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149A -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149A
KR20110044149A KR1020100102289A KR20100102289A KR20110044149A KR 20110044149 A KR20110044149 A KR 20110044149A KR 1020100102289 A KR1020100102289 A KR 1020100102289A KR 20100102289 A KR20100102289 A KR 20100102289A KR 20110044149 A KR20110044149 A KR 2011004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layer
adhesive
liquid crystal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6473B1 (en
Inventor
류 다케코
마사시 후지나가
치에 사카우에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PURPOSE: An optical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have excellent durability and thin film type thin and light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plastic sheet and a liquid cell substrate. CONSTITUTION: A glass plate(1) and a plastic sheet(3) are combined through an adhesive layer(2).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polyvinylalcohol system resin and is comprised of adhesive component. The adhesive component includes a silane coupling agent and adds cross-linking agent.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Optical laminated bod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심 부재가 되는 액정 셀 기판을 전형예로 하는 유리판에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전형예로 하는 플라스틱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광학 적층체를 유리하게 제조하는 방법에도 관계되어 있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optical laminated body used suitably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pecifically, the plastics which make a polarizing plate a typical example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on the glass plate which make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used as a center memb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ypical example An optical laminated body in which a sheet is laminated | stacked.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also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is optical laminated body advantageously.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으로서 유용하다. 편광판으로서,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적층한 구성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는 광학적 투명성이나 투습성이 우수한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보호층을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만 마련하는 경우라도, 편광 필름의 또 다른 한쪽 면에는, 위상차 기능 등의 광학 기능을 갖는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의 보호 기능을 겸하여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해 적층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다른 광학 기능층을 통해 액정 셀 기판에 점착제(감압 접착제라고도 불림)에 의해 접합되고 액정 패널이 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편입된다.A polarizing plate is useful as an optical component which compris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a polarizing plate, the thing of the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protective layer which consists of a transparent resin film on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s through an aqueous adhesive etc. is used conventionally. As such a transparent resin film, a triacetyl cellulose film is often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Even when the protective layer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 resin film having an optical function such as a phase difference function may serve as a protective fun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be laminated through an adhesive or an adhesive. many. The polarizing plate comprised in this way is bonded by an adhesive (also call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through another optical function layer as needed, and becomes a liquid crystal panel, and is integrat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텔레비전, 액정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등 박형의 표시 화면으로서 용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용도가 확대되는 가운데, 그것을 구성하는 부재에도 한층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점착제를 이용하여 액정 셀에 접합되는데, 이것은 접합시킨 후 어떠한 문제가 있었던 경우에 용이하게 액정 셀로부터 박리하여 다른 편광판을 접합시키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착제는 통상 적당한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20 ㎛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여 액정 패널 내지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장애가 되고 있다.BACKGROUND AR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rapidly expanding in applications as thin display screens such as liquid crystal televisions, liquid crystal monitors, and personal computers. As the use is expanded in this way, further thinning is required for the members constituting it. As mentioned above, a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using an adhesive, since it is easy to peel off from a liquid crystal cell and to join another polarizing plate in case of any problem after bonding. Howe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ually requires a thickness of at least 20 µm in order to maintain a proper adhesive force, which is one obstacle in achieving thinning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편광 필름의 액정 셀측 보호층을 생략하고, 거기에 직접 점착제층을 형성하며, 그 점착제층을 액정 셀에 접합시킴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하는 시도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광 필름과 액정 셀을 직접 점착제층으로 접합한 상태에서는 고온에 노출되는 내열 시험을 행한 경우에 점착제층만으로는 편광 필름의 수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편광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 발포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고온 상태와 저온 상태를 반복하는 열충격 시험(히트쇼크 시험)을 행한 경우에, 역시 점착제층만으로는 편광 필름의 신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편광 필름이 깨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The liquid crystal cell side protective layer of a polarizing film is abbreviate | omitted, an adhesive layer is formed directly here, and there exists an attempt to reduce thickness by bonding this adhesive layer to a liquid crystal cell. How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re directly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manner, when the heat resistance test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s perform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lone cannot absorb the shrinkage of the polarizing film sufficiently. Defects, such as peeling and foaming, may arise. Moreover, when the heat shock test (heat shock test) which repeats a high temperature state and a low temperature state is performed, after all, only an adhesive layer cannot fully absorb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may be broken.

편광판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다른 시도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제4306269호 공보(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4호 공보)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경화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도공(塗工)한 후, 그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보호막으로 하는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통해 액정 셀에 접합한 상태에서는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고, 예컨대 히트쇼크 시험을 행한 경우에 역시 편광 필름이 깨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제4306270호 공보(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5호 공보)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통해 보호막을 접합하여 편광판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attemp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430626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45924) discloses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fter coating the epoxy resin composition of hardening, the technique of forming a protective film by hardening the composition is disclosed. However, durability is not enough in the state which bonded the polarizing plate which uses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n epoxy resin composition as a protective film to the liquid crystal cell via an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ing film might also be broken when a heat shock test was performed, for example. In addition, Japanese Patent No. 4306270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245925) discloses a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an epoxy resin which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e technique which bonds a protective film through the adhesive agent and makes a polarizing plate is disclosed.

한편, 일본 특허 제3695484호 공보(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59828호 공보)에는 편광 필름의 일면에 에틸렌과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말레산 또는 무수 말레산과의 삼원 공중합체에 대하여 광증감제와 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 등의 불포화 화합물이 각각 소정량 배합된 광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하여 접착층을 갖는 편광판으로 하고, 이 접착층을 통해 액정 셀 기판에 편광판을 접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편광 필름의 다른 면에는 상기한 광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마련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No. 369548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59828) discloses a ternary copolymer of ethylene, an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on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A technique for form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n adhesive layer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composed of a photocurable adhesive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n unsaturated compound such as a photosensitizer and an acryloyloxy group-containing compound, respectively, and the technique of adhering the polarizing pla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It is disclosed and providing the protective layer which consists of said photocurable adhesive agent on the other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s also described.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되는 접착제를 통해 편광판을 액정 셀 기판에 접착한 경우, 내열 시험이나 히트쇼크 시험에 있어서, 소형 사이즈의 액정 셀에서는 큰 문제가 보여지지 않으나, 중형 내지 대형 사이즈의 액정 셀이 되면 편광판이 액정 셀 기판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편광 필름이 깨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액정 셀 기판에 접합시킨 광학 적층체는, 박육화(薄肉化)가 가능하지만, 일단 액정 셀에 접합된 편광판은 그것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접합 후의 검사에서 어떠한 문제가 발견된 경우에, 특수한 유기 용제로 처리하는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 그 액정 셀을 재이용할 수 없어 경제적인 메리트가 부족하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 the heat resistance test or the heat shock test, a large problem is not seen in the small size liquid crystal cell, but the medium to large size liquid crystal cell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arizing film is broken. Moreover, although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bonded the polarizing pla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using this adhesive agent can be made thin, the polarizing plate once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cannot peel it easily. Therefore, when any problem is found in the inspection after the bonding, the liquid crystal cell cannot be reused unless a process such as treatment with a special organic solvent is performed, and economic merits are insufficient.

일본 특허 제4093891호 공보(일본 특허 공개 제2004-4636호 공보)에는 점착제를 통해, 편광판을 롤로부터 공급하여 직접 액정 셀 기판에 접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Patent No. 409389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4636) discloses a technique of supplying a polarizing plate from a roll and bonding it directly to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via an adhesive.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판을 대표예로 하는 플라스틱 시트와 액정 셀 기판을 대표예로 하는 유리판을 특정한 접착제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박형 경량성 및 내구성능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광학 적층체의 유리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optical laminated body excellent in thin-light weight and durability by bonding the plastic sheet which makes a polarizing plate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 glass plate which make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 typical example through a specific adhesive age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antageous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하기 발명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inventions.

[1] 유리판과 플라스틱 시트가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1] An optical laminated body in which a glass plate and a plastic sheet are bonded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2]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1]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이 형태가 바람직하다. [2]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further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This form is preferred.

[3]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3]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4] 상기 접착제층은 5 ㎛ 이하의 두께를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이 형태는 광학 적층체의 박육화(薄肉化)에 적합하다.[4]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µm or less. This form is suitable for thickness reduction of an optical laminated body.

[5] 상기 유리판은 액정 셀 기판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5]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glass plate i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6]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6]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lastic sheet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7]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한쪽 면 이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구비하는 [6]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7]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6],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the polarizing film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8]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그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보호층과는 반대측의 편광 필름면이 직접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액정 셀 기판에 접합되어 있는 [7]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이 형태는 바람직하다.[8]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the polarizing film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pposite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directly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 An optical laminated body. This form is preferred.

[9]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그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과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그 위상차판측이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액정 셀 기판에 접합되어 있는 [7]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이 형태도 바람직하다.[9]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ing film,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phase difference plate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the phase difference plate side being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optical laminated body as described in [7]. This form is also preferable.

[10] 유리판에 플라스틱 시트가 접합된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판과 플라스틱 시트의 각각 접합면 중 한쪽 이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마련하는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 그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상기 접합 공정에서 얻어지는 접합품을 검사하여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라인으로부터 제외하는 검사 공정, 및 상기 검사 공정을 거쳐 결함이 검출되지 않은 접합품에 존재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구비한다.[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in which a plastic sheet is bonded to a glass plat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a layer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on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of the glass plate and the plastic sheet, respectively. A step of forming an adhesive composition layer for preparing a layer,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glass plate and the plastic sheet through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a bonding product obtained in the bonding step to be inspected to remove a bonded product from which a defect is detected. An inspection process and the hardening process which hardens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exists in the joined article which a defect was not detected through the said inspection process are provided.

