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820B1 - 구동전압 제어 모듈 - Google Patents

구동전압 제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820B1
KR100644820B1 KR1020050100343A KR20050100343A KR100644820B1 KR 100644820 B1 KR100644820 B1 KR 100644820B1 KR 1020050100343 A KR1020050100343 A KR 1020050100343A KR 20050100343 A KR20050100343 A KR 20050100343A KR 100644820 B1 KR100644820 B1 KR 10064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vel
regulator
control modu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건
박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0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20B1/ko
Priority to US11/474,552 priority patent/US78224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송수신 회로 혹은 통신 시스템이 통화중 신호가 없는 대기상태에서 통신용 전자회로 및 시스템의 구동전압을 제어하여,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동전압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동전압 제어 모듈은, 입력받은 전원을 일정한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회로 모듈에 구동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 레벨이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턴온전압보다 낮은 전압 레벨(대기전압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전압제어기는 고주파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회로 및 각 고주파회로의 전원을 차단상태, 대기상태, 정상 동작상태로 나누어 각각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류소모도 줄이고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배터리의 사용기간 증대 뿐 아니라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는 고주파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화중 대기, 전원전압 제어, 구동전압 제어, 구동속도, 전력절감

Description

구동전압 제어 모듈{Driving Voltage Control Module}
도 1은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블록을 모스트랜지스터로 구현한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주파수 혼합기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고주파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RF 수신기 회로 블록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RF 송신기 회로 블록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RF 수신기 회로 블록 및 RF 송신기 회로 블록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의 제어전압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터리 11: 레귤레이터
12: 전압제어기 13: 바이어스 회로
14: 고주파 임피던스 정합회로 16: 고주파 증폭기
17: 주파수 혼합기 18: RF 수신 회로 블록
19: RF 송신 회로 블록 20: 듀플렉스(또는 스위치)
본 발명은 고주파 증폭기와 같은 전력 소비 소자의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전력 제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송수신 회로 혹은 통신 시스템이 통화중 신호가 없는 대기상태에서 통신용 전자회로 및 시스템의 전원전압(구동전압)을 제어하여,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동전압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용 전자회로 및 시스템이 대기상태에 있을 때는 구성 소자에 공급되는 시간적으로 단속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게 되는데,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전원을 다시 공급할 경우 전자회로 내의 커패시턴스 성분의 영향으로 정상상태까지 도달하는 데에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커패시턴스 성분은 전자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단위 소자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이르기까지 이들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의해 응답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전자회로 및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이러한 시간은 더욱 길어지고 빠른 응답속도 및 높은 데이터율을 구현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절감 회로를 휴대폰의 통화전 대기 상태에 적용하는데는 무리가 없지만, 신속한 정상상태 복귀가 요망되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는 적용하기 어려워, 전력 절감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송수신 회로의 전원전압(구동전압)을 제어하여, 오프 상태 뿐만 아니라 통화중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제어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전 모드인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통화중 동작상태로 신속하게 도달시킬 수 있는 전력 제어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오프상태, 통화중 대기상태, 통화중 동작상태에 서로 다른 전압을 공급하여, 오프상태와 대기상태에서의 전류소모를 줄이고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이려는 심화된 목적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베터리의 동작시간을 최대화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용 고주파 송수신 회로의 오프상태에서는 전원 및 구동전압을 완전히 차단하여 소비전력을 없애고, 통화중 대 기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압 이하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극소화하고, 신호가 들어올 때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켜질 때에 비해 대기상태에서 통화중 동작상태로 도달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동전압 제어 모듈은, 입력받은 전원을 일정한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회로 모듈에 구동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 레벨이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턴온전압보다 낮은 전압 레벨(대기전압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기전압 레벨은 소자의 턴온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의 레벨로서 상기 턴온전압에 가까운 레벨을 가진다.
