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366A -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 Google Patents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366A
KR20110039366A KR1020117004859A KR20117004859A KR20110039366A KR 20110039366 A KR20110039366 A KR 20110039366A KR 1020117004859 A KR1020117004859 A KR 1020117004859A KR 20117004859 A KR20117004859 A KR 20117004859A KR 20110039366 A KR20110039366 A KR 2011003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bpf
wirelessly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 장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5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e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Abstract

듀플렉서들의 사용없이 풀-듀플렉스 모바일 무선 트랜시버 설계를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분리형 안테나들은 트랜시버에서의 TX 및 RX 신호 경로에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안테나들은 표면 실장형 세라믹 안테나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안테나들은 집적형 대역통과 필터링을 통합시킬 수도 있다. 안테나 배향을 포함하는, 상이한 상대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갖도록 안테나들을 설계하는 기술들이 더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FULL-DUPLEX WIRELESS TRANSCEIVER DESIG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트랜시버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수신 신호 경로들에 대한 분리형 안테나들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트랜시버들에 관한 것이다.
풀-듀플렉스 트랜시버는 동시 신호 송신 (TX) 및 수신 (RX) 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무선 풀-듀플렉스 트랜시버들은 일반적으로 듀플렉서를 통해 단일 안테나에 커플링된 분리형 TX 및 RX 신호 경로를 특징으로 한다. 듀플렉서는 공간 및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TX 및 RX 회로 양자가 동일한 안테나를 공유하게 하지만, TX 및 RX 신호는 서로와 분리되어 있다. TX 및 RX 신호는 통상적으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차지하기 때문에, 듀플렉서는 대역통과 필터링 및 주파수 멀티플렉싱의 기능들을 통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셀룰러 전화 표준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계된 모바일 폰들에 대한 듀플렉서 설계에 대해 엄격한 요건들이 종종 부과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듀플렉서들은 TX 신호와 RX 신호 사이에 다량의 분리를 제공하도록 요구되고, 그 주파수들은 서로와 비교적 근접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듀플렉서들은 TX 및 RX 신호 경로에 최소 삽입 손실을 도입하도록 요구된다. 이들 대립되는 요건들은 모바일 폰들에 대한 듀플렉서 설계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들게 한다.
풀-듀플렉스 모바일 무선 트랜시버들을 설계하는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TX 회로; 상기 TX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TX 회로에 커플링된 TX 안테나; 수신 (RX)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RX 안테나;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RX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방법은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TX 신호를 TX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수신 (RX) 신호를 RX 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TX 회로; 상기 TX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상기 TX 회로에 커플링된 수단; 수신 (RX)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RX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의 종래 기술의 구현을 나타낸다.
도 2 는 듀플렉서 (120) 의 특성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3 은 분리형 안테나들이 TX 및 RX 신호 경로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무선 트랜시버 (300) 의 특성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에서 비용 및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TX 및 RX 신호 경로에 대한 분리형 안테나들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 은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의 종래 기술의 구현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구현은 예시를 위해서만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들의 적용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무선 디바이스의 실제 구현이 도 1 에 도시되지 않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 에서, 무선 트랜시버 (100) 는 TX 회로 (130) 및 RX 회로 (140) 에 커플링된 기저대역 프로세서 (150) 를 포함한다. TX 회로 (130) 및 RX 회로 (140) 는 양자가 듀플렉서 (120) 에 커플링된 노드 T 및 노드 R 을 각각 갖는다. 듀플렉서 (120) 는 또한 노드 A 에서 안테나 (110) 에 커플링되어 있다. 듀플렉서 (120) 는 노드 T 로부터 모드 A 로의 신호들을 필터링하는 TX 대역통과 필터 (BPF) (120.1) 뿐만 아니라, 노드 A 로부터 모드 R 로의 신호들을 필터링하는 RX BPF (120.2) 를 포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구현들 (미도시) 에 있어서, 듀플렉서는 TX/RX BPF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듀플렉서 (120) 는 단일 안테나 (110) 를 통해 TX 신호의 송신을 RX 신호의 수신과 멀티플렉싱한다. TX 신호 및 RX 신호를 서로와 분리시키기 위해, 듀플렉서 (120) 는 일반적으로 TX 및 TX 신호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놓여 있어 BPF (120.1 및 120.2) 에 의해 분리가능하다는 사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CDMA 에서, TX 주파수 대역은 824 ㎒ 내지 849 ㎒ 일 수도 있지만, RX 주파수 대역은 859 ㎒ 내지 894 ㎒ 일 수도 있다.
