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965A -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 Google Patents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965A
KR20110042965A KR1020090099854A KR20090099854A KR20110042965A KR 20110042965 A KR20110042965 A KR 20110042965A KR 1020090099854 A KR1020090099854 A KR 1020090099854A KR 20090099854 A KR20090099854 A KR 20090099854A KR 20110042965 A KR20110042965 A KR 2011004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air
pipe
indo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075B1 (ko
Inventor
정민호
오병길
이병권
백기성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0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의 공기를 순환시켜 환기시키면서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공동주택의 경량 콘크리트 벽체 패널 내에 매립하여 설치하여, 환기장치의 설치로 인한 공동주택 내부 공간의 잠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와, 이러한 환기장치를 일체로 매립하고 있는 벽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 패널(2)에는 환기장치(1)가 매립 설치되는데;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패널 형태의 본체(1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 내에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가 구비되어 있고; 격벽(12)에 의해 외기통로(21), 실내유입통로(22), 실내순환공기통로(23) 및 배기통로(24)가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되어 있고; 직경이 벽체 패널(2) 두께 이하인 관부재로 이루어진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이 벽체 패널(2)의 상부로 연장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패널 벽체(2)의 관통부(200)의 아래에서부터 본체(40)와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 배치되어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1)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사이에 내장되어 있으며; 벽체 패널(2)에 형성된 관통부(200)의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본체(40)와 관부재(31, 32, 33, 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Ventilation Apparatus Embedded in Wall Panel, and Wall Panel having Such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에서 실내외의 공기를 순환시켜 환기시키면서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공동주택의 내부 벽체를 이루는 경량 콘크리트 벽체 패널 내에 매립하여 설치하여, 환기장치의 설치로 인한 공동주택 내부 공간의 잠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와, 이러한 환기장치를 일체로 매립하고 있는 벽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공동주택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실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더운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하거나 또는 냉방기를 통해 냉각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외부의 더운 공기 를 식힐 수 있도록 폐열회수 기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폐열회수 기능을 가진 환기장치("폐열회수 환기장치")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또는 대피공간의 천장에 노출된 채로 설치된다. 발코니에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설치되면 그만큼 발코니 공간을 잠식하게 되어 거주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대피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대피공간으로서의 활용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거주자의 활용 공간 잠식이나 대피공간의 잠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현재까지는 만족스러운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거주자의 활용 공간이나 대피공간을 잠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내부 벽체를 이루는 벽체 패널 내에 매립되어 설치됨으로써, 벽체 패널의 설치공간 이외에 별도 의 추가적인 설치공간을 잠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제공되며, 이러한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일체로 매립되어 있는 벽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열회수 기능을 가지는 환기장치를 벽체 패널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환기장치 설치로 인한 발코니나 대피공간 등의 공간 잠식을 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동주택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매립형 환기장치")(1)가 벽체 패널(2)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본 발명의 매립형 환기장치(1)가 벽체 패널(2)에 매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1)에 구비된 본체(1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매립형 환기장치(1)의 정면판을 그리지 않아 매립형 환기장치(1)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매립형 환기장치(1)에 구비되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구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일예로서 육각형의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1)는, 공동주택의 실내 벽체를 이루는 벽체 패널(2)에 매립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매립형 환기장치(1)는 그 두께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벽체 패널(2)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어, 벽체 패널(2)에 환기장치가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벽체 패널(2)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립형 환기장치(1)는, 공기의 교차 흐름에 의해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관부재(외기관, 실내유입관, 환기관 및 배기관)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11) 및 관부재는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벽체 패널(2)에는 관통부(20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부(200) 내에 상기한 본 발명의 매립형 환기장치(1)가 위치하게 된다.