[11] 상기 유리판은 액정 셀 기판이고,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10]에 기재된 방법.[11] The method of [10], wherein the glass plate i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nd the plastic sheet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12] 상기 검사 공정에서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은 플라스틱 시트를 박리한 후, 유리판을 상기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방법.[12] The method according to [10] or [11], wherein the bonded article whose defect is detected in the inspection step is configured to return the glass plate to the formation step of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after the plastic sheet is peeled off.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유리판에 접착제층을 통해 직접 플라스틱 시트를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유리판과 플라스틱 시트의 밀착성도 양호한 것이 된다. 특히, 액정 셀 기판을 유리판으로 하고 편광판을 플라스틱 시트로 한 경우에는 액정 셀 기판에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이 접합되어 있는 종래의 광학 적층체와 비교하여 두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적층체, 나아가서는 액정 패널의 박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편광판과 액정 셀 기판의 밀착성도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액정 셀 기판과 편광판의 접합에 점착제가 아니라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장치 조립 시의 가열 처리나 장치 사용 시의 환경 조건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can bond a plastic sheet directly to a glass plate through an adhesive bond layer,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and also the adhesiveness of a glass plate and a plastic sheet becomes favorable. In particular, when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is a glass plate and the polarizing plate is a plastic sheet, since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optical laminate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via an adhesive layer, the optical laminate, Furthermore, the weight reduction of a liquid crystal panel can be aimed at, and the adhesiveness of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also becomes favorable. Moreover,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an fully endure the heat processing at the time of an apparatus assembly,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time of using an apparatus can be provided by using an adhesive agent instead of an adhesive for bonding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and a polariz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광학 적층체를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접합 공정 후, 경화 공정 전에 검사 공정을 마련하고, 표면의 상처, 이물의 존재, 기포의 말려 들어감, 또는 축 어긋남 등의 결함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율좋게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셀 기판을 대표예로 하는 유리판과 편광판을 대표예로 하는 플라스틱 시트의 접합에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고 있고, 경화 공정을 거치기 전이면 용이하게 그 플라스틱 시트를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검사 공정에서 결함이 검출되어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진 접합품은 그것으로부터 플라스틱 시트를 박리한 후, 수세(水洗)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을 씻어내는 등의 간단한 공정을 거쳐 상기한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적층체의 생산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ptical laminate can be produced advantageously. In particular, after a joining process and before a hardening process, an inspection process is provided, and when defects, such as a wound of a surface, presence of a foreign material, curling of a bubble, or axial shift | offset, are detected, it joins the bonded article which detected the defect. Since it is going to let it out, an optical laminated body can be manufactured with a high yield. Moreover,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queous solution is used for the joining of the glass plate which makes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 plastic sheet which makes a polarizing plate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can easily peel this plastic sheet from a glass plate before going through a hardening process. have. Therefore, after the defect was detected in the said inspection process and sent out of the manufacturing line, after peeling a plastic sheet from it,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mentioned above through the simple process of washing an adhesive composition by water washing, etc. Since it can return 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an optical laminated body can be improved fur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기본적인 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의 일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which shows the basic laminated constitution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one form of the laminated constitution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other layer structure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단면 모식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는 액정 셀 기판인 유리판(1)과 전형적으로는 편광판인 플라스틱 시트(3)를 접착제층(2)을 통해 접합하여 광학 적층체(10)로 한다. 접착제층(2)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먼저, 접착제 조성물 및 그것으로 형성되는 접착제층(2)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유리판(1) 및 플라스틱 시트(3)의 순서로 설명을 진행시켜 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in FIG. 1, the glass sheet 1, which is typically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nd the plastic sheet 3, which is typically a polarizing plate, are bonded through an adhesive layer 2 to form an optical laminate ( 10). The adhesive layer 2 is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rst,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bond layer 2 formed from it are demonstrated, and description is advanced in order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after that.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폴리비닐알콜계 수지><Polyvinyl alcohol resin>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를 접착하기 위해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다. 이 접착제 조성물은 통상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은 편광판의 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과 그 적어도 한쪽 면에 접합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대표예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에 이용되고 있으나, 편광판을 대표예로 하는 플라스틱 시트와 액정 셀 기판을 대표예로 하는 유리의 접착에 이용한 경우에 높은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In this invention, in order to adhere | attach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used. This adhesive composition is usually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Aqueous solutions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have conventionally been used in the field of polarizing plates for the adhesion of a polarizing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ing a triacetyl cellulose film bonded to at least one side thereof. It was discovered by the present inventors to express high adhesive force, when the plastic sheet which makes a polarizing plate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is used for adhesion | attachment of glass which makes a representative example.

접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이 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적당한 중합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4 중량% 농도의 수용액으로 했을 때에 점도가 4 mPa·sec∼50 mPa·se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 mPa·sec∼30 mPa·se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Polyvinyl alcohol-type resin which becomes a main component of an adhesive compositio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 type resin. As polyvinyl acetate type resin, the copolymer etc. of vinyl acetate and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it besides th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re illustrated. As another monomer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 acrylamide which has an ammonium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ontained in such an adhesive composition has a suitable degree of polymerization, For example, when it is set as the aqueous solution of 4 weight% concent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exists in the range of 4 mPa * sec-50 mPa * sec, Furthermore, it is more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of 6 mPa * sec-30 mPa * sec.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8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90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가 낮으면 접착제층(2)의 내수성이 불충분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80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When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ontained in an adhesive composition is low,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bond layer 2 to become inadequate easily.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서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을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ontained in an adhesive composition is modified. Examples of such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includ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d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When such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it is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is improved.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아세토아세틸기(CH3COCH2CO-)를 갖는 것이며, 그 외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아세토아세틸기는 전형적으로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된 상태로 존재한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을 디케텐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인 아세토아세틸기를 갖기 때문에 접착제층(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경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다.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cetoacetyl group (CH 3 COCH 2 CO-)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may have other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This acetoacetyl group exists in the state which the hydrogen atom of the hydroxyl group is substituted typically.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method of reacting polyvinyl alcohol with diketene.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e in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2 because it has acetoacetyl group which is a highly reactive functional group. Moreover, when hardening an adhesive composi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since it is excellent in sclerosis | hardenability,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modified by the acetoacetyl group is preferable.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기의 함유량은 0.1 몰%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여기서 말하는 아세토아세틸기의 함유량이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수산기, 아세토아세틸기, 및 그 외의 에스테르기(아세틸기 등)의 합계량에 대한 아세토아세틸기의 몰분율을 %로 표시한 값이며, 이하 「아세토아세틸화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화도가 0.1 몰%를 하회하면 접착제층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반드시 충분하지 않게 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화도는 0.1 몰%∼40 몰% 정도, 나아가서는 1 몰%∼20 몰%, 특히 2 몰%∼7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화도가 40 몰%를 초과하면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진다.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f content of acetoacetyl group in acetoacetyl group modifi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0.1 mol% or more. Content of the acetoacetyl group here is the value which expressed the mole fraction of the acetoacetyl group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hydroxyl group, acetoacetyl group, and other ester groups (acetyl group etc.) in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 below. Acetoacetylation degree ”in some cases. When the acetoacetylation degree in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less than 0.1 mol%, the effect which improves the water resistance of an adhesive bond layer will not necessarily be enough. Acetoacetylation degree in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about 0.1 mol%-40 mol%,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 mol%-20 mol%, Especially 2 mol%-7 mol%. When the acetoacetylation degree exceeds 40 mol%, the improvement effect of water resistance will become small.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음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이며, 그 외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음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시키고 계속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양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것이며, 그 외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양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시키고 계속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s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COOH) or a salt thereof,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may have other groups such as acetyl group. . The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method of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with vinyl acetate and subsequently saponifying. On the other hand,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s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may have other groups such as acetyl group or the like. do.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method of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with vinyl acetate and subsequently saponifying.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물론 상술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미변성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완전 또는 부분 비누화물) 및 상술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of course, contain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d u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specifically, complete or partial saponified polyvinyl acetate). ) And both of the above-described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에는 시판되어 있는 적절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높은 비누화도를 갖는 폴리비닐알콜로서 (주)구라레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PVA-117H"나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고세놀 NH-20",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로서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고세파이머 Z" 시리즈,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로서 (주)구라레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KL-318" 및 "KM-118"이나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고세날 T-330",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로서 (주)구라레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CM-318"이나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고세파이머 K-210" 등을 들 수 있다.A commercially available suitabl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an be used for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n optical laminated body. Specifically, for example, "PVA-117H" sold by Kuraray as a polyvinyl alcohol having a high degree of saponification, "Gosenol NH-20" sold by Nippon Kosei Kagaku Kogyo Co., Ltd., Aceto "Kosepimer Z" series sold by Nippon Kosei Kagaku Kogyo Co., Ltd. as an 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KL-318" sold by Kuraray Co., Ltd. as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CM-318 and Nippon Kosei, sold by KM-118 and Nippon Kosei Kagaku Kogyo Co., Ltd. "Kosepimer K-210" sold by Kagaku Kogyo Co., Ltd., etc. are mentioned.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1 중량부∼20 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 중량부∼15 중량부, 나아가서는 1 중량부∼10 중량부, 특히 3 중량부∼10 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또한 그 농도가 지나치게 크면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접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물은 순수(純水), 초순수, 수돗물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균일성,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순수 또는 초순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콜을 접착제 수용액에 첨가할 수도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in the range of 1 part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o be in a range of 1 weight part-15 weight part, Furthermore, 1 weight part-10 weight part, especially 3 weight part-10 weight par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adhesiveness tends to be lowered,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too large, the optical property of the optical laminate obtained tends to be lowered. have. Although water used for this adhesive composi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such as pure water, ultrapure water, tap water, etc., Pure water or ultrapure water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maintaining the uniformity and transparency of the adhesive bond layer formed. Moreover, alcohol,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can also be added to aqueous adhesive solution.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그 외의 성분><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층(2)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에는, 접착제층과 유리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an adhesive bond layer and a glass plat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bond layer 2, and especially a silane coupling is carried out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t is preferable to mix | blend a ring agent.

실란 커플링제는 규소 원자에 알콕시기와 같은 가수분해성기가 결합함과 아울러, 아미노기, 에폭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메르캅토기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기가 결합한 화합물일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톡시디메틸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물에 대한 용해성이나 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 시간(포트 라이프; pot life)을 고려하면, 에폭시기, 아미노기 또는 메르캅토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바람직하다.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a compound in which a hydrolyzable group such as an alkoxy group is bonded to a silicon atom, and an organic group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such as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a (meth) 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 halogeno group, or a mercapto group is bonded. Can b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s (2-methoxyethoxy) silane, N- (2-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 ( 2-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 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ethoxydimethyl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chloropropylmethyldimeth 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You may use combining 2 or more types of silane coupling agents. Among these, in consideration of the solubility in water and the usable time (pot life) as an adhesive,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epoxy group, an amino group or a mercapto group is preferable, for example, 3-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 N- (2-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are preferable.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콘 올리고머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실리콘 올리고머를 (모노머)-(모노머) 코폴리머의 형식으로 나타내면,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of silicone oligomer type. When a silicone oligomer is represented by the form of a (monomer)-(monomer) copolymer, the following are mentioned, for example.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메르캅토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Copolymers containing mercaptopropyl groups, such as 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메르캅토메틸기 함유의 코폴리머;Mercaptometh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mercaptometh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mercaptomethyltr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and mercaptomethyltri Copolymers containing mercaptomethyl groups, such as 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s;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trier 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methacrylo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and 3-methacryloyloxypropylmethyl Copolymers containing methacryloyloxypropyl groups, such as d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s;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3-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oxypropyltriethoxysilane- 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oxypropyl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 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crylo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and 3-acrylo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s containing acryloyloxypropyl groups, such as copolymers;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비닐기 함유의 코폴리머;Vin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vin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vinyltr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vinyl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 Polymers, vinylmethyld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s, vinylmethyld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s, vinylmethyld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s, and vinylmethyldiethoxysilane-tetrae Vinyl group-containing copolymers such as oxysilane copolymers;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의 코폴리머 등.3-aminopropyl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aminopropyl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minopropyltr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 Aminopropyl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3-aminopropyl Amino group-containing copolymers such as methyld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copolymer and 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copolymer.

