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29A -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29A
KR20110041829A KR1020090098838A KR20090098838A KR20110041829A KR 20110041829 A KR20110041829 A KR 20110041829A KR 1020090098838 A KR1020090098838 A KR 1020090098838A KR 20090098838 A KR20090098838 A KR 20090098838A KR 20110041829 A KR20110041829 A KR 2011004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robe
oligonucleotides
primer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522B1 (ko
Inventor
황승용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주)지노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노첵 filed Critical (주)지노첵
Priority to KR102009009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5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에 특이적인 각각의 표적 유전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표적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각각의 성병 병원체의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다.
성병, 11종의 성병 병원체, 프라이머, 프로브, 동시 PCR 증폭, 마이크로어레이, 11종의 성병 병원체 검사용 프로브, 11종의 성병 병원체 검사 칩, 11종의 성병 병원체 검사키트, 11종의 성병 병원체 검사방법

Description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Probe for detecting microbes causing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detection chip, detection kit,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종의 상기 병원성 미생물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1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이하, "성병 병원체"라고 약칭함), 즉 임균(Neisseria gonorrhoeae),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 칸 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병은 성적인 접촉에 의해서 감염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협의의 성병(venereal disease)은 성적인 접촉에 의해 매개된 병원체가 성기만을 침해하여 초발증세를 일으키게 하는 질병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협의의 성병 이외에도 무수히 많은 질병이 성적인 접촉에 의해 유발되는 사실에 입각하여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어 질환을 일으키는 질병들을 광의의 성병으로서 STD(sexually transmitted disease)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최광의의 성병은 감염자에 있어서 증상이 없는 상태이지만 전염력이 있는 STI(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의 경우도 포함한다.
현재 30종 이상의 성병이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인 성병으로는 임질, 비임균성 요도염, 매독, 트리코모나스증, 후천성면역결핍증 등이 있다. 이러한 성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는 세균, 진균, 원충, 바이러스 또는 외부기생충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성병은 그 원인이 되는 미생물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세균성 성병으로는 임질, 클라미디어 감염증, 매독, 연성하감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성 성병으로는 후천성 면역결핍증, 단순 포진 바이러스,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있다. 그 밖에 칸디다 질염, 트리코모나스증과 같은 균류(yeast), 원생생물에 의한 감염증도 있다.
구체적으로, 성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미생물로는 임균(Neisseria gonorrhoeae),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 등이 있다.
그런데, 성병은 가벼운 증상의 질환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까지 다양하지만, 조기에 진단하여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한다. 치료를 방치하거나 치료시기가 늦은 경우 생명을 위협할 뿐만아니라 질환의 재발, 불임, 기형아 출산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성병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배양검사와 면역학적 검사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성병 검사 방법은 검사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성병의 정확한 병원체를 검출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또한, 성병 검사방법은 민감도, 특이도 및 재현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나, 기존의 방법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성병 병원체를 유전학적으로 분석하는 유전자 검사, 즉 병원체의 RNA 및 DNA 등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성병 병원체 유전자 검사방법은 검사 방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해야 하고, 결과를 신속히 얻을 수 있으며, 다수의 검체 및 다양한 종류의 성병 병 원체들을 신속하게 그리고 신뢰도 높게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비-바이러스 성병으로, 일년에 1억8천 만 건의 새로운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에 의한 감염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HIV 감염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한다. 기존의 현미경을 통한 감염의 진단은 약 60% 정도의 민감도로 낮다. 비록 배양법을 통한 진단법으로 그 민감도를 높일 수 있지만 실험의 결과는 실험자의 숙련도와 시료의 질적 수준에 의존적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β-튜불린(β-tubulin)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확인할 수 있는 분자유전학적인 진단법이 개발되었지만, 특정 균주(strain)에서는 β-튜불린 유전자의 결실로 그 정확도에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임질을 일으키는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이 속한 나이세리아(Neisseria) 속의 미생물은 많은 동물군의 점막의 표면에 상주하는 그람음성세균으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에 속하며 커피빈과 유사한 쌍구균의 형태로 인간에게서 약 7종이 발견된다. 이 중에서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은 성 감염성 임질의 원인이 되는 병원성 세균으로 전 세계적으로 일년에 6천만건 이상의 새로운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 2003년 한해 동안 미국에서는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와 함께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병균으로서 335,104건의 임질 감염이 보고되었다.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감염은 일차적으로 점막에 한정되며, 여성에게서는 골반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남성 에게서는 요도염의 주요한 원인이다. 대부분의 감염이 증상을 보이지 않으므로 임질의 전염과 관리에 있어서 이러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성향은 중요한 인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진단은 배양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분자유전학적 진단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분자유적학적 진단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기존의 진단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비-병원성 정상세균에 속하는 Neisseria spp.와의 서열유사성으로 인한 위양성과 특정 균주(strain)에서 표적유전자로 이용되는 cppB 유전자의 결실에 기인하는 위음성이 이러한 경우이다.
