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61A -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61A
KR20110040061A KR1020090097187A KR20090097187A KR20110040061A KR 20110040061 A KR20110040061 A KR 20110040061A KR 1020090097187 A KR1020090097187 A KR 1020090097187A KR 20090097187 A KR20090097187 A KR 20090097187A KR 20110040061 A KR20110040061 A KR 2011004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unit
analog
range detecto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섭
김원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061A/ko
Publication of KR2011004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34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 H03M1/36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imultaneously only, i.e. parallel type
    • H03M1/361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imultaneously only, i.e. parallel type having a separate comparator and reference value for each quantisation level, i.e. full flash converter type
    • H03M1/362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imultaneously only, i.e. parallel type having a separate comparator and reference value for each quantisation level, i.e. full flash converter type the reference values being generated by a resistive voltage divid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2Provisions or arrangements for saving power, e.g. by allowing a sleep mode, using lower supply voltage for downstream stages, using multiple clock domains or by selectively turning on stages when need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분배에 의해 기준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메인 클럭신호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신호가 전압 분배부에서 나온 출력전압의 범위에 들어갈 때에 해당 범위를 감지하고 해당 범위에서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2개의 차동 기준전압 및 차동 아날로그 신호 2개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1 전단증폭부; 비교부로부터 넘어오는 킥백 노이즈를 막아주며,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제 1 전단증폭부로부터 2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2 전단증폭부; 상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로부터 클럭소스를 입력받으며, 3개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비교기가 상기 제 2 전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증폭신호를 상기 클럭소스를 바탕으로 동기화시키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발생하는 버블에러를 보정하는 버블에러 보정부; 버블에러가 보정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인코더부; 및 메인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코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메인 클럭신호에 따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 를 포함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레인지 디텍터 회로, 인코딩

Description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ING DIGITAL RANGE DETECTOR CIRCUIT}
본 발명은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비교기열 중에서 일부 비교기단에만 선택적으로 클럭을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회로에서 아날로그 입력 전압 범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입력 전압 범위일 때만 비교부를 구동시켜, 전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동적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저전력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회로설계 기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고속, 저전력 장비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UWB(Ultra Wide-Band) 통신 시스템의 BB(Base-Band)단에는 고속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트랜시버 전단부에 고속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한 신호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신단에 사용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8비트 이하의 해상도, 1GS/s 이상의 고속의 데이터 변환속도를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구조 중 가장 빠른 구조인 플래쉬 구조가 이용된다.
완전 병렬구조로도 알려진 플래쉬 A/D 변환기는 기본적으로 가장 빠른 구조이며 개념상 이해하기도 쉬운 구조이다.
기존에 나와있는 플래쉬 A/D 변환기는 크게 저항열, 1, 2단 전단증폭기, 옵셋 평준화부, 비교기, 인코더로 구성된다.
간단히 플래쉬 A/D 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입력 신호 Vin은 각 전단증폭기의 한쪽 입력단에 인가되고, 아날로그 신호와 비교되는 기준전압은 다른 쪽 입력단에 인가된다. 여기서, 각 기준전압은 입력 신호의 full-scale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 Vref를 저항열을 사용하여 2N개로 나누어진 전압이다. 전단증폭기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와 기준전압과의 차이를 일정한 전압이득으로 증폭하여 비교기에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전단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N-비트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한 클럭 주기 안에 얻기 위해 모든 비교기는 동시에 동작하여 입력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킨다. 각 비교기는 입력신호가 기준전압보다 크면 "1"을, 작으면 "0"을 출력하기 때문에 플래쉬 A/D 변환기 출력은 입력 신호보다 작은 기준전압을 받아들이는 비교기까지 "1"을 출력하는 온도계 코드 형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A/D 변환기의 온도계 코드는 인코딩을 쉽게 하기 위해 온도계 코드 검출기를 통해 1-of-n 코드로 바꾸어진다. 끝으로 인코더는 온도계 코드 검출기에 의해 변환된 1-of-n 코드 출력을 주로 이진 혹은 그레이 코드 등으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플래쉬 A/D 변환기 구조는, 입력 신호에 대해 모든 비교기가 동시에 결과를 출력하므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한 클럭 주기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플래쉬 A/D 변환기는 다른 구조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단지 플래쉬 A/D 변환기의 속도는 전단증폭기, 비교기 및 사용되는 로직의 속도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전단증폭기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은 Vref와 접지 사이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열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성된 기준전압은 접지로부터 저항 수가 늘어날수록 기준전압도 증가하는 단조성의 장점을 지니며, 이 특성이 DNL을 작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플래쉬 A/D 변환기는 면적 및 전력 소모 측면에서 단점을 가진다. 