우선 매립형 환기장치(1)의 본체(1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본체(11)는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공기의 교차 흐름에 의해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외기)와 실내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실내순환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0)를 지나면서 서로 열교환된다. 즉, 여름철에는 에어컨 등에 의해 냉각되어 실내를 순환한 실내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외기가 열교환기(10)를 서로 교차하여 지나면서 서로 열교환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외기의 온도가 낮춰진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겨울철에는 그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실내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의 차가운 외기가 열교환기(10)를 서로 교차하여 지나가면서, 외기가 실내순환공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실내로 공급된다.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패널 형태의 본체(11)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류형 열교환기(10) 역시 패널 형태의 육각형의 대향류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육각형의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대향류형 열교환기(10)는 내부에 복수개의 통로가 열교환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구분된 상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공기가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내부를 교차하여 흘러가면서 서로 열교환판에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열교환기(10) 상부의 일측 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의 일측 출구로 빠져나가게 되고, 열교환기(10) 상부의 타측 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의 타측 출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열교환기(10)의 내부는 층이 구분되어 2개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교차하여 흐르는 공기는 층을 구분하는 열교환판과 접촉하여 흐르면서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육각형의 열교환기(10)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이며, 열교 환기(10)의 형상과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매립형 환기장치(1)의 본체(11) 내에는 격벽(12)에 의해 복수개의 수직한 통로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통로(21)와, 외기통로(21)를 거쳐 열교환기(10)를 지나온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유입통로(22)와, 실내의 순환을 마친 실내순환공기가 들어오게 되는 실내순환공기통로(23)와, 상기 실내순환공기통로(23)를 거쳐 온 실내순환공기가 열교환기(10)를 지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나가는 배기통로(24)가, 격벽(12)에 의해 매립형 환기장치(1)의 내부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의 열교환기(10)가 매립형 환기장치(1)의 본체(11) 하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격벽(12)이 매립형 환기장치(1)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외기통로(21), 실내유입통로(22), 실내순환공기통로(23) 및 배기통로(24)가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격벽(12)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각각의 통로들이 서로 측면을 잇대어서 매립형 환기장치(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통로(21, 22, 23, 24)의 배치 순서는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각각 통로(21, 22, 23, 24)의 배치순서를 달리한 매립형 환기장치(1)의 본체(11)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내부 투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배치예 1로서,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일측에 서 타측으로 가면서 실내순환공기통로(23) - 외기통로(21) - 배기통로(24) - 실내유입통로(22)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한 배치예 1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배치예 2로서,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배기통로(24) - 외기통로(21) - 실내순환공기통로(23) - 실내유입통로(22)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배치예 3로서,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외기통로(21) - 실내순환공기통로(23) - 실내유입통로(22) - 배기통로(24)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배치예 4로서,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외기통로(21) - 배기통로(24) - 실내유입통로(22) - 실내순환공기통로(2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통로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각 입구 및 출구에 대응되어 연통되어 있다. 즉, 외기통로(21)의 하부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일측 입구에 연통되며, 실내유입통로(22)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일측 출구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실내순환공기통로(23)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타측 입구에 연통되고, 배기통로(24)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타측 출구와 연통된다. 따라서, 외기통로(21)를 통해 들어온 외기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일측 입구로 들어와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내부를 열교환하면서 지나서 출구로 나가서 실내유입통로(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실내를 순환한 공기는 실내순환공기통로(23)를 통해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타측 입구로 유입되어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내부를 열교환하면서 지나서 대향류형 열교환기(10)의 타측 출구로 나가서 배기통로(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통로가 배치됨에 있어서,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가 서로 잇대어서 이웃하게 존재하는 경우, 즉 상기 배치예 1, 2, 4의 경우에는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 사이에는 방열부재(40)가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방열핀을 양쪽에 구비한 방열부재(40)가, 추가적인 부재로서,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를 구분하는 격벽(12)에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 사이의 격벽에 방열부재(40)가 구비되면, 외기통로(21)를 지나가는 외기와, 배기통로(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의 추가적인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어 열회수 효율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관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관부재는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으로 구성되어, 각각 외기통로(21), 실내유입통로(22), 실내순환공기통로(23) 및 배기통로(24)에 연결된다. 상기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을 형성하는 관부재는 매립형 환기장치(1)가 매립 설치될 벽체 패널의 두께 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본체(11)의 상면에는 각각의 통로와 관부재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3)를 통하여 외기관(31)이 외기통로(21)와 연통되고, 실내유입관(32)이 실내유입통로(22)와 연통되며, 환기관(33)이 실내 순환공기통로(23)와 연통되고, 배기관(34)이 배기통로(24)와 연통된다. 상기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의 상부는 위쪽으로 더 연장되어 천장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연결된다.
