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230A -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230A
KR20110040230A KR1020090097412A KR20090097412A KR20110040230A KR 20110040230 A KR20110040230 A KR 20110040230A KR 1020090097412 A KR1020090097412 A KR 1020090097412A KR 20090097412 A KR20090097412 A KR 20090097412A KR 20110040230 A KR20110040230 A KR 2011004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fixing
film
hea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홍
임정혁
박준기
이동면
Original Assignee
(주)탑나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나노시스 filed Critical (주)탑나노시스
Priority to KR102009009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230A/ko
Publication of KR2011004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T 코팅필름 제조시, 원활한 CNT 코팅을 위해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필름 고정장치와, 필름 고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고정장치는,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일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타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2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이동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이송부와, 상기 히팅부의 가열시 베이스 필름의 신장율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프레임, 클램프, 히팅부, CNT, 필름

Description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DEVICE AND MEHOD FOR FILM HO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BY THE FILM HOLING METHOD}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이하 'CNT'라 함)를 코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활한 코팅을 위해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필름 고정장치, 필름 고정방법, 및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T는 통상 흑연면으로 이루어진 직경 1 내지 20㎚ 정도의 원통형 구조로서, 튼튼하고 평탄한 육각형 판상막 구조의 독특한 결합배열을 가지며 나선모양으로 감기면서 CNT를 형성한다.
상기 판상막의 상,하부는 자유전자로 채워져 있으며 자유전자는 이산상태에서 막과 평행한 상태로 운동을 한다. CNT의 전기적 특성은 구조와 직경의 차이에 따라 절연체로부터 반도체, 금속성까지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CNT의 나선형 또는 키랄성(chirality)이 변할 경우 자유전자의 운동방식이 바뀌게 되고, 그 결과 자유전자의 운동이 완전히 자유로워져 CNT가 금 속과 같은 도체적 성질을 갖게 되거나, 또는 극복해야 될 배리어(barrier)의 존재로 인해 반도체적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 상기 배리어의 크기는 튜브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며, 최소 직경에서 1eV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서, CNT는 전기 전도도가 구리와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강철의 10만배에 이르는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CNT는 역학적 견고성과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반도체와 도체의 성질을 모두 띨 수 있으며,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며 속이 비어있다는 특성 때문에, 평판표시소자, 트랜지스터, 에너지 저장체 등의 소재로서 뛰어난 성질을 보이고, 나노크기의 각종 전자소자로서의 응용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CNT의 다양한 활용 범위에서 CNT를 전극 패턴이나 전극 면으로 사용하면서, CNT의 미세성에 기인한 투명성을 활용할 경우 다양한 용도의 전극을 다양한 대상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CNT를 필름에 코팅한 CNT 코팅 필름이 등장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전자 차폐나 대전방지 점착 시트, 디스플레이의 전극이나 발광부, 전자 종이의 투명 전극, 투명 히터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CNT 코팅 필름의 제조과정을 크게 3단계로 나누면, 베이스 필름을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서 고정하는 단계와, 베이스 필름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가열된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CNT를 코팅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코팅전에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는 이유는 습식코팅시 실시간 건조시켜 코팅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PET 등 열가소성 소재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에 열을 가하게 되면 필름의 변형이 발생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고정된 베이스 필름이 열변형에 의해서 주름져서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부피가 변하더라도 그 표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필름 고정장치, 방법 및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필름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되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름 고정장치, 필름 고정방법 및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고정장치는,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일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타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2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이동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이송부와, 상기 히팅부의 가열시 베이스 필름의 신장율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베이스 필름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받침부상의 베이스 필름을 고정 및 해제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부상의 베이스 필름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동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와 누름부는 그 접촉면이 상호 대응되는 곡면 또는 절곡면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필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고정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펼친 