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876A -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876A
KR20110043876A KR1020090100595A KR20090100595A KR20110043876A KR 20110043876 A KR20110043876 A KR 20110043876A KR 1020090100595 A KR1020090100595 A KR 1020090100595A KR 20090100595 A KR20090100595 A KR 20090100595A KR 20110043876 A KR20110043876 A KR 20110043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ubstrat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양
윤홍석
김지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0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876A/ko
Publication of KR2011004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테이블에 단순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발광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조명효과 및 심미적인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형상의 테이블(10);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된 기판(20); 기판(2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패키징(4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이 제공된다.
발광, 테이블,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기판, 패키징, 조명, 인테리어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Table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이블(Tabl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테이블에 단순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발광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조명효과 및 심미적인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 식탁 등과 같은 테이블은 생활가구 또는 사무용 가구로서 그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하다. 종래의 테이블은 목재, 철재,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디자인으로 제조되는 게 일반적이다.
한편,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테이블의 인테리어 기능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인테리어 기능의 일례로서 테이블 자체에서 빛이 나도록 하는 발광기능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로 테이블에 발광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전력소비가 많고, 테이블 자체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효율적인 발광구조를 제공하여 조명효과 및 인테리어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형상의 테이블(10);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된 기판(20); 기판(2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패키징(4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은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의 둘레와 밀착하여 접하도록 상면에 돌출부(12)가 형성된다.
또한, 기판(20)은 반사체일 수 있고,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기판(20)의 임의위치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형태로 기판(20)에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소정의 단색광 또는 백색광으로 발광한다.
또한, 패키징(4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플라스틱, 금속, 금속 산화물, 세라믹 산화물 또는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여러 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패키징(40)은 흡습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50)를 구동시키는 센서가 더 구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20)에 박막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접합시키는 제1 단계(S100);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박막 형태의 패키징(40)을 접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접합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을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3 단계(S300); 및 테이블(10)에 유기발광다이오드(30)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0)를 설치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계(S1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형태로 기판(20)의 임의위치에 배열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제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은 박막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효율적인 면광원을 제공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테이블에 조명효과 및 심미적 인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은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열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에너지소모율이 낮은 이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발광 테이블의 구성]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패키징(40) 및 전원공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이블(10)은 통상적인 테이블로서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판체(12)와, 이를 소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다리(14)로 구성된다. 테이블(10)은 판체(12)의 상면 테두리에 후술될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의 둘레와 밀착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돌출부(12a)를 구비한다. 돌출부(12a)는 접합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을 밀착 수용하여 발광 테이블(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판(20)은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접합시키기 위한 박막 형태의 판체로,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기판(20)은 수백 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기판(20)은 딱딱한 재질의 유리기판 및 플라스틱기판이 사용될 수 있고, 유연한 재질의 플라스틱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기판의 재료로는 PVC, PET, PES, PT, PI, PE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은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서 발광된 빛을 백라이트(backlight) 형태로 발광시키기 위해 거울과 같은 반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발광층이 형성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특성을 갖는 소자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박막 형태로 제조가능하고,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30)가 기판(20)에 박막 형태로 접합된다. 이 때, 기판(20)과 유기발광다이오드(30)의 접합은 반도체 증착기술 또는 인쇄기술 등이 적용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20)에 접합된 유기발광다이오드(30)의 발광층은 기판(20)의 반대편 방향으로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단색광으로 발광하거나 백색광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는 추후 설명되는 전원공급부(50)의 RGB제어를 통해 다양한 색상 연출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가 기판에 배열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하나의 판체로 구성되어 면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형태(예를 들어, 십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기판(20)의 임의위치(예를 들어, 기판(20)의 테두리, 중심 등)에 접합될 수 있다.
패키징(40)은 유기발광다이오드(30)의 상면에 박막 형태로 접합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패키징(40)은 수백 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패키징(40)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패키징(40)은 긁히거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패키징(40)의 재료로는 PDMS(Poly Dimethyl Siloxane) 또는 PVC, PET, PES, PT, PEN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금속 산화물, 세라믹 산화물 또는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패키징(40)은 플라스틱, 금속, 금속 산화물, 세라믹 산화물 또는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여러 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30)와 패키징(40)의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패키징(40)은 유기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수분, 산소 등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흡습제(desiccant)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0)는 테이블(10)에 설치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은 상용 전력일 수 있다. 또한, 정전시에도 작동가능하도록 건전지,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0)는 공급전류의 양을 가변시킴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30)의 발광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갖는다. 전원공급부(50)의 회로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100)은 전원공급부(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발광시키는 수 있는 센서(미도시)(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야간에 발광 테이블(100)에 접근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발광 테이블의 작동]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100)은 전원공급부(50)에 의해 소정의 전류가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공급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30)가 발광 테이블(100)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발광함으로써 면광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100)은 유기발광다이오드(30)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심미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이 박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서 발생된 열이 테이블(10)을 통하여 쉽게 열전달되고, 동시에 공냉식으로 식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다이오드(30)의 발열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어 발광 테이블(1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에너지 변환효율이 우수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특성상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발광 테이블(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S100) 내지 제4 단계(S400)를 거쳐 제조된다.
제1 단계(S100)는 박형의 기판(20)에 박형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반도체 증착기술 또는 인쇄기술 등을 이용하여 접합시키게 된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20)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형태로 기판(20)의 임의위치에 배열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제2 단계(S200)는 박형의 패키징(40)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접합시키게 된다.
제3 단계(S300)는 제1 및 제2 단계(S100, S200)에서 접합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을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테이블(10)의 상면 테두리에는 접합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의 둘레와 밀착하여 접하도록 돌출부(12a)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단계(S4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회로구성을 갖는 전원공급부(50)를 테이블(10)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은 상용 전력일 수 있고, 건전지,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가 기판에 배열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12 : 판체
12a : 돌출부
14 : 다리
20 : 기판
30 : 유기발광다이오드
40 : 패키징
50 : 전원공급부
100 : 발광 테이블