플래쉬 A/D 변환기에 사용되는 비교기의 수는 해상도 N-비트에 대해 2N-1개의 지수함수로 비례하기 때문에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플래쉬 A/D 변환기의 경우, 많은 수의 비교기에 의해 면적 및 전력 소모가 커지고 입력 커패시턴스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교기에는 고속의 클럭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동적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 범위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입력 전압 범위일 때만, 비교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전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동적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저전력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분배에 의해 기준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 메인 클럭신호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신호가 전압 분배부에서 나온 출력전압의 범위에 들어갈 때에 해당 범위를 감지하고 해당 범위에서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전압 분배부로부터 2개의 차동 기준전압 및 차동 아날로그 신호 2개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1 전단증폭부; 비교부로부터 넘어오는 킥백 노이즈를 막아주며,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제 1 전단증폭부로부터 2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2 전단증폭부; 상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로부터 클럭소스를 입력받으며, 3개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비교기가 상기 제 2 전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증폭신호를 상기 클럭소스를 바탕으로 동기화시키는 비교부; 상기 비교 부에서 발생하는 버블에러를 보정하는 버블에러 보정부; 버블에러가 보정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인코더부; 및 메인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코더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메인 클럭신호에 따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아날로그 입력신호의 해당 범위에서만 메인 비교기단에 클럭을 공급하여 전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동적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분배부(100),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 제 1 전단증폭부(300), 제 2 전단증폭부(400), 옵셋 평준화부(500), 비교부(600), 버블에러 보정부(700), 인코더부(800) 및 동기화 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압 분배부(100)는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분배에 의해 기준전압을 분배한다.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는 메인 클럭신호(CLK)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을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신호(Vin)가 전압 분배부(100)에서 나온 출력전압의 범위에 들어갈 때에 해당 범위를 감지하고 해당 범위에서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 전단증폭부(300)는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차동 기준전압 및 차동 아날로그 신호 2개를 입력받아 증폭시킨다.
제 2 전단증폭부(400)는 비교부(600)로부터 넘어오는 킥백 노이즈를 막아주며,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제 1 전단증폭부(300)로부터 2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킨다.
옵셋 평준화부(500)는 제 1 전단증폭부(300)와 제 2 전단증폭부(400) 사이에 위치하여, 옵셋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비교부(600)는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로부터 클럭소스를 입력받으며, 3개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비교기가 제 2 전단증폭부(400)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증폭신호를 상기 클럭소스를 바탕으로 동기화시킨다.
버블에러 보정부(700)는 비교부(600)에서 발생하는 버블에러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부(800)는 버블에러가 보정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기화부(900)는 메인 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인코더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메인 클럭신호에 따라 동기화시킨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에 관한 세부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 및 클럭 분배단(220)을 포함한다.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은 메인 클럭신호(CLK)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을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가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터 출력된 2개의 기준전압 사이를 통과할 때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킨다.
클럭 분배단(220)은 비교부(600)의 부하를 고려하여,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에서 출력되는 나오는 클럭신호를 버퍼링 하여 비교부(600)에 공급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의 회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디텍터부(211), 서브 래치부(212) 및 메인 래치부(213)로 구성된다.
우선, 레인지 디텍터부(211)는 메인 클럭신호(CLK), 1개의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2개의 기준전압 입력 ref1, ref2를 받으며, 아날로그 입력신호와 기준전 압 입력들을 비교 연산한 후, 해당 출력신호를 서브 래치부(212) 및 메인 래치부(213)로 보낸다.
여기서 레인지 디텍터부(211)는, 차동 증폭기 형태의 레인지 디텍터부(211)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인 MN5 및 MN6 트랜지스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1, ref2를 입력받는 MN1, MN2, MN3 및 MN4 트랜지스터, 서브 래치부(212)와 메인 래치부(213)에 비교 연산된 출력신호를 보내주기 위한 MP1, MP2, MP3 및 MP4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서브 래치부(212)는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2의 비교 연산된 결과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메인 래치부(213)의 전체 작동 유무를 결정하는 컨트롤 신호(메인 래치부(213)의 MN14 트랜지스터를 온/오프(On/Off)시키는 컨트롤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 기준전압 ref2일 경우, 메인 래치부(213)의 MN14 스위치를 오프(Off)시킴으로써, 메인 래치부(213)에서 클럭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서브 래치부(212)는, 정궤환 구조를 이루며, 래치의 이득을 높이는 MN7, MN8, MN9 및 MN10 트랜지스터, 출력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레벨 쉬프트 트랜지스터인 MN11 트랜지스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연산된 결과를 입력받는 MP5 및 MP6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여 있다.
