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603A -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603A
KR20110041603A KR20090098512A KR20090098512A KR20110041603A KR 20110041603 A KR20110041603 A KR 20110041603A KR 20090098512 A KR20090098512 A KR 20090098512A KR 20090098512 A KR20090098512 A KR 20090098512A KR 20110041603 A KR20110041603 A KR 2011004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waste
gas
drying chamber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덕
Original Assignee
이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덕 filed Critical 이치덕
Priority to KR2009009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603A/ko
Publication of KR2011004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01F29/6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with stirring devices moving in relation to the receptacle, e.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6Selection or use of additives to aid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장기적인 시점에 의거하여, 쓰레기의 처리 및 쓰레기의 질을 예측하고, 자원회수, 재생이용을 위한 리사이클기술로서 실용화하였다.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재재원화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 처리된 쓰레기가 2차적인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환경보전상, 안전화, 안정화를 도모한 일반폐기물 쓰레기의 재자원화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 매일 발생하는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처리를 열분해만으로만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감소화와 정제하는 탄소화물의 재이용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를 위한 처리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
시스템전체가 덕트로 연결되어, 외기와 접촉의 없이 밀폐한 구조의 건축물의 중간에서, 전(前)처리와 탄화건류(炭化乾留)를 수행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전처리의 공정은, 처리물인 일반 가정의 쓰레기를 피트와 탈수(압축)기와 해쇄기가 세트로 된 기기에서 탈수, 해쇄의 전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불연물의 분별을 위하여 와전류기, 자선기에서 알루미나류, 철분을 제거하고, 호퍼에 저류(貯留)한 후, 회전식 드럼에서 촉매를 동시에 투입하여 건조실내의 교반기에서 교반하고, 그 후, 센단상으로 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통과하고, 재차 자선기에서 철분을 제거하여 건조실로 이송하고, 건조된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크기를 골라서 진동사를 경유하는 공정이고, 상기 탄화건류의 공정은, 전처리된 처리물이 진동사를 경유하여 건류탄화로에 투입되어 탄화시키는 공정이고, 이어서 건류된 탄화물은 냉 각기를 경유하여 제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의 처리방법.

Description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A treat method for recycling of waste and derice }
본 발명은 환경오염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일 발생하는 일반폐기물 쓰레기를 안전하게 안정화시킨 탄화물로서 이용가능한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 처리공장에서는, 재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쓰레기는 소각에 의하여 쓰레기의 체적을 감소시켜 남은 소각재를 그대로 관리형의 처분장에 버리거나, 혹은 세멘트에 혼합시켜서 고화시키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예를들면, 소각재를 세멘트에 혼합시키는 것으로, 환경에의 유해물질의 용출을 방지하는 방법은 일응의 효과가 있지만, 세멘트에 과잉의 수분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수분의 증발에 의해 고화후에 모세관이 가능하게 되어 고화물에 물의 침투성이 발생되므로, 유해물이 용출되는 가능성이 있고, 오랜 기간에 걸처서는,용출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되는 경우가 있다.