한편, 실내로의 급기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외부로의 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휀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휀도 벽체 패널(2)에 내장될 수 있도록, 휀이 내장되어 있고 그 두께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인 박스 형태의 휀 박스부재(40)가 상기 관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내유입관(32)과 연결부(13) 사이, 그리고 배기관(34)과 연결부(13)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휀이 소형의 휀 박스부재(40)에 내장되고, 이러한 휀 박스부재(40)가 관부재의 하부 단부(예를 들면 본체(11)와 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휀을 통한 용이한 급배기 동작을 수행하면서도 매립형 환기장치(1)가 벽체 패널(2) 내에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본체(11)와, 그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관부재, 그리고 필요에 따라 구비되는 휀 박스부재(40)는 모두 공동주택의 실내 벽체를 이루는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와 직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과 같은 벽체 패널(2)에 관통부(20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200)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1)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 패널(2)에 형성된 관통부(200)의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본체(40)와 관부재(31, 32, 33, 34)를 설치하게 되면 본체(40)와 관부재가 벽체 패널(2) 내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휀 역시 벽체 패 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박스부재(40)에 담아 관부재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환기장치가 휀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벽체 패널(2) 내에 매립된 상태로 내장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립형 환기장치(1)가 매립되어 구비된 벽체 패널(2)만 설치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폐열회수 기능을 가지는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환기장치 설치로 인한 발코니나 대피공간 등의 공간 잠식을 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동주택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가 벽체 패널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매립형 환기장치가 벽체 패널에 매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를 이루는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환기장치에 구비된 육각형의 대향류형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외기통로, 실내유입통로, 실내순환공기통로 및 배기통로의 배치순서를 달리한 매립형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내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립형 환기장치
2 : 벽체 패널
10 : 대향류형 열교환기

Claims (8)

  1.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공동주택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1)로서,
    관통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 패널(2)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본체(1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 내에는 공기의 교차 흐름에 의해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1) 내에는, 본체(11)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격벽(12)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통로(21)와, 외기통로(21)를 거쳐 열교환기(10)를 지나온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유입통로(22)와, 실내의 순환을 마친 실내순환공기가 들어오게 되는 실내순환공기통로(23)와, 상기 실내순환공기통로(23)를 거쳐 온 실내순환공기가 열교환기(10)를 지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나가는 배기통로(24)가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서로 측면을 잇대어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획되어 있고;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하부가 각각 외기통로(21), 실내유입통로(22), 실내순환공기통로(23) 및 배기통로(24)에 연결되며 직경이 벽체 패널(2) 두께 이하인 관부재로 이루어진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이 벽체 패널(2)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는 서로 잇대어서 이웃하게 존재하며;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를 구분하는 격벽(12)에는, 각각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방열핀을 양쪽에 구비한 방열부재(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휀이 내장되어 있고 그 두께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인 박스 형태의 휀 박스부재(40)가 상기 관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휀 박스부재(40)는, 실내유입관(32)과 본체(11) 사이, 및 배기관(34)과 본체(11)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5. 실내 벽체를 이루는 벽체 패널(2)로서,