다음으로,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는 비-임균성 요도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세균으로서 그람음성으로 다형성을 가지는 비-운동성 세균이다.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는 세포내에 기생하는 병원체로서 15개의 혈청형을 가진다. 트라코마증을 일으키는 혈청형 A-C, 성병성 림프육아종을 일이키는 L1-L3, 가장 흔한 성병을 일으키는 D-K가 있다. 이러한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세포배양, 항원검사, 탐침(probe)을 이용한 확인법, 핵산증폭법(NAATs)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배양법을 통한 방법은 정확성은 높지만 민감도가 다른 분자유전학적 방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떨어져 최근에는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핵산증폭 여부를 통한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은 높은 민감도와 정확성을 가지지만, 다수의 병원체를 한 번의 실험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9783호(발명의 명칭: 다중 성병 진단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성병 원인균의 검출방법)에서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성감염증 관련 미생물을 확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9208호(발명의 명칭: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한 성병 검출방법 및 진단 키트)에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10종의 성감염증 관련 미생물을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0619호(발명의 명칭: 성인성 질환 유발 병원체 핵산 검출용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이중 특이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형태로 디자인된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증폭을 통해 12종 성병 병원체를 검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PCR을 이용한 성병 병원체 검사방법에서는 프라이머를 합성할 때 세심한 주의와 시간이 요구되며 프라이머의 비특이적 혼성화에 의한 위양성 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사대상이 되는 성병 병원체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동시에 여러 병원체를 진단하기 위하여 멀티플레스 PCR (multiplex PCR)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프라이머의 서열을 디자인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고, 위양성 산물 생성이 더욱 문제가 된다. 그리고, PCR을 이용한 성병 병원체 검사방법은 PCR 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양성 여부를 판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검사결과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검사장비의 소형화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PCR 방식의 검사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성병 병원체에 특이적이고 성병 검사에 유용한 표적 유전자를 발굴하고, 이러한 표적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와 DNA 칩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방식의 검사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2665호에서는 임균 또는 수막염 균의 핵산과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DNA 칩을 사용하여 나이세리아속 균을 검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2664호에는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의 MOMP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로브 및 DNA 칩을 이용하여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를 검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2666호는 매독 트레포네마의 trp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및 DNA 칩을 이용하여 매독 트레포네마의 감염여부를 탐지하고 트레포네마 tpr subfamily를 분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9189호는 성병 중 가장 발병율이 높은 네 가지 세균인 임균,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라이티컴 및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의 감염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DNA 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어레이 방식의 성병 병원체 검사방법은 극복해야 할 과제가 있다. 즉, 특정 성병 병원체에만 특이적이고 다른 종에 대해서는 상동성이 없는 성병 병원체 검사에 유용한 유전자(이하, "표적 유전자"라고 함)의 선택과, DNA 칩에 사용되는 프로브(표적 유전자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짐)에 따라 위양성 및/또는 위음성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마이크로어레이 방식의 검사방법은 5종 내외의 제한 수의 성병 병원체들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10종 이상의 다중 분석의 경우 위양성 및/또는 위음성의 문제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민감도와 특이도 관점에서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단현장의 실용적 관점에서 다수의 성접촉 전파성 병원체들의 분석이 불가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현재 성병의 종류가 30종 이상이 되는 점을 감안할 때 다수 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진단하면서도 100%에 가까운 민감도와 특이도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유전자의 선택과 이를 위한 프로브 및 DNA 칩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의 성병 검사 방법이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고, 다수 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진단하면서도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는 성병 병원체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을 개발하고자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를 정확하고, 효율(efficiency)이 높게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 PCR 증폭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는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성병 병원체 검사 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검사 칩을 포함하는 성병 병원체 검사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다수 종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증폭되는 PCR 증폭 산물을 효과적으로 표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한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에 특이적인 각각의 표적 유전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표적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각각의 성병 병원체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합성함으로써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는, 상기 병원성 미생물의 유전자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서열번호 50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5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6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5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3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4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5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3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6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6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7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1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8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9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4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 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0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1프로브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 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 군은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2프로브 군은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3프로브 군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4프로브 군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5프로브 군은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6프로브 군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7프로브 군은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8프로브 군은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9프로브 군은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10프로브 군은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11프로브 군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은, 서열번호 50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 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검사 칩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기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유전자 PCR 증폭키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DNA 중합효소, dNTPs, PCR 완충용액 및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PCR 증폭 키트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이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tag)되어 있고, 상기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물질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일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PCR 증폭 키트에 있어서, 상기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물질은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과,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와, 상기 검사 칩과 교잡화되는 증폭된 유전자를 탐지하기 위한 표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키트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이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되어 있고, 상기 표지 수단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일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표지 수단은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프로브의 위치표시마커로서 상기 검사 칩에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는 상기 검사 칩에 포함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교잡화되어 상기 검사 칩을 구성하는 프로브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은,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시료의 유전자를 PCR 증폭하는 단계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검사 칩에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교잡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사 칩의 프로브와 교잡화된 반응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상기 PCR 증폭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검사 방법은,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로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표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프로브의 위치표시마커로서 상기 검사 칩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상동성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로 상기 위치표시마커를 표지하여 프로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1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1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13 내지 서열번호 16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17 내지 서열번호 24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25 내지 서열번호 28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29 내지 서열번호 3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33 내지 서열번호 35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및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36 내지 서열번호 39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 번호 40 내지 서열번호 45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서열번호 46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 증폭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지물질은 Cy5, Cy3, 비오틴-결합물질, EDANS (5-(2'-아미노에틸)아미노-1-나프탈렌 황산), 테트라메틸로다민(TMR),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소시아네이트 (TMRITC), x-로다민 또는 텍사스 레드 등일 수 있으며, 형광물질인 Cy3 또는 Cy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검사할 수 있고, 다수 종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상기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들을 동시에 증폭할 수 있으며, 증폭되는 PCR 증폭 산물을 효과적으로 표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 다.