소각후의 재에 관한 문제점은, 재가운데에 유해한 성분이나 유해한 중금속류나 유해한 유기질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은, 소각에 수 반되는 고열분해되지 않는 것도 있고, 화학적인 처리가 곤란한 것도 많다. 탈염소처리에서 석회에 의한 강알칼리성을 띠게 되어, 산화물로서 존재하고 있는 금속이나 중금속은 물에 용해되면 수산화물의 불용성염으로 되지만, 용출시험을 수행하면 소량으로도 용출이되므로 미량이어도 영속적으로 중금속류의 용출이 지속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기적인 시점에 의거하여, 쓰레기의 처리 및 쓰레기의 질을 예측하고, 자원회수, 재생이용을 위한 리사이클기술로서 실용화한 것으로,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재재원화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 처리된 쓰레기가 2차적인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환경보전상, 안전화, 안정화를 도모한 일반폐기물 쓰레기의 재자원화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일 발생하는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처리를 열분해만으로만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감소화와 정제하는 탄소화물의 재이용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를 위한 처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시스템전체가 덕트로 연결되어, 외기와 접촉의 없이 밀폐한 구조의 건축물의 중간에서, 전(前)처리와 탄화건류(炭化乾留)를 수행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전처리의 공정은, 처리물인 일반 가정의 쓰레기를 피트와 탈수(압축)기와 해쇄기가 세트로 된 기기에서 탈수, 해쇄의 전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불연물의 분별을 위하여 와전류기, 자선기에서 알루미나류, 철분을 제거하고, 호퍼에 저류(貯留)한 후, 회전식 드럼에서 촉매를 동시에 투입하여 건조실내의 교반기에서 교반하고, 그 후, 센단상으로 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통과하고, 재차 자선기에서 철분을 제거하여 건조실로 이송하고, 건조된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크기를 골라서 진동사를 경유하는 공정이고, 상기 탄화건류의 공정은, 전처리된 처리물이 진동사를 경유하여 건류탄화로에 투입되어 탄화시키는 공정이고, 이어서 건류된 탄화물은 냉각기를 경유하여 제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의 처리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는 시스템전체가 덕트로 연결되어, 외기와 접촉의 없이 밀폐한 구조의 건축물의 중간에서, 전(前)처리와 탄화건류(炭化乾留)를 수행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전처리의 공정은, 처리물인 일반 가정의 쓰레기를 피트와 탈수(압축)기와 해쇄기가 세트로 된 기기에서 탈수, 해쇄의 전처리를 수행하고, 다음에 불연물의 분별을 위하여 와전류기, 자선기에서 알루미나류, 철분을 제거하고, 호퍼에 저류(貯留)한 후, 회전식 드럼에서 촉매를 동시에 투입하여 건조실내의 교반기에서 교반하고, 그 후, 센단상으로 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통과하고, 재차 자선기에서 철분을 제거하여 건조실로 이송하고, 건조된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크기를 골라서 진동사를 경유하는 공정이고, 상기 탄화건류의 공정은, 전처리된 처리물이 진동사를 경유하여 건류탄화로에 투입되어 탄화시키는 공정이고, 이어서 건류된 탄화물은 냉각기를 경유하여 제품화하는 것으로, 장기적인 시점에 의거하여, 쓰레기의 처리 및 쓰레기의 질을 예측하고, 자원회수, 재생이용을 위한 리사이클기술로서 실용화한 것으로,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재재원화방법과 그 장치의 제공. 처리된 쓰레기가 2차적인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환경보전상, 안전화, 안정화를 도모한 일반폐기물 쓰레기의 재자원화시키며 매일 발생하는 일반 폐기물 쓰레기의 처리를 열분해만으로만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감소화와 정제하는 탄소화물의 재이용을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가정 쓰레기는 폐기물의 내용이 일정하지 않고 위험성이 높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은, 시스템전체가 덕트로 연결되고, 외기와 접촉이 적은 밀폐된 구조의 건축물의 중간에서, 전(前)처리와 탄화건류를 수행하는 쓰레기처리의 방법으로, 상기 전처리의 공정은, 처리물이 있는 일반가정 쓰레기를 히터와 탈수(압축)기와 해쇄기가 세트로된 기기에서 탈수, 해쇄의 전처리를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에 첨가제(촉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촉매에 의하여 탈취와 건조가 촉진된다.
다음에 불연물분별을 위하여 와전류기와 자선기에서 알루미류, 철분을 제거하고, 호퍼에 저류한 후, 회전식 드럼에서 첨가제를 동시에 투입하여 건조실내의 교반기에서 교반시키고, 그 후, 센단상(せん斷狀)으로 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통과시키고, 재차 자선기에서 철분을 제거하고 열풍발생기로 송부하여 건조를 완전히 수행하고, 건조한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크기를 조절하고, 진동사(振動篩)를 경유하 는 공정에서, 여기까지의 전처리가 완전하게 될때까지 분쇄와 진동사를 순환시키고, 크기가 일정하게 건류로(탄화)에 투입시켜 탄화시키는 공정에서, 첨가제(촉매)가 첨가되므로, 건류온도는 300℃ 이하로 하고, 다음에 건류한 탄화물은 냉각기를 경유하여 제품화하고, 잔사물로서 잔류하는 재(알루미산화물이나 마그네슘산화물 등)는, 소각재촉매환원로에서 무해화 시키는 쓰레기의 처리방법이다.
상기 건류로내의 화학반응은, 천이금속 및/또는 금속의 산화물과 다공질무정형 탄소와의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류로내의 화학반응은, 천이금속 및/또는 금속의 산화물과 다공질무정형 탄소와의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이고, 개(槪)건류로는, 로내벽의 객스터플을 단체(單體)로하고, 금속산화물을 함유한 천이금속축을 분체(粉體)로 하여 구워서 단단하게(燒固) 하고, 건류로의 로벽에 정형(整形)한 것이 특징이다.