    상기 벽체 패널(2)에는 관통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200) 내에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공동주택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1)가 설치되는데;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벽체 패널(2)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본체(1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 내에는 공기의 교차 흐름에 의해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대향류형 열교환기(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1) 내에는, 본체(11)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격벽(12)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통로(21)와, 외기통로(21)를 거쳐 열교환기(10)를 지나온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실내유입통로(22)와, 실내의 순환을 마친 실내순환공기가 들어오게 되는 실내순환공기통로(23)와, 상기 실내순환공기통로(23)를 거쳐 온 실내순환공기가 열교환기(10)를 지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지나가는 배기통로(24)가 매립형 환기장치(1)의 폭방향으로 서로 측면을 잇대어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획되어 있고;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하부가 각각 외기통로(21), 실내유입통로(22), 실내순환공기통로(23) 및 배기통로(24)에 연결되며 직경이 벽체 패널(2) 두께 이하인 관부재로 이루어진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이 벽체 패널(2)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1)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 벽체(2)의 관통부(200)의 아래에서부터 상기 본체(40)와 외기관(31), 실내유입관(32), 환기관(33) 및 배기관(34) 배치되어 상기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1)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사이에 내장되어 있으며;
    벽체 패널(2)에 형성된 관통부(200)의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본체(40)와 관부재(31, 32, 33, 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비한 벽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는 서로 잇대어서 이웃하게 존재하며;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를 구분하는 격벽(12)에는, 각각 외기통로(21)와 배기통로(2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방열핀을 양쪽에 구비한 방열부재(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비한 벽체 패널.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휀이 내장되어 있고 그 두께가 벽체 패널(2)의 두께 이하인 박스 형태의 휀 박스부재(40)가 상기 관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비한 벽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휀 박스부재(40)는, 실내유입관(32)과 본체(11) 사이, 및 배기관(34)과 본체(11)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비한 벽체 패널.
KR1020090099854A 2009-10-20 2009-10-20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KR10118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54A KR101181075B1 (ko) 2009-10-20 2009-10-20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54A KR101181075B1 (ko) 2009-10-20 2009-10-20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65A true KR20110042965A (ko) 2011-04-27
KR101181075B1 KR101181075B1 (ko) 2012-09-07

Family

ID=4404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854A KR101181075B1 (ko) 2009-10-20 2009-10-20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4601A (zh) * 2011-10-15 2012-03-14 德华科电器科技(安徽)有限公司 一体式空调的节能型智能换新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282A (ja) 1998-12-24 2000-07-14 Aisin Seiki Co Ltd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0696070B1 (ko) 2006-11-14 2007-03-19 김영민 건축물용 벽면 일체형 실내 환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4601A (zh) * 2011-10-15 2012-03-14 德华科电器科技(安徽)有限公司 一体式空调的节能型智能换新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075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702B2 (ja) 多数の発熱機器を設置した建物における空調システム
KR101441189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환기 벽체 시스템
KR101872225B1 (ko) 급배기 겸용 역류방지댐퍼와 축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환기시스템
JP2010107151A (ja) 冷暖房用などのパネル
JP5490857B2 (ja) 多層階建物の空調システム
CN103683050A (zh) 一种室内变压器/电抗器隔音降温装置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KR101105943B1 (ko) 요소 분리형 벽체 패널 매립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KR101181075B1 (ko) 벽체 패널 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벽체 패널
KR20130038711A (ko)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가지는 벽체매립형 패널을 이용한 냉난방 환기 시스템 및 복사 냉난방 방법
JP2012021737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5369260B2 (ja) 空気熱交換システム及び使用する空気熱交換器
KR20140005681A (ko) 지하 공간용 환기 장치를 이용하는 냉각탑 및 열교환 시스템
JP2008261535A (ja) 地中熱を利用した省エネ恒温換気システム
JP3111393B2 (ja) 逆梁床構造の集合住宅における冷,暖房および換気システム
JP2006284066A (ja) 室内換気システム
JP3044506B2 (ja) 逆梁床構造の集合住宅
KR20080003914U (ko) 다기능 중계기
JP3044505B2 (ja) 住宅における躯体構造
JP3120304B2 (ja) 建築物における空調装置
CN109186008B (zh) 一种户式水源双板热回收新风机组
KR102557333B1 (ko) 대용량 전열교환 청정장치
JP7112822B2 (ja) 外気導入ユニットおよび外気導入システム
KR100660162B1 (ko) 환기 시스템
JP2973045B2 (ja) 集合住宅における換気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