그리고, 메인 래치부(213)는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1의 비교 연산된 결과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부(600)에서 사용될 펄스 형태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메인 래치부(213)는, 작동 유무를 결정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인 MN14 트랜지스터, 정궤환 구조를 이루며, 래치의 이득을 높이는 MN12 및 MN13 트랜지스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연산된 결과를 입력받는 MP7 및 MP10 트랜지스터, 메인 클럭신호(CLK) 받아서 출력 옵셋을 상쇄시키는 이퀄라이져 트랜지스터인 MP11 트랜지스터, 딜레이된 클럭신호(CLKD)를 받아서 리셋과 프리-차지를 담당하는 MP8 및 MP9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기준전압 ref1<ref2 이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이 ref1 아래에서부터 ref2 위로 향하는 램프형태의 아날로그 입력이라고 가정한다. Vin<ref1<ref2 일때는 비교기의 동작원리상 서브 래치부(212), 메인 래치부(213) 모두 Low 출력을 내보내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이 ref1<Vin<ref2로 이동하면, Vin이 ref1보다 커지기에 메인 래치부(213)에서는 클럭 형태의 출력을 발생한다.
다시 ref1<ref2<Vin 으로 Vin이 이동하면 Vin이 ref2보다 커지기 때문에 서브 래치부(212)에서 컨트롤 신호 Low를 내보내며, 이 신호는 메인 래치부(213)의 스위치 MN14 트랜지스터를 오프(Off)시켜서 메인 래치부(213)에서 더 이상 클럭 형태의 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의 회로는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이 두 개의 기준전압(ref1,ref2) 사이에 있을때만 클럭 형태의 출력을 내보내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가 4개인 경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에서 나오는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램프 아날로그 입력신호(A), 사인 아날로그 입력신호(B)를 입력으로 하였을 때, 아날로그 입력신호의 레벨에 따라 클럭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 은 기존의 플래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회로를 적용한 플래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동적 소비전력을 비교한 표이다. [표 1] 에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인 플래쉬 A/D 변환기에 비해 제안한 플래쉬 A/D 변환기는, 아날로그단 소비전력은 4.8%가 증가하였으며, 디지털단 소비전력은 1/7.3 가량 감소하였다. 아날로그단의 소비전력 증가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의 회로에 의한 추가적인 전력 소모이며, 반면에 디지털단의 소비전력 감소는 디지털형 레인지 디텍터에 의한 비교부 온/오프(On/Off)로 휴지기의 비교기가 소비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 소비전력은 약 1/2 정도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Parameter Conventional
Flash A/D Converter
Proposed
Flash A/D Converter
I_rms_analog 38.91mA 40.78mA
I_rms_digital 62.64mA 8.57mA
I_rms_analog 70.05mW 73.40mW
P_rms_digital 112.75mW 15.43mW
P_rms_total
(Analog+Digital)
182.79mW 88.83mW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의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가 4개인 경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에서 나오는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압 분배부 200: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
300: 제 1 전단증폭부 400: 제 2 전단증폭부
500: 옵셋 평준화부 600: 비교부
700: 버블에러 보정부 800: 인코더부
900: 동기화부 210: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
220: 클럭 분배단 211: 레인지 디텍터부
212: 서브 래치부 213: 메인 래치부

Claims (8)

  1.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있어서,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분배에 의해 기준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100);
    메인 클럭신호(CLK)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를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신호(Vin)가 전압 분배부(100)에서 나온 출력전압의 범위에 들어갈 때에 해당 범위를 감지하고 해당 범위에서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차동 기준전압 및 차동 아날로그 신호 2개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1 전단증폭부(300);
    비교부(600)로부터 넘어오는 킥백 노이즈를 막아주며, 3개의 전단증폭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단증폭기가 상기 제 1 전단증폭부(300)로부터 2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2 전단증폭부(400);
    상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로부터 클럭소스를 입력받으며, 3개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비교기가 상기 제 2 전단증폭부(400)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증폭신호를 상기 클럭소스를 바탕으로 동기화시키는 비교부(600);
    상기 비교부(600)에서 발생하는 버블에러를 보정하는 버블에러 보정부(700);
    버블에러가 보정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인코더부(800); 및
    메인 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상기 인코더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메인 클럭신호에 따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9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증폭부(300)와 제 2 전단증폭부(400) 사이에 위치하여, 옵셋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옵셋 평준화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디텍션/클럭 분배부(200)는,
    메인 클럭신호(CLK)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를 입력받고,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부터 2개의 기준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 신호(Vin)가 상기 전압 분배부(100)로터 출력된 2개의 기준전압 사이를 통과할 때만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 및
    상기 비교부(600)의 부하를 고려하여,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에서 출력되는 나오는 클럭신호를 버퍼링 하여 비교부(600)에 공급하는 클럭 분배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 지털 변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단(210)은,
