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338B1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5338B1 KR101785338B1 KR1020110010424A KR20110010424A KR101785338B1 KR 101785338 B1 KR101785338 B1 KR 101785338B1 KR 1020110010424 A KR1020110010424 A KR 1020110010424A KR 20110010424 A KR20110010424 A KR 20110010424A KR 101785338 B1 KR101785338 B1 KR 101785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icrophone
- power supply
- terminal
- pa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는 페이징 전원 신호, 및 마이크 바이어스를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며, 상기 외부 장치 접속 감지 시 접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부,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와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 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 감지 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 수신 시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가 상기 접속부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화 버튼이 있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악세서리와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음악 감상, 영화 감상, 사진 촬영 등 그 기능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른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잭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잭 인터페이스에는 스피커, 이어 마이크 폰, 헤드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 플러그의 종류는 3극의 접속점을 갖는 3극 플러그, 4극의 접속점을 갖는 4극 플러그 등 다양하다.
특히, 4극 플러그를 가지는 이어 마이크 폰의 경우, 4극 플러그는 DC 전원이 인가되는 마이크 단자와, 전화 수신 시 전화 수신 및 종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SEND/END)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버튼은 4극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므로 버튼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유휴 상태, 호 연결 상태 구분 없이 항상 상기 버튼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계속하여 인가되어야 했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가 불필요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능 버튼이 있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악세서리와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에 대한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는 페이징 전원 신호, 및 마이크 바이어스를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며, 상기 외부 장치 접속 감지 시 접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부,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와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 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 감지 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 수신 시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가 상기 접속부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부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은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는 페이징 전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와, 상기 외부 장치 접속을 동시에 감지 시 마이크 바이어스를 상기 접속부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 중, 인터페이스부(130), 전원부(160), 제어부(180) 사이의 연결 구조 및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과 접속부(210)의 연결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의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 전원부(160), 제어부(180)의 기능 블록이 실제 회로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에서 생성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 중, 인터페이스부(130), 전원부(160), 제어부(180) 사이의 연결 구조 및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과 접속부(210)의 연결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의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 전원부(160), 제어부(180)의 기능 블록이 실제 회로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에서 생성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내부 구조는 도 2 이하에서 도시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RF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인터페이스부(130), 키 입력부(140), 표시부(150), 전원부(160), 저장부(170)를 구비한다.
RF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RF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RF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와 휴대 단말기(100)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가 이어 마이크 폰인 경우, 상기 이어 마이크 폰의 플러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30)에 삽입되어, 이어 마이크 폰과 휴대 단말기(100)가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기기 플러그 종류는 3극의 접속점을 갖는 3극 플러그, 4극의 접속점을 갖는 4극 플러그 등 다양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기기 플러그는 4극 플러그임을 전제로 한다. 즉, 이하에서 기술되는 외부 기기는 4극 플러그를 가지는 이어 마이크 폰임을 가정한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동 및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을 각 기능 블록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전원부(160)는 휴대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는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 접속 감지 시 접속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에 대한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호 연결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 마이크 바이어스를 마이크 단자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 중, 인터페이스부(130), 전원부(160), 제어부(180) 사이의 연결 구조 및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부(210)와 판단부(220)로 구분될 수 있다.
접속부(21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과 휴대 단말기(100)가 상호 연결되는 접속 포인트(point)이다. 접속부(21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면, 접속 감지 신호를 판단부(220)와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과 접속부(210)의 연결 직전 상태가 도 3에서 도시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은 접속부(2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된다.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은 통화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의 마이크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접속부(210)는 4개의 단자 즉, 마이크 단자(310), 좌 음향 단자(320), 우 음향 단자(330), 그라운드 단자(340)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210)의 각각의 단자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의 대응하는 단자와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접속부(210)의 마이크 단자(31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의 마이크 단자와 접속되며, 접속부(210)의 좌 음향 단자(32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의 좌 음향 단자와 접속된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접속부(21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의 접속 감지 시, 접속 감지 신호(305)를 판단부(220)와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판단부(220)로 출력된 접속 감지 신호는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180)로 출력된 접속 감지 신호는 접속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판단부(22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 접속 감지 시, 접속부(210)의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220)는 접속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감지 신호, 및 전원부(160)로부터 전달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는 페이징(paging)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 및 전원 오프(off)를 반복하는 신호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20)는 접속 감지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하도록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판단부(220)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이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항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류 소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220)는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기(100)가 유휴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전환되면, 전원부로부터의 페이징 전원 신호 입력이 중단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 상태 시에는 RF 전력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판단부(22)에 입력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 상태에서는 판단부(220)에 입력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오프(off)이므로,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신호가 필요하다.
