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534A -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534A
KR20110041534A KR1020117003894A KR20117003894A KR20110041534A KR 20110041534 A KR20110041534 A KR 20110041534A KR 1020117003894 A KR1020117003894 A KR 1020117003894A KR 20117003894 A KR20117003894 A KR 20117003894A KR 20110041534 A KR20110041534 A KR 2011004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s
level
item
hierarchical level
hierarch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869B1 (ko
Inventor
테이. 오스터홀트 로날두스 하.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4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아이템들은 복수의 계층 레벨들로 배열되고, 계층 레벨들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세트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을 자신과 연관시킨다. 제 1 계층 레벨 내의 아이템이 선택되고(단계 206),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의 적어도 2개의 세트들(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보다 하위의 레벨이다)은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된 순서로 배열되고(단계 208)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10).

Description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DISPLAYING MUSIC METADATA IN A PLURALITY OF HIERARCHICAL LEVELS}
본 발명은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아이템들을 브라우징(browsing)하고 정독하도록 하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많은 전자 디바이스들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단말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iPods®와 같은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은 개인용 컴퓨터들, 랩탑(laptop)들, 텔레비전들, 및 오디오/비디오 콘텐츠 라이브러리(content library)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및 예를 들어 그래픽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기 및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가장 많은 디바이스들은 아이템들을 표현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패널(panel)' 브라우저들을 이용한다. 브라우저들은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하기 위해, 아이템들의 제 1 목록이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1 목록으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하자마자, 아이템들의 제 2 목록이 제 1 목록 대신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계층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제공한다. 그와 같은 시스템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08/0059911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들로 구성되어 있는 제 1 메뉴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아티스트들 중 한 명을 선택하자마자, 선택된 아티스트에 의한 앨범들의 목록으로 구성되는 제 2 메뉴가 아티스트들의 목록 대신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상기 목록에서 앨범들 중 하나를 선택하자마자, 선택된 앨범에 있는 노래들의 목록으로 구성되는 제 3 메뉴가 앨범들의 목록 대신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는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후속 레벨이 상위 레벨에서 행해지는 선택에 따라 필터링(filtering)되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존의 브라우저들과 연관된 문제는 상기 브라우저들이 의도된 아이템(상기 예에서는 노래)에 도달할 때까지 계층의 상부(상기 예에서는 아티스트)로부터 노드(node)들을 통해 하부로 트래버스(traverse)하는 순차적인 액세스 방법을 행하도록 하는 점이다. 이는 이용자에게 시간 소모적이며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에 도달하기 위해 각각의 메뉴에서 모든 아이템들을 브라우즈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단 이용자가 의도된 아이템에 도달했다면, 이용자가 제 1 메뉴로부터 다른 메뉴를 선택하려고 하는 경우, 이용자는 제 1 메뉴로 돌아가기 위해 메뉴들 각각을 통해 역으로 내비게이팅(navigating)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유연하며, 이용하기 쉬운 브라우저를 제공해서 그와 같은 아이템들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브라우징되도록 하여 브라우저와의 상호 작용이 개선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아이템들은 복수의 계층 레벨들 내에 배열되고, 계층 레벨들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세트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들을 자신과 연관시키고, 상기 방법은: 제 1 계층 레벨 내에 있는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로서, 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보다 하위 레벨인, 상기 배열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의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아이템들은 복수의 계층 레벨들 내에 배열되고, 계층 레벨들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세트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을 자신과 연관시키며, 상기 장치는: 제 1 계통 레벨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배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기로서, 상기 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보다 더 낮은 레벨인,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레벨의 아이템들의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는 아이템들을 통하여 신속하게 브라우징하여 의도된 아이템들에 도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아이템들의 계층 레벨 또는 목록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아이템에 기초하여 재배열되기 때문이다. 하위 레벨들의 아이템들은 상위 레벨에서의 선택에 따라 필터링되지 않고, 상위 레벨에 따라 순서화된다. 이는 제 1 계층 레벨 내에서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한 후에,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에 도달하기 위해 제 1 계층 레벨로 되돌아올 필요없이 하위 계층 레벨로 나아갈 수 있다. 계층 레벨들의 정렬된 배열은 이용자에게 계층의 임의의 레벨에서 어느 때나 직접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브라우저와의 상호작용을 개선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은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세트가 먼저 기재(list)되도록 순서화된다.