이들 실란 커플링제는 대부분의 경우 액체이기 때문에 그대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혼합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중량부∼50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3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실란 커플링제의 양이 0.01 중량부 이상, 특히 0.03 중량부 이상이면 접착제층과 유리의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그 양이 50 중량부 이하, 특히 30 중량부 이하이면 접착제층으로부터 실란 커플링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것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Since these silane coupling agents are liquid in most cases, they can be mixed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it is. The compounding quantity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 an adhesive composition is about 0.01 weight part-50 weight part normal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s, Preferably it is used in the ratio of 0.03 weight part-30 weight part. Since the adhesiveness of an adhesive bond layer and glass improves that the quantity of a silane coupling agen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s is 0.01 weight part or more, especially 0.03 weight part or more, it is preferable. Moreover, since the amount tends to be 50 weight part or less, especially 30 weight part or less, since the bleeding-out of a silane coupling agent from an adhesive bond layer tends to be suppressed.

본 발명에서의 접착제층(2)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배합할 수도 있고 실란 커플링제와 함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배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와 가교제의 양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rosslinking agent can be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bond layer 2 in this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blended in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that does not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or a crosslinking agent may be blended in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together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되고,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가 될 수 있는 화합물을 관능기별로 게재하면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기(가교의 -O-)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에폭시 화합물; 모노- 또는 디-알데히드류; 유기 티탄 화합물; 마그네슘, 칼슘, 철, 니켈, 아연, 및 알루미늄과 같은 2가 또는 3가 금속의 무기염; 글리옥실산의 금속염; 메틸올멜라민 등이 있다. The crosslinking agent should just be a compound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has reactivity with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nd what has conventionally been used in the polyvinyl alcohol-type adhesive agent can be used without a restriction | limiting. When the compound which can be a crosslinking agent is published for each functional group, the isocyanate compound which has at least 2 isocyanate group (-NCO) in a molecule | numerator; An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epoxy groups (crosslinked -O-) in the molecule; Mono- or di-aldehydes; Organic titanium compounds; Inorganic salts of divalent or trivalent metals such as magnesium, calcium, iron, nickel, zinc, and aluminum; Metal salts of glyoxylic acid; Methylolmelamine and the like.

가교제가 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어덕트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socyanate compound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the adduct of trimethylol propane and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hese Ketooxime block water, a phenol block water, etc. are mentioned.

가교제가 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to be a crosslinking agent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or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trimethyl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obtained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polyamide polyamine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all propane triglycidyl ether, diglycidyl aniline, diglycidyl amine, polyalkylene polyamine and dicarboxylic acid, etc. Can be mentioned.

가교제가 되는 모노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서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디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탈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aldehydes used as crosslinking agents include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and the like,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dialdehydes are glyoxal, malondialdehyde, succinic aldehyde, malealdehyde, and malealdehyde. And phthaldialdehyde.

가교제가 되는 유기 티탄 화합물은 마쯔모토 파인 케미컬(주)로부터 각종의 것이 판매되고 있다. 동사(同社)의 유기 티탄 화합물에 관한 홈페이지(인터넷<URL: http://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2010년 9월 6일 검색)로부터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수용성 유기 티탄 화합물을 그 시성식,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동사의 상품명의 순으로 게재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As for the organic titanium compound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various things are sold from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It is suitable for this invention from the homepage (internet <URL: http://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September 6, 2010 search) of the organic titanium compound of the company. When the water-soluble organic titanium compound used is published in the order of its formula, the chemical name of the verb, and the brand name of the verb, there are the following.

[(CH3)2CHO]2Ti[OCH2CH2N(CH2CH2OH)2]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미네이트)」, 동사의 상품명 "오르가틱스 TC-400",[(CH 3 ) 2 CHO] 2 Ti [OCH 2 CH 2 N (CH 2 CH 2 OH) 2 ] 2 : Chemical name "titanium diisopropoxybis (triethanol aluminate)" as the verb refers to the product name "Orga Tics TC-400 ",

(HO)2Ti[OCH(CH3)COO-]2(NH4 +)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암모늄염」, 동사의 상품명 "오르가틱스 TC-300", (HO) 2 Ti [OCH ( CH 3) COO -] 2 (NH 4 +) 2: Chemical name company speak "titanium lactate ammonium salt", trade name of the company "Organic ticks TC-300",

(HO)2Ti[OCH(CH3)COOH]2: 동사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 동사의 상품명 "오르가틱스 TC-310" 및 "오르가틱스 TC-315".(HO) 2 Ti [OCH (CH 3 ) COOH] 2 : The chemical name "titanium lactate" referred to by the verb, the brand names "Orgatics TC-310" and "Orgatics TC-315".

또한, 글리옥실산의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글리옥실산나트륨, 글리옥실산칼륨, 글리옥실산마그네슘, 글리옥실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The metal salt of glyoxylic acid is preferably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odium glyoxylate, potassium glyoxylate, magnesium glyoxylate and calcium glyoxylate.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상술한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를 비롯한 에폭시 화합물이나 알데히드류, 메틸올멜라민, 글리옥실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Among these crosslinking agents, epoxy compounds including soluble polyamide epoxy resins described above, aldehydes, methylolmelamine,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of glyoxylic acid, and the like are suitably used.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함께 물에 용해되어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액 내에서의 가교제 양은 약간이어도 되기 때문에 물에 대하여 예컨대, 적어도 0.1 중량% 정도의 용해도를 갖는 것이면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수용성이라고 불릴 정도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 쪽이 본 발명에 이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linking agent is melt | dissolved in water with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nd forms the adhesive composition. However, as described below, since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queous solution may be slightly, it can be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as long as it has a solubility of at least about 0.1% by weight relative to water. Of course, the compound which has solubility in water of the grade generally called water solubility is suitable as a crosslinking agent used for this invention.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되는 것이지만,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5 중량부∼6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50 중량부이다. 이 범위에서 가교제를 배합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이 경우에도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5 중량부∼60 중량부, 나아가서는 10 중량부∼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가교제의 반응이 단시간에 진행되어 접착제 조성물이 조기에 겔화되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포트 라이프가 극단적으로 짧아져 공업적인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Although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crosslinking agent is designed suitably according to the kind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etc., it is about 5 weight part-60 weight part normal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Preferably it is 10 weight part-50 weight part. . By mix | blending a crosslinking agent in this range, favorable adhesiveness i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but even in this case, 5 parts by weight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ix | blend in the ratio of 10 weight part-50 weight part further.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too large, the reac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proceeds in a short time,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tends to gel prematurely. As a result, the pot life becomes extremely short, making it unsuitable for industrial use.

접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컨대 가소제, 대전 방지제, 미립자 등 종래 공지된 적절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nventionally known appropriate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antistatic agents and fine particles may be blen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접착제층]Adhesive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이상 설명한 접착제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이상의 각 성분이 배합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마련하고, 그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를 접합하며, 그 층을 경화시켜 접착제층(2)으로 한다. 접착제층(2)의 두께는 5 ㎛ 이하로 할 수 있고, 통상 0.001 ㎛∼5 ㎛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 ㎛∼2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2 ㎛의 범위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시트(3)의 외관 불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In this inven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demonstrated abov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Preferably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queous solution which mix | blended each above component is provided, and the adhesive agent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a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layer of the composition, and the layer is cured to form an adhesive layer 2.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bond layer 2 can be 5 micrometers or less, and usually 0.001 micrometer-about 5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0.01 micrometer-2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0.05 micrometer-2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bond layer exceeds 5 micrometer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lead to the appearance defect of the plastic sheet 3.

[유리판][Glass plate]

접착제층(3)을 통해 플라스틱 시트(3)가 접합되는 유리판(1)에는, 일반적으로 유리라고 불리는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유리판(1)이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액정 셀 기판인 경우에 유용하다. 액정 셀 기판은 다른 1장의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협지(挾持)하여 액정 셀을 구성하는 것이며, 이 액정 셀은 액정 표시 장치의 중핵적 부재가 된다. 액정 셀 기판을 구성하는 유리는 소다석회 유리, 저알칼리 붕규산 유리, 무알칼리 알루미노붕규산 유리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의 유리판일 수 있으나, 액정 셀에는 특히 무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Various things generally called glass can be used for the glass plate 1 by which the plastic sheet 3 i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3. 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is especially useful when the glass plate 1 is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which compris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sandwiches a liquid crystal between another board | substrate, and comprises a liquid crystal cell, This liquid crystal cell becomes a core memb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glass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may be a variety of generally known glass plates such as soda lime glass, low alkali borosilicate glass, alkali alumino borosilicate glass, but an alkali free glass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for the liquid crystal cell.

[플라스틱 시트][Plastic sheet]

접착제층(2)을 통해 유리판(1)에 접합되는 플라스틱 시트(3)도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의해 접착능을 발현하는 수지가 유리판(1)에의 접합면이 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의해 접착능을 발현하는 수지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비롯한 쇄상(鎖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plastic sheet 3 bonded to the glass plate 1 through the adhesive layer 2 can also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resin expressing the adhesive ability by the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becomes the bonding surface to the glass plate 1. have. As a resin which expresses adhesive ability by the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ellulose acetate resin containing poly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nd linear olefin res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and acrylic resins, including cycloolefin resins and polypropylene resins.

이들 중에서도,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유리판(1)에의 접합면이 되는 플라스틱 시트에 대하여, 본 발명은 높은 접착력을 발현한다.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시트(3)의 유리판(1)에 접합되는 면에 비누화 처리나 코로나 방전 처리와 같은 접착을 용이하게 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접착제층의 형성, 또한 유리판(1)에의 접합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유리판(1)에의 접합면이 되는 경우에는, 그 면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의한 접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비롯한 쇄상 올레핀계 수지가 유리판(1)에의 접합면이 되는 경우라도 그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와 같은 접착을 용이하게 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에 의한 높은 접착력을 발현하게 된다.Among these, this invention expresses high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plastic sheet | seat which a cellulose acetate type resin or polyvinyl alcohol-type resin becomes a bonding surface to the glass plate 1. If necessary, the surface bonded to the glass plate 1 of the plastic sheet 3 is subjected to a treatment for facilitating adhesion such as a saponification treatment or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followed by formation of an adhesive layer and further bonding to the glass plate 1. Can also be provided to. For example, when a cellulose acetate type resin becomes a bonding surface to the glass plate 1, the adhesive force by the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an be heightened more by performing a saponification process to that surface. In addition, even when the chain olefin resin, including cycloolefin resin or polypropylene resin, becomes the bonding surface to the glass plate 1, the polyvinyl alcohol system is subjected to a treatment that facilitates adhesion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the surface. High adhesive force by the aqueous solution of resin will be expressed.

