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586A -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586A
KR20100001586A KR1020080061552A KR20080061552A KR20100001586A KR 20100001586 A KR20100001586 A KR 20100001586A KR 1020080061552 A KR1020080061552 A KR 1020080061552A KR 20080061552 A KR20080061552 A KR 20080061552A KR 20100001586 A KR20100001586 A KR 2010000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able terminal
dtmf
unit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586A/ko
Publication of KR2010000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극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과 휴대 단말기로 DTMF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 및 상기 음향 출력 유닛과 상기 리모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하는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모컨은, 다수 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이에 연결되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4극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음원 재생 프로그램 및 기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여러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이어폰, 이어마이크, 마이크로폰, DTMF, 재생, 제어

Description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4 pole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nnect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극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휴대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발전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청 취할 수 있는 이어폰(Earphone)도 다방면으로 발전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주로 4극의 이어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4극 이어폰의 경우, 보통 스테레오(2극)와 접지(1극), 및 마이크로폰(1극)으로 각각의 선들이 할당되어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4극 이어폰은 사용자에게 음향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와 함께 이용되는 4극 이어폰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여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4극 이어폰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과 휴대 단말기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 및 상기 음향 출력 유닛과 상기 리모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하는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모컨은, 다수 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한 이어폰이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로, 상기 DTMF 신호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신호 확인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4극 이어폰 및 이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4극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경 우, 하드웨어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어폰'은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4극 이어폰'을 의미한다. 여기서 4극은 스테레오에 이용되는 2개의 신호선, 마이크로폰과 연결되는 1개의 신호선, 및 접지 선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200)은 음성 출력 유닛(210), 마이크로폰(230), 리모컨(220), 및 접속 잭(240)을 포함한다.
음성 출력 유닛(210)은 이어폰(200)이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음향(또는 음성)을 전송받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Speaker unit)으로, 일반적인 보이스 코일형 스피커(voice coil speak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음향을 스테레오로 출력하는 이어폰(200)을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유닛(210)은 2개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230)은 외부로부터 음향 또는 음성을 입력받아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리모컨(220)은 휴대 단말기(100)가 가방 안이나 주머니 속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음악 재생 기능(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220)은 키 입력부(222)와, DTMF 발생부(225), 및 전원공급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입력부(222)는 다수 개의 키 버튼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 의 키 버튼은 빨리 감기(▶▶), 되감기(◀◀), 재생(▶), 정지(■)의 4개 버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키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DTMF 발생부(225)는 키 입력부(222)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DTMF 발생부(225)는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통해 DTMF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은 음악 등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이어폰(20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악 등을 청취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은 대기 상태로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대기 상태인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DTMF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실제 사용 상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DTMF 발생부(225)에서 발생되는 DTMF 신호는 휴대 단말기(100)의 키패드(도 3의 160) 조작 시에 발생되는 DTMF 신호와 다른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후술되는 휴대 단말기의 신호 확인부(도 3의 180)에서 이를 구분하게 된다.
전원공급부(227)는 DTMF 발생부(225)로 전원을 공급한다. 4극 이어폰(200)의 경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은 자체적으로 전원공급부(227)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227)로는 일반적인 건전지나 충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건전지의 경우, 소형의 코인형 셀(coin type cell)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양 전지(solar cell)나 소형의 자가 발전기 등 DTMF 발생부(225)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더하여,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전원공급부(227)는 생략될 수 있다.
접속 잭(240)은 음향 출력 유닛(210), 리모컨(220), 및 마이크로폰(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100)에 삽입되어 이어폰(2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휴대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은 4극 이어폰(200)이다. 따라서 접속 잭(2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4극 플러그 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컨(220)이 접속 잭(240)과 음향 출력 유닛(210)을 연결하는 연결 선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음향 출력 유닛(210)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 리모컨(220)이 음향 출력 유닛(210)의 어느 한 쪽에 함께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200)은 리모컨(220) 즉, DTMF 발생부(225)에서 발진되어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이어폰(200)에서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전송받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신호 필터링부(110), 접속부(120),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패드(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신호 확인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접속부(120)는 전술한 이어폰(200)의 접속 잭(240)이 삽입되는 곳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이 4극 이어폰(200)이므로, 본 휴대 단말기(100)의 접속부(120) 또한 일반적인 4극 플러그 잭이 접속되는 접속부(120)로 구성된다.
무선통신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나 이어폰(200)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MIC, 230)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키패드(16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신호 확인부(18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패드(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190),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에는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는 이어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설정되어 있는 제어 신호 설정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신호 설정 테이블은 후술되는 신호 확인부(180)가 자체적으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신호 필터링부(110)는 이어폰(200)의 마이크로폰(230) 신호선(250)과 연결되며,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마이크로폰(230)과 DTMF 발생부(225)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신호들 중, DTMF 신호만을 추출하여 신호 확인부(180)로 전송한다. 또한, DTMF 신호가 아닌 일반 음성 입력 신호는 모두 오디오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신호 확인부(180)는 키패드(160)로부터 키 입력 신호 즉, DTMF 신호를 전송받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 확인부(180)는 이어폰(200)과 키 입력부(222)로부터 DTMF 신호를 전송받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신호 확인부(180)는 DTMF 신호가 입력될 때, 입력되는 DTMF 신호를 전송한 구성 요소를 확인한 후, 그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입력된 DTMF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의 키패드(160)에서 입력된 신호라면, 신호 확인부(180)는 입력된 DTMF 신호를 일반적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DTMF 신호로 인지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반면에 입력된 DTMF 신호가 신호 필터링부(110)에서 입력된 신호라면, 신호 확인부(180)는 입력된 DTMF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해 입력된 신호로 인지한다. 이 경우, 신호 확인부(180)는 제어 신호 설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DTMF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 확인부(180)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DTMF 톤 검출기(DTMF tone detector)를 수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예컨대,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신호 확인부(18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 받고, 그에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가 키패드(160) 입력에 의한 제어 신호인 경우, 제어부(190)는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한 제어 신호가 이어폰(200)의 키 버튼(222) 입력에 의한 제어 신호인 경우, 제어부(190)는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과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어폰(200)과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음원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100)에 이어폰(20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휴대 단말기의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된 이어폰(200)의 리모컨(220)에서 특정 키 버튼을 입력하는 S10 과정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청취 중인 음원을 제어하기 위해 키 입력부(222)의 빨리 감기(▶▶), 되감기(◀◀), 재생(▶), 정지(■) 버튼 들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에 DTMF 발생부(225)는 이를 인지하고,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는 S11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어서 DTMF 발생부(225)는 생성된 DTMF 신호를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S12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신호 필터링부(110)가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S13 과정이 수행된다. 신호 필터링부(110)는 지속적으로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통해 수신되는 모든 신호들을 확인하며, 수신된 신호가 DTMF 신호인지 확인한다. 수신된 신호가 DTMF 신호가 아닌 경우(S14), 신호 필터링부(110)는 종래와 같이 해당 신호를 모두 오디오 처리부(140)로 전송하고 이에 오디오 처리부는 해당 신호를 코딩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하는 S17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수신된 신호가 DTMF 신호이면(S14), 신호 필터링부(110)는 해당 신호를 신호 확인부(180)로 전송한다. 이에 신호 확인부(180)는 수신한 DTMF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확인하는 S15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신호 확인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신호 설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확인하게 된다.
제어 신호가 확인되면, 신호 확인부(180)는 해당 제어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S16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예컨대, 빨리 감기, 되감기, 정지 등)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에서 음원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리모컨(220)의 키 버튼들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음원 재생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무시하거나, 대응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원 재생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정지,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제어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재생한 부분을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200) 리모컨(220)의 각 키 버튼들을 음원 재생 프로그램이 아닌,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각 기능에 할당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신호 확인부(180)로부터 제어 신호(예컨대, 빨리 감기(▶▶)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90)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즉, 현재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를 다음의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리모컨(220)에서 발생된 DTMF 신호는 마이크로폰(230)의 신호선(250)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DTMF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전송 경로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4극의 접속부(120)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키패드(160)의 키 입력을 인식하기 위해 DTMF 톤 검출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수정 없이 DTMF 톤 검출기를 신호 확인부(180)로 활용하여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4극 이어폰 및 이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4극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하드웨어 하드웨어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4극 이어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극 수가 다르더라도 마이크로폰의 신호선이나 유휴 신호선을 갖는 이어폰이라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이어폰을 휴대 단말기에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기가 아니더라도, 이어폰과 연결되고, 이어폰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휴대 단말기의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9)

