레임 번호 4에서,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되고, 그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 번호 8로부터 20ms 주기로, 상향 무선리소스(PUSCH)가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된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3GPP TS36.211(V8.3.0), "Physical Channel and Modulation", 2008년 5월
비특허문헌 2:3GPP TS36.300(V8.5.0), "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 2008년 5월
상술한 바와 같이, CQI나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간헐수신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에서만 송신된다. 또,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송신되고, 또,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PS에 의한 상향 무선리소스(PUSCH)의 할당이, 서브프레임 번호=n×20+5인 서브프레임이고, 그리고, CQI 또는 Scheduling Request를 위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이, 서브프레임 번호=n×20+5인 서브프레임이었을 경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는, 항상,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이 경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다중됨으로써,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할당되는 심볼수(혹은, 리소스 엘리먼트수)가 감소하고, 부호화율이 커지기 때문에, 결과로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송특성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PUSCH)의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의 시간리소스의 할당은, 유연하게 수행되게 되어 있다. 즉,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PUSCH)의 할당은, 간헐수신제어의 ON 구간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구간 안에서 유연하게 수행된다. 그런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을 피해,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PUSCH)의 할당을 수행하면, 상기 유연성의 열화를 일으키고, 결과로서,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 SPS에 의한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도,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이 경우, 상술한 상향링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전송특성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과,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충돌하지 않도록, SPS에 의한 하향링크 무선리소스(PDSCH)의 할당을 수행하면, SPS에 의한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PDSCH)의 할당에 있어서의 유연성의 열화를 일으키고, 결과로서,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충돌하는 경우, 유저장치는, 송달확인정보만을 송신하고,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에 있어서,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맵핑되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전송특성이 열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데이터신호의 송신 타이밍 또는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또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 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되는 유저장치에 대해 간헐수신을 위한 ON 구간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하는 할당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된다. 예를 들면 SPS가 적용되었다고 해도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에는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가 할당될 것은 없다. 따라서,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특성이 열화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특성의 열화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전송특성의 열화도 없이, SPS에 의한 데이터신호의 송신 타이밍 또는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또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 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상향링크에 관한 부분 블록도이다.
도 3a은 DRX ON 구간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할당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DRX ON 구간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할당범위 및 하향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DRX ON 구간 설정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하향링크에 관한 부분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DRX ON 구간 설정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SPS와 DRX 제어의 이미지도이다.
도 13은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제어신호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에 다중되어 송신되는 이미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복수의 유저장치(UE:User Equipment, 혹은, 이동국이라고도 불린다)(100(1001, 1002, 1003, … 100n, n은 n>0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유저장치(100)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이하, 유저장치(100(1001, 1002, 1003, … 100n)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 L1/L2 제어채널이라고도 불린다. 또, PDCCH에 맵핑되는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 불려도 좋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PDSCH에 맵핑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은,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또, PDCCH에 의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 등이 전송된다.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에는, 예를 들면 PD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해당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가 포함된다.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에는, 데이터 사이즈나 변조방식이나 HARQ에 관한 정보나,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L Scheduling Grant)에는, 예를 들면 PU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해당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가 포함된다.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에는, 데이터 사이즈나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나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나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송신전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리소스에 상당하고, 리소스 유닛이라 불려도 좋다.
PDCCH가 맵핑되는 OFDM 심볼에는,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이나 물리 HARQ 인디케이터 채널(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이 포함된다. 즉, PDCCH, PCFICH 및 PHICH는, 1서브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소정수개 이하의 OFDM 심볼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PCFICH는, PDCCH가 맵핑되는 OFDM 심볼수를, UE에 대해 통지하기 위한 채널이다. PHICH는, PU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PCFICH 및 PHICH는, PDCCH와 병렬적인 관계에 있는 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으며, 혹은, PCFICH 및 PHICH는,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요소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PUSCH에 맵핑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Uplink Shared Channel)이다. 또,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채널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 변조 및 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가 전송된다.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하게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 Acknowledgement) 또는 그것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중 어느 것으로 표현된다.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는, CQI나 송달확인정보에 더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할당을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가 송신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할당이란, 한 서브프레임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을 이용하여, 후속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기지국장치(200)가 유저장치(100)에 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저장치(100)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서브프레임 후에,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CQI나 송달확인정보, Scheduling Request는, 상기 PUS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PUSCH에 다중되어 송신된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UE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럿신호로서,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DL RS:Downlink Reference Signal)가 송신된다. DL RS는, PDSCH, PDCCH, PCFICH, PHICH의 복호를 위한 채널 추정,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인 CQI의 산출에 사용된다.