플라스틱 시트(3)의 두께는 유리판(1)에 접합할 수 있는 상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유리판(1)에의 접합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요성 등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는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00 ㎛ 이하, 특히 2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lastic sheet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bonded to the glass plate 1.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plastic sheet 3 is preferably provided for bonding to the glass plate 1 in a rolled shape, the plastic sheet 3 is generally considered. As 5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Furthermore, 300 micrometers or less, especially 200 micrometer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편광판><Polarizing plat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도 1에서의 유리판(1)이 액정 셀 기판이고 플라스틱 시트(3)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 그 자체를 단독으로 플라스틱 시트(3)로 할 수도 있으나, 편광 필름 단독으로는 약하기 때문에 그 적어도 한쪽 면, 특히 액정 셀 기판(1)에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투명 보호층을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mentioned above,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glass plate 1 in FIG. 1 is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and the plastic sheet 3 has a polarizing film by which the dichroic dye was adsorbed-oriented to polyvinyl alcohol-type resin. Especially useful in the case. Although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film itself may be used as the plastic sheet 3 alone, but since the polarizing film alone is weak, it is transparent to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especially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1. What provided the protective layer is used preferab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의 일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6)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7)을 마련하여 편광판(5)으로 하고, 투명 보호층(7)이 마련된 면과는 반대측의 편광 필름(6)의 면이 직접, 접착제층(2)을 통해 액정 셀 기판(1)에 접합되어 광학 적층체(11)가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의 광학 적층체(11)에 있어서는, 접착제층(2)에 접촉하여 편광 필름(6)이 적층되고, 편광 필름(6)에서의 접착제층(2)과는 반대측의 면에 투명 보호층(7)이 적층되어 있다.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one form of the laminated constitution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this aspec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6 to be the polarizing plate 5, and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6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rovided. The direct laminated body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1 via the adhesive bond layer 2, and the optical laminated body 11 is comprised. That is,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11 of FIG. 2, the polarizing film 6 is laminated | stacked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bond layer 2, and is transparent to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adhesive bond layer 2 in the polarizing film 6 The protective layer 7 is lamin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다른 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6)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7)을 마련하고, 편광 필름(6)의 다른 면에는 적절한 수지층(8)을 마련하여 편광판(5)으로 하며, 그 수지층(8)측이 접착제층(2)을 통해 액정 셀 기판(1)에 접합되어 광학 적층체(12)가 구성되어 있다.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other layer structure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this aspec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and the appropriate resin layer 8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to be the polarizing plate 5. The resin layer 8 side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1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2, and the optical laminated body 12 is comprised.

이와 같이 편광판(5)은 편광 필름(6)을 포함하는 것이면 또한 어떠한 층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편광 필름(6) 이외의 층은 2층 이하, 특히 1층 또는 2층인 것이 편광 필름(6)을 보호하면서 광학 적층체 내지는 액정 패널을 얇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광 필름(6)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7)을 갖고, 그 투명 보호층(7)과는 반대측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면(편광 필름 표면)에서 직접 접착제층(2)을 통해 액정 셀 기판(1)이 접합되어 있는 형태는 바람직한 것 중 하나이다. 도 2에 도시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 투명 보호층(7)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편광판(5)의 두께를 예컨대 100 ㎛ 이하로 할 수 있다.Thus, although the polarizing plate 5 may contain what kind of layer as long as it contains the polarizing film 6, the layer other than the polarizing film 6 may be two or less layers, especially one layer or two layers. It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thinning an optical laminated body or a liquid crystal panel, protecting. From such a viewpoin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surface (polarizing film) which h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as shown in FIG. 2, and is opposite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The form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1 i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2 directly on the surface) is one of the preferable ones. When employ | adopting the form shown in FIG. 2, although it changes also with the kind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5 can be 100 micrometers or less, for example.

<편광 필름><Polarizing film>

편광판(5)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6)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As for the polarizing film 6 which comprises the polarizing plate 5, a dichroic dye is adsorption-oriented to polyvinyl alcohol-type resin. More specifically, the thing in which the dichroic dye was adsorption-oriented to the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s used suitably.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앞서 설명한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마찬가지로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100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 몰%∼100 몰%이다.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또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10,000 정도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similarly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As polyvinyl acetate type resin, the copolymer etc. of vinyl acetate and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is besides th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re illustrated. As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mol%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to 100 mol%.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may be further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or the like can also be used. Moreover,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which comprises a polarizing film is about 1,000-10,000 normally, Preferably it is about 1,500-10,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제막(製膜)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10 ㎛∼150 ㎛ 정도이다.What formed such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to a film is used as a raw film of a polarizing film. The method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to a fil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form into a film by a well-known method. Although the film thickness of a polyvinyl alcohol-type raw fil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about 10 micrometers-150 micrometers.

편광 필름은 통상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A polarizing film is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original film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of dye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and a dichroic dye. It manufactures through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adsorb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ith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the process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he process by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1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에 행해도 되고, 염색과 동시에 행해도 되며, 염색 후에 행해도 된다. 1축 연신을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이 1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해도 되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된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1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1축 연신 시에는 주속(周速)이 다른 롤 사이에서 1축으로 연신해도 되고, 열롤을 이용하여 1축으로 연신해도 된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등의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용제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된다. 연신 배율은 통상 3배∼8배 정도이다.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with a dichroic dy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dyeing, and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When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dye, this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boric acid treatment or during boric acid treatment.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uniaxially stretch in these several steps. At the time of uniaxial stretching, you may extend | stretch to 1 axis between rolls from whic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s, and you may extend | stretch to 1 axis using a hot roll. Moreover, dry extending | stretching, such as extending | stretching in air | atmosphere, may be sufficient, and the wet extending | stretching which extends in the state swollen with a solvent may be sufficient. The draw ratio is usually about 3 to 8 times.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 이색성의 유기 염료 등이 이용된다. 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Dyeing by the dichroic dye of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s performed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for example. As a dichroic dye, iodine, a dichroic organic dye, etc. are us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s immersed in water before a dyeing process.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은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염색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중량부∼0.5 중량부 정도이고, 또한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 중량부∼10 중량부 정도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 정도이고,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30초∼300초 정도이다.When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it is usually dyed by the method of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The content of iodin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0.01 part by weight to 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s usually about 0.5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dyeing is about 20 degreeC-40 degreeC normally, and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about 30 second-300 second normally.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의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은 수용성의 이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염색된다. 이 염료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3∼1×10-2 중량부 정도이다. 염료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 정도이고, 또한 염료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30초∼300초 정도이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dichroic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it is usually dyed by the method of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dy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water-soluble dichroic organic dye.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is dye aqueous solution is about 1 * 10 <-3> -1 * 10 <-2> weight part normal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water. The dy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as a dyeing aid. The temperature of the dye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20 ° C. to 80 ° C., and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e dye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30 seconds to about 300 seconds.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 중량부∼15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12 중량부 정도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 중량부∼2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15 중량부 정도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0초∼1,2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초∼600초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200초∼400초 정도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85℃이다.The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dye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boric acid containing aqueous solution. The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2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about 5 parts by weight to 1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it is preferable that boric acid containing aqueous solution contains potassium iodide. In this cas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n boric-acid 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about 2 weight part-20 weight part normal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water, Preferably it is about 5 weight part-15 weight part. Immersion time in boric-acid 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about 100 second-1,200 second normally, Preferably it is about 150 second-600 second, More preferably, it is about 200 second-400 second.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 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50 degreeC or more normally, Preferably it is 50 degreeC-85 degreeC.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수세 처리에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 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2초∼120초 정도이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통상 40℃∼100℃ 정도이다.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120초∼600초 정도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boric acid treatment is usually washed with water. A water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processed boric acid in water,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water in a water washing process is about 5 to 40 degreeC normally, and immersion time is about 2 to 120 second. After water washing,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nd a polarizing film is obtained. A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using a hot air dryer or a far infrared heater. Drying temperature is about 40-100 degreeC normally. The drying treatment time is usually about 120 seconds to about 600 seconds.

이상과 같이 하여, 1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두께는 5 ㎛∼40 ㎛ 정도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roduce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can be about 5 micrometers-40 micrometers.

<투명 보호층><Transparent protective layer>

편광 필름(6)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되는 투명 보호층(7)은, 예컨대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비롯한 쇄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비롯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비롯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당분야에서 종래부터 보호층의 형성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층(7)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양산성 및 접착성의 관점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쇄상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투명 보호층(7)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is, for example, a chain olefin resin including a cellulose acet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and a polypropylene resin, and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t can be composed of a suitable thermoplastic resin film conventionally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in the art, such as acrylic resin, polyimid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ester terephthalate resin and polyester resin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Moreov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can also be comprised from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From the viewpoint of mass productivity and adhesiveness, among these, the film which consists of cellulose acetate type resin, cycloolefin type resin, linear olefin type resin, acrylic resin, or polyester type resin, or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transparent. It is preferable to use as the protective layer 7.

투명 보호층(7)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그 두께는 통상 10 ㎛∼80 ㎛ 정도이지만, 10 ㎛∼50 ㎛ 정도의 비교적 얇은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 보호층(7)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구성하는 경우, 그 두께는 10 ㎛ 이하, 예컨대 1 ㎛∼10 ㎛ 정도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thickness thereof is usually about 10 µm to 80 µm, but is preferably set to a relatively thin thickness of about 10 µm to 50 µm.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comprised from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of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the thickness can be 10 micrometers or less, for example, about 1 micrometer-10 micrometers.

투명 보호층(7)으로서 이용되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의 부분 또는 완전 아세트산에스테르화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적절한 시판품, 예컨대 후지 필름(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후지택 TD80", "후지택 TD80UF" 및 "후지택 TD80UZ",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KC8UX2M" 및 "KC8UY"(모두 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cellulose acetate type resin film used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a film which consists of a part of cellulose or a complete acetate ester, for example, a triacetyl cellulose film, a diacetyl cellulose film, etc. are mentioned. As such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a suitable commercial item, such as "Fujitak TD80", "Fujitaek TD80UF" and "Fujitaek TD80UZ" sold by Fujifilm Co., Ltd., "" sol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 KC8UX2M "and" KC8UY "(both trade names) and the like can be used.