부분연소열분해처리법에서 열풍발생기실내의 열풍에 의하여 열분해로 가연분의 휘발성분이 열분해가스화하고, 가연분(可燃分)은 고정탄소와 회분(灰分)으로 이루어지는 탄화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발생기실이, 플라스틱 등의 가스를 회수하기 위하여, 온도영역을 120℃로 한 열풍발생장치를 설치한 건조실이고, 거기에서 열회수를 수행하고, 염소 계가스를 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발생기실이, 플라스틱 등에 의해 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온도영역을 120℃로 한 열풍발생장치를 설치한 건조실이고, 거기서 열회수를 수행하고, 염소계 가스를 중화하고, 플라스틱의 열분해반응은 흡열반응이기때문에, 건류로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프라스틱의 일부를 부분연소시켜서 분해반응열을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염소화된 건류로의 가스는, 유기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건류가스로서 건조실의 열원으로서 건조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시켜,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하여,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한 교반기에서, 촉매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하여,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한 교반기에서, 촉매 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고, 상기 폐쇄회로 건조실에서 연소가스와 가스←→가스열교환으로 열교환을 수행하고, 120℃ 정도가 상한으로 건조실내에서 증발한 수증기만을 계외에 배출하는 열풍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실내에 있어서 건조된 계량물은 열풍에 의해 상부로 상승되고, 상부의 흡인구에서 분쇄기에 도입되고, 건조실내의 쓰레기는 그 때마다 적어지게 되고, 나머지의 건조조건은 잘되고, 더욱이 하부에 흡인구를 설계중량물도 열풍에 의한 건조조건을 만족하도록 최고로 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공법에 사용된 촉매는, 소각재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류를 부활(賦活)시키고, 다시 티탄과 텅스텐을 첨가한 복합촉매이고, 단가가 싸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고, 복합촉매로서 사용하고 버리고 있기 때문에, 이차제품의 가치관이 높게 되는 것이다.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시키고, 건조실로부터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안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교반기에서, 촉매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고, 상기 폐쇄회로건조기에서 연소가스와 가스←→가스열교환으로 열교환을 수행하고, 120℃ 정도가 상한인 건조장치내에서 증발한 수증기만을 계외에 배출하는 열풍발생기를 사용 하고, 열풍발생장치에서 미건조의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분쇄시켜 재차 열풍발생장치내에서 건조되어, 진동사를 순환하면서 조도조정을 하여 건류로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는 일반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조공장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제조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플로우도
도 2는 소각회재자원화플랜트의 흐름도
도 3은 소각회재자원화 플랜트의 평면 배치도

Claims (13)

  1. 시스템전체가 덕트로 연결되고, 외기와 접촉이 적은 밀폐된 구조의 건축물의 중간에서, 전(前)처리와 탄화건류를 수행하는 쓰레기처리의 방법으로, 상기 전처리의 공정은, 처리물이 있는 일반가정 쓰레기를 히터와 탈수(압축)기와 해쇄기가 세트로된 기기에서 탈수, 해쇄의 전처리를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에 첨가제(촉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촉매에 의하여 탈취와 건조가 촉진시키는 공정과, 다음에 불연물분별을 위하여 와전류기와 자선기에서 알루미류, 철분을 제거하고, 호퍼에 저류한 후, 회전식 드럼에서 첨가제를 동시에 투입하여 건조실내의 교반기에서 교반시키고, 그 후, 센단상으로 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통과시키고, 재차 자선기에서 철분을 제거하고 열풍발생기로 송부하여 건조를 완전히 수행하고, 건조한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크기를 조절하고, 진동사를 경유하는 공정에서, 여기까지의 전처리가 완전하게 될때까지 분쇄과 진동사를 순환시키고, 크기가 일정하게 건류로(탄화로)에 투입시켜 탄화시키는 공정에서, 첨가제(촉매)가 첨가되므로, 건류온도는 300℃ 이하로 하고, 다음에 건류한 탄화물은 냉각기를 경유하여 제품화하고, 잔사물로서 잔류하는 재는, 소각재촉매환원로에서 무해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건류로내의 화학반응은, 천이금속 및/또는 금속의 산화물과 다공질무정형 탄소와의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건류로내의 화학반응은, 천이금속 및/또는 금속의 산화물과 다공질무정형 탄소와의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이고, 개(槪)건류로는, 로내벽의 객스터플을 단체(單體)로하고, 금속산화물을 함유한 천이금속축을 분체(粉體)로 하여 구워서 단단하게(燒固) 하고, 건류로의 로벽에 정형(整形)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부분연소열분해처리법에서 열풍발생기실내의 열풍에 의하여 열분해로 가연분의 휘발성분이 열분해가스화하고, 가연분(可燃分)은 고정탄소와 회분(灰分)으로 이루어지는 탄화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기실이, 플라스틱 등의 가스를 회수하기 위하여, 온도영역을 120℃로 한 열풍발생장치를 설치한 건조실이고, 거기에서 열회수를 수행하고, 염소계가스를 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기실이, 플라스틱 등에 의해 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온도영역을 120℃로 한 열풍발생장치를 설치한 건조실이고, 거기서 열회수를 수행하고, 염소계 가스를 중화하고, 플라스틱의 열분해반응은 흡열반응이기때문에, 