실시예 1: 11종 성병 병원체들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의 선정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분석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각각의 성병 병원체의 16S rRNA 유전자 및 각각의 성병 병원체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전자의 서열들 중 특이적인 서열을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2차적으로 상기 선택된 특이적인 서열을 증폭할 수 있는 서열을 선택하여 프라이머서열을 결정하게 되고, 이후 적합한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합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의 성병 병원체 검사 방법에 있어서,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의 경우에는 β-튜불린(β-tubulin)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이 이용되고 있고(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Dec. 2003, p. 5619-5622),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의 경우에는 ompA 유전자(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Nov. 2006, p. 4066-4071), 그리고 임균의 경우에는 cppB 유전자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Feb. 1999, p. 386-390) 등이 이용되고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균(Neisseria gonorrhoeae),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같은 성병 병원체들에 대해 각각 특이적인 새로운 표적 유전자를 선정하였다.
예를 들어, 임균의 경우 porA pseudogene이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cppB 유전자를 표적 유전자로 이용하는 종래의 검사 방법에서 특정 균주에서 cppB 유전자가 소실되어 위음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되었다(Journal of Molecular Diagnostics, Vol. 8, No. 1, February 2006, 3-15). 또한, 나이세리아(Neisseria) 속에 속한 다른 종들과의 상동성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표적 서열은 높은 상동성으로 위양성의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특징을 종합할 때 porA pseudogene을 표적 유전자로 선택하게 되면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추가로 보완하게 된다.
그 밖에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는 16S rRNA 유전자,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는 18S rRNA 유전자 등이 본 발명에서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의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2: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이 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표적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의 제작
다음으로,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에 대해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를 정확하고, 효율이 높게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각각의 표적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후,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방법에 따라 표 1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을 갖는 프라이머를 합성하거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전문기관(예를 들어, 독일의 METABION사)에 의뢰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라이머를 준비하였다.
[표 1]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이 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표적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Figure 112009063564377-PAT00001
실시예 3: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DNA 칩 분석법에 있어서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였는데, 다수의 표적 유전자들에 대한 PCR 증폭산물에 하나의 형광물질 표지 프로브를 첨가하여 증폭된 표적 유전자 산물만을 선택적으로 표지하는 방법을 새롭게 고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어레이 방식의 DNA 칩을 이용한 유전자형 분석방법에서는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된 특정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 중 DNA 칩의 프로브와 상보적인 단일 사슬을 형광물질과 같은 표지물질로 표지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정방향의 서열정보에서 프로브를 선택할 경우 그 반대의 역방향 단일 사슬 증폭산물에만 형광물질을 표지하기 위해서 PCR 증폭과정에 사용되는 역방향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3과 같은 형광물질을 표지한다. 그런 다음, 열변성 또는 비대칭 증폭(정방향 프라이머의 양을 역방향 프라이머의 양 보다 현저히 낮게 첨가하여 증폭하는 것)을 이용하여 PCR 증폭산물을 단일사슬화시킨 후 DNA 칩의 프로브와 교잡화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을 표지하면 증폭 대상이 되는 유전자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쌍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역방향 프라이머에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기존의 형광물질 표지법은 증폭과정 중 역방향 프라이머에 형광물질을 바로 표지할 경우 표적증폭산물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역방향 프라이머에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수도 증가하여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 서열들과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11종의 성병 병원체들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예를 들어,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을 프라이머 서열에 태그(tag)하고, PCR 증폭 후에는 이러한 한 종류의 태그와 상보적인 서열의 형광물질 표지 프로브("프라이머 표지용 프로브"라고 함)를 첨가하여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을 표지하였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표지하면 프라이머에 직접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비용과 비교하여 더 낮은 비용으로 표지가 가능하며, 한 종류의 "비상동성 염기서열"이 태그된 증폭산물에 동일하게 형광물질을 표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태그 서열로서 M13 프라이머 서열이 사용된 사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 서열들과 상동성이 없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한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증폭된 산물의 교잡화를 위해서는 단일사슬 행태로 표적 DNA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증폭산물의 열변성 또는 화학물질을 통한 변성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비대칭 중합효소연쇄반응(asymmetric PCR)을 통하여도 이러한 단일사슬 형태의 증폭산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비상동성 염기서열"로 태그되어 있지 않은 다른 방향의 프라이머에 포스페이트(phosphate)를 결합시킨 후 람다 엑소뉴클레아제(lambda exonuclease)로 처리하여 포스페이트(phosphate)가 표지된 사슬을 선택적으로 분해함으로써 단일사슬 형태로 만드는 과정도 가능하다(도 1 참조). 도 1에서는 람다 엑소뉴클레아제(lambda exonuclease)를 이용하여 단일사슬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기존의 열변성, 화학물질에 의한 변성 또는 비대칭 중합효소연쇄반응 방법이 대체되어 사 용되거나 병행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표지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직접적으로 프라이머 서열에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방법과 증폭과정 중 형광물질이 표지된 dNTP 믹스(dNTP mix)를 이용하여 표지하는 방법 등이 대체되어 사용되거나 병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이 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분석을 위한 프로브의 제작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에 대해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산물과 상보적으로 교잡화될 수 있는 프로브를 제작하였다.