또 다른 예시로, 휴대 단말기(100)에 녹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녹음 기능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오프에 관계없이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는 항상 인가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녹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조차,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면, 페이징 주기에 따라 녹음 끊김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한 이유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 판단부(220)는 제어부(180)로부터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 수신 시,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전원부(16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와 페이징 전원 공급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는 제어부(180)로부터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 명령 수신 시, 접속부(210)의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는 LDO(Low Drop Out)일 수 있다. LDO는 일종의 선형 레귤레이터이며, 선형 레귤레이터는 선형 영역 내에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에서 과도한 전압을 제거해 줌으로써 원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는 휴대 단말기(100)와 네트워크 사이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는 상기 생성된 페이징 전원 신호를 판단부(220)에 입력한다. 상기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에서 생성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에 대한 예시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다.
우선,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유휴 상태 시,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에서 생성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페이징 전원은 휴대 단말기(100)와 네트워크 사이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온(on) 및 오프(off) 상태를 반복한다.
도 8은 휴대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전환 시, 페이징 전원 공급부(161)에서 생성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페이징 전원은 휴대 단말기(100)의 유휴 상태에서는 페이징 주기에 따라 온(on) 및 오프(off) 상태를 반복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유휴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천이되면, 페이징 전원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180)는 도 1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181), 전원 제어부(182), 호 연결 판단부(18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181)는 접속부(210)로부터 접속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181)는 외부 장치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파악한다.
전원 제어부(182)는 판단부(220)로부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 수신 시, 전원부(160)의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를 제어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182)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 이벤트 발생 시, 판단부(220)에 인가되는 페이징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통화 시, 휴대 단말기의 RF 특성에 대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호 연결 판단부(183)는 휴대 단말기(100)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 이벤트 발생 시, 호 연결 판단부(183)는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판단부(220)에 입력한다.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는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여부에 상관없이,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통화 이벤트 발생 시에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어부(180),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181), 전원 제어부(182), 호 연결 판단부(183)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82)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8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의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단부(220)는 AND 게이트(41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OR 게이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게이트(410)는 두 개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며, 각각의 입력 단자에는 페이징 전원 공급부(162)에서 공급되는 페이징 전원 신호, 및 접속부(210)에서 공급되는 접속 감지 신호가 인가된다. 접속 감지 신호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이 접속부(210)에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AND 게이트(410)에 입력된다. 그리고 페이징 전원 신호는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를 반복한다. 따라서 AND 게이트(410)는 접속 감지 신호 및,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신호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즉, 두 개의 입력 신호가 모두 High)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 제어부(182)에 인가된다. 그러면 전원 제어부(1820)는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를 제어하여 마이크 바이어스를 접속부(210)의 마이크 단자(310)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는 OR 게이트(420)의 입력 신호로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OR 게이트(420)는 두 개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며, 각각의 입력 단자에는 AND 게이트(410)에서 출력되는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 및 호 연결 판단부(183)에서 출력되는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가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OR 게이트(420)는 마이크 마이어스 인가 신호, 또는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즉,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High),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출력 신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 제어부(182)에 인가된다. 그러면 전원 제어부(1820)는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를 제어하여 마이크 바이어스를 접속부(210)의 마이크 단자(310)에 인가한다.