제 2 계층 레벨보다 상위인 적어도 하나의 계층 레벨이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이용자가 다양한 레벨들을 보도록 함으로서, 이용자가 의도된 아이템을 찾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을 찾기 위해 상이한 메뉴들을 통하여 재-내비게이팅할 필요가 없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 내에 있는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 내에 있는 아이템들 중 선택된 하나와 연관되는 아이템들 중 하나를 하이라이팅(highlighting)함으로써 제 2 계층 레벨보다 상위의 계층 레벨에서 아이템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가 하위 레벨로부터의 아이템의 선택을 행할 때, 이용자는 상위 레벨로부터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되는 아이템들을 즉시 볼 수 있어서 이용자가 의도된 아이템을 찾는 것을 더 빠르고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이용자가 특정 레벨에서(예를 들어 음악 브라우저의 경우에 노래 레벨에서) 전체 컬렉션(collection)을 브라우징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는 간단히 상기 레벨 전체를 브라우징할 수 있고 이용자가 상기 레벨 내의 아이템들(또는 트랙들)을 브라우징할 때, 예를 들어 하위 레벨들은 이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레벨에서 이용자가 '경계'를 교차시키는 것처럼 이동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가 예를 들어 하나의 앨범으로부터 다음 앨범으로 노래들을 브라우징하고자할 때, 상기 이용자는 내비게이팅에서 어쩔 수 없는 '우회(detour)'를 행하지 않는다. 이용자는 간단히 노래 레벨들에서 노래들을 계속 스크롤(scroll)할 수 있고 이용자가 앨범 경계를 교차시키면, 인접한 연관된 컬럼(column)들은 자동으로 적응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배열하고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은 아이템들의 선택 시에 자동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통 레벨은 제 1 계통 레벨로부터의 아이템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재순서화(reordering)된다. 이는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전에 하위의(제 2) 계통 레벨에 있는 아이템들을 이용자가 관찰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을 찾는 것을 더 빠르게 한다. 예를 들어, 상위의(제 1) 계통 레벨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한 후에,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이 각각의 하위 계층 레벨을 스크롤하지 않고도 하위(제 2) 계층 레벨에서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의도된 아이템이 하위 계층 레벨에 나타나지 않을 때, 이용자는 간단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상위 계통 레벨로부터 새로운 선택을 행하여 상위 계층 레벨로 복귀하기 위해 각각의 하위 계통 레벨을 통하여 처음으로 다시 스크롤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하위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은 이용자의 상위 계층 레벨로부터의 새로운 선택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순서화되거나 재-정렬된다.
도 1은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의 간소화된 개략도.
도 2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예시도.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선택기(104)로의 입력을 위한 입력 단자(102)를 포함한다. 선택기의 출력은 디스플레이 구동기(105)의 입력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의 출력은 디스플레이(106)의 입력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106)는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 배열되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단계 202) 일부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 에어리어(area) 내에 보이도록 다른 아이템들은 보이지 않도록 한다. 계층 레벨들은 가장 높은 계층 레벨에서 가장 낮은 계층 레벨의 범위인 랭킹 또는 등급화된 급수로 아이템들을 배열한 것이다. 복수의 계층 레벨들의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특정 아이템들이 가장 높은 계층 레벨로부터 가장 낮은 계층 레벨에 이르는 범위의 특정 계층 레벨에서 나타나도록 한다. 아이템들의 계층 레벨들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6)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서 각각의 계층 레벨 내의 아이템들은 디스플레이(106) 상에 수직으로 기재된다.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을 자신과 연관시킨다.
이용자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 터치-스크린, 소프트키(softkey)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와 같은 상호 작용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106)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각각의 계층 레벨들 내의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단계 204). 이용자는 동일한 상호 작용 수단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기(104)는 입력 단말기(102)를 통해 그리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기(104)는 제 1 계층 레벨 내의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단계 206).