도 2 는 듀플렉서 (120) 의 특성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특성들은 단지 듀플렉서의 일반적 특징들을 강조하려고 의도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임의의 특정한 도시된 특징들로 한정하려고 의도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에서, 듀플렉서 전송 특성들이 세로축에 플롯 (plot) 되어 있으나, 주파수는 가로축에 플롯되어 있다. 전송 특성
Figure pct00001
은 노드 T 에서의 신호 크기로 제산된 노드 A 에서의 신호 크기를 나타낸다. BPF (120.1) 의 결과로서,
Figure pct00002
는 통과대역을 "TX 통과대역" 으로 나타낸 대역통과 특성을 나타냄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TX 통과대역은 통과대역 주파수들에서 노드 T 로부터 노드 A 로 진행하는 TX 신호 크기에서의 감쇠를 나타내는 "TX 삽입 손실" 에 의해 특성화된다.
도 2 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특성
Figure pct00003
은 주파수에 걸쳐 노드 A 에서의 신호 크기로 제산된 노드 R 에서의 신호 크기를 나타낸다. BPF (120.2) 의 결과로서,
Figure pct00004
은 통과대역을 "RX 통과대역" 으로 나타낸 대역통과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RX 통과대역은 통과대역 주파수들에서 노드 A 로부터 노드 R 로 진행하는 RX 신호 크기에서의 감쇠를 나타내는 "RX 삽입 손실" 에 의해 특성화된다. TX 및 RX 삽입 손실 양자 모두는 일반적으로 그들 각각의 통과대역에 걸쳐 변동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2 에는 전송 특성
Figure pct00005
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6
은 노드 R 에서의 RX 신호 크기를 노드 T 에서의 TX 신호 크기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RX 통과대역에서의
Figure pct00007
의 크기의 역 (inverse) 은, RX 통과대역에서의 "TX 대 RX 분리" 로 나타내고, 노드 T 에서의 TX 신호 경로로부터 노드 R 에서의 RX 신호 경로로 누설하는 임의의 신호의 제거를 나타낸다. 도 2 에서, TX 대 RX 분리는 RX 통과대역에 걸쳐 I1 과 I2 사이의 범위에 이르는 값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트랜시버 설계에서, 비교적 약한 RX 신호에 대한 강한 TX 신호로부터의 최소 간섭이 존재하도록 TX 대 RX 분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을 통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RX 신호 및 TX 출력 신호의 감쇠를 회피하기 위해 TX 및 RX 삽입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DMA 또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용 트랜시버에서는, TX 및 RX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에 있어서 비교적 근접하여, BPF 의 응답에서 극도로 급격한 롤오프를 요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 대립되는 설계 목표를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TX 및 RX 신호 경로 각각에 대하여 분리형 안테나들을 제공함으로써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제약이 저감된다.