상태로 양측을 고정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제2단계와,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신장율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을 당겨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는, 베이스 필름의 소재별로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된 베이스 필름의 소재에 대한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베이스 필름을 펼친 상태로 양측을 고정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제2단계와,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을 당겨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은 열가소성 필름이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CN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단계에서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가열하는 온도는, 제4단계에서 가하는 온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의 가열과정에서 부피가 변하더라도 그 표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후 CNT 코팅과정에서 원활한 코팅이 가능하며 양질의 코팅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표면의 평평도에 대한 즉각적인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이후에 별도의 보정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신속하게 코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전에 베이스 필름의 소재별로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가열과정에서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된 베이스 필름의 소재에 대한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고정장치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와, 히팅부(50)와, 이송부(4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컨베이어 등의 이동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서 이송되면서, 이에 고정된 베이스 필름(F, 도 4 참조) 상에 각종 작업이 행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베이스 필름 상에 CNT를 코팅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고정 한 메인 프레임(10)이 코팅영역으로 이송되어서 CNT 코팅 작업이 행해지게 된다.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베이스 필름(F, 도 4 참조)의 일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1고정부(20)와, 상기 제1고정부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타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2고정부(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고정부(20)(30)의 사이에는 베이스 필름의 밑면을 가열하는 히팅부(50, 도 5 참조)가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10)에는 상기 제2고정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이송부(40)가 구비되며, 상기 히팅부의 가열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30)는, 메인 프레임(10)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끝단을 지지하는 받침부(310)가 구비된 지지대(31)와, 상기 받침부상의 베이스 필름을 고정 및 해제하는 클램프(3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부(310)상의 베이스 필름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321) 및 상기 누름부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동하는 엑츄에이터(320)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321)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동시키는 기구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서 단순히 엑츄에이터가 상기 누름부(321)를 수평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정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동할 수 있다.
이와 다른 가동 기구로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츄에이터(320)는 실린더이고, 엑츄에이터(320)와 누름부(321) 사이를 연결하는 시소(324)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지지대(31)에 결합되며 승하강 가능한 로드(320a)를 포함한다. 시소(324)의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320a)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누름보(321)와 결합되며, 중앙부는 시소축에 연결되어서 실린더 로드(320a)의 승하강 운동에 맞추어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보(321)를 전후방 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20)는, 상기 제2고정부(30)와 달리 메인 프레임(1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와 클램프(2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제2고정부와 같이 받침부(미부호)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는 누름부(미부호) 및 엑츄에이터(미부호)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40)는, 제2고정부(30)의 지지대(31)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봉(42)과, 메인 프레임(10)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직진운동을 잡아주는 하우징(41)과, 상기 지지대에 동력을 전달하여 전후진 동작을 구현하는 엑추에이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지지대(31)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제1,2고정부(20)(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하우징(41)에 유/공압 설계를 적용하여 가이드봉(42)을 피스톤과 같이 작동시킬 수 도 있고,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작동시킬 수 도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하측에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는 기구에 대하여 도 3을참조하여 설명하면, 히팅부(50, 도 5 참조)가 상기 베이스 필름 폭에 맞추어서 큰 폭을 가지고 있도록 하여서, 상기 베이스 필름 전체를 동시에 히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히팅부의 외곽에 이송부(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40)는 간격조절 베이스(46)와, 간격조절 봉(48)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 베이스(46)는 상기 히팅부(50)를 적어도 일측 및 타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승강 실린더(45)에 의하여 승, 하강한다.