구동전압이란 소정의 IC 소자 또는 그 내부 회로들에 구동 전원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인데, 일반적으로 상기 내부 회로들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소자의 전류 채널에 접지 전압(ground)과 함께 인가된다. 전원전압이라고도 칭하는 구동전압은 통상적으로 모스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소자의 경우에는 VDD로 표시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소자의 경우에는 VCC로 표시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동전압 자체를 VDD로 표시하며, 정상 동작 상태의 구동전압 레벨을 VDD로 표시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휴대폰의 고주파증폭기의 전압제어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레귤레이터(11)로 입력되는 전원으로서 배터리(1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교류를 정류한 직류전원, 칩 패키지로 입력되는 전원전압 등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레귤레이터(11)는 외부에서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일정한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11)로서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출력 전압 레벨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어떤 레귤레이터라도 무방하다. 적어도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 전압은 정상상태 레벨, 0V인 차단 레벨, 소자를 이루는 스위칭 소자의 턴온전압보다 낮은 중간레벨의 3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압제어기(12)는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11)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구조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귤레이터(11)가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아날로그 적인 레벨에 따라 출력의 레벨이 결정되는 회로인 경우에는, 상기 전압제어기(12)는 외부의 제어 지침에 따라 적합한 레벨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반면, 상기 레귤레이터(11)가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디지 털 값에 따라 출력의 레벨이 결정되는 회로인 경우에는, 상기 전압제어기(12)는 외부의 제어 지침에 따라 결정되는 디지털 값의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고주파증폭기(16)에는 바이어스 회로(13)와 정합회로(14)가 부가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도 1의 정합 회로(14), 바이어스 회로(13) 및 고주파 증폭기(16)를 포함하는 증폭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증폭 모듈은 입력단 및 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커패시터가 정합회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3개의 모스트랜지스터로 고주파 증폭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1개의 모스트랜지스터 및 다수개의 저항 소자로 바이어스 회로를 구현하였다.
배터리(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레귤레이터(11)를 통해 무선 단말기의 고주파증폭기 회로(16)의 정상 동작에 필요한 전원전압(VDD)으로 변환되어 공급된다. 전압제어기(12)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단상태와 대기상태, 정상 동작상태에 따른 각각의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즉 차단상태에서는 0V, 대기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압(Vth) 이하, 정상 동작상태는 VDD를 공급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측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를 예를 들어 상기 차단/대기/정상 동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단말기가 통화대기중인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를 급격히 기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VDD)으로 차단전압인 0v의 전압을 인가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방지한다. 단말기가 통화 중이나 송수신할 신호가 발생치 않는 경우(즉, 단말기 사용 자가 듣고만 있는 경우의 송신기 상태 혹은 사용자가 말하고 있는 경우의 수신기 상태) 상기 고주파 증폭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을 소모하게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가 말을 하자마자 바로 정상 동작 모드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VDD)을 약 0.3V의 대기전압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면서도 고주파 증폭기의 빠른 기동을 보장한다.
