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167A -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167A
KR20110043167A KR1020090100166A KR20090100166A KR20110043167A KR 20110043167 A KR20110043167 A KR 20110043167A KR 1020090100166 A KR1020090100166 A KR 1020090100166A KR 20090100166 A KR20090100166 A KR 20090100166A KR 20110043167 A KR20110043167 A KR 2011004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verter
bias voltage
portable terminal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951B1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51B1/ko
Priority to US12/925,443 priority patent/US8516278B2/en
Publication of KR2011004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팅(inverting)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인버터(inverter)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의 피드백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프로세서 구동 시, 전력 소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휴대 단말기, 회로 장치, 인버터(inverter), 슬립 모드(sleep mode), 전력 소모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장치는 입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며, 인버터에는 일반적으로 회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피드백 저항이 연결된다.
그러나 피드백 저항의 연결로 인해, 피드백 저항이 형성된 라인으로 DC 바이어스 전압(DC bias voltage)이 유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DC 바이어스 전압의 발생은 인버터가 출력하는 출력 파형의 전압 크기를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의 슬립 모드에서 전력 소모가 증가하여 배터리가 금방 소모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팅(inverting)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인버터(inverter)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의 피드백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 제어 방법은 슬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신호를 인버팅(inverting)하고, 인버팅된 신호를 피드백 라인을 통해 피드백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신호로부터 상기 피드백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여 프로세서 구동 시, 특히 슬립 모드에서 프로세서 구동 시, 전력 소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MP3 플레이어(MP3 player), 멀티미디어 플레이어(multimedia player),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게임 실행 프로그램, 무선 인터넷 실행 프로그램 등 휴대 단말기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각각 별개의 칩(chip)으로 구성되는 멀티 칩(multi-chip)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단일 칩(one-chip)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 소모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장치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구동 장치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에 해당한다.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0), 오디오 처리부(200), 표시부(300), 입력부(400), 저장부(500), 제어부(60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0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600)로 출력하고, 제어부(6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0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0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0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한다.
입력부(40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 아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입력부(400)는 3*4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 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50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어플리케이션이 MP3 플레이어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해당하는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6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61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예를 들어, MSM(Mobile Station Modem);Baseband)를 더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는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메인 프로세서의 부족한 데이터 연산 처리량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메인 프로세서 와 별개로 설치된다.
제어부(600)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가 연결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력 소모 제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의 내부 구성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서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는 메인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형태가 되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메인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의 내부 구성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인버터(inverter)(621), 오실레이터(oscillator)(622), 피드백 저항(feedback resistor-Rf)(623), 커패시터(capacitor)(624), 전원(voltage source)(625)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전원(625)와 인버터(621) 사이의 라인의 전류를 조절하는 저항(R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621)는 오실레이터(622)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인버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621)는 오실레이터(622)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인버터(621)는 전원 핀(Vcc), 입력 핀(A), 출력 핀(Y), 접지 핀(GND)을 포함하는 칩(chip) 형태로 구성된다. 6개의 핀으로 구성되는 인버터(621)의 경우(예를 들어, 'Fairchild 사'의 'NC7SV04'), 상기 4개의 핀들 이외에 두 개의 비 연결핀(NC)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621)의 입력 핀(A)은 오실레이터(622)에 연결되며, 출력 핀(Y)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621)는 오실레이터(622)가 생성한 교류 전기 신호를 입력받고, 전원(625)으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통해 교류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교류 전기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 핀(Y)으로 출력한다.
오실레이터(622)는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에 해당한다. 오실레이터(622)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sleep mode) 및 대기 모드(idle mode)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립 모드는 휴대 단말기가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최소의 전원만을 유지하고 그 외의 다른 기능들을 오프한 상태를 의미하며, 대기 모드는 휴대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이 유지되는 상태로서 제어 동작이 수행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는 일정 주기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대기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대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는 수행할 동작에 관한 정보를 갖는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탐색하며, 페이징 채널을 탐색하지 못한 경우 곧바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페이징 채널을 탐색한 경우 대기 모드를 일정 시간 유지한다. 슬립 모드와 대기 모드와의 교차 주기를 슬롯 사이클(slot cycle)이라고 하며, 상기 슬롯 사이클은 휴대 단말기에 지정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에 의해 결정된다. 슬롯 사이클이 5.125초에 해당하는 경우, 5초 동안은 슬립 모드이며 0.125초 동안은 대기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400)를 통해 키를 입력하거나, 폴더(folder)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폴더를 열거나, 슬라이드(slide)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열 때, 휴대 단말기는 현재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300)는 대기 모드에서 온(ON) 상태가 되며, 슬립 모드에서 오프(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오실레이터(622)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및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MP3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슬립 모드, 대기 모드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622)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Crystal) Oscillator)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VCTCXO는 19.2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622)는 인버터(621)의 입력 핀(A)과 연결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622)의 입력 핀(A)으로 출력한다.