간격조절 봉(48)은 상기 간격조절 베이스I46)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수평 실린더(47) 등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 봉(48)은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봉(42)에 대응하여 형성된 간격 조절용 홀(14; 도 2 참조)을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메인 프레임(10; 도2 참조)이 베이스 필름(F; 도 4a 참조)을 느슨하게 지지한 후에, 일정 위치로 전진하게 되면, 히팅부(40)와 함께 간격조절 베이스(46)가 상승하여서, 상기 간격조절 베이스(46)에 장착된 간격조절 봉(48)이 간격 조절용 홀(14; 도 2 참조)을 관통하여서 상기 지지대(31)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간격조절 봉(48)이 수평 실린더(47)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31)를 밀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히팅부의 히팅에 맞추어 적절 장력을 가지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필름의 고정 및 해제, 제1,2고정부 사이의 간격조정을 위한 엑츄에이터로 유/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였으나, 당업자는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실린더류 또는 모터류를 적용하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a,b는 필름의 클램핑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2고정부를 예시하여 베이스 필름의 고정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F)의 일측 끝부분을 받침부(310)와 누름부(321)의 사이에 삽입하고, 엑츄에이터(320)를 작동시키면 상기 누름부(321)가 상기 받침부(310)에 밀착하면서 베이스 필름(F)을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받침부(310)와 일정 경사, 도면에서는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바닥부(315)가 형성되어서, 베이스 필름(F)이 받침부(310)와 누름부(321)의 사이에 삽입되는 정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받침부(310)와 누름부(321)의 사이에 삽입시키다가, 베이스 필름의 일단이 상기 바닥부(315)와의 접촉에 의하여 더 이상 원활히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 때에 베이스 필름(F)이 받침부(310)와 누름부(321)의 사이에 삽입되는 작업이 완료 된다.
이때, 받침부(310)와 누름부(321)의 접촉면을 상호 대응되는 곡면이나 절곡면으로 형성하면, 그 사이에 삽입된 베이스 필름(F)은 넓은 접촉면적으로 인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상기 받침부(310)의 측면은 상기 베이스 필름(F)의 중심부로 볼록하도록, 다시 말하면 수직 측면에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누름부(321)는 상기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스 필름이 펴지는 방향에서 역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눌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누름부에 의하여 눌러질 때 보다 확 실히 고정시킬 수 있어서, 베이스 필름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보다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필름의 히팅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50)는 제1,2고정부(20)(30)의 사이에 구비되는데, 베이스 필름(F)의 밑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판상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별도의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진다.
우선, 제1,2고정부(20)(30)에 의해 베이스 필름(F)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히팅부(50)가 상승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밑면에 밀착되고 그 상태에서 균일한 온도로 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가열과정에서 PET 등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은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게 되는데, 그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제2고정부(30)가 서서히 이동하여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편평하게 당겨준다.
여기서 가열과정이란, 가열을 시작하기 직전의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고정부(30)가 베이스 필름을 편평하게 당겨주기 시작한 뒤에, 히팅부(50)가 상승하면서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히팅부(50)가 상승하면서 가열을 시작한 후에, 제2고정부(30)가 베이스 필름을 편평하게 당겨주기 시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히팅부(50)가 하강하여도 베이스 필름은 쳐짐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상태로 즉시 코팅단계로 진입하여 원활한 CNT 코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히팅부의 히팅온도는, 후에 CNT 코팅을 위하여 베이스 필름에 가해주는 온도와 동일하도록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 필름이 상기 코팅시에 베이스 필름의 늘어짐에 맞추어 편평하게 되게 되어, CNT 코팅시에 베이스 필름의 편평도를 적정하게 할 수 있어서 보다 우수한 코팅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필름의 소재별로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를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로딩된 베이스 필름의 소재를 입력시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된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에 따라 제2고정부(30)의 이동량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가 사전에 베이스 필름의 소재를 입력만 하면, 전공정이 자동화되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고정부의 간격조정을 위해 일측 즉 제2고정부를 이동하도록 구현하였으나, 제2고정부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1고정부를 이동하여도 무방함은 물론, 제1,2고정부를 모두 이동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펼친 상태로 양측을 고정하는 제1단계와,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제2단계와,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을 당겨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PET 등의 열가소성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필 름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기 위해서는 코팅력 향상을 위하여 일정한 열을 가하여야 하는데, 베이스 필름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코팅시에 변형이 발생하고, 편평하게 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코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은 코팅 전에 먼저, 베이스 필름상에 일정한 온도를 가하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필름이 코팅단계에서 편평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투명 전도성 필름의 완성후의 전도도 및 전도성 물질의 부착력이 우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물질은 CNT, ITO 등의 공지된 전도성을 가진 물질일 수 있다. 특히 CNT의 경우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전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므로, CNT를 전극 패턴이나 전극 면으로 사용하면서 CNT의 미세성에 기인한 투명성을 활용할 경우 다양한 용도의 전극을 다양한 대상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단계에서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가열하는 온도는, 제4단계에서 가하는 온도와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송부의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a,b는 필름의 클램핑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필름의 히팅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메인프레임
20: 제1고정부 21: 지지대
22: 클램프
30: 제2고정부 31: 지지대
310: 받침부 32: 클램프
320: 엑츄에이터 321: 누름부
40: 이송부 41: 하우징
42: 가이드봉
50: 히팅부

Claims (9)

  1.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일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베이스 필름의 타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2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이동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이송부와;
    상기 히팅부의 가열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부는,
    베이스 필름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받침부상의 베이스 필름을 고정 및 해제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부상의 베이스 필름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동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누름부는 그 접촉면이 상호 대응되는 곡면 또는 절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장치.