도 3 은 분리형 안테나들이 TX 및 RX 신호 경로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 에서, 안테나 (310.1) 는 노드 A1 에서 BPF (310.2) 에 커플링되어 있고, BPF (310.2) 는 노드 T 에서 TX 회로 (130) 에 차례로 커플링되어 있다. BPF (310.2) 는 TX 주파수 범위를 커버하는 통과대역을 갖도록 동조된다. 유사하게, 안테나 (311.1) 는 노드 A2 에서 BPF (311.2) 에 커플링되어 있고, BPF (311.2) 는 노드 R 에서 RX 회로 (140) 에 차례로 커플링되어 있다. BPF (311.2) 는 TX 주파수 범위를 커버하는 통과대역을 갖도록 동조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형 안테나들은 단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기에 충분히 경량이고 콤팩트한 타입 및 물리적 구조의 것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3 의 트랜시버에서의 구성요소들의 물리적 레이아웃은 연상시키기 위한 것으로만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도시된 특정 레이아웃으로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 간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물리적 분리가 이 디바이스의 실제 실시형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무선 통신 트랜시버 (300) 의 특성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 에 도시된 특성들은 단지 개시된 일반 실시형태의 특징들을 강조하려고 의도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임의의 특정한 도시된 특성들로 한정하려고 의도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 에서, 무선 트랜시버 (300) 의 전송 특성들이 주파수와 대비하여 플롯되어 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은 대역통과 필터 (310.2 및 311.2) 의 응답을 각각 특성화한다.
Figure pct00010
은 "TX 통과대역" 으로 나타낸 통과대역을 갖는 반면,
Figure pct00011
은 "RX 통과대역" 으로 나타낸 통과대역을 갖는다. 전송 특성
Figure pct00012
는 TX 안테나 (310.1) 의 노드 A1 에서의 신호 크기로 제산된 RX 안테나 (311.1) 의 노드 A2 에서의 신호 크기를 나타낸다. 이들 특성들은 도 3 에 도시된 풀-듀플렉스 트랜시버의 TX 대 RX 분리의 역인
Figure pct00013
을 유도하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 에서, TX 대 RX 분리는 RX 통과대역에 걸쳐 I3 과 I4 사이의 범위에 이르는 값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로부터, 도 3 의 2-안테나 트랜시버에 대한 전송 특성
Figure pct00014
은 도 1 의 1-안테나 듀플렉서 기반 트랜시버에 대한 대응하는 전송 특성에 존재하지 않는
Figure pct00015
에 의해 특성화된 자유도를 통합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전송 특성
Figure pct00016
는 TX 안테나 (310.1) 와 RX 안테나 (311.1) 사이의 안테나 커플링으로서 이해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Figure pct00017
는 RX 통과대역에서 C1 과 C2 사이의 범위에 이르는 값들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당업자는 안테나 커플링
Figure pct00018
가 일반적으로 RX 통과대역에서 임의의 주파수에서의 0 ㏈ 보다 작기 때문에, 도 3 에 도시된 트랜시버가 일반적으로 도 1 에 도시된 듀플렉서 기반 트랜시버보다 더 큰 TX 대 RX 분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시스템의 TX 대 RX 분리를 더욱 최대화하기 위하여, 전송 특성
Figure pct00019
는 설계에 의해 최소화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TX 안테나와 RX 안테나 사이의 안테나 커플링이 TX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RX 안테나에 의한 공중을 통한 수신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안테나 커플링은, 안테나들 간의 공간적 분리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상이한 상대적 지향성 배향 및/또는 편파를 갖도록 안테나를 설계하고/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TX 안테나 (310.1) 는 RX 안테나 (311.1) 의 세로축에 수직인 세로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의 세로축에서의 오프셋은 그들의 상호 커플링
Figure pct00020
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물리적 분리의 증가와 같은 다른 기술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 쉽게 통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안테나들 간의 분리는 직교 편파를 갖도록 안테나들을 설계함으로써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3 에 나타낸 안테나 (310.1 및 311.1) 는 이를테면 일본 도쿄 소재의 미쓰비시 머티어리얼스 (Mitsubishi Materials) 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표면 실장형 (mountable) 유전체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urface mountable dielectric chip antennas and series", 미쓰비시 머티어리얼스 부품 번호 AMD0502-ST01 및 AMD0302-ST01 참조). 이러한 안테나의 물리적 치수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형 안테나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단일 기판 상의 TX 및 RX 신호 경로 각각에 제공될 만큼 충분히 콤팩트하다. 당업자는 세라믹 안테나들이 저비용으로 단일 모바일 무선 트랜시버에 쉽게 조립되는 표면 실장 기술 (SMT) 디바이스들임을 또한 인식할 것이다. TX 및 RX 에 대한 분리형 안테나들의 제공은 듀플렉서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여, 모바일 무선 트랜시버 (300) 의 비용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설계를 단순하게 한다.
