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85A -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 Google Patents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85A
KR20110043285A KR1020090100331A KR20090100331A KR20110043285A KR 20110043285 A KR20110043285 A KR 20110043285A KR 1020090100331 A KR1020090100331 A KR 1020090100331A KR 20090100331 A KR20090100331 A KR 20090100331A KR 20110043285 A KR20110043285 A KR 2011004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urniture
fixing plate
suppo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855B1 (ko
Inventor
표진호
표철수
Original Assignee
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진호 filed Critical 표진호
Priority to KR102009010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855B1/ko
Priority to CN200910224953.5A priority patent/CN102041935B/zh
Publication of KR2011004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장공(15)과 절결공(25)이 형성된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지면서 회동공(30)과 나선공(40)이 형성된 고정판(130); 상기 절결공(25)에 체결되면서 그 하면에 상기 나선공(40)에 결합되는 나선부(21)가 형성된 장력볼트(20); 및 상기 장공(15)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그 하면에 상기 장공(15)과 회동공(30)을 경유하는 다리부(12)가 편심방향으로 형성된 편심볼트(1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구힌지의 지지체에 고정된 고정판의 분리.이탈이 차단되므로, 상기 고정판의 헐거워짐으로 인한 가구도어의 개폐소음이 방지됨은 물론 고정판의 이탈로 인한 가구도어의 재설치작업이 없어지도록 한 것이다.
가구힌지, 회동판, 고정판, 편심볼트, 장력볼트, 나선공