또,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파일럿신호로서, 복조용의 레퍼런스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송신된다. 상기 복조용의 레퍼런스신호는, PUSCH 혹은 PUCCH에 다중되는 레퍼런스신호이며, PUSCH 혹은 PUCCH의 복호를 위한 채널 추정 등을 위해 이용된다. 한편, 상기 사운디용의 레퍼런스신호는, 상향링크의 무선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레퍼런스신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제어, 상향링크의 적응변조·부호화 제어(AMC 제어), 상향링크의 타이밍 조절제어 등을 수행해도 좋다. 상기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며, 그 무선리소스의 할당은,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가 유저장치에 지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로 나눠 설명한다.
상향링크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로부터,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되고 있는 상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상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 무선리소스에는, PUCCH를 송신하는 무선리소스 및 PUSCH를 송신하는 무선리소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와,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와, Talk Spurt 상태관리부(206)와,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와, PDCCH 송신처리부(214)와, 송달확인정보 송신부(216), PUSCH 수신처리부(218)를 갖는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송신주기 내의 서브프레임에 관해, 리소스의 사용량을 산출한다. 상기 송신주기는, 소정주기여도 좋다. 서브프레임은, 타임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리소스에는, 주파수 리소스가 포함된다. 리소스 사용량에는, 리소스 블록의 양 또는 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LTE 방식에서는, 1리소스 블록은 180kHz이다. 또, 1서브프레임은 1ms이다. 예를 들면, 소정주기를 20ms로 한 경우에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20서브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에 관해, 리소스 사용량을 산출한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셀 내의 각 유저장치(100)의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수신구간을 설정한다. 상기 수신구간은, DRX 상태의 ON 구간이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의해 산출된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설정되는 DRX ON 구간 내의 상기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가 가장 작아지도록, 상기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혹은,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상기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하는 대신에, 각 서브프레임당의, DRX ON 구간인 유저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DRX ON 구간 내의 'DRX ON 구간인 유저장치의 수'가 가장 작아지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혹은, 각 서브프레임당의,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인 유저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인 유저장치의 수'가 가장 작은 서브프레임이,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이 되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X ON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는,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평활화하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했으나, 대신에, 그 외의 알고리즘에 의해,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Talk Spurt 상태관리부(206)는, 셀 내의 각 UE의 Talk Spurt 상태, 바꿔 말하면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한 리소스 할당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에서는,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되고 있는 상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상향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기 상향 무선리소스에는, PUSCH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할당개시시점이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한 리소스할당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UE에 있어서 수신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ms 후의 서브프레임이다.
PUSCH 수신처리부(218)는, Talk Spurt 상태가 ON인 유저장치(100)에 의해,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상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향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상향 무선리소스에는, PUSCH가 포함된다.
송달확인정보 송신부(216)는, 상향 무선리소스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상향 무선리소스에는, PUSCH가 포함된다.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유저장치(100)가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이하, 제1 소정기간이라 부른다) 내에 할당한다.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특히,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유저장치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의 데이터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할 것 없는,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내의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DRX 주기 및 SPS의 송신주기를 20ms로 하고, ON 구간(On―duration)의 길이를, 7ms로 하고 있다. DRX 제어에 관해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n×20∼n×20+6(단, n은 정수)'인 서브프레임이, ON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SPS에 있어서는, SPS를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서브프레임 번호 1에서,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되고, 그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 번호 5로부터 20ms 주기로, 상향 무선리소스(PUSCH)가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SPS를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PDCCH)는, 시간리소스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 내의 어느 타이밍(서브프레임 번호=n×20∼n×20+6)에서도 송신할 수 있다.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인 서브프레임 번호 0에서 SPS를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경우, 그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 번호 4로부터 20ms 주기로, 상향 무선리소스(PUSCH)가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된다. 즉,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a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은, 상향 무선리소스(PUSCH)가 할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a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면, PDCCH에 할당하는 시간리소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송신 타이밍과 SPS에 의한 상향링크의 데이터신호의 송신 타이밍이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4서브프레임이라는 값은 일 예이며, 4서브프레임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의해 상향 무선리소스(PUSCH)가 송신된다는 시간관계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a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했으나, 대신에,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 내 중,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2 소정기간을 제외한 시간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소정기간(4서브프레임) 중, 선두로부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제2 소정기간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도 3a의 예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 2+20×n 또는 3+20×n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된다.