도 3 에 도시된 각각의 BPF 와 안테나 사이의 물리적 구획은 단지 예시를 위해서이고, 다른 실시형태들은 BPF 와 안테나에 도시되지 않은 상이한 물리적 형상들 및 구성들을 제공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및 BPF 는 장방형 구성으로 있을 필요가 없고, 안테나에 대한 BPF 의 사이즈는 도 3 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TX 안테나 (310.1) 는 휩 안테나일 수도 있고, RX 안테나 (311.1) 는 세라믹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패치 안테나 또는 평판 역 F (planar inverted-F; PIFA) 안테나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열거된 타입들의 안테나들의 임의의 조합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TX 안테나 (310.1) 에 사용된 안테나 타입은 RX 안테나 (311.1) 에 사용된 안테나 타입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 및 BPF, 즉, 안테나 (310.1) 및 BPF (310.2), 및/또는 안테나 (311.1) 및 BPF (311.2) 의 조합은 집적형 대역통과 필터를 통합시킨 세라믹 안테나로서 단일 물리적 패키지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최적화로서, 각각의 안테나의 치수는 RX 주파수 대역에 대한 TX 주파수 대역의 특정한 특성들을 특히 수용하도록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X 안테나 및 TX BPF 는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TX 신호 경로에 도입된 삽입 손실을 최소화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TX 전송 전력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는 반면, RX 안테나 및 RX BPF 는 TX 대 RX 분리를 최대화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5 에서, 단계 500 에서, TX 신호가 무선 송신되도록 발생된다. 단계 505 에서, TX 신호가 대역통과 필터링된다. 단계 510 에서, TX 신호는 TX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단계 520 에서, RX 신호가 RX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다. 단계 525 에서, RX 신호가 대역통과 필터링된다. 단계 530 에서, RX 신호는 더욱 프로세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계 500 내지 단계 510 및 단계 520 내지 단계 530 은 풀-듀플렉스 동작을 위해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교시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양태가 임의의 다른 양태들과 관계없이 구현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이들 양태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접속" 또는 "커플링" 되는 것으로서 지칭되는 경우,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접속 또는 커플링될 수 있고 또는 개재되어 있는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조적으로,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접속" 또는 "직접 커플링" 되는 것으로서 지칭되는 경우, 개재되어 있는 엘리먼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수의 양태들 및 예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원리들이 다른 양태들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3)

  1.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로서,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TX 회로;
    상기 TX 회로에 커플링되어 상기 TX 신호를 송신하는 TX 안테나;
    수신 (RX)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RX 안테나;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RX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장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인,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TX 회로 사이에 커플링된 TX 대역통과 필터 (band-pass filter; BPF) 로서, 상기 TX BPF 는 T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는, 상기 TX BPF; 및
    상기 RX 안테나와 상기 RX 회로 사이에 커플링된 RX BPF 로서, 상기 RX BPF 는 R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는, 상기 RX BPF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세라믹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양자 모두는 세라믹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휩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평판 역 F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안테나 각각은 집적형 대역통과 필터 (BPF) 를 포함하고,
    상기 TX 안테나의 상기 BPF 는 T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고,
    상기 RX 안테나의 상기 BPF 는 R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상기 RX 안테나의 물리적 형상과 상이한 물리적 형상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세로축을 갖고,
    상기 RX 안테나는 또한 세로축을 갖고,
    상기 T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R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과 비평행인,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의 세로축은 상기 RX 안테나의 세로축에 수직인,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의 편파는 상기 RX 안테나의 편파에 직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상기 RX 안테나의 물리적 사이즈와 상이한 물리적 사이즈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16.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TX 신호를 TX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수신 (RX) 신호를 RX 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발생된 TX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전에 상기 RX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RX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세라믹 안테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양자 모두는 세라믹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휩 안테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와 상기 RX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평판 역 F 안테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안테나 각각은 집적형 대역통과 필터 (BPF) 를 포함하고,