선택기(104)는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선택된 하나를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배열한다(단계 208).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세트들이 먼저 기재되도록 하는 순서로 배열한다. 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보다 하위의 레벨이다. 예를 들어, 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 또는 다시 하위로 디스플레이되는 레벨 바로 뒤에 디스플레이되는 레벨일 수 있다. 또한 제 2 계층 레벨은 제 1 계층 레벨보다 하위인 하나 이상의 계층 레벨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106)에 입력하고 디스플레이(106)는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10).
선택기(104)가 하위 레벨에 먼저 기재된 아이템들의 세트 내에 있는 아이템에 대응하지 않는 상위 레벨의 아이템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디스플레이(106)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하위 레벨 내에서 먼저 기재된 아이템들의 세트를 이동시키고 이를 정확한 아이템들의 세트(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된 아이템을 포함하는)로 대체한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재순서화한다. 이 방식으로, 상위 레벨 상에서의 아이템 변화는 하위 레벨들 상에서의 정렬을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순서에 따라 정렬하고 디스플레이(106)는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제 1 계층 레벨 내의 브라우징된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104) 상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선택기(104)는 입력 단자(102)를 통해 그리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기(104)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 내의(즉, 하위의 계층 레벨 내의)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기(104)는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선택된 하나를 디스플레이 구동기(105) 내로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아이템들 중 선택된 하나와 연관되는 제 2 계층 레벨보다 상위인 계층 레벨 내의 아이템들 중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아이템에 하이라이트를 적용한다.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는 하이라이팅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106)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06)는, 또한 다른 계층 레벨들 내에 적어도 일부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하이라이팅된 아이템을 이 상위의 계층 레벨 내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상위 레벨 상의 하이라이팅된 아이템에 대응하지 않는 하위 레벨의 아이템이 선택될 때, 아이템을 정정하기 위해 상위 레벨의 하이라이트가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템을 하이라이팅함으로써 자신을 상이하게 나타냄으로써 상기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으로부터 구분된다. 하이라이팅은 아이템이 사용자에게 더 가깝다는 환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이템을 상이한 컬러로 만들거나, 아이템 주변의 영역을 쉐이딩(shading)하거나, 아이템 주변 박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아이템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같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들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다른 하이라이팅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설명을 위한 예를 포함하는, 모든 도면들을 참조하여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음악 브라우저(300)는 제 1 계층 레벨(302), 제 2 계층 레벨(304) 및 제 3 계층 레벨(306)을 포함한다. 각각의 계층 레벨은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제 1 계층 레벨(302)은 복수의 아티스트들을 포함하고, 제 2 계층 레벨(304)은 복수의 앨범들을 포함하고, 제 3 계층 레벨(306)은 복수의 트랙들을 포함한다.
제 1 계층 레벨(302)은 가장 높은 계층 레벨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계층 레벨(302)에 있을 때, 이용자는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 터치-스크린, 소프트키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와 같은 상호 작용 수단을 이용하여 제 1 계층 레벨(302) 내의 아이템들(아티스트들)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제 1 계층 레벨(아티스트)을 브라우징하고 있다면(단계 204), 제 1 계층 레벨(302) 내의 아이템들은 다른 레벨들(앨범 및 트랙) 내의 아이템들에 비해 더 밝게(예를 들어 회색에 대조되는 하얀색) 나타나고 그리고 상기 아이템이 다른 레벨들의 아이템들에 비해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나서 상기 아이템들이 이용자에게 더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아이템들이 하이라이팅된다. 이용자가 아이템들을 통하여 스크롤할 때, 아이템 주위의 박스 형태인 하이라이트(300)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아티스트 "밥 딜런"으로 스크롤하면, 하이라이트(308)가 이동되어 하이라이트가 아티스트 "밥 딜런" 주위에 나타난다.