  5. 베이스 필름을 펼친 상태로 양측을 고정하는 제1단계;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제2단계; 및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을 당겨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소재별로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된 베이스 필름의 소재에 대한 변형 또는 신장율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고정방법.
  7. 베이스 필름을 펼친 상태로 양측을 고정하는 제1단계;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는 제2단계;
    가열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변형 또는 신장율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을 당겨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열가소성 필름이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C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가열하는 온도는, 제4단계에서 가하는 온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KR1020090097412A 2009-10-13 2009-10-13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KR20110040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412A KR20110040230A (ko) 2009-10-13 2009-10-13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412A KR20110040230A (ko) 2009-10-13 2009-10-13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230A true KR20110040230A (ko) 2011-04-20

Family

ID=4404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412A KR20110040230A (ko) 2009-10-13 2009-10-13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02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92B1 (ko) * 2012-09-20 2014-02-25 한국성전(주) 투명도전성 필름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한 투명도전성 필름 착탈 장치
KR20200112392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로보스타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클램핑 장치
KR20210132411A (ko) * 2020-04-27 2021-11-04 김태원 캐리어 필름 클램프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92B1 (ko) * 2012-09-20 2014-02-25 한국성전(주) 투명도전성 필름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한 투명도전성 필름 착탈 장치
KR20200112392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로보스타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클램핑 장치
KR20210132411A (ko) * 2020-04-27 2021-11-04 김태원 캐리어 필름 클램프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104B1 (ko) 태빙장치의 와이어 이재장치
JP4178249B2 (ja) 有機物蒸着装置およびその蒸着方法
US8027086B2 (en) Roll to roll nanoimprint lithography
CA2611436C (en) Method and device for nano-imprinting
CN101958394B (zh) 电致伸缩复合材料及电致伸缩元件
KR20110040230A (ko) 필름 고정장치, 필름고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JP2014080645A (ja) 基板保持装置
CN1965612B (zh) 基板沉积方法和有机材料沉积装置
CN1868871A (zh) 碳纳米管结构及其成形方法
US10734181B1 (en) Carbon nanotube field emit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89174A (ko) 기판의 클램핑 장치
EP2665087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ene using light and graphen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120034284A (ko) 롤투롤 시스템에서 투명전극 필름 제조방법
CN102017789A (zh) 发热体单元及加热装置
KR20110043191A (ko) 코팅 피착 기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코팅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필름 제조방법
KR20180124097A (ko) 기판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100885670B1 (ko) 자동이송방식을 이용한 고온엠보싱 장치
CN209149873U (zh) 一种用于电缆生产拉丝装置
JP5373825B2 (ja) フレキシブルフィルムのパターニングシステム
KR102272990B1 (ko) 인쇄장치의 인압을 제어하는 인압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압 제어방법
JP2008300534A (ja)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JP3876131B2 (ja) MoSi2製弧状ヒータ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704275B2 (ja) ランプ取付装置、加熱装置
JP2013030333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852476B2 (ja)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