여기에서, 이하에, 상술한, 상기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하는 것의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CQI는, 유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 DL RS 등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이다. 따라서, 유저장치(100)는, 상기 CQI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CQI의 산출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On―duration의 선두에 CQI를 위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유저장치는, On―duration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CQI의 산출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술한 DRX 제어에 의한 배터리 세이빙의 효과를 저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함으로써, 유저장치의 배터리 세이빙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소정기간은, 유저장치(100)에 있어서의 CQI의 측정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CQI의 측정구간이 2ms인 경우, 상기 제2 소정기간으로서, 2ms가 설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2 소정기간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CQI의 측정이나 산출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소정기간 중의 제2 소정기간을,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후보로부터 제외한다는 처리는, CQI에만 적용되고, Scheduling Request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제2 소정기간을 정의할지 여부는, 제어신호의 종류에 기초해도 좋다.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상술한 처리에 의해 할당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해당 유저장치(100)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제어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유저장치(1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유저장치(100)는, 통지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CQI나 Scheduling Request)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에 더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해도 좋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도 3a에 있어서는 4ms) 내에 서브프레임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이하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하는 것의 효과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전력과 PUSCH의 송신전력은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와 PUSCH의 양방이 송신되는 경우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과 PUSCH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과의 사이에서, 송신전력의 변동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송신전력의 변동이 생기는 경우, 그 변동하는 순간의 전후에서 신호의 품질이 열화한다. 즉, 상기 송신전력의 변동에 의해, PUSCH 및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품질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말하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함으로써,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와 PUS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로서, 상기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 내 중,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2 소정기간을 제외한 시간구간에 있어서, 그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제어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유저장치(100)에 통지되어도 좋다.
PDCCH 송신처리부(214)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위한 초회 송신의 리소스를 통지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고정적 할당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PDCCH에 맵핑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있어서 수행되는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소정주기 내의 서브프레임을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이라 정의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에 대해, 리소스 사용량을 산출한다. 도 4에는, 상기 리소스 사용량은, UL_Resource(m)(m은, 0 또는 0<m의 정수)에 의해 나타난다. 도 4에 있어서, 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총수를 나타낸다. 바꿔 말하면, M은 소정주기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총수를 나타낸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마다의 리소스 사용량 UL_Resource(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 RACH Message 3(랜덤 액세스 채널용 메시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U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의 수, 가드 RB(보호용 리소스 블록)의 수에 상당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502).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의 UL_Resource(m)의 값이 초기화된다(단계 S504).
UL_Resource(m)의 값에, 랜덤 액세스 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ACH의 값을 가산한다(단계 S506). 랜덤 액세스 채널에 사용되는 PR 리소스 블록 RBPRACH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가 송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PRACH가 송신되는 경우, RBPRACH는 6으로 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PRACH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RBPRACH는 0으로 한다. 상기 단계 S506의 처리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PRACH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PRA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 사용량 U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UL_Resource(m)의 값에, 보호용 리소스 블록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GuardRB의 값을 가산한다(단계 S508). 보호용 리소스 블록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GuardRB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할당되어 있는 Guard RB(보호용 리소스 블록)의 수이다. 즉,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할당되어 있는 Guard RB의 수가 카운트된다. 상기 단계 S508의 처리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할당되어 있는 Guard RB의 수가 리소스 사용량 U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또한, Guard RB의 수 대신에, PUCCH의 수가, 리소스 사용량 U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되어도 좋다.
UL_Resource(m)의 값에, RACH 메시지 3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RACHM3의 값을 가산한다(단계 S510). RACH 메시지 3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RACHM3은, 과거에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된 RACH 메시지 3의 리소스 블록수의 시간평균값(RBRACHM3,average)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RBRACHM3=RBRACHM3,average×weightRACHM3에 의해 계산되어도 좋다. 여기서, weightRACHM3은, RACH 메시지 3을 위한 리소스를 어느 정도까지 확보할지를 조절하기 위한 계수이다. 예를 들면, RACH 메시지 3을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크고, RACH 메시지 3을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RACHM3=2를 설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RACH 메시지 3을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작고, RACH 메시지 3을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weightRACHM3=1로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510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RACH 메시지 3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U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UL_Resource(m)의 값에, 세미 퍼스시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 RBPersistentUL의 값을 가산한다(단계 S512). 또한, 상기 상향 데이터에는, 신규 송신 및 재송의 양방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향 데이터로서, 신규 송신 및 재송의 양방이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송신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RBPersistent , UL이 가산되어도 좋다.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 RBPersistentUL은, 과거에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된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의 시간평균값(RBPersistent,average,UL)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RBPersistent , UL=RBPersistent , average , UL×weightPersistent , UL에 의해 계산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weightPersistent , UL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어느 정보까지 확보할지를 조절하기 위한 계수이다. 예를 들면, 가중계수 weightPersistent , UL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위한 변동량이 크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Persistent , UL=2를 설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를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작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를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weightPersistent , UL=1로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512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의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상향 데이터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U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상술한 단계 S504―단계 S512에 의해, 소정주기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이 산출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504―단계 S512의 처리에 있어서,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나 RACH Message 3, 가드 RB에 할당된 리소스 사용량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신에, 그들의 리소스 사용량이 포함되지 않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U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만이,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포함되어도 좋다. 