이용자는 제 1 계층 레벨(302)로부터의 하이라이트(308)에 의해 표시되는 하이라이팅된 아이템 "밥 딜런"을 선택한다(단계 206). 제 1 계층 레벨(302)로부터 하이라이팅된 아이템(308)을 선택하자마자, 제 2 계층 레벨(304)은 자신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재위치함으로써 선택된 하이라이팅된 아이템(308)에 속하는 앨범들의 세트(310)가 제 1 계층 레벨(302)과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한다(단계 208). 즉, 하이라이팅된 아이템(308)의 선택 시에, 선택된 하이라이팅된 아이템(308)에 속하는 앨범들의 세트(310)는 제 2 계층 레벨(304)에 먼저 나타나도록 배열된다. 제 3 계층 레벨(306)은 또한 자신의 아이템들을 재위치시킴으로써 선택된 하이라이팅된 아이템(308)의 앨범들(310)의 트랙들의 세트들이 제 1 및 제 2 계층 레벨들(302, 304)과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한다(단계 208). 예를 들어, 선택된 아이템(308)의 제 1 앨범(314)에 속하는 트랙들의 세트(312)는 제 3 계층 레벨(306) 내에서 먼저 나타나고, 선택된 아이템(308)의 제 2 앨범(318)에 속하는 트랙들의 세트(316)는 제 3 계층 레벨(306) 내에 두 번째에 나타나도록 하고, 기타 마찬가지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제 2 계층 레벨(304)(이 경우에 앨범)을 브라우징하면, 제 2 계층 레벨(304) 내의 아이템들은 다른 레벨들(아티스트 및 트랙) 내의 아이템들보다 더 밝고 크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하이라이팅된다. 이용자가 아이템들을 통해 스크롤하면, 하이라이트(320)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앨범 "Dylan & The Dead"로 스크롤하고, 따라서 앨범 "Dylan & The Dead"이 하이라이팅된다.
이용자가 제 3 계층 레벨(306)의 아이템들(트랙들)을 브라우징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프로세스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제 3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을 통하여 스크롤하고 "Dylan & The Dead" 앨범의 "트랙 1"(322)이 경계(323)를 교차시키면, 제 2 계층 레벨(304)에서의 하이라이트(320)는 제 1 앨범 "Blonde on Blonde"로부터 "Dylan & The Dead"으로 이동된다. 즉, 제 2 계층 레벨(304)은, 제 2 계층 레벨(304) 내에서 하이라이팅된 앨범이 제 3 계층 레벨(306)에서 현재 선택된/하이라이팅된 트랙(322)과 연관되는 앨범이 되도록, 자신의 아이템들(앨범들)을 재정렬하여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제 3 계층 레벨(306) 내의 하이라이트(324)를 예를 들어 "Dylan & The Dead"의 트랙 7로부터 "Highway 61"의 트랙 4로 이동시킬 때, 제 2 계층 레벨(304)에서의 하이라이트(326)는 "Dylan & The Dead"으로부터 "Highway 61"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
이 방식으로,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을 찾기 위해 어떤 아이템들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는데, 왜냐하면 각각의 목록(아티스트, 앨범, 및 트랙들)에서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 1 계층 레벨(예를 들어 "아티스트")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하면, 제 1 레벨보다 하위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레벨에서의 아이템들(예를 들어, "앨범" 및/또는 "트랙")의 세트들이 선택된 아이템에 기초한 순서로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의 계층 레벨 또는 아이템들의 목록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에 기초하여 재배열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의도된 아이템에 도달하기 위해 아이템들을 통하여 신속히 브라우징할 수 있다. 하위레벨들의 아이템들은 상위 레벨 상에서의 선택에 따라 필터링되지 않지만, 상위 레벨에 따라 순서화된다. 이는 이용자가 의도된 아이템을 찾기 위해 모든 메뉴를 통하여 스크롤할 필요가 없고, 대신에 각각의 아이템이 훨씬 더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계층 레벨들의 정렬된 배열은 이용자에게 언제라도 계층의 임의의 레벨에 직접적인 액세스를 제공하여, 브라우저와의 상호 작용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들로 예시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음 청구항들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확한 바대로 '수단'은 특정 기능을 동작 시에 재생하거나 재생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하드웨어(별개의 또는 집적 회로들 또는 전자 소자들과 같은) 또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들 또는 프로그램들의 일부들과 같은)를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기능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기능들과 공동인 상태이고, 상기 소자는 독자적으로 또는 다른 소자들과 공동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개별 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그리고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청구항에서, 이 수단들 중 여러 수단은 하드웨어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아이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한,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시장 구입 가능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02 : 입력 단자 104 : 선택기
105 : 디스플레이 구동기 106 : 디스플레이

Claims (7)

  1.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아이템들은 복수의 계층 레벨들 내에 배열되고, 상기 계층 레벨들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들의 세트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들을 자신과 연관시키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 제 1 계층 레벨 내에 있는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206);