프로브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합성방법에 따라 제작하거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전문기관(예를 들어, 독일의 METABION사)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는데, 알데히드가 코팅된 기판 위에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공유결합시키기 위하여 모든 프로브의 5' 말단에 아미노 링크를 부착하였으며, 11종의 성병 병원체들 각각에 대해 특이적인 프로브와 PCR 증폭산물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5'의 아민기 다음에 5-40개의 티민(thymine) 염기를 부착하여 프로브를 합성하였다. DNA 칩을 구성하는데 있어 각각의 프로브의 5'방향으로 아민 작용기를 수식한 후 올리고 dTTP를 5량체에서 40량체까지 부가하면 PCR 증폭 산물과 프로브의 결합시 공간적인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올리고 dTTP는 다른 염기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카본 스페이서(carbon spacer)와 같은 다른 화학물질로 교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기의 표 2와 같은 염기서열(서열번호 50 내지 서열번호 79)을 갖는 프로브를 합성하였다.
[표 2]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이 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분석을 위한 프로브
Figure 112009063564377-PAT00002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들을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조합들의 서열번호들과, 이러한 프라이머 조합들에 의해 증폭된 PCR 산물을 검출하고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검사할 수 있는 프로브의 서열번호들을 상호 대응시켜 정리하면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을 증폭하는 프라이머 조합들과 이러한 프라이머 조합들에 의해 증폭된 PCR 산물을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들
Figure 112009063564377-PAT00003
실시예 5: 11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 제작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11종의 성병 병원체의 유전자형을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성병 병원체 판별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oligonucleotide microarray) DNA 칩(chip)을 하기와 같이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하였다.
즉, 기판 표면에 알데히드가 부착된 유리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마이크로어레이용 칩 기판 위에 실시예 4에서 제작된 프로브들을 마이크로어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찍어서 DNA 칩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된 DNA 칩의 제작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어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찍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는 5'말단의 아민기가 유리 기판 상의 알데히드기와 시프염기(Schiff's base) 반응을 일으켜 유리 기판 상에 고정된다. 또한, 반응되지 않고 잔존하는 알데히드를 환원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알데히드의 환원조건 역시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NaBH4 등의 환원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어레이되는 유전자 프로브는 서열번호 50 내지 서열번호 79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로브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로서 1개 만을 마이크로어레이할 수도 있고 30개 모두 마이크로어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의 DNA가 클로닝된 벡터(Promega로부터 입수한 pGEM-T easy vector)를 사 용하였다. 성병 병원체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과정 중 상기 클론 벡터와 이를 증폭할 수 있는 한 쌍의 프라이머를 같이 첨가하여 증폭과정 중의 오류를 확인하고 이 증폭산물과 교잡화될 수 있는 프로브를 합성하여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 구성물에 포함시켰다. 상기 양성 대조군 DNA의 증폭용 프라이머 서열(서열번호 80 및 서열번호 81)과 DNA 칩에 포함되는 프로브의 서열(서열번호 82)은 다음과 같다.