도 8은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VDD) 레벨에 따른 출력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일정한 사인파가 계속 인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구현에서는 차단전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예 VDD단 자체가 차단되거나 배터리와의 연결이 차단되어 종래 기술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대기 상태일때 도시한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VDD)단으로 약 0.3V의 대기전압이 인가되며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를 이루는 모스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킬 수 없어, 전원소모는 최소화되며, 증폭기의 출력단 신호는 거의 0V의 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고주파 증폭 동작이 요구되어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VDD)을 정상 동작 레벨(VDD)로 올려야 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미 0.3V로 올려있는 전압을 정상 동작 레벨(VDD)로 올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이미 올려진 0.3V 만큼 단축되며, 상기 고주파 증폭기를 이루는 모스트랜지스터의 턴온시간도 이미 올려진 0.3V 만큼 단축되므로, 출력신호가 신속히 증폭된 파형을 가지게 되어,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신호가 최종 안정화 될때까지 걸리는 시간인 라이징 타임(tr) 및 용인 범위내로 진입할때까지 걸리는 시간(t0.707)이 모두 짧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레귤레이터가,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차단 전압, 대기 전압 및 정상 동작 전압의 3개의 레벨의 출력을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으로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통화전 대기 상태에서는 통화에 필요한 회로 모듈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점을 감안하면, 본 실시예의 레귤레이터는 대기 전압 및 정상 동작 전압의 2개의 레벨의 출력을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전원전압으로 공급하도록 구현해도 충분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주파수 혼합기(17)의 전압제어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주파 증폭기가 주파수 혼합기(17)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증폭기(16)와 주파수 혼합기(17)의 전압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하나의 레귤레이터(11)를 이용하여 고주파 증폭기(16)와 주파수 혼합기(17)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구조의 동작 및 세부 또한 상기 도 1a의 설명에서 용이하게 유추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다소 광범위한 회 로 블록에 대한 전체 전원전압(VDD)을 제어하는 구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RF 수신 회로 블록(18) 또는 RF 송신 회로 블록(19)의 구동전압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각각 하나의 레귤레이터(11)를 이용하여 저잡음증폭기(LNA), 주파수혼합기(Mixer), 전압제어공진기(VCO), 저역통과필터(LPF), 대역통과필터(BPF)와, 주파수혼합기, 구동증폭기(Drive Amplifier), 저역통과필터(LPF), 대역통과필터(BPF) 등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RF 수신 회로 블록(18) 및 RF 송신 회로 블록(19)의 구동전압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하나의 레귤레이터(1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RF 수신 회로 블록(18) 및 RF 송신 회로 블록(19)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8은 전압제어기에 의한 각 상태별 전원전압(VDD)의 레벨 변화와 이에 따른 출력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인데, 이를 다시 한번 정리하여 설명하겠다. 차단상태에서 레귤레이터에 전원전압(VDD)으로서 공급되는 전압(V1)은 0V이고, 대기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압 이하(0 << V1 < Vth)이고, 정상상태에서는 소정의 정(+)의 전위인 VDD 이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전압(V1)을 공급받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의 고주파 증폭기(16), 주파수 혼합기(17), RF 수 신 회로 블록(18) 및 RF 송신 회로 블록(19)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소자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모스트랜지스터이다.
레귤레이터의 공급전압이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바뀌어도 고주파(RF) 송수신기 및 증폭기, 주파수혼합기의 출력(Vout)은 즉시 정상출력(Vo)을 갖지 못하고, 일정한 라이징타임(tr)이 경과 후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이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 등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특히, 게이트 커패시턴스 성분이 존재하는 모스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위한 게이트 전압 상승에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만약 휴대폰에 적용시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레귤레이터의 공급전원을 아예 0V로 차단하게 되면, 라이징타임은 훨씬 길어지고, 응답속도가 느려져서 통화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반면,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레귤레이터의 공급전원 차단없이 항상 도 8의 VDD와 같은 전압을 공급한다면, 고주파(RF) 송수신기 및 회로들은 항상 켜져 있어 전류소모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은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레귤레이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압 이하, 보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접지(ground) 전압 레벨과 상기 턴온전압 레벨 사이의 값으로서, 상기 턴온전압 레벨에 보다 가까운 레벨로 정함으로써, 전류소모도 줄이고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였 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턴온 전압이 정(+)의 값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한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지만,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을 부(-)의 턴온전압값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한 경우에 적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수정을 가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 제어 모듈을 실시함에 따라, 고주파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회로 및 각 고주파회로의 전원을 차단상태, 대기상태, 정상 동작상태로 나누어 각각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류소모도 줄이고 대기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배터리의 사용기간 증대 뿐 아니라 빠른 속도를 가지는 고주파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8)

  1. 입력받은 전원을 일정한 레벨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회로 모듈에 구동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턴온전압보다 낮은 대기전압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기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정상상태 회로 모듈의 구동전압 레벨, 0V의 차단 레벨, 및 상기 대기전압 레벨 중 하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기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정상상태 회로 모듈의 구동전압 레벨, 및 상기 대기전압 레벨 중 하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압 레벨은,
    접지 전압 레벨과 상기 턴온전압 레벨 사이의 값으로서, 상기 턴온전압 레벨 에 보다 가까운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은,
    고주파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은,
    주파수 혼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수신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로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송신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 제어 모듈.