건류로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프라스틱의 일부를 부분연소시켜서 분해반응열을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탈염소화된 건류로의 가스는, 유기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건류가스로서 건조실의 열원으로서 건조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시켜,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하여,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한 교반기에서, 촉매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하여, 건조실에서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않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한 교반기에서, 촉매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고, 상기 폐쇄회로 건조실에서 연소가스와 가스←→가스열교환으로 열교환을 수행하고, 120℃ 정도가 상한으로 건조실내에서 증발한 수증기만을 계외에 배출하는 열풍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건조실내에 있어서 건조된 계량물은 열풍에 의해 상부로 상승되고, 상부의 흡인구에서 분쇄기에 도입되고, 건조실내의 쓰레기는 그 도도(都度)가 조금도 없이, 나머지의 건조조건은 잘되고, 더욱이 하부에 흡인구를 설계중량물도 열풍에 의한 건조조건을 만족하도록 최고로 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본 공법에 사용된 촉매는, 소각재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류를 부활(賦活)시키고, 다시 티탄과 텅스텐을 첨가한 복합촉매이고, 단가가 싸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고, 복합촉매로서 사용하고 버리고 있기 때문에, 이차제품의 가치관이 높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호퍼와 건조실을 연결시키고, 건조실로부터의 역열풍이 호퍼에 흡출되지 안도록 차단한 회전식 드럼투입구가 있고, 회전식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교반기에서, 촉매와 쓰레기를 함께 교반하고, 수분량을 촉매반응으로 감수시키고, 상기 폐쇄회로건조기에서 연소가스와 가스←→가스열교환으로 열교환을 수행하고, 120℃ 정도가 상한인 건조장치내에서 증발한 수증기만을 계외에 배출하는 열풍발생기를 사용하고, 열풍발생장치에서 미건조의 쓰레기는, 분쇄기에서 분쇄시켜 재차 열풍발생장치내에서 건조되어, 진동사를 순환하면서 조도조정을 하여 건류로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
KR20090098512A 2009-10-16 2009-10-16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41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512A KR20110041603A (ko) 2009-10-16 2009-10-16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512A KR20110041603A (ko) 2009-10-16 2009-10-16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03A true KR20110041603A (ko) 2011-04-22

Family

ID=440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8512A KR20110041603A (ko) 2009-10-16 2009-10-16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4677A (zh) * 2024-01-30 2024-03-08 中建材佳星玻璃(黑龙江)有限公司 一种玻璃研磨除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4677A (zh) * 2024-01-30 2024-03-08 中建材佳星玻璃(黑龙江)有限公司 一种玻璃研磨除铁装置
CN117654677B (zh) * 2024-01-30 2024-05-03 中建材佳星玻璃(黑龙江)有限公司 一种玻璃研磨除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8329B2 (ja) 有機物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
CN203991628U (zh) 一种高效利用生活垃圾热值的处理装置
KR100903571B1 (ko) 유기성 폐기물을 대량 처리하기 위한 탄화용 설비
WO2016112735A1 (zh) 一种水泥窑协同处理生活垃圾系统及其方法
CN107417061B (zh) 污泥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WO2018018615A1 (zh) 一种利用高含水率有机废弃物制备燃气的方法和系统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CN106424077A (zh) 一种利用污泥处理飞灰的方法
JP2008163280A (ja) 塩素含有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420688Y1 (ko) 유기성 건조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JP2009242636A (ja)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CN109052889A (zh) 间接加热可移动式工业污泥连续热解方法及碳化装置
JP2008063362A (ja) 塩素含有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1179523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장치
JP2006175355A (ja) 有機系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11031226A (ja) 廃棄物脱塩方法及び廃棄物脱塩装置
KR20110041603A (ko) 쓰레기의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856677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08284531A (ja) 高含水バイオマスを有効利用する乾燥ペレットの製造方法
KR101437949B1 (ko) 음식물 찌꺼기 탄화시스템
JP4231739B2 (ja) 汚泥の再資源化方法
KR101391126B1 (ko) 유기폐기물과 폐섬유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장치
RU106243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и полной утилизации с обезвреживанием осадков сточных вод
JP2006224047A (ja) 下水汚泥の炭化処理システム
JP2008188497A (ja) 石灰サイクルを活用した産業廃棄物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