    -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상기 아이템들 중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계층 레벨은 상기 제 1 계층 레벨보다 하위 레벨인, 상기 배열 단계(208);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의 상기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2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들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세트가 먼저 기재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의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상기 순서화된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제 1 계층 레벨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 내의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 내의 상기 아이템들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되는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를 하아라이팅(highlighting)함으로써 상기 제 2 계층 레벨보다 상위의 계층 레벨에 있는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배열하고 상기 아이템들의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자마자 자동화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코드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 복수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아이템들은 복수의 계층 레벨들 내에 배열되고, 상기 계층 레벨들 각각은 복수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들의 세트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아이템은 다른 계층 레벨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템을 자신과 연관시키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 제 1 계통 레벨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206)하기 위한 선택기(104);
    -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레벨의 적어도 2개의 아이템들의 세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의해 결정되는 순서로 배열(208)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기(105)로서, 상기 제 2 계층 레벨은 상기 제 1 계층 레벨보다 더 낮은 레벨인,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기;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레벨의 아이템들의 순서화된 세트들을 디스플레이(210)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6)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7003894A 2008-07-23 2009-07-15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 KR10163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0930.7 2008-07-23
EP08160930 2008-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534A true KR20110041534A (ko) 2011-04-21
KR101630869B1 KR101630869B1 (ko) 2016-06-16

Family

ID=4101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894A KR101630869B1 (ko) 2008-07-23 2009-07-15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18706B2 (ko)
EP (1) EP2308048A1 (ko)
JP (1) JP5896741B2 (ko)
KR (1) KR101630869B1 (ko)
CN (1) CN102105938B (ko)
BR (1) BRPI0911028A2 (ko)
MX (1) MX2011000712A (ko)
RU (1) RU2528147C2 (ko)
TW (1) TWI446254B (ko)
WO (1) WO2010010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9142B2 (en) * 2009-12-04 2014-04-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searching capabilities
US9116872B1 (en) * 2011-01-25 2015-08-25 Intui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data sets to fields in electronic forms
CN104813680A (zh) * 2012-09-28 2015-07-29 汤姆逊许可公司 基于背景的内容推荐
DE102012021627A1 (de) * 2012-11-06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nzeige
CN104423811B (zh) * 2013-09-06 2019-05-28 阿尔派株式会社 内容检索装置及内容检索方法
JP2017174037A (ja) * 2016-03-23 2017-09-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426415B (zh) * 2017-08-31 2020-10-27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一种生成级联选择器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103A (ja) * 2000-11-29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
JP2007508636A (ja) * 2003-10-14 2007-04-05 ミュージックアイピ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音楽推薦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333895A (en) * 1993-11-30 1995-06-19 Raymond R. Burke Computer system for allowing a consumer to purchase packaged goods at home
US5689667A (en) * 1995-06-06 1997-11-18 Silicon Graphics, Inc. Methods and system of controlling menus with radial and linear portions
US6236400B1 (en) * 1998-04-02 2001-05-22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hierarchical information
US6448987B1 (en) * 1998-04-03 2002-09-10 Intertainer, Inc.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ing circular menus
WO2000013104A1 (en) * 1998-08-26 2000-03-09 Symtec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mapping data files
US6466918B1 (en) * 1999-11-18 2002-10-15 Amazon. 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osing popular nodes within a browse tree
US7035864B1 (en) * 2000-05-18 2006-04-25 Endeca Technologies, Inc. Hierarchical data-driv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US6690391B1 (en) *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US8032506B1 (en) * 2000-08-25 2011-10-04 Andrej Gregov User-directed product recommendations
US7667123B2 (en) * 2000-10-13 2010-02-23 Phillips Mark E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playlist selection in a portable audio device