    메인 클럭신호(CLK), 1개의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2개의 기준전압 입력 ref1, ref2를 받으며, 아날로그 입력신호와 기준전압 입력들을 비교 연산한 후, 해당 출력신호를 서브 래치부(212) 및 메인 래치부(213)로 보내는 레인지 디텍터부(211);
    상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2의 비교 연산된 결과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메인 래치부(213)의 작동 유무를 결정하는 컨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브 래치부(212); 및
    상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1의 비교 연산된 결과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부(600)에서 사용될 펄스 형태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래치부(2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래치부(212)는,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 기준전압 ref2일 경우, 메인 래치부(213)의 소정 스위치를 오프(Off)시킴으로써, 메인 래치부(213)에서 클럭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디텍터부(211)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인 MN5 및 MN6 트랜지스터, 아날로그 입력신호 Vin과 기준전압 ref1, ref2를 입력받는 MN1, MN2, MN3 및 MN4 트랜지스터, 상기 서브 래치부(212)와 메인 래치부(213)에 비교 연산된 출력신호를 보내주기 위한 MP1, MP2, MP3 및 MP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래치부(212)는,
    정궤환 구조를 이루며, 래치의 이득을 높이는 MN7, MN8, MN9 및 MN10 트랜지스터, 출력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레벨 쉬프트 트랜지스터인 MN11 트랜지스터, 상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연산된 결과를 입력받는 MP5 및 MP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래치부(213)는,
    작동 유무를 결정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인 MN14 트랜지스터, 정궤환 구조를 이루며, 래치의 이득을 높이는 MN12 및 MN13 트랜지스터, 상기 레인지 디텍터부(211)로부터 연산된 결과를 입력받는 MP7 및 MP10 트랜지스터, 메인 클럭신호(CLK) 받아서 출력 옵셋을 상쇄시키는 이퀄라이져 트랜지스터인 MP11 트랜지스터, 딜레이된 클럭신호(CLKD)를 받아서 리셋과 프리-차지를 담당하는 MP8 및 MP9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KR1020090097187A 2009-10-13 2009-10-13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KR2011004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87A KR20110040061A (ko) 2009-10-13 2009-10-13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87A KR20110040061A (ko) 2009-10-13 2009-10-13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61A true KR20110040061A (ko) 2011-04-20

Family

ID=4404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87A KR20110040061A (ko) 2009-10-13 2009-10-13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0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5671A (zh) * 2013-06-28 2013-10-0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绝对式光栅尺绝对位置信息的校正及读取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5671A (zh) * 2013-06-28 2013-10-0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绝对式光栅尺绝对位置信息的校正及读取电路
CN103335671B (zh) * 2013-06-28 2015-06-1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绝对式光栅尺绝对位置信息的校正及读取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660B2 (ja) Ad変換器
US8791845B2 (en) Circuitry and method for reducing area and power of a pipelince ADC
KR101285218B1 (ko) 듀티 사이클 보정 회로와 듀티 사이클 보정 방법
US8963761B2 (en) Predictive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nalog-to-digital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US8659463B2 (en)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263634B2 (en) Analog-digital converter
US8188768B2 (en) Low power consumption low kick-back noise comparator circuit for analog-to-digital converter
US20080012604A1 (en) Low-voltage detection circuit
US20090195424A1 (en) A/D Converter Comprising a Voltage Comparator Device
US7522085B1 (en) Pipelined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out input sample/hold
JP2009038535A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JP2006173807A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JP5439590B2 (ja) 比較器、差動アンプ回路、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KR20110040061A (ko) 디지털 레인지 디텍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US7847713B2 (en) Algorithmic analog-to-digital converter
JP4681622B2 (ja) Ad変換器
KR101122734B1 (ko) 캐패시터의 직렬연결을 이용한 멀티플라잉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와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US7414563B2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a plurality of conversions
KR20220142686A (ko) 비교기 오프셋 기반 타이밍 스큐 보정을 적용한 타임인터리브드 연속 근사 레지스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비교기 오프셋 기반 타이밍 스큐 보정 방법
KR20140000365A (ko) 아날로그 입력신호 범위 확장을 통한 데이터 변환이 가능한 파이프라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US10644714B2 (en) Pipelined analog-to-digital converter
JP6150439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US8018368B2 (en) A/D converter
JP2007208424A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KR100587969B1 (ko) 플래쉬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