(서열번호 80) ARPCF : 5'- GGA CAA CCA CTG CGT CTA T -3'
(서열번호 81) ARPCR : 5'- CAA GGA AGG TCA CTG CAA -3'
(서열번호 82) ARPCP : 5'- TCA CTT CTG GTG CGA ATC CCG -3'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성병 병원체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 서열 및 프로브 서열에 대해 상보성이 없는 추가적인 프로브를 준비하여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 구조물에 집적하고 이러한 추가적인 프로브에 상보적인 증폭산물 또는 합성산물과의 반응을 유도하여 성병 병원체 DNA 칩에 마이크로어레이된 각각의 프로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프로브는 PCR 증폭산물과 DNA 칩의 프로브와의 교잡화 과정 중에 발행할 수 있는 오류를 확인하고, DNA 칩 구성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마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프로브와 상보적인 증폭산물 또는 합성산물은 성병 병원체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산물을 표지하는 형광물질과 다른 형광물질로 표지될 수도 있고 동일한 형광물질로 표지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에 집적되는 위치마커인 추가적인 프로브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위치마커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소위 "비상동성 염기서열"(예를 들어,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을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에 집적시키면 별도의 추가적인 위치마커용 프로브의 제작이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실시예 3에서와 같이 11종의 성병 병원체들의 표적 유전자 서열들의 증폭시에는 역방향 프라이머의 5'말단에 소위 "비상동성 염기서열"(예를 들어, M13 프라이머 서열, SP6 서열 등)을 태그한 후 PCR 증폭을 수행하고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을 상기 소위 "비상동성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의 형광물질 표지 프로브("프라이머 표지용 프로브")로 표지하고, 이와 같이 형광물질로 표지된 PCR 증폭산물을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에 교잡화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성병 병원체 판별용 DNA 칩에 위치마커로서 집적된 M13 서열과 같은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이에 상보적인 형광물질 표지 서열과의 교잡화에 의해 DNA 칩을 구성하는 프로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6: 임균( Neisseria gonorrhoeae )의 표적 유전자의 증폭 및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
실시예 6-1: 임균( Neisseria gonorrhoeae )에 특이적인 표적 유전자의 증폭 확인 실험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은 표 1의 임균 증폭용 프라이머인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10 중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조합으로 진행하였다.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게놈 유전자(ATCC53420D, 53421D)를 ATCC에서 구입하여 PCR 증폭에 사용하였다.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표적 유전자 증폭을 위한 PCR 구성물(PCR 프리믹스)로는 (주)바이오니아의 AccuPower HotStart PCR PreMix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 과정은 95℃에서 10분간 변성 후 95℃에서 15초, 53℃에서 30초 그리고 72℃에서 30초의 과정을 40회 반복한 다음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이루어졌다. 이후 PCR 증폭산물은 실험 전까지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또한, 증폭된 산물은 2.5% 아가로즈 겔(agarose gel)상에서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임균 증폭용 프라이머 및 임균 검사용 프로브의 특이도와 민감도를 증명하기 위해 임균 이외에도 다른 성병 병원체 유전자도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ATCC30001D), 트리코모나스 테낙스(Trichomonas tenax)(ATCC30207),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ATCC23114D),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ATCC3530D) 및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ATTC700724D-5)의 게놈 DNA를 ATCC에서 구입하여 주형으로 사용하였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KCTC7270)는 생물자원센터에서 미생물균주 구 입 후 게놈 DNA를 추출하여 주형으로 사용하였으며,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는 pGEM-T easy vector에 클로닝(임상시료에서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여 증폭한 산물을 클로닝)한 후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된 PCR 산물을 3% 아가로즈겔에서 전기영동한 결과에 따르면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표적 유전자가 선택적으로 증폭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증폭산물의 크기는 124bp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2: 임균( Neisseria gonorrhoeae )의 표적 유전자와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대한 표적 유전자의 증폭은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증폭된 PCR 산물과,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특이적인 프로브인 서열번호 50의 프로브, 서열번호 51의 프로브, 서열번호 52의 프로브, 서열번호 54의 프로브로 구성된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교잡화 실험은 증폭이 완료된 PCR 증폭 산물 10㎕를 취하여, 준비된 DNA 칩 위에 90㎕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 교잡화 완충용액(oligonucleotide microarray hybridization buffer[(주)지노첵 판매품]과 희석하여 도포하였다. 도포된 DNA 칩은 50℃의 인큐베이션 오븐(incubation oven)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액 키트(wash solution kit)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액손 칩 스캐너(axon chip scanner)로 스캐닝하여 교잡화 결과를 확인하고 프로브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칩의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대해 신호가 강력하게 분석되어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특이적인 프로브는 임균 검사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도 3의 형광세기는 배경값을 뺀 중간값의 신호강도로서 비교를 위한 임의의 단위임).
실시예 7: 트레포네마 팔리둠( Treponema pallidum ) 및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Mycoplasma hominis )의 표적 유전자의 증폭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은 표 1의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증폭용 프라이머인 서열번호 17 내지 서열번호 24 중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의 조합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은 표 1의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 증폭용 프라이머인 서열번호 36 내지 서열번호 39 중 서열번호 36 및 서열번호 37의 조합으로 진행하였다.