투명 보호층(7)에 이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별명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이다(열가소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라고도 불림). 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시클로올레핀의 개환(開環)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나,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일 수 있는 것 외에,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과의 부가 공중합체여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는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The cycloolefin resi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for example, a monomer composed of a cyclic olefin (cycloolefin) such as norbornene, tetracyclododecene (aka dimethanooctahydronaphthalene), or derivatives thereof. It is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unit (also called a thermoplastic cycloolefin resin). The cycloolefin resin may be a hydrogenated product of the ring-opening polymer of the cycloolefin, or a hydrogenated product of a ring-opening copolymer using two or more cycloolefins, and a cycloolefin and a chain olefin and / or a vinyl group. The addition copolymer with aromatic compound etc. which it has may be sufficient. A polar group may be introduce | transduced into cycloolefin resin.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부가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층(7)을 구성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알킬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50 몰% 이하(바람직하게는 15 몰%∼50 몰%)여도 된다. 특히,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삼원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층(7)을 구성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 및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은 각각 통상 5 몰%∼80 몰% 정도이다.When form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using the addition copolymer of cycloolefin, a linear olefin, and / or the aromatic compound which has a vinyl group, as a linear olefin, ethylene, propylene, etc. are mentioned, The aromatic compound which has a vinyl group As styrene, (alpha) -methylstyrene, nuclear alkyl substituted styrene, etc. are mentioned. In such a copolymer, the unit of the monomer which consists of cycloolefin may be 50 mol% or less (preferably 15 mol%-50 mo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using a ternary copolymer of a cycloolefin, a chain olefin, and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the unit of the monomer consisting of the cycloolefin can be made in a relatively small amount as described above. have. In such a terpolymer, the unit of the monomer which consists of a linear olefin, and the monomer which consists of an aromatic compound which has a vinyl group is about 5 mol%-about 80 mol%, respectively.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적절한 시판품, 예컨대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제조이며, 일본에서는 폴리플라스틱스(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TOPAS",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ARTON), 닛폰 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ZEONOR) 및 "제오넥스"(ZEONEX), 미쯔이 가가쿠(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펠"(APEL)(모두 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필름으로 할 때에는,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예컨대 닛폰 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 필름",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필름" 등 미리 제막되어 시판되어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필름을 투명 보호층(7)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Cycloolefin resins are suitabl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TOPAS" sold by Polyplastics Co., Ltd. in Japan, "Aton" (ARTON) sold by JSR Co., Ltd., Nippon Xeon Co., Ltd. ZEONOR, ZEONEX, and Apel (APEL) (all trade names) sold by Mitsui Chemicals, Inc. may be used. When forming a cycloolefin resin into a film and making into a film, well-known methods, such as the solvent casting method and the melt-extrusion method, are used suitably. Moreover, for example, the film of the cycloolefin resin previously formed into a film, such as the "Zeonoa film" sold by Nippon Xeon Co., Ltd. and the "Aton film" sold by JSR Co., Ltd., is transparent-protected layer 7 It can also be used as.

투명 보호층(7)에 이용되는 쇄상 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을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일 수 있는 것 외에, 프로필렌에 에틸렌을 대표예로 하는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가 10 중량% 정도까지, 예컨대 1 중량%∼10 중량% 정도 공중합된 것이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도,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하여 투명 보호층(7)에 이용되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hain | stranded olefin resi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olypropylene resin which makes propylene the main structural unit. In addition to being a homopolymer of propylene, the polypropylene resin may be copolymerized with propylene to another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ethylene as a representative to about 10% by weight, for example, about 1% by weight to 10% by weight. It can form into a film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by forming into a film by well-known methods, such as a polypropylene resin resin, the solvent casting method, and the melt-extrusion method.

투명 보호층(7)에 이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에는, 아크릴계의 고무 입자가 배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광확산제가 배합된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의 층과 광확산제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도 있다.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는 통상 용융 압출법에 의해 필름에 제막된다.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공압출법을 채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crylic resi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olymethyl methacrylate type resin which has methyl methacrylate as a main structural unit. Acrylic rubber particle | grains may be mix | blended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type resin. Moreover, it may be set as the multilayered structure which has a layer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type resin which the light-diffusion agent was mix | blended, and the layer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type resin which the light-diffusion agent is not mix | blended.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usually formed into a film by melt extrusion method. In the case of a multilayer structure, a coextrusion method can be adopted.

투명 보호층(7)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도,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하여 필름으로 할 수 있으나, 이 필름을 또한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강도를 갖게 함과 아울러 투명성을 높인 것이 투명 보호층(7)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resi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hich uses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as a main structural unit. The film can be formed into a film by a known method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solvent casting, melt extrusion, or the like, but the film is also stretched in one or two axes to have strength and to increase transparency. It is preferably used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한편, 투명 보호층(7)에 이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예컨대 에폭시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와 같이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임의로 또한 옥세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통상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도 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may contain an epoxy-typ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for example, It is also effective to mix | blend an oxetane compound. Thus, whe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and also optionally containing an oxetane compou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lso mix | blended normally.

투명 보호층(7)에 이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 및 임의 성분인 옥세탄 화합물에 더하여, 라디칼 중합성의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유효하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경도가 높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보다 내구성능이 우수한 투명 보호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나 경화 속도 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투명 보호층(7)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70 중량% 정도까지 첨가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배합량은 35 중량%∼70 중량%, 특히 40 중량%∼6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배합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편광 필름과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또한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도 배합된다.In addition to the epoxy compound and the oxetane compound which is an optional component,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effective to contain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specifically, a (meth) acrylic compound. By using together a (meth) acrylic-type compound, it can be set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which is high in hardnes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nd excellent in durability. Moreover, adjustment of the viscosity, hardening rate, etc. of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the (meth) acrylic compound may be added up to about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s for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meth) acrylic-type compou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35 weight%-70 weight%, especially 40 weight%-60 weight%. When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meth) acrylic-type compound exceeds 70 weight%,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dhesiveness with a polarizing film to fall. When mix | blending such a (meth) acrylic-type compound, an optical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further mix | blended.

편광판(5)의 투명 보호층(7)은 편광 필름(6)에 접착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표면 처리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이러한 표면 처리의 예로는 방현 처리, 하드 코팅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투명 보호층(7)의 편광 필름(6)에 접착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액정성 화합물이나 그 고분자량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of the polarizing plate 5 may have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adhering to the polarizing film 6, and examples of such surface treatment include an antiglare treatment, a hard coating treatment, and an antistatic treatment. , Antireflection treatment, and the like. Moreover, the coating layer which consists of a liquid crystalline compound, its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 etc.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adhering to the polarizing film 6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투명 보호층(7)이 수지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6)과 투명 보호층(7)의 접착에는 접착제가 이용된다. 이를 위한 접착제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나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Whe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is a resin film, an adhesive agent is used for adhesion | attachment of the polarizing film 6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As an adhesive agent for this,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which melt | dissolved or disperse | distributed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dhesive component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in water is mentioned.

건조 공정을 불필요하게 하고, 생산성을 올리는 관점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접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에폭시계의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에 더하여, 마찬가지로 양이온 중합성인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와 같이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임의로 또한 옥세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통상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도 배합된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접착제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 편광 필름(6)과 투명 보호층(7)을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을 통해 접합한 후, 이 접합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시킨다.It is preferable to mak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into an adhesive agent from a viewpoint of making a drying process unnecessary and raising productivit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n epoxy typ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as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Moreover, it is also effective to mix | blend the oxetane compound which is cationically polymerizable similarly to an epoxy compound. Thus, whe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and also optionally containing an oxetane compou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lso mix | blended normally. When using curable resin composition as an adhesive agent, afte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6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normally through a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this junction i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and curable resin composition layer is made into Harden.

한편, 접착제층을 얇게 하고, 편광판(5) 전체를 얇게 하는 관점에서는,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계의 접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이나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 외에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메틸올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여도 된다. 접착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통상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서 조제된다. 접착제 중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 중량부∼10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5 중량부이다. 또한,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도 유효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which melt | dissolved or disperse | distributed the adhesive component in water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making an adhesive bond layer thin and the whole polarizing plate 5 thin. As such an aqueous adhesive agent,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has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nd a urethane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mentioned. Whe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n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an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in addition to partia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or fu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such a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modified with methylol group an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modified with cation may be used. When us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s an adhesive agent, the adhesive agent is normally prepared as an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dhesive is usually about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1 part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Moreover, it is also effective to use a crosslinking agent together.

<편광판의 액정 셀 기판측에 배치되는 수지층><Resin lay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side of a polarizing plate>

도 3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편광 필름(6)의 액정 셀 기판(1)측에 수지층(8)을 마련하는 경우, 이 수지층(8)은 편광 필름(6)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투명 보호층(7)과 동일한 또는 그것과는 다른 투명 보호층일 수 있는 것 외에 광학 기능층이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예로서는,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의 보상이나 시야각의 보상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상차판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으로서는, 예컨대 각종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 액정이나 네마틱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필름 기재 상에 상기한 액정이나 무기층 형상 화합물 등의 위상차 발현 물질을 포함하는 도막(塗膜)을 형성하여, 배향 고정한 것 등이 있다. 이 경우, 위상차 발현 물질을 포함하는 도막을 지지하는 필름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when the resin layer 8 is provid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1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the resin layer 8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In addition to being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an optical function layer, the phase difference plate used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of the phase difference by a liquid crystal cell, compensation of a viewing angle, etc. are mentioned. As a retardation plate, For example, the birefringent film which consists of stretched films of various resins, the film in which the discotic liquid crystal and the nematic liquid crystal were orientated, and the coating film containing retardation expression substances, such as said liquid crystal and an inorganic layer shape compound, on a film base material (V) is formed and orientation fixed. In this case, a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is preferably used as a film substrate for supporting a coating film containing a phase difference expressing substance.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을 위상차판으로 하는 경우, 위상차의 발현성이나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이 위상차판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 적합하다. 이들 수지 그 자체는 앞서 투명 보호층(7)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들 수지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함으로써 위상차를 부여하여 위상차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연신 배율은 통상 1.1배∼5배, 바람직하게는 1.1배∼3배이다. When a birefringent film made of a stretched film of resin is used as a retardation plate, a cellulose acetate resin, a cycloolefin resin, a polypropylene resin, or the like constitutes the retardation plate from the viewpoints of the retardation expression and stability of the retardation value. It is suitable as a resin material. These resin itself is the same as what was demonstrated previously as the resin film which comprise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By retarding or biaxially stretching these resin films, a phase difference can be provided and it can be set as a retardation plate. In this case, the draw ratio is usually 1.1 to 5 times, preferably 1.1 to 3 times.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위상차가 부여된 것도 시판되어 있다. 예컨대, 위상차가 부여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KC4FR-T"나 "KC4HR-T" 등이 있고, 위상차가 부여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에스시나"나 "SCA40" 등이 있다. 또한, 앞서 투명 보호층(7)이 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예로서 게재한 닛폰 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 필름"이나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필름"에도 위상차가 부여되어 있는 그레이드가 있다.The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and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re also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examples of the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to which the phase difference is provided include "KC4FR-T" and "KC4HR-T" sol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There are "Esshina" and "SCA40" sold by Ku Kogyo Co., Ltd. In addition, "Zenoa Film" sold by Nippon Xeon Co., Ltd. published earlier as an example of a cycloolefin resin film which can serve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and "Aton Film" sold by JSR Co., Ltd. There is also a grade to which a phase difference is provided.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수지층(8)을 구성하는 경우, 앞선 편광 필름(6)과 투명 보호층(7)의 접착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6)과 수지층(8)을 접착할 수 있다.When the resin layer 8 is composed of a resin film containing a retardation plate, the polarizing film 6 and the resin layer are formed using the same adhesive as described for the adhesion of the preceding polarizing film 6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8) can be bonded.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의 보상 기능이나 시야각의 보상 기능 등을 편광판(5)에 부여하는 것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편광 필름(6)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7)을 형성하고, 편광 필름(6)의 다른쪽 면에는 수지층(8)으로서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편광판(5)으로 하며, 그 위상차판측을 위에서 설명한 접착제층(2)을 통해 액정 셀 기판(1)에 접합하는 형태가 유효하다. 이와 같이 편광 필름(6)의 액정 셀 기판(1)측이 되는 면에 위상차판을 적층하는 경우라도, 편광판(5) 전체의 두께는 2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층(7)이나 위상차판이 되는 수지층(8)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편광판(5) 전체의 두께를 100 ㎛ 이하로 할 수도 있다.When praying to provide the polarizing plate 5 with the compensation fun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by a liquid crystal cell, the compensation function of a viewing angle, etc., as shown in FIG. 3,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ha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 7), the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as the resin layer 8 to form a polarizing plate 5, and the retardation side is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2 described above. The form joined to (1) is effective. Thus, even when laminating | stacking the phase difference plate on the surface used as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1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the thickness of the whole polarizing plate 5 can be 200 micrometers or less. Moreover, if the resin layer 8 used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and retardation plate is selected suitably, the thickness of the whole polarizing plate 5 can also be 100 micrometers or less.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광학 적층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각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부호를 인용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optical laminated body demonstrated above can be advantageously manufactured by the method provided with each process shown below. Hereinafter, it demonstrates, quoting the code | symbol shown in FIG.