혹은,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나 RACH Message 3, 가드 RB에 할당된 리소스 사용량의 일부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U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도 좋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에 있어서 수행되는 DRX ON 구간 설정처리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장치(100)의 배터리 세이빙을 목적으로서 DRX 제어(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된다. DRX 제어는,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세미 퍼스시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되는 리소스에만 의해 송신가능한 데이터량인 경우에 수행된다. DRX 제어에서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ON 구간,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수신구간)과,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구간(OFF 구간,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비수신구간)으로 나눠, 기지국장치(200)와 유저장치(1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된다. 유저장치(100)는, OFF 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및 하향링크의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의해 산출된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유저장치(100)의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일 예로서, 소정주기가 20ms이고,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19가 정의되고, 그리고 리소스 사용량이, 각각, 2, 3, …, 2, 5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ON 구간의 길이가 2ms(2서브프레임)인 경우,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는 ON 구간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 #1이 된다. 이 경우,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유저장치(100)의 DRX의 ON 구간으로서,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 #1을 설정한다. 한 유저장치(100)에 대해 DRX의 ON 구간으로서 설정된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은,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상향 무선리소스에 의해, 상향 데이터의 송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리소스 사용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는 처리를, 셀 내의 유저장치(100)에 대해 순차 수행한 경우, 결과로서,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균등해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균등해진다란, 효율적으로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하향링크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에 대해,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 또, 상기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와,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와, Talk Spurt 상태관리부(206)와, PDSCH 송신처리부(208)와, 송달확인정보 수신부(210)와,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와, PDCCH 송신처리부(214)를 갖는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송신주기 내의 서브프레임에 관해, 리소스의 사용량을 산출한다. 상기 송신주기는, 소정주기여도 좋다. 서브프레임은, 타임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리소스에는, 주파수 리소스가 포함된다. 리소스 사용량에는, 리소스 블록의 양 또는 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LTE 방식에서는, 1리소스 블록은 180kHz이다. 또, 1서브프레임은 1ms이다. 예를 들면, 소정주기를 20ms로 한 경우에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20서브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에 관해, 리소스 사용량을 산출한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셀 내의 간헐수신(DRX:Discontinuous transmission)제어가 수행되는 각 유저장치(100)에 대해, 수신구간을 설정한다. 상기 수신구간은, DRX 상태의 ON 구간이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의해 산출된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설정되는 DRX ON 구간 내의 상기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가 가장 작아지도록, 상기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혹은,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상기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하는 대신에, 각 서브프레임당의, DRX ON 구간인 유저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DRX ON 구간 내의 'DRX ON 구간인 유저장치의 수'가 가장 작아지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혹은, 각 서브프레임당의,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인 유저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인 유저장치의 수'가 가장 작은 서브프레임이, DRX ON 구간의 개시지점이 되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X ON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는,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평활화하도록 DRX ON 구간을 설정했으나, 대신에, 그 외의 알고리즘에 의해,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Talk Spurt 상태관리부(206)는, 셀 내의 각 유저장치의 Talk Spurt 상태, 바꿔 말하면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한 리소스 할당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에서는,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되고 있는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에는, PDSCH가 포함된다.
PDSCH 송신처리부(208)는, Talk Spurt 상태가 ON인 유저장치(100)에 대해, 할당개시시점을 기점으로서 소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에는, PDSCH가 포함된다.
송달확인정보 수신부(210)는,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에는, PDSCH가 포함된다.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유저장치(100)가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이하, 제1 소정기간이라 부른다) 내에 할당한다.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특히,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유저장치에 대해서는,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될 것 없는,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내의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3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DRX 주기 및 SPS의 송신주기를 20ms로 하고, ON 구간(On―duration)의 길이를, 7ms로 하고 있다. DRX 제어에 관해서는, 서브프레임 번호가 'n×20∼n×20+6(단, n은 정수)'인 서브프레임이, ON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SPS에 있어서는, SPS를 위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서브프레임 번호 1에서,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되고, 그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번호 1)으로부터 20ms 주기로, 하향 무선리소스(PDSCH)가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된다. 이 경우,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는,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PDS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후에 송신된다. 즉,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는, 서브프레임 번호 5로부터 20ms 주기로, 해당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여기에서, SPS를 위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PDCCH)는, 시간리소스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 내의 어느 타이밍(서브프레임 번호=n×20∼n×20+6)에서도 송신할 수 있다.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인 서브프레임 번호 0에서 SPS를 위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그 4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 번호 4로부터 20ms 주기로, 하향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고정적으로 해당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즉,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b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은, 하향 무선리소스(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b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면, PDCCH에 할당하는 시간리소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송신 타이밍과 SPS에 의한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이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도 3b에 예시하는 SPS에서는 4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했으나, 대신에,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 내 중,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2 소정기간을 제외한 시간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소정기간(4서브프레임) 중, 선두로부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제2 소정기간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도 3b의 예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 2+20×n 또는 3+20×n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된다.