KR1020050100343A 2005-10-24 2005-10-24 구동전압 제어 모듈 KR10064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343A KR100644820B1 (ko) 2005-10-24 2005-10-24 구동전압 제어 모듈
US11/474,552 US7822404B2 (en) 2005-10-24 2006-06-26 Driving voltage contro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343A KR100644820B1 (ko) 2005-10-24 2005-10-24 구동전압 제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820B1 true KR100644820B1 (ko) 2006-11-14

Family

ID=3765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343A KR100644820B1 (ko) 2005-10-24 2005-10-24 구동전압 제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22404B2 (ko)
KR (1) KR100644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8928B2 (en) * 2009-04-23 2013-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orporating data storage device
KR101984970B1 (ko) 2012-06-07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US10122865B1 (en) * 2016-10-12 2018-11-06 Bryan Redfoot Telephone ring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1226A (ja) * 1989-03-31 199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電話機
AU3130595A (en) 1994-07-21 1996-02-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system subscriber unit
US6359547B1 (en) * 1994-11-15 2002-03-19 William D. Deniso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US6148220A (en) *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JP3341681B2 (ja) 1998-06-12 2002-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論理回路
DK0998048T3 (da) * 1998-10-27 2002-11-04 Bosch Gmbh Robert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styring af energiforbruget i et mobilt radioapparatur
JP3597084B2 (ja) 1999-07-13 2004-12-02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受信回路及び受信回路の消費電力低減方法
JP4284796B2 (ja) 1999-12-06 2009-06-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KR100326310B1 (ko) 2000-07-13 2002-03-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00207B1 (en) * 2001-04-03 2002-06-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Quick turn-on disable/enable bias control circuit for high speed CMOS opamp
US7369815B2 (en) * 2003-09-19 2008-05-0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llapse for a wireless terminal
US7522941B2 (en) * 2005-05-23 2009-04-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handhel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3220A1 (en) 2007-04-26
US7822404B2 (en)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1140A1 (en) High-Frequency Switching Circuit
US7439809B2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20050122171A1 (en) Power source circuit for high frequency power amplify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power source and electronics component for power source
US7378896B2 (en) Single pin for multiple functional control purposes
US9356637B2 (en) Power-suppl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20065402A (ko) 전력증폭기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
US20070236190A1 (en)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for slot-based operation
US7439806B2 (en) Bias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bias of RF power amplifier
KR100644820B1 (ko) 구동전압 제어 모듈
US6498521B1 (en) Dynamic supply control for line driver
CN102447458A (zh) 开关装置
JP4229934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電源スイッチング装置
US6700422B2 (en) Apparatus for increasing slew rate
US20220239261A1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power amplifier with soft shutdown
US9065386B2 (en) Low voltage operation for a power amplifier
KR20110043167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40021509A1 (en) Circuitry to provide a low power input buffer
US9013228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ystem on chip with power and body bias voltages
US8238981B2 (en) Managing power supply transients
JP2007201698A (ja) 高周波電力増幅器
US7498845B1 (en) Power supply switching at circuit block level to reduce integrated circuit input leakage currents
JP2005260581A (ja) 高効率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増幅回路
KR20050078782A (ko) 전력증폭기
JP2004112376A (ja) 電子回路及び電子機器
US6900687B2 (en) Circuitry and method to provide a high speed comparator for an input stage of a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