한편, 도 4의 예시에서는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논리 회로로서 AND 게이트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OR 게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4가지 가능 수(00, 01, 10, 11)에서 한 가지 가능 수에서만 출력이 High가 되는 소자라면 도 4의 AND 게이트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예시에서는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논리 회로로서 OR 게이트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이오드를 통한 연결 논리합(wired-or)을 통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연결 논리합이란 외적으로 연결된 별개의 회로 또는 함수로 그들의 출력을 결합하여 논리합(OR)의 기능을 얻는 것을 의미하며, 각 회로가 연결되는 점의 출력은 입력 중의 어느 한 회로가 '1'이면 출력도 '1'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판단부(220), 전원부(160), 제어부(180)의 기능 블록이 실제 회로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우선,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200)이 접속되면 접속 감지 신호가 AND 게이트(410)에 인가된다. 그리고 AND(410) 게이트에 인가된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되면, 상기 AND 게이트(410)는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는 OR 게이트(42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제어부(180)의 칩 인에이블 단자(Chip enable, CE)(3)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에이블(enable)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 단자(1)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크 바이어스는 마이크 단자(310)에 인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판단부(220)는 S610 단계에서, 인가된 페이징 전원 신호의 주기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페이징 전원 신호는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 및 전원 오프(off) 상태가 반복된다. 그리고 판단부(220)는 S615 단계에서,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인지 판단한다. 전원 온(on)이라면, 판단부(220)는 S620 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장치(즉,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연결에 따른 접속 감지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 감지 신호가 인가된 경우, 판단부(220)는 S630 단계에서,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는 전원 제어부(182)에 입력된다. 그러면 전원 제어부(182)는 S635 단계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를 제어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호 연결 판단부(183)는 S640 단계에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호 연결 판단부(183)는 S650 단계로 진행하여, 판단부(220)에 인가되는 페이징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통화 시, 휴대 단말기의 RF 특성에 대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는 호 연결 판단부(180)는 S645 단계에서 녹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 호 연결 판단부(183)는 S655 단계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판단부(220)로 출력한다.
그러면 판단부(220)는 S660 단계에서,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는 전원 제어부(182)에 입력된다. 그러면 전원 제어부(182)는 S635 단계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161)를 제어하여 마이크 단자(310)에 마이크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EGSM 멀티프레임 페이징 주기에 따른 예상 소모 전류 및 배터리 사용 시간에 대한 실험예가 하기의 표 1에서 도시된다. 상기 실험예에서는 3.5파이 4극 이어폰 전용 모델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였으며, 배터리는 1500mAh 용량을 장착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마이크 바이어스의 always on으로 인한 소모 전류는 3.04mA로서 494 시간동안 대기 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하기의 표 1과 같이 전류 소모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Multiframe P/P |
2 |
3 |
4 |
5 |
6 |
7 |
Periode |
470ms |
942ms |
1.18s |
1.416s |
1.652s |
1.888s |
감소전류 |
0.732mA |
0.766mA |
0.773mA |
0.777mA |
0.781mA |
0.783mA |
소모전류 |
2.308mA |
2.274mA |
2.267mA |
2.263mA |
2.269mA |
2.257mA |
예상대기시간 |
650h |
659.6h |
661.6h |
662.9h |
663.9h |
664.6h |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페이징 전원 신호와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이 온(on) 됨과 동시에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이 접속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 단자에 마이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100>
110 : RF 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키 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전원부
161 :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
162 : 페이징 전원 공급부
170 : 저장부 180 : 제어부
181 :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
182 : 전원 제어부
183 : 호 연결 판단부
210 : 접속부 220 : 판단부
<접속부, 210>
305 : 접속 감지 신호
310 : 마이크 단자 320 : 좌 음향 단자
330 : 우 음향 단자 340 : 그라운드 단자
110 : RF 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키 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전원부
161 : 마이크 바이어스 공급부
162 : 페이징 전원 공급부
170 : 저장부 180 : 제어부
181 : 외부 장치 접속 감지부
182 : 전원 제어부
183 : 호 연결 판단부
210 : 접속부 220 : 판단부
<접속부, 210>
305 : 접속 감지 신호
310 : 마이크 단자 320 : 좌 음향 단자
330 : 우 음향 단자 340 : 그라운드 단자
Claims (15)
-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는 페이징 전원 신호, 및 마이크 바이어스를 출력하는 전원부;
마이크 단자, 제1 음향 단자, 제2 음향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며, 상기 외부 장치 접속 감지 시 접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부;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와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전원 온 상태에 따른 페이징 전원 신호 및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가 상기 접속부의 마이크 단자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판단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 수신 시,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 감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접속부에 대한 페이징 전원 신호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마이크 단자, 좌 음향 단자, 우 음향 단자,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와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AND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AND 게이트는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에 