Description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Furniture hinge fixing a mounting plate}
본 발명은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가구도어를 개폐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힌지에 구성된 고정판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고정판이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힌지는 장롱이나 싱크대 등과 같은 가구 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되는 철구조물로서, 이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의 개폐에 따른 각종 편리성을 제공하여야 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과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판(Mounting plate)이 구성되며, 특히 가구힌지의 지지체에 볼트 또는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판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구힌지(100)는,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지지체(110)에 고정볼트(132)와 장력볼트(134)를 통해 결합된 고정판(1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롱이나 싱크대 등과 같은 가구의 개폐경로에 상기 가구힌지(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를 손으로 잡고 개폐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110)에 구성된 힌지축을 따라 상기 회동판(120)이 회전하므로,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체(110)에 상기 고정볼트(132)가 왕복이동하는 체결공(112)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볼트공(114)이 각각 형성되는 반면, 상기 고정판(130)에는 상기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볼트공(136)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이동하는 체결공(138)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고정판의 고정볼트(132)를 약간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0)의 체결공(112)을 따라 상기 고정판의 위치를 약간 이동시킨 다음, 상기 고정볼트(132)를 다시 체결하면, 상기 가구도어(D)의 세팅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가구힌지(100)는, 상기 지지체(110)와 상기 고정판(130)이 고정볼트(132)를 통해 상호 고정된 상태로서 예컨대, 상기 가구도어(D)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의 과정에서 고정볼트(132)가 느슨해지는 경우, 상기 가구도어(D)가 유동하므로 개폐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지지체(110)에서 고정판(130)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가구도어(D)의 중량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체(110)에 상기 고정판(130)을 맞대고 상기 고정볼트(132)를 체결하는 과정이 몹시 힘들어, 두 사람 정도의 작업인력이 필요하므로 작업하중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작업자의 육감에 의해 상기 지지체(110)의 체결공(112)을 따라 상기 고정판(130)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볼트(132)로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가구도어(D)의 정확한 세팅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볼트(132)의 이동공간인 상기 체결공(112)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지지체(110)의 제조에 따른 가공공정 및 작업하중이 증대됨은 물론 이로 인해 가구힌지(100)의 제조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구힌지에 구성된 고정판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고정판이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장공과 절결공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장공과 절결공에 각각 대응하는 회동공과 나선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절결공에 체결되면서 그 하면에 상기 나선공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장력볼트; 및 상기 장공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그 하면에 편심방향으로 상기 장공과 회동공을 경유하는 다리부가 형성된 편심볼트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고정판의 이탈이 차단되므로, 상기 고정판의 헐거워짐으로 인한 가구도어의 유동이 방지되어 개폐소음이 예방된다.
둘째, 상기 고정판의 분리가 차단되므로, 상기 고정판의 체결 및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 세팅에 따른 불편함이 없어진다.
셋째, 상기 고정판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의 세팅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정밀도가 향상되고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넷째, 상기 고정판의 설치 및 위치조절에 따른 부품이 단순화되므로 상기 가구힌지의 제조공정 및 제조비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와 작동상태도와 편심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장공(15)과 절결공(25)이 형성된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장공(15)과 절결공(25)에 각각 대응하는 회동공(30)과 나선공(40)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130); 상기 절결공(25)에 체결되면서 그 하면에 상기 나선공(4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21)가 형성된 장력볼트(20); 및 상기 장공(15)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그 하면에 상기 장공(15)과 회동공(30)을 경유하는 다리부(12)가 편심방향으로 형성된 편심볼트(1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10)에 상기 편심볼트(10)를 통해 상기 고정판(13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편심볼트(1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다리부(12)의 편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힌지(1)는, 상기 지지체(110)의 일측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판(120)을 결합한 다음,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측에 조절/장력볼트(10,20)를 통해 고정판(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편심볼트(1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편심볼트(10)의 편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지지체(110)는, 상기 가구힌지(1)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몸체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공(15)과 절결공(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공(15)에 편심볼트(10)가 체결되고 상기 절결공(25)에 장력볼트(20)가 체결된다.
또한, 편심볼트(10)는, 상기 지지체(110)의 장공(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110)의 상면 즉 장공(15)의 주변에 형성된 오목부에 맞대어지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의 하면중심부를 약간 벗어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리부(12)로 이루어진다.
이때, 편심볼트(10)에 형성된 다리부(12)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후에 설명하는 고정판(130)이 이동거리를 조절함은 당연하다.
또한, 장력볼트(20)는, 상기 지지체(110)의 절결공(25)에 체결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하면에 이후에 설명하는 상기 나선공(40)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나선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판(120)은, 상기 지지체(110)의 일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 어 회동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가 상기 가구도어(D)에 결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고정판(130)은,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측에 맞대어져 전진 및 후진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부에 상기 가구벽체(B)와 결합되는 날개부(139)가 형성되며, 그 상면에 상기 편심볼트(10)가 끼워지는 회동공(30)과 상기 장력볼트(20)가 체결되는 나선공(4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13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공(30)의 주변에 상기 편심볼트(10)의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판(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소정크기를 갖는 절결편(37)이 형성된다.
이때, 편심볼트(10)는, 상기 지지체(110)의 장공(15)과 상기 고정판(130)의 회동공(30)를 경유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리벳팅 또는 단조공정을 거쳐 원판형상의 걸림부(13)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걸림부(13)에 의해 상기 편심볼트(10)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고정판(130)이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13)가 리벳팅 또는 단조를 통해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였지만, 그 밖에도 편심볼트(10)에 와셔와 같은 이탈방지부재를 체결하여 걸림부(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힌지(1)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지지체(110)의 회전축에 힌지식으로 회동판(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0)의 하면에 상기 고정판(130)을 맞대고 정위치에 세팅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체(110)에 형성된 장공(15)과 절결공(25)에 상기 편심볼트(10)와 장력볼트(20)를 각각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편심볼트(10)의 다리부(12)를 상기 회동공(30)으로 통과시켜 상기 걸림부(13)를 형성함은 물론, 상기 장력볼트(20)를 회전하여 상기 나선공(40)에 나선부(21)를 체결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지지체(110)에 결합된 상기 고정판(130)이 상기 편심볼트(10)의 다리부(12) 및 상기 장력볼트(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각도조절 및 위치세팅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만일,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110)의 각도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장력볼트(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장력볼트(20)의 나선부(21)가 상기 나선공(40)을 따라 나선이동하므로 각도조절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편심볼트(10)의 머리부(11)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리부(12)의 편심량에 해당하는 만큼 고정판(130)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편심볼트(1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장력볼트(20)는 상기 절결공(25)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절결홈(25a)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지지체(110) 또는 고정판(130)의 이동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편심볼트(10)에 의해 상기 지지체(110)와 고정판(130)이 고정되었더라도, 상기 다리부(12)의 편심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지지체(110) 또는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편심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구힌지 10 : 편심볼트
11 : 머리부 12 : 다리부
13 : 걸림부 15 : 장공
20 : 장력볼트 21 : 나선부
25 : 절결공 30 : 회동공
37 : 절결편 40 : 나선공

Claims (3)