(a)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의 각각 접합면 중 한쪽 이상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마련하는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 Formation process of adhesive composition layer which provides the layer of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 one or more of bonding surfaces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b) 그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b)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through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c) 상기 접합 공정에서 얻어지는 접합품을 검사하여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는 검사 공정, 및(c) an inspection step of inspecting the bonded article obtained in the joining step and sending out the bonded article in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out of the production line, and

(d) 상기 검사 공정을 거쳐 결함이 검출되지 않은 접합품에 존재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d) The hardening process of hardening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exists in the joined article which a defect was not detected through the said test process.

이 제조 방법은 유리판(1)이 액정 셀 기판이고, 플라스틱 시트(3)가 앞서 설명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편광판은 편광 필름 단독이어도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다른 층이 적층된 것이어도 되지만, 앞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6)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편광 필름(6)과 투명 보호층(7)이 적층된 편광판(5)을 플라스틱 시트 1로 하는 경우에는 편광판(5)을 구성하는 각 층이 적층된 상태로 플라스틱 시트 1이 되고, 이것이 상기한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에 제공된다. 이하, 위에 나타낸 각 공정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This manufacturing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glass plate 1 i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nd the plastic sheet 3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the polarizing film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polarizing film alone or a laminate of other layers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bu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6. Is preferab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larizing plate 5 having at least the polarizing film 6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7 laminated thereon is a plastic sheet 1, the plastic sheet 1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5 is laminated. This is provided in the formation process (a) of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mentioned above. Hereinafter, each process shown above is demonstrated in order.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Formation process (a) of adhesive composition layer>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에서는,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의 각각 접합면 중 한쪽 이상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마련한다. 접착제층의 형성 시에는, 예컨대 유리판(1)의 접합면 및/또는 플라스틱 시트(3)의 접합면에 상기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의 일 형태이지만, 유리판(1)의 표면의 일단에 플라스틱 시트(3)가 접합되도록 공급하고, 양자 사이에 상기한 접착제 조성물을 분무하면서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의 각각 접합면에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시트(3)의 외측으로부터 롤로 누르면서 다음의 접합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In the formation process (a) of an adhesive composition layer,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provided in one or more of bonding surfaces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respectively. At the time of formation of an adhesive bond layer,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said adhesive composition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and / 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plastic sheet 3 can be employ | adopted, for example. Moreover, although it is one form of application | coating, each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is supplied so that the plastic sheet 3 may be bonded to one end of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and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is sprayed between them. You may employ | adopt the method of forming a layer of adhesive composition on a joining surface, and performing the following joining process continuously, pressing a roll from the outer side of the plastic sheet 3 with a roll.

유리판(1)의 접합면 및/또는 플라스틱 시트(3)의 접합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닥터블레이드, 와이어바, 슬릿 코터,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최적의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를 조절하는 등 하여 접착제 조성물(수용액)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means for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and / 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plastic sheet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doctorblade, wire bar, slit coater, die coater, comma coater, gravure coater. Various coating methods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each coating system has an optimum viscosity range,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dhesive composition.

<접합 공정(b)><Joining Step (b)>

다음의 접합 공정(b)에서는 위의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에서 형성된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를 접합시킨다. 이 공정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판(1)의 표면의 일단에 플라스틱 시트(3)가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접합되도록 공급하고, 플라스틱 시트(3)의 외측으로부터 롤로 누르면서 접합해 가는 방법이 유리하게 채용된다. 이와 같이 유리판(1)의 표면의 일단으로부터 롤로 누르면서 유리판(1)의 표면의 타단(他端)으로 접합해 가는 방법은 기포의 말려 들어감을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In the following bonding process (b),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a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med in the formation process (a) of the abo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n this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supplying the plastic sheet 3 to the end of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so as to be bonded through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ing while pressing with a roll from the outside of the plastic sheet 3 is advantageous. Are employed. Thus, the method of joining to the other end of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while pressing with a roll from the end of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1 is advantageous from a viewpoint of suppressing curling of a bubble.

<검사 공정(c)><Inspection process (c)>

검사 공정(c)에서는 위의 접합 공정(b)에서 얻어지는 접합품을 검사하여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낸다. 물론, 결함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 접합품은 그대로 다음의 경화 공정(d)으로 보내진다. 이 검사 공정(c)에서는 표면의 상처의 유무, 이물의 유무, 기포의 말려 들어감, 축 어긋남의 유무 등이 검사된다. 이러한 검사는 액정 패널의 제조 단계에서 통상 채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In the inspection step (c), the bonded article obtained in the above bonding step (b) is inspected and the bonded article in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is sent out of the production line. Of course, if a defect is not detected, the said joined product will be sent to the next hardening process (d) as it is. In this inspection process (c),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wound of a surface, the presence of a foreign material, the curling of a bubb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xial shift | offset, etc. are examined. Such inspection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usually employed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검사 공정(c)에서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은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진다. 이 단계에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이 아직 경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 시트(3)를 유리판(1)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라스틱 시트(3)를 박리한 후의 유리판(1)은 수세 등에 의해 용이하게 그 표면의 접착제 조성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정 후에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으로 되돌릴 수 있다. 검사 공정(c)에서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고 그것으로부터 플라스틱 시트(3)를 박리하여 유리판(1)을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a)으로 되돌리는 조작은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을 액정 셀 기판에 접합시킨 후, 어떠한 문제가 있었던 경우에 그 편광판을 박리하여 다시 부착하는 리워크 조작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가 아니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시트(3)(전형적으로는 편광판)를 유리판(1)(전형적으로는 액정 셀 기판)에 접합시킴에도 불구하고, 그 접착제가 수용액이기 때문에 이러한 리워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inspection step (c), the bonded part whose defect is detected is sent out of the production line. In this step, since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not hardened | cured yet, the plastic sheet 3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glass plate 1. Therefore, the glass plate 1 after peeling off the plastic sheet 3 can easily remove th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surface by water washing etc., and can return to the formation process (a) of an adhesive composition layer after washing | cleaning.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glass sheet 1 to the forming step (a) of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by removing the bonded product from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in the inspection step (c) out of the production line and peeling the plastic sheet 3 therefrom is accompanied by an adhesive layer. After joining the polarizing plate which was made to a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when there exists any problem, it corresponds to the rework operation of peeling and re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lastic sheet 3 (typically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glass plate 1 (typically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using an adhesive rather than an adhesive, such a rework is because the adhesive is an aqueous solu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경화 공정(d)>Curing Step (d)

검사 공정(c)에서 결함이 검출되지 않아 합격이 된 접합품은 다음의 경화 공정(d)에서 유리판(1)과 플라스틱 시트(3)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이 경화된다. 경화 공정(d)에서는 고온 건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등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켜 접착제층(2)으로 한다. 접착제 조성물의 층의 경화는 고온 건조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이용하는 활성 에너지선은 자외선, X선, 전자 에너지선 등일 수 있다. 또한, 상온 방치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고온 건조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처리를 통상 40℃∼80℃에서 1분간∼24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은 자외선이 이용되고, 조사 조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나는 적산 광량을 50 mJ/㎠∼2000 mJ/㎠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방치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처리를 통상 20℃∼30℃, 습도 20%∼80%의 환경에서 0.5시간∼72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for the joined article which passed the test because a defect was not detected in the inspection process (c),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exists between the glass plate 1 and the plastic sheet 3 in the following hardening process (d) hardens. In the hardening process (d), the layer of an adhesive composition is hardened by high temperature drying,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etc., and it is set as the adhesive bond layer 2. The hardening of the layer of adhesive composition often employs high temperature drying. When hardening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the active energy ray used may be an ultraviolet-ray, an X-ray, an electron energy ray, etc. Moreover, there also exists a method of hardening the layer of an adhesive composition by normal temperature standing. When hardening the layer of adhesive composition by high temperature dry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rocess normally at 40 degreeC-80 degreeC for 1 minute-24 hours. When hardening the layer of an adhesive composition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an ultraviolet-ray is normally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shown as a product of irradiation illumination intensity and irradiation time into 50 mJ / cm <2> -2000mJ / cm <2>. When hardening the layer of an adhesive composition by normal temperature stand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rocess for 0.5 to 72 hours in the environment of 20 to 30 degreeC, and 20 to 80% of humidity normally.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10∼12)는 그 액정 셀 기판(1)의 편광판(5)이 접합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에 또 하나의 액정 셀 기판을 배치하고, 양자 사이에 액정을 협지(挾持)함으로써 액정 셀 또는 액정 패널로 할 수 있다. 이 액정 셀 또는 액정 패널을 표시 소자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가 구성된다. 2장의 액정 셀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상태의 액정 셀 자체를 도 1∼도 3에서의 액정 셀 기판(1)으로 하고, 그 한쪽 또는 양쪽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라 편광판을 접합하여 액정 패널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열충격 시험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액정 표시 장치도 마찬가지로 열충격 시험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박형 경량화가 도모된 것이 된다.The optical laminated body 10-12 of this invention arrange | positions another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where the polarizing plate 5 of the liquid crystal cell board | substrate 1 is bonded, and clamps a liquid crystal between them ( (Iii) it can be set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 liquid crystal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nstituted by using this liquid crystal cell or liquid crystal panel as a display element. The liquid crystal cell itself in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crystal was enclosed between two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s was used as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1 in FIGS. 1-3, The polarizing plate was bonded to the surface of one or both sides according to this invention, and a liquid crystal panel It is common to use. Since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is excellent in durability with respect to a thermal shock test etc.,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duced as mentioned above is also excellent in durability with respect to a thermal shock test etc., and also made thin and lightweigh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EXAMPLES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is shown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urther more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 and "parts" indicating the content to the amount of use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 1]Example 1