한편, 표적 유전자의 증폭실험은 실시예 6-1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된 PCR 산물을 3% 아가로즈겔에서 전기영동한 결과에 따르면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및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표적 유전자가 선택적으로 증폭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Mycoplasma hominis )의 표적 유전자와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를 확인할 수 있는 특이적인 프로브를 이용한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7의 과정을 통하여 획득된 증폭산물을 람다 엑소뉴클레아제(lambda exonuclease)를 처리하여 단일염기사슬 형태로 변환한 후 서열번호 73으로 구성된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증폭산물과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은 실시예 6-2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칩의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에 대해 신호가 강력하게 분석되어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에 특이적인 프로브는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검사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9: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Mycoplasma genitalium )의 표적 유전자와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을 확인할 수 있는 특이적인 프로브를 이용한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서열번호 40 및 서열번호 41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표적 유전자 서열을 PCR 증폭하고 증폭산물을 서열번호 74로 구성된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표적 유전자의 증폭실험은 실시예 6-1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증폭산물과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은 실시예 6-2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칩의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에 대해 신호가 강력하게 분석되어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에 특이적인 프로브는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검사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10: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 Ureaplasma urealyticum ) 및 우레아플라즈마 파붐( Ureaplasma parvum )의 표적 유전자와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을 확인할 수 있는 특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66, 서열번호 67, 서열번호 69)를 이용한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라이머로부터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의 표적 유전자 서열을 PCR 증폭하고 증폭산물을 서열번호 66의 프로브, 서열번호 67의 프로브, 서열번호 69의 프로브로 구성된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표적 유전자의 증폭실험은 실시예 6-1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증폭산물과 DNA 칩과의 교잡화 실험은 실시예 6-2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칩의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에 대해 신호가 강력하게 분석되어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에 특이적인 프로브(서 열번호 69의 프로브)는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 검사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칩의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에 대해 신호가 강력하게 분석되어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에 특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66의 프로브 및 서열번호 67의 프로브)는 우레아플라즈마 파붐 검사에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특히, 서열번호 66의 프로브는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혈청형 1, 6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9 참조), 서열번호 67의 프로는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혈청형 3, 14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참조).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실제 실험을 위해 사용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표 1 내지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표적 유전자의 증폭을 위한 모든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PCR 증폭산물을 형광으로 표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증폭산물 및 표적유전자 서열과 상동성이 없는 서열로 구성된 태그를 프라이머에 결합하고, 상기 태그와 상보적인 서열의 형광물질 표지 프로브를 첨가하여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을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표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특이적인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증폭된 PCR 산물을 본 발명의 DNA 칩에 교잡화한 후 확인한 DNA 칩의 형광이미지 사진이다.
도 5는 서열번호 17과 서열번호 18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과, 서열번호 36과 서열번호 3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의 첫번째 레인(lane)은 DNA 마커이고, 두번째 레인은 트레포네마 팔리둠의 증폭산물이며, 세번째 부터 여섯번째 레인은 마이코플 라즈마 호미니스의 증폭산물이다.
도 6은 서열번호 36과 서열번호 3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에 특이적인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서열번호 40과 서열번호 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에 특이적인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서열번호 34과 서열번호 3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에 특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69의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서열번호 33과 서열번호 3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에 특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66의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는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혈청형 1, 6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서열번호 33과 서열번호 3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된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 산물을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에 특이적인 프로브(서열번호 67의 프로브)가 어레이된 DNA 칩에 교잡화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을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서는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혈청형 3, 14을 확인할 수 있다.
<110> Genocheck Co., Ltd. <120> Probe for detecting microbes causing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detection chip, detection kit,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130> P09-0167KR <160> 8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1F Primer <400> 1 cgaagtcaaa gctggtgt 18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1R Primer <400> 2 gcttttggcc ttagtaactg ta 22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2F Primer <400> 3 aaggctgttt ggcagctcga 20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2R Primer <400> 4 tggcatcgcc aaacggat 18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3F Primer <400> 5 tcaaacgcca cgacggtat 19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3R Primer <400> 6 gctgaaaccg gaaaatccg 19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6F Primer <400> 7 aaaatggcgg ctttttcgga aatta 25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6R Primer <400> 8 ggatcggtat cactcgctc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7F Primer <400> 9 ttcggtaata cagtcccgcg 20 <210> 10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7R Primer <400> 10 gcttggaaaa atcgtaatcg acacc 25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T16SF81 Primer <400> 11 gaacggagca attgtttcga cg 22 <210> 1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T16SR261 Primer <400> 12 gctgatatca catagactct cccttaac 28 <210> 1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1F Primer <400> 13 gccaattatt tactttgccg aag 23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1R Primer <400> 14 ctcttccacc tgctaaaatc g 21 <210> 1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2F Primer <400> 15 gcgtgctaca atgttagga 19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2R Primer <400> 16 gattataaga gtagcgcacc c 21 <210> 1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16SF164 Primer <400> 17 tttgagatgg ggatagcctc tag 23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16SR253 Primer <400> 18 gcccctttcc tctcaaagac 20 <210> 1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F1210 Primer <400> 19 gacggctgca catcttctc 19 <210> 2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F1648 Primer <400> 20 tggcgccata cctatagaaa ata 23 <210> 2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R1770 Primer <400> 21 gcacacgcgc aatcaataat acg 23 <210> 2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F2407 Primer <400> 22 aatgccgctt ttgcctatcc ta 22 <210> 2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F2766 Primer <400> 23 cagggcgtgt acatactagc tttg 24 <210> 2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R2889 Primer <400> 24 aacgcctgcc ttatttttct tcct 24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16S1135F Primer <400> 25 cgcgaagaac cttacctact c 21 <210> 2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16S1135R Primer <400> 26 accttcctcc agtttatcac tg 22 <210> 2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PSSDBPF190 Primer <400> 27 atagccacca aagccatc 18 <210> 2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PSSDBPR289 Primer <400> 28 ccaaaaatca actagtttta ctcatcg 27 <210> 29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ITS1F406 Primer <400> 29 gacggtagtg gtaaggc 17 <210> 3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ITS1R496 Primer <400> 30 aagatatacg tggtggacg 19 <210> 3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NRG1F331 Primer <400> 31 