여기에서, 이하에, 상술한, 상기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하는 것의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CQI는, 유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 DL RS 등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이다. 따라서, 유저장치(100)는, 상기 CQI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CQI의 산출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On―duration의 선두에 CQI를 위한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유저장치는, On―duration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CQI의 산출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술한 DRX 제어에 의한 배터리 세이빙의 효과를 저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 중, 선두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2 소정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후보로부터 제외함으로써, 유저장치의 배터리 세이빙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소정기간은, 유저장치(100)에 있어서의 CQI의 측정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CQI의 측정구간이 2ms인 경우, 상기 제2 소정기간으로서, 2ms가 설정되어도 좋다. 즉, 상기 제2 소정기간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CQI의 측정이나 산출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소정기간 중의 제2 소정기간을,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후보로부터 제외한다는 처리는, CQI에만 적용되고, Scheduling Request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제2 소정기간을 정의할지 여부는, 제어신호의 종류에 기초해도 좋다.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상술한 처리에 의해 할당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해당 유저장치(100)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제어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유저장치(1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유저장치(100)는, 통지된,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제어신호(CQI나 Scheduling Request)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CQI나 Scheduling Request 등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에 더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해도 좋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리소스할당부(212)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제1 소정기간. 도 3b에 있어서는 4ms) 내에 서브프레임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이하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하는 것의 효과를 설명한다.
LTE 방식에서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와, SPS에 의한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경우,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은 수행되지 않고, 송달확인정보만이 송신되거나,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에 있어서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만이 송신되고,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SC-FDMA 심볼에 있어서는, 송달확인정보만이 송신된다는 동작이 된다. 이 2개의 동작은, RRC 레이어에 의해 시그널링에 의해, 그 하나가 선택된다. 여기에서, 전자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 항상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제어나 AMC 제어에 관해,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 후자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에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는 송신되나,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에 있어서는,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로서, 송달확인정보의 전송특성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말하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무선리소스를, DRX 상태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간격(제1 소정기간) 내에 할당함으로써,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와 SPS에 의한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로서, 상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1 소정기간 내 중,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제2 소정기간을 제외한 시간구간에 있어서, 그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또,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그 무선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제어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유저장치(100)에 통지되어도 좋다.
PDCCH 송신처리부(214)는,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위한 초회 송신의 리소스를 통지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는, 고정적 할당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PDCCH에 맵핑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있어서 수행되는 리소스 블록 사용량의 산출처리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소정주기 내의 서브프레임을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이라 정의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에 대해, 리소스 사용량을 산출한다. 도 8에는, 상기 리소스 사용량은, DL_Resource(m)(m은, 0 또는 0<m의 정수)에 의해 나타난다. 도 8에 있어서, 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총수를 나타낸다. 바꿔 말하면, M은 소정주기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총수를 나타낸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마다의 리소스 사용량 DL_Resource(m)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동기신호(SCH: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ation signal이라 불려도 좋다)/물리 알림채널(P-BCH:Physical-Broadcast Channel),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Dynamic-Broadcast Channel), 페이징채널(PCH:Paging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의 수에 상당한다.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102).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의 DL_Resource(m)의 값이 초기화된다(단계 S1104).
DL_Resource(m)에 동기신호와 물리 알림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SCH /P-BCH를 가산한다(단계 S1106). 동기신호와 물리 알림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SCH/P-BCH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동기신호, 물리 알림채널이 송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동기신호 또는 물리 알림채널이 송신되는 경우, RBSCH /P- BCH는 6으로 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동기신호 또는 물리 알림채널이 송신되는지 않는 경우, RBSCH /P- BCH는 0으로 한다. 또,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동기신호 또는 물리 알림채널이 송신되는 경우, RBSCH /P- BCH는 7로 해도 좋다.
DL_Resource(m)에 다이나믹 알림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D - BCH를 가산한다(단계 S1108). 다이나믹 알림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D - BCH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다이나믹 알림채널이 송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다이나믹 알림채널이 송신되는 경우, RBD - BCH=RBS1×WeightS1+RBS2×WeightS2+…으로 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다이나믹 알림채널이 송신되는지 않는 경우, RBD-BCH는 0으로 한다. 여기서, S1, S2, …는, 다이나믹 알림채널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RBS1 및 RBS2는, 각각 다이나믹 알림채널 S1 및 다이나믹 알림채널 S2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수이다. 또, WeightS1 및 WeightS2는, 가중계수이다. 단계 S1108에서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전(全) 다이나믹 알림채널에 대해, 그 리소스 블록의 수가 카운트된다. 또, 다이나믹 알림채널의 송신주기는, 상술한 소정주기에 비해 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한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 중에서도 다이나믹 알림채널이 송신되는 경우와 송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가중계수를 사용함으로써, 다이나믹 알림채널의 송신주기의 리소스 사용량으로의 영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주기가 20ms이고, D-BCH의 송신주기가 80ms인 경우에는, 가중계수를 Weight=20/80=0.25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소정주기가 20ms이고, D―BCH의 송신주기가 80ms인 경우에는, 가중계수를 Weight=1.0으로 해도 좋다.