    상기 TX 안테나의 상기 BPF 는 T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고,
    상기 RX 안테나의 상기 BPF 는 RX 주파수 대역에 동조된 통과대역을 갖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상기 RX 안테나의 물리적 형상과 상이한 물리적 형상을 갖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세로축을 갖고,
    상기 RX 안테나는 또한 세로축을 갖고,
    상기 T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R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과 비평행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RX 안테나의 상기 세로축에 수직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의 편파는 상기 RX 안테나의 편파에 직교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TX 안테나는 상기 RX 안테나의 물리적 사이즈와 상이한 물리적 사이즈를 갖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
  30.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로서,
    무선 송신될 송신 (TX) 신호를 발생시키는 TX 회로;
    상기 TX 회로에 커플링되어 상기 TX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수단;
    수신 (RX)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RX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장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TX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발생된 TX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수단; 및
    상기 RX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전에 상기 무선 수신된 RX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RX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상기 수단으로부터 상기 TX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상기 수단을 분리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 장치.
KR1020117004859A 2008-08-01 2009-08-03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KR20110039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4,318 2008-08-01
US12/184,318 US20100029350A1 (en) 2008-08-01 2008-08-01 Full-duplex wireless transceiver desig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366A true KR20110039366A (ko) 2011-04-15

Family

ID=4122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859A KR20110039366A (ko) 2008-08-01 2009-08-03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29350A1 (ko)
EP (1) EP2332265A1 (ko)
JP (1) JP2011530243A (ko)
KR (1) KR20110039366A (ko)
CN (1) CN102113230A (ko)
TW (1) TW201021442A (ko)
WO (1) WO2010014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858A2 (en) * 2009-10-19 2011-04-28 Greatpoint Energy, Inc. Integrated enhanced oil recovery process
US8755750B2 (en) 2010-05-22 2014-06-17 Photonic Systems, Inc. Wide-bandwidth signal canceller
CA2859307C (en) 2011-12-14 2015-02-10 Redline Communications Inc. Single channel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US8977216B2 (en) 2012-03-19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Limited Q factor tunable front end using tunable circuits an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US9209840B2 (en) 2012-07-30 2015-12-08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11539392B2 (en) 2012-07-30 2022-12-27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10374656B2 (en) 2012-07-30 2019-08-06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US9935680B2 (en) 2012-07-30 2018-04-03 Photonic Systems, Inc. Same-aperture any-frequency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JP6268612B2 (ja) * 2013-02-21 2018-01-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5078009A1 (zh) 2013-11-29 2015-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减少通信系统自干扰信号的方法和装置
RU2644396C2 (ru) 2013-11-29 2018-02-12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кращения сигнала собственной помех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US10623986B2 (en) 2015-10-22 2020-04-14 Photonic Systems, Inc. RF signal separation and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US10158432B2 (en) 2015-10-22 2018-12-18 Photonic Systems, Inc. RF signal separation and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109B2 (ja) * 1985-08-29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5444737A (en) * 1993-05-05 1995-08-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Wireless data transceiver