  1.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 및
    휴대 단말기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 및
    상기 음향 출력 유닛과 상기 리모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하는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다수 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DTMF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신호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잭은,
    4극 플러그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DTMF 발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지 또는 건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이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로,
    상기 DTMF 신호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확인부; 및
    상기 신호 확인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DTMF 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신호 확인부로 전송하는 신호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모든 상기 DTMF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가 설정되며, 상기 신호 확인부에 의해 참조되는 제어 신호 설정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61552A 2008-06-27 2008-06-27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0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2A KR20100001586A (ko) 2008-06-27 2008-06-27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2A KR20100001586A (ko) 2008-06-27 2008-06-27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6A true KR20100001586A (ko) 2010-01-06

Family

ID=4181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552A KR20100001586A (ko) 2008-06-27 2008-06-27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5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8231A (zh) * 2016-03-31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耳机音量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2117358B1 (ko) 2019-07-24 2020-06-01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경관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8231A (zh) * 2016-03-31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耳机音量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2117358B1 (ko) 2019-07-24 2020-06-01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경관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28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190237074A1 (en) Speech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770663B (zh) 一种入耳式无线耳机及其自动充电和开关机的实现方法
KR20110054609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466097A (zh) 防漏音的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声音输出方法
KR20120027721A (ko)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201479213U (zh) 具伴唱功能的移动电话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114125616A (zh) 无线耳机的低功耗方法、装置、无线耳机及可读存储介质
KR20100001586A (ko)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JP5777154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CN113132440B (zh) 一种音频传输方法、音频传输系统及电子设备
JP200704935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48138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CN217135669U (zh) 一种耳机盒及配套使用的耳机
WO2023160204A1 (zh) 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2169U (ko) 블루투스 수신기능을 가진 악기 연결선
US20200098363A1 (en) Electronic device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