DL_Resource(m)에 페이징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PCH를 가산한다(단계 S1110). 페이징채널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PCH는, 과거에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된 페이징채널의 리소스 블록수의 시간평균값(RBPCH , average)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RBPCH=RBPCH , average×weightPCH에 의해 계산되어도 좋다. 여기서, weightPCH는, PCH를 위한 리소스를 어느 정도까지 확보할지를 조절하기 위한 계수이다. 예를 들면, PCH를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크고, PCH를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PCH=2를 설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PCH를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작고, PCH를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weightPCH=1을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1110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P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D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DL_Resource(m)에 RACH 응답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RACHres를 가산한다(단계 S1112). RACH 응답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RACHres는, 과거에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된 RACH 응답의 리소스 블록수의 시간평균값(RBRACHres , average)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RBRACHres=RBRACHres , average×weightRACHres에 의해 계산되어도 좋다. 여기서, weightRACHres는, RACH 응답을 위한 리소스를 어느 정도까지 확보할지를 조절하기 위한 계수이다. 예를 들면, RACH 응답을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크고, RACH 응답을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RACHres=2를 설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RACH 응답을 위한 리소스의 변동량이 작고, RACH 응답을 위한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weightRACHres=1을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1112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RACH 응답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D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DL_Resource(m)에 MBMS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MBMS를 가산한다(단계 S1114). MBMS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 RBMBMS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MBMS가 송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MBMS가 송신되는 경우, RBMBMS , tmp=RBMBMS×WeightMBMS로 한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MBMS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RBMBMS,tmp=0은 0으로 한다. 여기서, WeightMBMS는, MBMS의 송신주기에 따른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가중계수이다. 단계 S1114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MBMS가 송신되는 경우에, MBMS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D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DL_Resource(m)에 세미 퍼스시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하향링크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 RBPersistent , DL을 가산한다(단계 S1116).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하향링크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 RBPersistent , DL은, 과거에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송신된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의 시간평균값(RBPersistent,average,DL)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면, RBPersistent , DL=RBPersistent , average , DL×weightPersistent , DL에 의해 계산되어도 좋다. 실제로는,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된 하향 데이터에 관해서도,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한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될 예정인 하향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리소스 블록수를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로서 계산을 수행해도 좋다. 여기서, 하향 데이터에는, 신규 송신 및 재송의 양방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향 데이터로서, 신규 송신 및 재송의 양방이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송신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RBPersistent , average , DL이 계산되어도 좋다.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 복수의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세미 퍼스시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RB수의 합계값을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 블록수로 한다.
가중계수 weightPersistent , DL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어느 정도까지 확보할지를 조절하기 위한 계수이다. 예를 들면, 가중계수 weightPersistent , DL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위한 변동량이 크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Persistent , DL=2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가중계수 weightPersistent,DL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위한 변동량이 작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의 리소스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weightPersistent,DL=1로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1116에 의해,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m에 있어서의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된 하향 데이터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가, 리소스의 사용량 DL_Resource(m)으로서 카운트된다.
이상의 단계 S1104―단계 S1116에 있어서의 처리에 의해, 소정주기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이 산출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104―단계 S1116의 처리에 있어서,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동기신호나 물리 알림채널, 다이나믹 알림채널, 페이징 채널, 랜덤 액세스 응답채널, MBMS에 할당된 리소스 사용량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신에, 그들의 리소스 사용량이 포함되지 않고,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만이,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포함되어도 좋다, 혹은, 각 서브프레임에 관한 리소스 사용량에, 동기신호나 물리 알림채널, 다이나믹 알림채널, 페이징 채널, 랜덤 액세스 응답채널, MBMS에 할당된 리소스 사용량의 일부와,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도 좋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에 있어서 수행되는 DRX ON 구간 설정처리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장치(100)의 배터리 세이빙을 목적으로서 DRX 제어(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된다. DRX 제어는,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세미 퍼스시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되는 리소스에만 의해 송신가능한 데이터인 경우에 수행된다. DRX 제어에서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ON 구간,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수신구간)과,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구간(OFF 구간,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비수신구간)으로 나눠, 기지국장치(200)와 유저장치(1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된다. 유저장치(100)는, OFF 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및 하향링크의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에 의해 산출된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유저장치(100)의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일 예로서, 소정주기가 20ms이고,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19가 정의되고, 그리고 리소스 사용량이, 각각, 2, 3, …, 2, 5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ON 구간의 길이가 2ms(2서브프레임)인 경우,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는 ON 구간은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 #1이 된다. 이 경우,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유저장치(100)의 DRX의 ON 구간으로서,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 #0, #1을 설정한다. 한 유저장치(100)에 대해 DRX의 ON 구간으로서 설정된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은,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된 하향 무선리소스에 의해, 하향 데이터의 송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리소스 사용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ON 구간 내에 포함되는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는 처리를, 셀 내의 유저장치(100)에 대해 순차 수행한 경우, 결과로서,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균등해지도록 DRX의 ON 구간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 세미 퍼시스턴트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이 균등해진다란, 효율적으로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지국장치(200)는,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측정한다(단계 S701). 예를 들면, RB 사용량 산출측정부(2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을 측정한다.