  1.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상면에 장공(15)과 절결공(25)이 형성된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장공(15)과 절결공(25)에 각각 대응하는 회동공(30)과 나선공(40)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130);
    상기 절결공(25)에 체결되면서 그 하면에 상기 나선공(4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21)가 형성된 장력볼트(20); 및
    상기 장공(15)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그 하면에 상기 장공(15)과 상기 회동공(30)을 경유하는 다리부(12)가 편심방향으로 형성된 편심볼트(1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10)에 상기 편심볼트(10)를 통해 상기 고정판(13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편심볼트(1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다리부(12)의 편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볼트(10)는,
    그 하단부에 상기 회동공(30)를 경유한 상태에서 리벳팅 또는 단조를 통해 상기 지지체(110)와 고정판(130)을 고정하는 걸림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용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공(30)은,
    그 주변에 상기 고정판(130)의 위치 및 각도조절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절결편(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용힌지.
KR1020090100331A 2009-10-21 2009-10-21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KR10104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31A KR101047855B1 (ko) 2009-10-21 2009-10-21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CN200910224953.5A CN102041935B (zh) 2009-10-21 2009-11-26 包括固定到其上的安装板的家具铰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31A KR101047855B1 (ko) 2009-10-21 2009-10-21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85A true KR20110043285A (ko) 2011-04-27
KR101047855B1 KR101047855B1 (ko) 2011-07-08

Family

ID=4390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31A KR101047855B1 (ko) 2009-10-21 2009-10-21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7855B1 (ko)
CN (1) CN10204193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81A (ko) * 2018-04-13 2019-10-23 (주)문주하드웨어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KR20190119782A (ko) * 2018-04-13 2019-10-23 (주)문주하드웨어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KR20220159115A (ko) * 2021-05-25 2022-12-02 안광현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12B1 (ko) 2012-11-06 2013-05-2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CN108193976B (zh) * 2018-01-18 2023-06-16 佛山市顺德区勒流镇汇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易于安装的推窗防坠落装置
CN113374368B (zh) * 2019-10-17 2023-0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铰链装置及具有其的冰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7407B (de) * 1990-06-25 1994-04-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ES2117461T3 (es) 1995-04-19 1998-08-01 Salice Arturo Spa Elemento de fijacion.
DE29604354U1 (de) 1996-03-08 1996-06-05 Salice Arturo Spa Haltebeschlag für eine um eine horizontale Schwenkachse an einer Deckwand eines Schranks angelenkte Klappe
DE20212022U1 (de) * 2002-08-05 2002-09-26 Salice Arturo Spa Scharnier
EP1577474A3 (de) * 2004-03-19 2010-07-07 Dr. Hahn GmbH & Co. KG Band für eine verdeckte Anordnung zwischen Zarge und Flügel
DE202006015190U1 (de) * 2006-10-04 2006-11-23 Arturo Salice S.P.A., Novedrate Hebevorrichtung für eine zweiflügelige Faltklappe
CN200968125Y (zh) * 2006-11-17 2007-10-31 张仕浪 改进的铰链
DE102006059247A1 (de) * 2006-12-15 2008-06-19 Liberty Hardware Mfg. Corp. Möbelscharnier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CN201195991Y (zh) * 2008-04-26 2009-02-18 广东中侨五金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门铰链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81A (ko) * 2018-04-13 2019-10-23 (주)문주하드웨어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KR20190119782A (ko) * 2018-04-13 2019-10-23 (주)문주하드웨어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KR20220159115A (ko) * 2021-05-25 2022-12-02 안광현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855B1 (ko) 2011-07-08
CN102041935B (zh) 2014-02-19
CN102041935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855B1 (ko)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US9670707B2 (en) Door hinge
EP2460964A1 (en) Biaxial hinge device
ZA200507689B (en) Fitting
US20110232033A1 (en) Hinge for door or window
US20170152689A1 (en) Adjustable door hinge
US10724277B2 (en) Reversible non-handed latch
EP3458666B1 (en) System for the rotatable coupling of a closing element and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EP2872716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EP2342408A1 (en) Adjustment device for hidden hinges and hidden hinge comprising said adjustment device
KR101952261B1 (ko)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AU2014200412A1 (en) Door Assembly
WO2014006586A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GB0620606D0 (en) Door hinge structure
KR100882472B1 (ko)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JP6570560B2 (ja) 丁番
KR100885529B1 (ko) 고정판을 이중 고정한 가구용힌지
EP1713992B1 (en) Arrangement for securing switch control shaft to switch pipe shaft
KR20120092406A (ko) 벽면고정판을 고정한 다관절 가구힌지
KR20110007986U (ko) 도어용 힌지
KR101055953B1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JP5346579B2 (ja) ヒンジ
RU2775117C2 (ru)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корпус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стенку
JPH0470480A (ja) 調整可能な蝶番
RU2256054C1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подобных устрой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