피드백 저항(Rf)(623)은 인버터(622)의 입력 핀(A)과 출력 핀(Y) 사이의 전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드백 저항(Rf)(623)은 휴대 단말기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가 외부 잡음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게 하고, 증폭기의 대 역폭을 증가시킨다. 피드백 저항(Rf)(623)은 인버터(621)의 입력 핀(A)과 출력 핀(Y)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저항(Rf)(623)은 약 100KΩ의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커패시터(624)가 연결되는 회로에서는 피드백 저항(Rf)(623)이 생략될 수 있다.
커패시터(624)는 오실레이터(622)에서 피드백 저항(Rf)(623)이 형성된 라인으로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DC bias voltage)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패시터(624)는 인버터(621)의 입력 핀(A)과 출력 핀(Y)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서 피드백 저항(Rf)(623)과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패시터(624)는 인버터(621)의 입력 핀(A)과 피드백 저항(Rf)(623)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버터(621)의 출력 핀(Y)과 피드백 저항(Rf)(623)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624)는 약 1NF의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전원(625)은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인버터(621)의 전원 핀으로 출력한다. 전원(625)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인버터(621)가 출력하는 출력 파형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625)은 1.8V의 직류 전압을 인버터(621)에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에서 전원(625)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인버터(621)로 공급하고, 오실레이터(622)가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621)로 공급하면, 인버터(621)는 오실레이터(622)가 생성한 교류 전기 신호를 입력받고, 전원(625)으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통해 입력 받은 교류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교류 전기 신호 를 반전시켜 출력 핀(Y)으로 출력한다. 인버터(621)에 피드백 저항(Rf)(623)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핀(Y)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피드백 저항(Rf)(623)을 통해 다시 입력 핀(A)으로 피드백 된다. 이 때, 오실레이터(622)에서 피드백 저항(Rf)(623)이 형성된 라인으로 DC 바이어스 전압이 유기되는데, 커패시터(624)는 상기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에서는 커패시터(624)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DC 바이어스 전압이 차단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커패시터(624)의 위치를 변경시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를 구성하고, 인버터(621)의 출력 라인과 피드백 저항(Rf)(623)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출력 파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도 3은 커패시터(624)의 위치가 변경된 형태의 본 발명의 비교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에 해당한다. 도 3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는 인버터(inverter)(621), 오실레이터(oscillator)(622), 피드백 저항(Rf)(623), 커패시터(capacitor)(624), 전원(voltage source)(625)을 포함하고 있으며, 커패시터(capacitor)(624)는 피드백 저항(Rf)(623)이 형성된 라인이 아닌 출력 핀(Y)의 출력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2 및 도 3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를 구성하였고, 인버터(621)의 출력 라인과 피드백 저항(Rf)(623)이 연결되는 노드(node)(a)에서 출력 파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출력 파형 그래프는 도 4a 및 도 4b에 개시되어 있다.
도 4a는 도 2의 노드(a)에서 측정한 출력 파형 그래프에 해당한다. 도 4a에 도시된 출력 파형 그래프는 전원(625)이 인버터(621)에 1.8V를 공급할 때, 노드(a)에서 측정한 결과에 해당한다.
도 4a에서 't1' 및 't3'은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인 구간이며, 't2'는 휴대 단말기가 대기 모드인 구간에 해당한다. 도 4a에서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에서는 약 1.17V, 대기 모드에서는 약 1.7V에 해당하는 파형을 출력하고 있다. 커패시터(624)는 피드백 저항(Rf)(623)과 인버터(621)의 입력 핀(A) 사이에 피드백 저항(Rf)(623)과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피드백 저항(Rf)(623)이 형성된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인버터(621)의 출력 파형이 슬립 모드에서 낮은 전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커패시터(624)를 피드백 저항(Rf)(623)과 인버터(621)의 출력 핀(Y) 사이에서 위치시킨 경우에도 도 4a와 유사한 파형이 도출되었고,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 효과가 나타났다.
도 4b는 도 3의 노드(a)에서 측정한 출력 파형 그래프에 해당한다. 도 4b에 도시된 출력 파형 그래프 역시 전원(625)이 1.8V를 공급할 때, 노드(a)에서 측정한 결과에 해당한다.
도 4b에서 't4' 및 't6'은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인 구간이며, 't5'는 휴대 단말기가 대기 모드인 구간에 해당한다. 도 4b에서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에서는 약 2.07V, 대기 모드에서는 약 1.17V를 출력하고 있다. 이는 피드백 과정에서 DC 바이어스 전압(0.9V)이 피드백 저항이 형성된 라인에 유기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이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3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620)를 사용하게 되면 오랜 시간 지속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전류 소모가 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3과 같이 커패시터(624)를 인버터(621)의 출력 라인 상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할 수 없었으나, 도 2와 같이 커패시터(624)를 인버터(621)의 피드백 저항(Rf)(623)과 인버터(621)의 입력 핀(A) 사이에 커패시터(624)를 위치시켰을 때에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오실레이터(622)에서 피드백 저항(Rf)(623)이 형성된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에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의 내부 구성도에 해당한다.