기지국장치(200)는, DRX의 수신구간 내의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값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 제어에 있어서 수신구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DRX 제어를 수행한다고 결정한 유저장치에 대해, 상기 DRX의 수신구간 내의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값이 가장 작아지도록, DRX 수신구간을 결정한다(단계 S702).
기지국장치(200)는, DRX 제어에 있어서의 수신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도 3a에 있어서의 PDCCH for SPS와 SPS PUSCH와의 사이의 시간구간(4ms))에, CQI, 스케줄링 리퀘스트 등의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무선리소스를 할당한다(단계 S703).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CQI, 스케줄링 리퀘스트에 더해,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에 관해서도, DRX 제어에 있어서의 수신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도 3a에 있어서의 PDCCH for SPS와 SPS PUSCH와의 사이의 시간구간(4ms))에 그 무선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RB 사용량 산출처리부(202)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리소스 사용량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DRX ON 구간 설정처리부(204)는, 각 서브프레임당의, DRX ON 구간인 유저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DRX ON 구간을 설정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로 나눠서 설명했으나, 양기능을 하나의 기지국장치가 갖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장치의 기능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수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과,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 타이밍과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냈으나, 대신에,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수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과,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타이밍과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이,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수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과,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 타이밍과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 중, 짧은 쪽의 시간구간에 기초하여, 상술한,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리소스할당이 수행되어도 좋다. 혹은,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수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과,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 타이밍과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구간 중, 긴 쪽의 시간구간에 기초하여, 상술한, 상향링크의 제어신호의 리소스할당이 수행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되기 때문에,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특성의 열화도 없이, SPS에 의한 데이터신호의 송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 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혹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되기 때문에, SPS에 있어서의 리소스할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전송특성의 열화도 없이, 하향링크의 SPS에 의한 데이터신호의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과 상향링크의 제어신호 혹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 타이밍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11)

  1. 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되는 유저장치에 대해 간헐수신을 위한 ON 구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구간 내에 할당하는 할당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제1 신호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소정의 제1 시간구간은,
    상기 유저장치가, 하향링크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제2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상향링크에 있어서 제2 신호를 송신하기까지의 시간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제2 신호는, 상향링크의 데이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제1 소정의 시간구간 중, 제2 시간구간을 제외한 시간구간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구간은, 상기 상향링크의 제1 신호의 산출에 요하는 시간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는 소정의 제1 시간구간은,
    상기 유저장치가, 하향링크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상향링크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송신하기까지의 시간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1항에서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각 타임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간헐수신을 위한 ON 구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 내의 타임프레임의 리소스 사용량의 합계값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타임프레임당의, 수신품질의 측정을 위한 시간구간인 유저장치의 수가, 균등해지도록, 상기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간헐수신제어가 수행되는 유저장치에 대해 간헐수신을 위한 ON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제1 신호를 위한 무선리소스를,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ON 구간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구간 내에 할당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117003996A 2008-08-11 2009-08-11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110044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517 2008-08-11
JPJP-P-2008-207517 2008-08-11
PCT/JP2009/064160 WO2010018819A1 (ja) 2008-08-11 2009-08-11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875A true KR20110044875A (ko) 2011-05-02

Family

ID=4166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996A KR20110044875A (ko) 2008-08-11 2009-08-11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87273B2 (ko)
EP (1) EP2315486A4 (ko)
JP (1) JP5462166B2 (ko)
KR (1) KR20110044875A (ko)
CN (1) CN102119572B (ko)
BR (1) BRPI0917967A2 (ko)
MX (1) MX2011001550A (ko)
RU (1) RU2011108044A (ko)
WO (1) WO20100188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389A3 (ko) * 2010-03-17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ps를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WO2013089421A1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4010903A1 (en) * 2012-07-09 2014-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o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9094B2 (en) * 2008-08-12 2015-08-25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radio stations and a system therefor
US8810393B2 (en) 2008-11-06 2014-08-19 Kari Juhani Hooli Wireless device locations services
JP5431983B2 (ja) * 2010-01-22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913222B2 (ja) 2010-02-12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634364B2 (en) * 2010-04-2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20110317624A1 (en) * 2010-06-23 2011-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control/data partition scheme in heterogeneous networks for lte-a
GB2493713B (en) * 2011-08-1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for a wireless device
KR101737189B1 (ko) * 2011-10-27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WO2013067677A1 (en) * 2011-11-07 2013-05-16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ed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to improve resource efficiency