Claims (13)

  1. 소정형상의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된 기판(20);
    상기 기판(2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접합된 박막 형태의 패키징(40);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상기 기판(20),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상기 패키징(40)의 둘레와 밀착하여 접하도록 상기 상면에 돌출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0)은 반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 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상기 기판(20)의 임의위치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형태로 상기 기판(20)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소정의 단색광 또는 백색광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4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플라스틱, 금속, 금속 산화물, 세라믹 산화물 또는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여러 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40)은 흡습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50)를 구동시키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11. 기판(20)에 박막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접합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에 박막 형태의 패키징(40)을 접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접합된 기판(20), 유기발광다이오드(30) 및 패키징(40)을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테이블(10)에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0)를 설치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를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의 형태로 상기 기판(20)의 임의위치에 배열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30)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의 제조방법.
KR1020090100595A 2009-10-22 2009-10-2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3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95A KR20110043876A (ko) 2009-10-22 2009-10-2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95A KR20110043876A (ko) 2009-10-22 2009-10-2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76A true KR20110043876A (ko) 2011-04-28

Family

ID=4404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595A KR20110043876A (ko) 2009-10-22 2009-10-2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8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9023A (zh) * 2017-01-19 2017-06-20 安徽理工大学 一种基于单片机的智能办公桌
KR20180001605U (ko) 2016-11-22 2018-05-30 백채원 발광 기능을 갖는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05U (ko) 2016-11-22 2018-05-30 백채원 발광 기능을 갖는 테이블
CN106859023A (zh) * 2017-01-19 2017-06-20 安徽理工大学 一种基于单片机的智能办公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5847S1 (en) LED module
EP2315264A4 (en) LIGHT EMITTING DEVICE
HK1098013A2 (en) Plane structure of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ATE536638T1 (de) Leuchtdiode mit wellenlängen-konversion
TW200744226A (en) Light emitting device
WO2008044170A3 (en) Thi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luminary device
US20110069501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heat dissipation
TW200715547A (en) Illumination device
EP2341278A3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illumination device with the same
KR2011004387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테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66657A5 (ko)
US8269231B2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providing stable color temperature
ATE522931T1 (de) Lichtemissionsvorrichtung mit farbsteuerung
KR10111389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접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TWM413800U (en) Buckling structure of LED lamp strip
JP3199742U (ja) Led照明装置
TWI469316B (zh) 發光二極體照明裝置
KR10113539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인테리어 몰딩의 제조방법
JP2005116252A (ja) 建物の構造物に取り付けられる電気機器のカバー及び電気機器の組立体
KR20220157068A (ko) 조명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수 있는 oled 인테리어몰딩방법
JP3163988U (ja) 照明器具
JP5804669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用のフィルム
JP3150934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US20140063815A1 (en) Led lamp
CN220934910U (zh) 立式无线充电器及电子设备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