gcagctactc cattgtca 18 <210> 3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NRG1R467 Primer <400> 32 ggaggtactt gggaaggat 19 <210> 3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PMBAF361-1 Primer <400> 33 tacgaaattg aaaactttaa agatctaagt 30 <210> 3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UMBAF362-2 Primer <400> 34 acgacattga aaatttcgat gatttaa 27 <210> 3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sppMBAR528 Primer <400> 35 ttttggttca cgwggtaatt taac 24 <210> 3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16S549F Primer <400> 36 gcacgatgaa ggtcttcgg 19 <210> 3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16S549R Primer <400> 37 aggtaccgtc agtctgcaat 20 <210> 38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hitBLF22 Primer <400> 38 aaagaagtta caaaacaagt tttaacattt ga 32 <210> 39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hitBLR243 Primer <400> 39 tcatgcatat tatactagac cttcaacttt 30 <210> 4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4.F Primer <400> 40 caaacagtag ccaacttgta aaagtg 26 <210> 4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4.R Primer <400> 41 gattactagt gattccagct tcatgag 27 <210> 4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tufF60 Primer <400> 42 agaacttact acctttttca caagc 25 <210> 4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tufR278 Primer <400> 43 aaatttaaag ctgagatcta tgctttaaag 30 <210> 4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prP65F881 Primer <400> 44 aactttcaaa gcacaactct tatcc 25 <210> 4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prP65R1103 Primer <400> 45 tcacggtaac cccttcttct aaa 23 <210> 4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F339 Primer <400> 46 tcgcgtatac ccaggtgctc tttt 24 <210> 4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R839 Primer <400> 47 actggtgggc gcttgttgtc a 21 <210> 4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F455 Primer <400> 48 acggcggcga aagtgctgta 20 <210> 4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R972 Primer <400> 49 atggaattcg gtgtttggct tgat 24 <210> 5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1 Probe <400> 50 tcagaaggtc aaacgggcaa 20 <210> 5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2 Probe <400> 51 gacccgttgg ggtaacag 18 <210> 5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3 Probe <400> 52 cgtgcgttac gattcccc 18 <210> 5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6 Probe <400> 53 atgaggggca tgatgctttc tttttg 26 <210> 5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GporAP7 Probe <400> 54 cgactttgtc gaacgcagtc agaaa 25 <210> 5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T16SP220 Probe <400> 55 gatatttggg catccgagta acgtt 25 <210> 56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1-2 Probe <400> 56 gccgaagtcy ttcggttaaa gttctaatt 29 <210> 5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V18SP2-2 Probe <400> 57 tcaataggac tgcgagcctg ag 22 <210> 5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16SP228 Probe <400> 58 ccgaatacgc tcttttggac gta 23 <210> 5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F1210 Probe <400> 59 tggtgttact gaccctgtag aact 24 <210> 6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polAP2831 Probe <400> 60 ccaaatttac aaaacattcc cattaaaagc 30 <210> 6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16S1135P Probe <400> 61 agcatgtagt gatgggaact caa 23 <210> 6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PSSDBPP232 Probe <400> 62 agtatgcttg tatttaacct cacctgt 27 <210> 6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ITS1P423 Probe <400> 63 gggatcgctt tgacaatg 18 <210> 6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NRG1P380 Probe <400> 64 cactacaaca acctcagcca tacc 24 <210> 6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NRG1P412 Probe <400> 65 tactacaact atcagtatgc tgctcc 26 <210> 66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PMBAP452-1 Probe <400> 66 acaaaacaga aaatctagtt acaaaaggtc at 32 <210> 67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PMBAP454-2 Probe <400> 67 aaaacagaaa gtacacttga aaaaggtca 29 <210> 6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UMBAP465-3 Probe <400> 68 cgcaacaaca aaaggtcact tac 23 <210> 6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UMBAP462-4 Probe <400> 69 aaacgcaact ataaaaggtc acttactt 28 <210> 70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UMBAP467-5 Probe <400> 70 caacaacaaa aggtcactta cttaacaaaa aa 32 <210> 71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UMBAP467-6 Probe <400> 71 caactataaa aggtcactta cttaacaaga aa 32 <210> 7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16S549P Probe <400> 72 aagggaagaa catttgcaat agg 23 <210> 7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hitBLP178 Probe <400> 73 gtttcagaaa caaayaaatc tgtttatgat atat 34 <210> 7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P4 Probe <400> 74 gcaaatctga aaagttggtc tcag 24 <210> 7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tufP190 Probe <400> 75 atagaattga ggacggtaac cgttt 25 <210> 7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prP65P1018 Probe <400> 76 caatactacc ctcaacccta tccatac 27 <210> 7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prP65P1047 Probe <400> 77 aagaccttac tatgatgaac ctatttacgc 30 <210> 7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P787 Probe <400> 78 agatttcttt gctccttgca ctacgc 26 <210> 7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VVLYP891 Probe <400> 79 caccagcaag agcactgatt tcca 24 <210> 8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PCF Primer <400> 80 ggacaaccac tgcgtctat 19 <210> 8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PCR Primer <400> 81 caaggaaggt cactgcaa 18 <210> 8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PCP Probe <400> 82 tcacttctgg tgcgaatccc g 21

Claims (20)

  1.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의 유전자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서열번호 50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5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6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5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3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5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4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5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3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 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6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6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6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7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6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1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8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9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4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0프로브 군과, 서열번호 78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1프로브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 군을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 군은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2프로브 군은 클라미디어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3프로브 군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4프로브 군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5프로브 군은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6프로브 군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7프로브 군은 우레아플라즈마 파붐(Ureaplasma parv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8프로브 군은 우레아플라즈마 우레아라이티컴(Ureaplasma urealytic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9프로브 군은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10프로브 군은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유전자 핵산과, 상기 제11프로브 군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유전자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3. 서열번호 50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7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기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5.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DNA 중합효소, dNTPs, PCR 완충용액 및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물질을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유전자 PCR 증폭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유전자 PCR 증폭키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이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되어 있고, 상기 PCR 증폭산물의 단일사슬 표지물질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유전자 PCR 증폭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또는 SP6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유전자 PCR 증폭키트.