JPH08293717A (ja) * 1995-04-19 1996-11-05 Oki Electric Ind Co Ltd 小型無線機のアンテナ構造
JP3275632B2 (ja) * 1995-06-15 2002-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装置
US5903821A (en) * 1995-07-13 1999-05-11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with microstrip antennas
JP3427668B2 (ja) * 1997-04-01 2003-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US6201511B1 (en) * 1997-04-18 2001-03-13 Ericsson Inc. Composite antenna for duplexer-free duplex operation terminals and method
AU7296298A (en) * 1997-05-14 1998-12-08 Sony Electronics Inc. Antenna arrangement for portable two-way radio apparatus
JP2000137068A (ja) * 1998-10-30 2000-05-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ンテナ装置
US6542050B1 (en) * 1999-03-30 2003-04-01 Ngk Insulators, Ltd. Transmitter-receiver
JP3751178B2 (ja) * 1999-03-30 2006-03-01 日本碍子株式会社 送受信機
KR20010075520A (ko) * 1999-08-03 2001-08-09 요트.게.아. 롤페즈 듀얼 안테나 및 이 안테나가 제공된 무선 디바이스
JP4461597B2 (ja) * 2000-09-19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カードモジュール
FI113813B (fi) * 2001-04-02 2004-06-15 Nokia Corp Sähköisesti viritettävä monikaistainen tasoantenni
JP2002320252A (ja) * 2001-04-23 2002-10-31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7184727B2 (en) * 2002-02-12 2007-02-27 Kyocera Wireless Corp. Full-duplex antenna system and method
CN1653784A (zh) * 2002-03-08 2005-08-10 Ipr特许公司 自适应接收及全向发射天线矩阵
GB2390225A (en) * 2002-06-28 2003-12-31 Picochip Designs Ltd Radio transceiver antenna arrangement
JP3863464B2 (ja) * 2002-07-05 2006-12-27 株式会社ヨコオ フィルタ内蔵アンテナ
AU2003282909A1 (en) * 2002-10-02 2004-04-23 University Of Florida Single chip radio with integrated antenna
SG165149A1 (en) * 2003-10-22 2010-10-28 Zhang Yue Ping Integrating an antenna and a filter in the housing of a device package
KR100575787B1 (ko) * 2004-06-15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다이버시티 안테나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R2885456A1 (fr) * 2005-05-03 2006-11-10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rayonnant polyvalent
US7262737B2 (en) * 2005-08-15 2007-08-28 Palm, Inc. Extendable antenna architecture
US7801556B2 (en) * 2005-08-26 2010-09-21 Qualcomm Incorporated Tunable dual-antenna system for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KR100758991B1 (ko) * 2006-02-03 2007-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150053B2 (ja) * 2006-12-19 2008-09-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9350A1 (en) 2010-02-04
CN102113230A (zh) 2011-06-29
EP2332265A1 (en) 2011-06-15
TW201021442A (en) 2010-06-01
JP2011530243A (ja) 2011-12-15
WO2010014988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9366A (ko) 풀-듀플렉스 무선 트랜시버 설계
US8892057B2 (en) Carrier aggregation radio system
CN102882539B (zh) 用于同时接收不同频带中的射频传输的无线电路
US9219594B2 (en) Dual antenna integrated carrier aggregation front end solution
JP5685652B2 (ja) アンテナ及びrfフロントエンドアレンジメント
US9419775B2 (en) Tunable diplexer
US7412255B2 (en) Antenna arrangement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140092795A1 (en) Tunable diplexer for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US10236925B2 (en) High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9559730B2 (en) Multiplexer
US20140169243A1 (en) Mobile communication circuitry for three or more antennas
KR101508916B1 (ko) 인쇄 회로 기판 및 다이플렉서 회로
US10615839B2 (en) High-frequency-signal transceiver circuit
WO2014049381A1 (en) Transceiver device adapted to operate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e
CN104904127A (zh) 天线系统、集成通信结构和终端
CN108768413B (zh) 多频收发信机及基站
JP2020123968A (ja) 共通に使用されるフィルタを有するモバイル通信装置、このモバイル通信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フィルタの使用
JP2019140670A (ja) 高周波信号送受信回路
US20050057426A1 (en) Antenna switch structure for a mobile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23379B2 (en) Front-end architecture of multiband radio
US20190253086A1 (en) High-frequency-signal transceiver circuit
KR20080102518A (ko) 트리플렉서
KR100650258B1 (ko) 쿼드 밴드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50011047A (ko) 트라이 밴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장치
CN113810077A (zh) 一种射频电路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