따른 페이징 전원 신호 및 상기 접속 감지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면,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와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를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OR 게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OR 게이트는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신호 또는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 강제 인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력 시 마이크 바이어스 인가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마이크 단자, 제1 음향 단자, 제2 음향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전원 온(on)과 전원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는 페이징 전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전원 신호의 전원 온(on) 상태에 따른 페이징 전원 신호 수신과 상기 외부 장치 접속이 동시에 감지되면, 마이크 바이어스를 상기 접속부의 마이크 단자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 소모 감소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이벤트 또는 녹음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마이크 바이어스를 상기 접속부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소모 감소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접속부에 대한 페이징 전원 신호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소모 감소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마이크 단자, 좌 음향 단자, 우 음향 단자, 그라운드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소모 감소 방법.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4극 플러그 이어 마이크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소모 감소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424A KR101785338B1 (ko) | 2011-02-07 | 2011-02-07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US13/228,077 US9277314B2 (en) | 2011-02-07 | 2011-09-08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424A KR101785338B1 (ko) | 2011-02-07 | 2011-02-07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168A KR20120090168A (ko) | 2012-08-17 |
KR101785338B1 true KR101785338B1 (ko) | 2017-10-16 |
Family
ID=4660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424A KR101785338B1 (ko) | 2011-02-07 | 2011-02-07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277314B2 (ko) |
KR (1) | KR1017853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74170A (zh) * | 2012-12-10 | 2014-06-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用户设备及利用扩展寻呼周期进行寻呼的方法和系统 |
GB2542965B (en) * | 2013-04-11 | 2017-08-09 |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 Microphone biasing circuitry and method thereof |
CN107172596A (zh) * | 2017-05-23 | 2017-09-15 | 成都希德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 战场用班组通信联络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80643A1 (en) * | 2008-01-14 | 2009-07-16 | Sander Wendell B | Electronic device circuitry for communicating with accessori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32075A (en) * | 1996-09-20 | 1998-11-03 | Mitel Corporation | Off-hook detector for headset |
KR100663511B1 (ko) | 2004-01-24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
US20100054518A1 (en) * | 2008-09-04 | 2010-03-04 | Alexander Goldin | Head mounted voice communication device with motion control |
-
2011
- 2011-02-07 KR KR1020110010424A patent/KR101785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08 US US13/228,077 patent/US927731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80643A1 (en) * | 2008-01-14 | 2009-07-16 | Sander Wendell B | Electronic device circuitry for communicating with accessor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168A (ko) | 2012-08-17 |
US9277314B2 (en) | 2016-03-01 |
US20120201401A1 (en) | 201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2186B2 (en) | Notebook computer and cell phone assembly | |
US8171322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power management capabilities | |
US7919885B2 (en) |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power,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 |
US10025380B2 (en) |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 |
US20170270897A1 (en) | Earphone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EP264573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 |
US8868816B2 (en) | Integration connecting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778525B1 (ko) | 휴대단말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 |
KR101694424B1 (ko) |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 |
KR101727486B1 (ko) |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 |
WO2020259295A1 (zh) | 移动终端及控制方法 | |
KR101785338B1 (ko)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
EP22847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 |
KR20100128885A (ko) |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 |
JP2007311956A (ja) | 携帯通信端末 | |
JP2007013443A (ja) | 電子機器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 |
KR20130097413A (ko) | 단말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 |
US11343367B2 (en) |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switch for internal/external speaker-microphone mechanism used in radio and PTT communications | |
KR20100001586A (ko) |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 |
KR20070010426A (ko) | 슬립 모드 시 절전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 |
JP2008301068A (ja) | 電子機器 | |
KR20050076199A (ko) | 무선단말기용 오디오 시스템 | |
JP2004056553A (ja) | 携帯通信端末 | |
KR20070052559A (ko) | 착탈식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
KR20110020148A (ko) | 음향쇼크 방지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