도 3은 커패시터의 위치가 변경된 형태의 본 발명의 비교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동부에 해당한다.
도 4a는 도 2의 노드(a)에서 측정한 출력 파형 그래프에 해당한다.
도 4b는 도 3의 노드(a)에서 측정한 출력 파형 그래프에 해당한다.

Claims (6)

  1.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팅(inverting)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의 피드백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는
    커패시터(capaci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라인에 형성되는 피드백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는
    상기 피드백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 전압 차단부는
    상기 인버터의 입력부와 상기 피드백 저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장치.
  6.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발생된 신호를 인버팅(inverting)하고, 인버팅된 신호를 피드백 라인을 통해 피드백하는 과정; 및
    상기 발생된 신호로부터 상기 피드백 라인에 유기되는 DC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KR1020090100166A 2009-10-21 2009-10-2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6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66A KR101561951B1 (ko) 2009-10-21 2009-10-2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925,443 US8516278B2 (en) 2009-10-21 2010-10-21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66A KR101561951B1 (ko) 2009-10-21 2009-10-2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167A true KR20110043167A (ko) 2011-04-27
KR101561951B1 KR101561951B1 (ko) 2015-10-20

Family

ID=4387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166A KR101561951B1 (ko) 2009-10-21 2009-10-2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6278B2 (ko)
KR (1) KR101561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951B1 (ko) * 2009-10-21 2015-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739847A (zh) * 2011-04-14 2012-10-1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解锁方法
CN104238605B (zh) * 2013-06-20 2016-08-24 纽福克斯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瓶状态显示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438811B (zh) 2017-05-22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息屏显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647A (en) * 1989-10-31 1993-04-13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pulses having a stable duty ratio
US5333176A (en) * 1992-04-30 1994-07-26 Murata Machinery, Ltd. Cellular hand held portable speakerphone system having an interface adapter
JP2002111449A (ja) * 2000-09-29 2002-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圧制御発振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位相同期ループ回路
JP3921362B2 (ja) 2001-07-30 2007-05-30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温度補償水晶発振器
TWI310265B (en) 2003-06-13 2009-05-21 Ind Tech Res Inst Gain amplifier with dc offset cancellation circuit
US6940353B2 (en) * 2003-10-16 2005-09-06 Micrel, Incorporated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KR100663511B1 (ko) * 2004-01-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CN1725628A (zh) * 2004-07-23 2006-01-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压控制型振荡器
JP4361500B2 (ja) * 2005-01-27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圧制御型発振器
US7529211B2 (en) * 2005-04-04 2009-05-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ging related delays
US8041972B2 (en) * 2006-04-04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wakeup times in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estimated lock on time of frequency synthesizer
EP3589072B1 (en) * 2007-01-15 202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data by drx-mode termi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7986194B2 (en) * 2007-01-30 2011-07-26 Epson Toyocom Corporation Oscillator
JP2008228136A (ja) * 2007-03-15 2008-09-25 Sony Corp データ伝送装置
JP4857189B2 (ja) * 2007-05-16 2012-01-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広帯域低雑音増幅器
US8254598B2 (en) * 2007-06-12 2012-08-28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Programmable integrated microphone interface circuit
US8249616B2 (en) * 2007-08-23 2012-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atellite (GPS) assisted clock apparatus,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for cellular terminals on asynchronous networks
TW201005503A (en) * 2008-07-16 2010-02-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1561951B1 (ko) * 2009-10-21 2015-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53601B1 (ko) * 2009-11-23 2012-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6278B2 (en) 2013-08-20
US20110089926A1 (en) 2011-04-21
KR101561951B1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9434B2 (en) Power mana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7643800B2 (en) Transmit power management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KR101109202B1 (ko) 저전력 온-칩 헤드셋 스위치 검출
US872482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universal earphone jack
US7759915B2 (en) System with linear and switching regulator circuits
US8131315B2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multimode audio amplifier
KR20110043167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073295A1 (en) Audio codec with vibrator support
KR20100128885A (ko)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046112B1 (ko) 집적 회로의 전력 분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44846A1 (en) Circuit for detecting when a microphone is connected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JP7442551B2 (ja) 移動端末及び制御方法
KR960003268A (ko)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US7084701B2 (en) Preventing power-on audio output noise in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KR101785338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0644820B1 (ko) 구동전압 제어 모듈
KR1008353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N107749751B (zh) 移动终端供电系统及移动终端
CN220983884U (zh) 笔记本电脑的隐私保护电路
CN110381409B (zh) 一种显示器的控制板、其驱动方法及显示器
US8076956B1 (en) Relatively low standby power
KR100565720B1 (ko) 이동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
KR20070010426A (ko) 슬립 모드 시 절전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768858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KR100687611B1 (ko) 슬립 모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절전 기능을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