(a)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a) Preparation of polyvinyl alcohol adhesive composition

비누화도 99.1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12.4 mPa·sec〕을 순수에 용해하여, 10%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가교제로서 글리옥살,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가교제:실란 커플링제의 고형분 중량비가 1:0.5:0.1이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물 100부에 대하여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이 3부가 되도록 순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having a saponification degree of 99.1 mol% (manufactured by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trade name "Kosepimer Z-200", viscosity of 4% aqueous solution of 12.4 mPasec) was dissolved in pure water. , 10%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In this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glyoxal as a crosslinking agent and 3-glycidoxy propyl trimethoxysilane as a silane coupling agent, and the solid content weight ratio of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 crosslinking agent: a silane coupling agent It mixed with 1: 0.5: 0.1, and also diluted with pure water so that 3 parts of acetoacetyl-group modified polyvinyl alcohol may be ad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water,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 광학 적층체의 제작(b) Preparation of Optical Laminate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스미또모 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SR0661A-XNSY", 두께 약 70 ㎛〕을 준비하였다. 한편, 투명 유리 기판(액정 셀 기판이 되는 것)을, 초음파 유리 세정기(미크로 기켄(주) 제조)를 이용하여 세정하였다. 상기한 편광판을 10 ㎝×10 ㎝의 정사각형 사이즈로 커팅하고, 그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편광 필름면과, 상기 세정 후의 투명 유리 기판의 한쪽 면에, 각각 상기 (a)에 나타낸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 후 30분 이내에 도포하여, 접착제면끼리를 접합하였다. 이것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60℃에서 3분간 건조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건조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약 0.1 ㎛이다. Polarizing plate [Sumitomo Chemical Co., Ltd. product] where the protective film which consists of triacetyl cellulose of thickness 40micrometer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oriented to a polyvinyl alcohol film through a polyvinyl alcohol-type adhesive agent; Trade name "SR0661A-XNSY", approximately 70 mu m thick]. 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glass substrate (what become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was wash | cleaned using the ultrasonic glass washing machine (made by MicroKiken Co., Ltd.).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is cut into 10 cm x 10 cm square size,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shown in said (a) is respectively made to the polarizing film surfac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not bonded, and the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glass substrate after the said washing | cleaning, respectively. After the preparation, the mixture was applied within 30 minutes, and adhesive surfaces were bonded to each other. After leaving this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it dried at 60 degreeC for 3 minutes, and produced the optical laminated bod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bond layer after drying is about 0.1 micrometer.

[실시예 2][Example 2]

가교제를 메틸올멜라민으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The crosslinking agent was changed to methylolmelamine,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Using this composition, the optical laminated body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b) of Example 1.

[실시예 3∼21][Examples 3 to 21]

폴리비닐알콜로서, 실시예 1에 나타낸 "고세파이머 Z-200"(이후의 표 1에서는 「Z-200」이라고 약기함) 외에, 이하의 것을 이용하였다. 이후의 표 1에서는, 이하 각 항의 각각 최초에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한다.As the polyvinyl alcohol, the followings were used in addition to the "high-cephamer Z-2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Z-200" in Table 1) shown in Example 1. In following Table 1, it shows with the symbol shown first at each of the following each terms.

T-330: 비누화도 96.5 몰%의 음이온화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놀 T-33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30.0 mPa·sec〕.T-330: Anionized polyvinyl alcohol having a saponification degree of 96.5 mol%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trade name "Gosenol T-330", viscosity of 4% aqueous solution 30.0 mPasec).

KL-318: 비누화도 87.5 몰%의 음이온 변성 폴리비닐알콜〔(주)구라레 제조, 상품명 "KL-318",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25.0 mPa·sec〕.KL-318: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5 mol% [Kurare Co., Ltd., brand name "KL-318", 25.0 mPa sec of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Z-100: 비누화도 99.2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10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5.2 mPa·sec〕.Z-10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9.2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100", the viscosity of a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5.2mPa.sec.).

Z-210: 비누화도 96.3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1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13.9 mPa·sec〕.Z-21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6.3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210", the viscosity of a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13.9 mPa.sec.).

Z-220: 비누화도 92.5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2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13.2 mPa·sec〕. Z-22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2.5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220", the viscosity of a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13.2 mPa * sec).

Z-300: 비누화도 98.5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30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27.9 mPa·sec〕.Z-30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8.5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300", the viscosity of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27.9 mPa * sec. "

Z-320: 비누화도 92.8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32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22.5 mPa·sec〕.Z-32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2.8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320", the viscosity of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22.5 mPa * sec. "

Z-410: 비누화도 97.8 몰%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410", 4% 농도 수용액의 점도 52.6 mPa·sec〕.Z-410: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of 97.8 mol% of saponification degree (The Nippon Kosei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Kosepimer Z-410", the viscosity of 4% concentration aqueous solution 52.6 mPa * sec.).

또한, 가교제로서, 실시예 1에 나타낸 글리옥살 및 실시예 2에 나타낸 메틸올멜라민 외에, 이하의 것을 이용하였다. 역시 이후의 표 1에서는, 이하 각 항의 각각 최초에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한다. As the crosslinking agent, the followings were used in addition to the glyoxal shown in Example 1 and the methylolmelamine shown in Example 2. In addition, in following Table 1, it shows with the symbol shown first at each of the following each terms.

TC-400: 시성식 [(CH3)2CHO]2Ti[OCH2CH2N(CH2CH2OH)2]2로 나타나는 유기 티탄 화합물〔마쯔모토 파인 케미컬(주) 제조, 상품명 "오르가틱스 TC-400", 동사(同社)가 붙이고 있는 화학명은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미네이트)〕. 또, 이 상품은, 유효 성분 80%, 2-프로판올 20%의 용액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이하에 나타내는 사용량은, 유효 성분 농도로 환산한 값이다.TC-400: Organic titanium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CH 3 ) 2 CHO] 2 Ti [OCH 2 CH 2 N (CH 2 CH 2 OH) 2 ] 2 [manufactured by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trade name "Orgatics" TC-400 "and the chemical name of the company are titanium diisopropoxy bis (triethanol aluminate)]. In addition, although this product is sold by the solution of 80% of active ingredients, and 20% of 2-propanol, the usage-amount shown below is the value converted into active ingredient concentration.

글리옥실산Na: 글리옥실산나트륨. Glyoxylic acid Na: Sodium glyoxylate.

또한, 실란 커플링제로서, 실시예 1에 나타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후의 표 1에서는 「3-GPTMS」라고 약기함) 외에, 이하의 것을 이용하였다. 역시 이후의 표 1에서는, 이하 각 항의 각각 최초에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한다.As the silane coupling agent, the followings were used in addition to th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shown in Example 1 (hereinafter abbreviated as "3-GPTMS" in Table 1). In addition, in following Table 1, it shows with the symbol shown first at each of the following each terms.

N-APTMS: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APTMS: N- (2-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PTMS: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PTM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MPTMS: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PTMS: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이상의 폴리비닐알콜(표 1에서는 「PVA」라고 약기함),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고, 폴리비닐알콜:가교제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며, 그 외에는 실시예 1의 (a)에 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에 기재가 없는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실시예 1 및 2와 동일(폴리비닐알콜 1에 대한 중량비가 0.1)하다. 또, 실시예 4, 5 및 6에서는, 가교제를 배합하지 않았다. 표 1에는, 실시예 1 및 2의 배합 비율도 아울러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들 각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 (abbreviated as "PVA" in Table 1), a crosslinking agent, and a silane coupling agent are used to show the blending ratio of the polyvinyl alcohol: crosslinking agent as shown in Tab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 According to a),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The compounding quantity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which is not described in Table 1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s 1 and 2 (weight ratio with respect to polyvinyl alcohol 1 is 0.1). In addition, in Example 4, 5, and 6, the crosslinking agent was not mix | blended. In Table 1, the compounding ratio of Example 1 and 2 was also shown. And the optical laminated body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b) of Example 1 using each of these adhesive compositions.

[실시예 22][Example 22]

실시예 1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접착제 조성물, 즉, 물 100부에 대하여,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고세파이머 Z-200"이 3부, 가교제인 글리옥실산나트륨이 0.3부, 실란 커플링제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0.3부의 비율로 배합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한편, 실시예 1의 (b)에서 이용한 편광판 대신에,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고, 편광 필름의 다른 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스미또모 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SRN231A", 두께 약 150 ㎛〕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편광판의 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면을 투명 유리 기판에의 접합면으로 하고, 상기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며, 그 외에는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3 parts of acetoacetyl-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Gocephimer Z-200", 0.3 part of sodium glyoxylates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 silane coupling with respect to the same adhesive composition as Example 16, ie, 100 parts of water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zein 3-glycidoxy propyl trimethoxysilane was mix | blended in the ratio of 0.3 part was used.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polarizing plate used in Example 1 (b), a protective film made of triacetyl cellulose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through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in which iodine is adsorbed to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bonded, and the polarizing plate which the phase difference plate which consists of triacetyl cellulose of thickness 40micrometer is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through the polyvinyl alcohol-type adhesive [Sumitomo Chemical Co., Ltd. make, brand name "SRN231A", thickness about 150 μm] was prepared. And the retardation plate surface which consists of triacetyl cellulose of 40 micrometers in thickness of this polarizing plate is used as a bonding surface to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is used, and the others are optically laminat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b) of Example 1 A sieve was produc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비닐피롤리돈의 20% 수용액〔(주)닛폰 쇼쿠바이 제조, 상품명 "K-85 W"〕에,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폴리비닐피롤리돈:실란 커플링제의 고형분 중량비가 1:0.1이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물 100부에 대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이 2부가 되도록 순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To 20%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pyrrolidone (made by Nippon Shokubai Co., Ltd., brand name "K-85W"),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was used as a silane coupling agent, and polyvinylpyrrolidone: It mixed with the solid content weight ratio of a silane coupling agent so that it might be 1: 0.1, and also diluted with pure water so that polyvinylpyrrolidone may be 2 parts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water,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is adhesive composition, an optical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b).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조성물 대신에 두께 25 ㎛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고, 투명 유리 기판의 한쪽 면에 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편광판의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편광 필름면을 접합하였다. 그 후 50℃의 오토클레이브 안에서, 압력 5 ㎏/㎠(약 0.5 ㎫)로 20분간 처리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Instead of the polyvinyl alcohol adhesive composition,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was used, and one side of the transparent glass substrate was not bonded to the protective film of the same polarizing plate as that used in Example 1 through thi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bonded. Then, it processed in the autoclave of 50 degreeC for 20 minutes by the pressure of 5 kg / cm <2> (about 0.5 Mpa), and produced the optical laminated body.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조성물 대신에 순수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An optical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 except that pure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polyvinyl alcohol adhesive composition.