JP5575819B2 (ja) * 2012-01-18 2014-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178680B2 (en) * 2012-03-23 2015-11-03 Alcatel Lucent Control signaling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GB2500896A (en) * 2012-04-03 2013-10-09 Renesas Mobile Corp Synchronising a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function and a discontinuous reception and transmission (DRX/DTX) function
US9363686B2 (en) 2012-12-06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rate adaptation for SU-BF and MU-MIMO operation
US9445365B2 (en) 2013-01-14 2016-09-13 Apple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voice over LTE terminals using semi persistent scheduling in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US20140269475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up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activation
CN105164938B (zh) * 2013-04-24 2019-01-22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具有tdm限制的drx方法及使用该drx方法的用户设备
CN104871469B (zh) * 2013-08-09 2019-11-08 寰发股份有限公司 确定数据信道起始子帧的用户设备和方法
WO2015018075A1 (en) 2013-08-09 2015-02-12 Mediatek Inc. Method to determine the starting subframe of data channel
US9872334B2 (en) * 2014-01-30 2018-01-16 Intel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alignment in dual connectivity networks
US9301257B2 (en) 2014-05-15 2016-03-29 Apple Inc. Adaptive physical layer warm-up for LTE TDD C-DRX power optimization
US10499451B2 (en) * 2014-06-13 2019-12-03 Apple Inc. Adaptive C-DRX management
CN105282855B (zh) * 2014-07-03 202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抢占方法及站点
WO2016072813A2 (ko) * 2014-11-09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간섭 측정 지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34447B2 (en) 2015-02-27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s with enhanced component carriers
CN107124766B (zh) * 2016-02-25 2023-08-11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10912090B2 (en) * 2016-04-1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54892B (zh) 2016-11-28 2019-03-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基地台及其跨協定層睡眠排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99299T3 (es) * 2005-10-31 2020-12-16 Evolved Wireless Llc Método de transmisión y recepción de información de acceso radioeléctric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óviles inalámbrico
MY163396A (en) * 2006-03-24 2017-09-15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plink synchronization and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WO2007145035A1 (ja)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WO2007144956A1 (ja) *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7916675B2 (en) * 2006-06-20 2011-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CN101166316B (zh) * 2006-10-20 201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不连续接收参数的配置方法、系统和用户设备
PL2515587T3 (pl) * 2007-01-11 2021-04-19 Qualcomm Incorporated Stosowanie DTX i DRX w systemie łączności bezprzewodowej
KR101325920B1 (ko) * 2007-05-02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8831646B2 (en) * 2007-06-19 2014-09-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dle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GB2452022B (en) * 2007-07-24 2012-03-28 Nec Corp DRX configuration
US8711745B2 (en) * 2007-09-14 2014-04-2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control start time
AU2009212717B2 (en) * 2008-02-01 2013-04-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8249004B2 (en) * 2008-03-14 2012-08-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US20110117948A1 (en) * 2008-05-02 2011-05-19 Ntt Docomo, Inc.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RPI0915385B1 (pt) * 2008-06-23 2020-10-27 Sharp Kabushiki Kaisha aparelho de estação móvel, sistema de comunicação e método de comunicaçã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389A3 (ko) * 2010-03-17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ps를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9319205B2 (en) 2010-03-17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ross-carrier scheduling for SPS
WO2013089421A1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US9635577B2 (en) 2011-12-12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0903A1 (en) * 2012-07-09 2014-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o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36449A (ko) * 2012-07-09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따르는 상향링크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565714B2 (en) 2012-07-09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o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9067B2 (en) 2012-07-09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o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91833B2 (en) 2012-07-09 2018-10-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o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9572A (zh) 2011-07-06
WO2010018819A1 (ja) 2010-02-18
EP2315486A4 (en) 2016-05-25
CN102119572B (zh) 2014-04-16
MX2011001550A (es) 2011-03-24
US20110188428A1 (en) 2011-08-04
JP5462166B2 (ja) 2014-04-02
BRPI0917967A2 (pt) 2015-11-17
RU2011108044A (ru) 2012-09-20
JPWO2010018819A1 (ja) 2012-01-26
US8787273B2 (en) 2014-07-22
EP2315486A1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2166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437243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867191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EP2936910B1 (en) Non-consecutive subframes in multi-tti scheduling messages
CN107431588B (zh) 用于短tti的时间频率资源的分配方法及其设备
JP5980330B2 (ja) 異種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動的アップリンクおよびダウンリンク構成を知らせ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6403871B2 (ja) 物理ダウンリンク・データ・チャネル送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機器
KR202300961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전송 시간 간격에 의거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236430A (ja) 基地局装置、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JP2012515497A (ja) Pdcchを制限することによるpucchの負荷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20228A (ko) 무선기지국 및 통신제어방법
KR20110009131A (ko) 무선기지국 및 통신제어방법
KR201401002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9010659A (ja)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並びにリファレンスシグナル系列の割り当て方法
JP551419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無線局
EP3113537B1 (en) Termin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0267352B (zh) 用户终端调度方法及装置
CA319663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ssion resource or transmission parameters update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