  9. 청구항 제3항에 정의된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과,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와,
    상기 검사 칩과 교잡화되는 증폭된 유전자를 탐지하기 위한 표지수단을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 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이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되어 있고, 상기 표지 수단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또는 SP6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프로브의 위치표시마커로서 상기 검사 칩에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키트.
  15.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시료의 유전자를 PCR 증폭하는 단계와,
    청구항 제3항에 정의된 검사 칩에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교잡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사 칩의 프로브와 교잡화된 반응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9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상기 PCR 증폭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들과는 상동성이 없으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과는 다른 동물군, 다른 식물군, 다른 미생물군 또는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상기 프라이머의 5'말단에 태그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로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표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은 M13 프라이머 서열 또는 SP6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을 프로브의 위치표시마커로서 상기 검사 칩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상동성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표지된 프로브로 상기 위치표시마커를 표지하여 프로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KR1020090098838A 2009-10-16 2009-10-16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KR10122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38A KR101225522B1 (ko) 2009-10-16 2009-10-16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38A KR101225522B1 (ko) 2009-10-16 2009-10-16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637A Division KR20120038430A (ko) 2012-04-11 2012-04-11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29A true KR20110041829A (ko) 2011-04-22
KR101225522B1 KR101225522B1 (ko) 2013-01-23

Family

ID=440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38A KR101225522B1 (ko) 2009-10-16 2009-10-16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5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17B1 (ko) * 2011-09-23 2013-06-07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비뇨생식기 감염 질환 진단용 dna칩
KR20160069867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및/또는 나이세리아 고노로이에 탐지용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WO2017039144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바이오세움 성인성 질환 유발 세균 검출 키트 및 방법
CN108660254A (zh) * 2018-05-30 2018-10-16 杭州千基生物科技有限公司 生殖道病原体核酸检测引物、探针、试剂盒及检测方法
KR102326566B1 (ko) * 2020-12-18 2021-11-1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바이오홀딩스 성매개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매개 감염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208A (ko) * 2006-04-03 2007-10-09 (주)우먼바이오텍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한 성병 검출방법 및 진단 키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17B1 (ko) * 2011-09-23 2013-06-07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비뇨생식기 감염 질환 진단용 dna칩
US9434998B2 (en) 2011-09-23 2016-09-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NA chip for diagnosis of genitourinary infections
KR20160069867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및/또는 나이세리아 고노로이에 탐지용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WO2017039144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바이오세움 성인성 질환 유발 세균 검출 키트 및 방법
CN108660254A (zh) * 2018-05-30 2018-10-16 杭州千基生物科技有限公司 生殖道病原体核酸检测引物、探针、试剂盒及检测方法
KR102326566B1 (ko) * 2020-12-18 2021-11-1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바이오홀딩스 성매개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매개 감염 진단 방법
KR20220088629A (ko) * 2020-12-18 2022-06-28 주식회사 제이에이치바이오홀딩스 성매개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매개 감염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522B1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109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8129110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8187816B2 (en) Probe set, probe-immob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for detecting Anaerococcus prevotii
US8207319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20080113363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8129108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8404822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8148063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20090305262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JP2004313181A (ja) 感染症起炎菌検出用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セット、ならびに担体及び遺伝子検査方法
US20090298069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20100081581A1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US9434998B2 (en) DNA chip for diagnosis of genitourinary infections
KR101225522B1 (ko)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KR20120038430A (ko) 성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검사용 프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 칩, 검사키트 및 검사방법
US8187803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JP5089220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089221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089222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089223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094181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JP5116341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US8133668B2 (en) Probe, probe set, probe-immobilized carrier, and genetic testing method
JP2007289176A (ja) プローブ、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