[평가 시험][Evaluation test]

(a) 내구 시험(a) endurance test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 적층체의 내구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produced by the said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온도 80℃의 건조하에서 100시간 보관하는 내열 시험을 행한 경우, 온도 60℃, 상대 습도 90%에서 100시간 보관하는 내습열 시험을 행한 경우, 및 70℃로 가열한 상태로부터 -35℃로 강온(降溫)하고, 계속해서 70℃로 승온(昇溫)하는 과정을 1사이클(2시간)로 하며, 이것을 60사이클 반복하는 내히트쇼크 시험(표에서는 「내HS 시험」이라고 표기)을 행한 경우의 각각에 대해서, 시험 후의 광학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표 2에 정리하였다.When the heat resistance test stored for 100 hours under drying at a temperature of 80 ° C. was carried out, when the heat-resistant test carried out for 100 hours at a temperature of 6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was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o −35 ° C. from a state heated to 70 ° C. ( Iv), and the process of heating up at 70 ° C continuously is one cycle (two hours), and each of the cases where the heat shock test (denoted as "HS test" in the table) is repeated for 60 cycles. About the optical laminated body after a test, it observed visually.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summarized in Table 2.

(내열, 내습열 및 내히트쇼크 시험의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of Heat, Moisture and Heat Shock Test)

◎: 들뜸, 박리, 편광 필름의 크랙 등의 외관 변화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Double-circle):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and the crack of a polarizing film, are not seen at all.

○: 들뜸, 박리, 편광 필름의 크랙 등의 외관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Almost no change in appearance such as lifting, peeling, cracking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ke.

△: 들뜸, 박리, 편광 필름의 크랙 등의 외관 변화가 약간 눈에 띈다.(Triangle | delta):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and the crack of a polarizing film, are notable a little.

×: 들뜸, 박리, 편광 필름의 크랙 등의 외관 변화가 현저히 보여진다.X: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and the crack of a polarizing film, are remarkably seen.

(b) 리워크성 평가(b) reworkability assessment

유리 기판에 편광판을 접합하고 나서 3시간 후(실시예 1∼22 및 비교예 1 및 3에서는,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도중의 3시간째, 비교예 2에서는, 오토클레이브 처리 종료 후 3시간째)에, 편광판을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해서, 접착 시험편으로부터 편광판을 300 ㎜/분의 속도로 180°방향(되접어 유리 기판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박리하는 박리 테스트를 행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표 2에 정리하였다.3 hours after bonding a polarizing plate to a glass substrate (in Examples 1-2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3 hours after leaving for 24 hours at normal temperature, 3 hours after completion of autoclave treatment in Comparative Example 2) In order to see whether a polarizing plate can be peeled from a glass substrate, the peeling test which peeled a polarizing plate from an adhesion test piece to a 180 degree direction (retracting and following a glass substrate surface) at a speed | rate of 300 mm / min was performed. .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summarized in Table 2.

(리워크성의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of reworkability)

○: 박리할 수 있었다.(Circle): It could peel.

×: 편광판이 파단되어, 박리할 수 없었다.X: The polarizing plate was broken and could not be peeled off.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실시예 1∼22의 광학 적층체는, 두께가 얇고, 또한 내구성과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한편, 접착제 조성물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수용액을 이용한 비교예 1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유리와 편광판의 접착에 이용한 비교예 2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내히트쇼크성 및 리워크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순수를 접착제로 이용한 비교예 3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내열성 및 내히트쇼크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The optical laminated bodies of Examples 1-22 are thin, and are excellent in durability and rework property. On the other hand,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using the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pyrrolidone as an adhesive composition, the problem arose in the durability test. Moreover,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which used the acrylic adhesive for adhesion | attachment of glass and a polarizing plate, a problem occurred in heat shock resistance and rework resistance. Moreover,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e comparative example 3 which used pure water as an adhesive agent, the problem arose in heat resistance and heat shock resistance.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유리판(액정 셀 기판)1: glass plat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2: 접착제층2: adhesive layer

3: 플라스틱 시트3: plastic sheet

5: 편광판5: polarizer

6: 편광 필름6: polarizing film

7: 투명 보호층7: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8: 수지층8: resin layer

10, 11, 12: 광학 적층체 10, 11, 12: optical stack

Claims (12)

유리판과 플라스틱 시트가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A glass plate and a plastic sheet are bonded together via an adhesive bond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of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5 ㎛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µ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액정 셀 기판인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lass plate i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astic sheet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한쪽 면 이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the polarizing film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그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보호층과는 반대측의 편광 필름면이 직접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액정 셀 기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7,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the polarizing film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polarizing film surface opposite 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is directly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which 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과 그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과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쪽 면에 적층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그 위상차판측이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액정 셀 기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광학 적층체. 8. The liquid crystal cel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comprises a polarizing film,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phase difference plate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hase difference plate side is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optical laminated body bonded to the board | substrate. 유리판에 플라스틱 시트가 접합된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판과 플라스틱 시트의 각 접합면 중 한쪽 이상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한 수용액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마련하는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
그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통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상기 접합 공정에서 얻어지는 접합품을 검사하여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을 제조 라인 밖으로 내보내는 검사 공정, 및
상기 검사 공정을 거쳐 결함이 검출되지 않은 접합품에 존재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인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in which a plastic sheet is bonded to a glass plate,
The said method is a formation process of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which provides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 one or more of each bonding surface of a glass plate and a plastic sheet,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glass plate and the plastic sheet through a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 inspection step of inspecting the bonded article obtained in the joining step and sending out the bonded article in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out of the production line, and
Hardening process which hardens the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exists in the joined article which a defect was not detected through the said inspection process.
It is provided wit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액정 셀 기판이고,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인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glass plate is a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nd the plastic sheet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공정에서 결함이 검출된 접합품은 플라스틱 시트를 박리한 후, 유리판을 상기 접착제 조성물층의 형성 공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bonded article in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in the inspection step is configured to return the glass plate to the forming step of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after peeling off the plastic sheet.
KR1020100102289A 2009-10-22 2010-10-20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564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3352 2009-10-22
JPJP-P-2009-243352 2009-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49A true KR20110044149A (en) 2011-04-28
KR101756473B1 KR101756473B1 (en) 2017-07-10

Family

ID=4404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289A KR101756473B1 (en) 2009-10-22 2010-10-20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89936B2 (en)
KR (1) KR101756473B1 (en)
CN (1) CN102139547B (en)
TW (1) TWI56859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2268B2 (en) * 2013-04-19 2018-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Glass laminate
WO2014171503A1 (en) * 2013-04-19 2014-10-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Glass laminate, thin-film glass having transparent resin lay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6024586B2 (en) * 2013-04-30 2016-1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Glass with polarization func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4178365A1 (en) * 2013-04-30 2014-11-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Functional glass
TWI542651B (en) * 2013-10-31 2016-07-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Poly vinyl alcohol based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4765183A (en) * 2015-01-27 2015-07-0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21476A (en) * 2015-08-18 2017-02-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8020884A (en) * 2018-01-18 2018-05-11 合肥泰沃达智能装备有限公司 A kind of novel glass light guide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7171330B2 (en) * 2018-09-14 2022-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glass laminate
JP7285916B2 (en) * 2019-03-08 2023-06-02 帝人株式会社 Polymer member-inorganic substrate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mer member therefor
JPWO2020203647A1 (en) * 2019-03-29 2020-10-08
JP2020180237A (en) * 2019-04-26 2020-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Curable composition, cured product layer,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793B2 (en) * 1989-07-14 1997-04-16 株式会社クラレ Alkaline cleaning adhesive for paper labels
WO1993002857A1 (en) * 1991-07-30 1993-02-1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glass/plastic laminates having improved optical quality
JPH09291185A (en) * 1996-04-24 1997-11-1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Acetoacetate group-containing polyvinyl alcohol resin composition, rapidly curable adhesive, and method of adhesion
JPH1133730A (en) * 1997-07-18 1999-02-09 Babcock Hitachi Kk Arc welding torch
JPH11337730A (en) * 1998-05-26 1999-12-10 Sumitomo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JP2002539973A (en) * 1999-03-19 2002-11-2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Formation of plasticizer-assisted adhesive layer useful for defect-free lamination
JP2002234959A (en) * 2001-02-07 2002-08-23 Ts Aasu:Kk Compound of polyvinyl alcohol resin coating agent for oriented film
US7189447B2 (en) * 2002-01-04 2007-03-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minates
JP4399523B2 (en) * 2002-05-31 2010-01-20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film
JP4327431B2 (en) * 2002-09-27 2009-09-09 学校法人近畿大学 adhesive
CN1328337C (en) * 2003-08-30 2007-07-25 刘建林 Modified polyvingl alcohol coating liquid and its manufucturing technology
DE102004051353A1 (en) * 2004-10-21 2006-04-27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Silane-modified polyvinyl alcohols
JP2006178132A (en) * 2004-12-22 2006-07-06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ts use
CN101003712A (en) * 2006-01-19 2007-07-25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Pre-processing method for composition of binder, support sheet material, and polarized light plate of using the composition and the plate
WO2007145081A1 (en) * 2006-06-14 2007-12-21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908184B1 (en) * 2006-07-31 200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8185870A (en) * 2007-01-31 2008-08-14 Epson Imaging Devices Corp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8309997A (en) * 2007-06-14 2008-12-25 Konica Minolta Opto Inc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9015261A1 (en) * 2007-07-24 2009-01-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glass/plastic laminates with improved optical quality
KR20100117591A (en) * 2008-01-08 2010-11-0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JP5189507B2 (en) * 2008-01-28 2013-04-2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152334A (en) * 2008-11-25 2010-07-08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with polarizing plate, glass plate with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cell with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473B1 (en) 2017-07-10
TW201121794A (en) 2011-07-01
JP2011107686A (en) 2011-06-02
JP5789936B2 (en) 2015-10-07
CN102139547A (en) 2011-08-03
TWI568592B (en) 2017-02-01
CN102139547B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4149A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6232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47971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JP604257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101918624B1 (en) Method for preparing end-face processed polarizing plate
KR101508380B1 (en) A polariz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KR101797240B1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of
KR20050077018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203571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54824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29707A (en) Laminate
JP2006106016A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6035822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same
JP6224301B2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13168A (en)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KR20070101774A (en)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nd a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JP2006195320A (en)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58351A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KR20110108878A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JP7430745B2 (en)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609171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KR101674116B1 (en) A polarizing plate
TWI751338B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9042384A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025728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