US6990638B2 (en) * 2001-04-19 2006-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hading layers and highlighting to navigate a tree view display
JP2003050816A (ja) * 2001-08-03 2003-02-21 Sony Corp 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US7111788B2 (en) * 2002-04-22 2006-09-2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pplication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66791B2 (en) *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US7337401B2 (en) * 2002-12-18 2008-02-26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element representation with simplified view
US7657457B2 (en) * 2003-01-30 2010-02-02 Razumov Sergey 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duct ordering in retail system
JP2004295159A (ja) * 2003-02-07 2004-10-21 Sony Corp アイコン表示システム、アイコン表示方法、電子機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20050044509A1 (en) * 2003-05-07 2005-02-24 Hunleth Frank A. Item selection using helical menus
JP4305745B2 (ja) 2003-08-28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させた記憶媒体
US7496583B2 (en) * 2004-04-30 2009-02-24 Microsoft Corporation Property tree for metadata navigation and assignment
US20060020904A1 (en) * 2004-07-09 2006-01-26 Antti Aaltonen Stripe user interface
US20060059425A1 (en) * 2004-09-14 2006-03-16 Anspach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select hierarchically arranged data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WO2007046343A1 (ja) * 2005-10-17 2009-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メニュー表示方法
AU2005239672B2 (en) * 2005-11-30 2009-06-11 Canon Kabushiki Kaisha Sortable collection browser
KR100825871B1 (ko) * 2006-06-28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8009781A (ja) * 2006-06-29 2008-01-17 Alpine Electronics Inc 表示制御装置
US20080059911A1 (en) * 2006-09-01 2008-03-06 Taneli Kulo Advanced player
US7660749B2 (en) * 2006-09-29 2010-02-09 Apple Inc.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representing visitor activity in an online store
US7992106B2 (en) * 2007-01-08 2011-08-02 Varia Holdings Llc Menu trails for a portable media player
US8549407B2 (en) * 2007-12-05 2013-10-01 Ebay Inc. Multi-dimensional dynamic visual brows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103A (ja) * 2000-11-29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
JP2007508636A (ja) * 2003-10-14 2007-04-05 ミュージックアイピ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音楽推薦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6741B2 (ja) 2016-03-30
KR101630869B1 (ko) 2016-06-16
RU2011106792A (ru) 2012-08-27
RU2528147C2 (ru) 2014-09-10
EP2308048A1 (en) 2011-04-13
BRPI0911028A2 (pt) 2016-06-07
CN102105938B (zh) 2016-09-21
US9418706B2 (en) 2016-08-16
MX2011000712A (es) 2011-02-24
TW201013513A (en) 2010-04-01
JP2011529216A (ja) 2011-12-01
WO2010010483A1 (en) 2010-01-28
CN102105938A (zh) 2011-06-22
TWI446254B (zh) 2014-07-21
US20110131530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63B2 (en) Arranging tiles
US8756525B2 (en)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078331B2 (ja) ブラウジング装置の制御方法、グラフィックメニュー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33900B2 (en)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453914B1 (ko) 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296656B2 (en) Media manager with integrated browsers
US8806380B2 (en) Digital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04839A1 (en) User-customized computer display method
KR20110041534A (ko)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서의 음악 메타데이터의 디스플레이
US10482121B2 (en)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games
US20080062141A1 (en)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EP19263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US20100318939A1 (en) Method for providing list of content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TW201239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 hierarchical menu based user interface
EP168185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content search
US20070214434A1 (en)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10028521A (ko) 링크의 비 마우스 기반 활성화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70256012A1 (en) User interface for browsing content,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and content browsing apparatus
WO2010143105A1 (en) User interface for list scro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