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084A - 방화용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방화용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084A
KR20110039084A KR1020090096362A KR20090096362A KR20110039084A KR 20110039084 A KR20110039084 A KR 20110039084A KR 1020090096362 A KR1020090096362 A KR 1020090096362A KR 20090096362 A KR20090096362 A KR 20090096362A KR 20110039084 A KR20110039084 A KR 2011003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receiving portion
piston
drain port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057B1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09009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에 작동유를 충입한 실린더 몸체에, 가열에 의해 팽창된 작동유의 배출경로와 이 배출된 작동유의 저장공간을 안정되게 확보하여, 화기에 의한 실린더 몸체의 내압 상승이 억제되도록 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도어 클로저, 작동유, 누유, 확산, 화재, 폐쇄, 회전축, 피스톤, 조절밸브

Description

방화용 도어 클로저{Door-closer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에 작동유를 충입한 실린더 몸체에, 가열에 의해 팽창된 작동유의 배출경로와 이 배출된 작동유의 저장공간을 안정되게 확보하여, 화기에 의한 실린더 몸체의 내압 상승이 억제되도록 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무실, 상가, 아파트 등의 출입문에는 도어잠금장치가 장착되어 도어의 자동 폐쇄를 도모하며, 특히 방화문에는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스토퍼와 함께 도어 클로저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도어 클로저를 통한 방화문의 폐쇄를 통해 제연구역을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클로저는, 피스톤과 탄발력을 형성하는 스프링과, 피스톤의 속도 제어기능을 갖는 작동유가 수용된 실린더 몸체에, 피스톤과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회전축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 클로저는, 상기 방화문이 화염에 노출된 경우 이 열이 전도되어 가열되고, 이러한 도어 클로저의 가열이 이루어지면 실린더 몸체에 충입된 작동유가 열 팽창하고, 또 작동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기밀링이 열 손상되는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에 충입된 작동유가 열 팽창하면, 실린더 몸체가 작동유의 열팽창에 따른 압력의 증가에 의해 파열될 수도 있고, 또 기밀링이 열 손상된 경우 손상된 기밀링을 통해 작동유가 외부에 넓게 누유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 몸체의 파열, 또는 기밀링의 손상에 의해 작동유가 재연구역에 넓게 누유되면, 이 누유된 작동유가 착화 내지 발화하여 화재로부터의 안전구역인 재연구역에 화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유가 충입된 실린더 몸체에, 가열에 의해 팽창된 작동유의 배출경로와 이 배출된 작동유의 저장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화기에 의한 실린더 몸체의 내압 상승을 억제시킴으로써, 작동유의 확산에 의한 안전사고와 확산된 작동유의 발화에 의한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방화용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는,
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충입되어 피스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 및 상기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에는,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수용부의 좌측과 우측을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관이 형성되고, 이 순환관에는 외부와 연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에는 순환관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조절볼트가 체결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 또는 조절볼트에는 수용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유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에는 작동유가 열 팽창되지 아니 하는 상온상태에서는 배유구를 차폐하고, 작동유가 열 팽창되는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는 배유구와 연통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상태가 형성되면 차폐부재는 배유구를 개방하여, 수용부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가 배유구를 통해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에 의해 확장탱크로 유입된 작동유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는,
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충입되어 피스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 및 상기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배유구를 통해 수용부와 연통하는 보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에는 작동유가 열 팽창되지 아니하는 상온상태에서는 배유구를 차폐하고 작동유가 열 팽창되는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되어,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상태가 형성되면 차폐부재는 차폐 된 배유구를 개방시켜, 수용부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를 배유구를 통해 피스톤에 형성된 보조 수용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로는 상온에서는 고체상태를 형성하여 배유구를 폐쇄하고,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되어 배유구를 개방하는 가용체와; 상기 상온에서는 배유구를 폐쇄하고,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작동유가 열 팽창하여 실린더 몸체의 내압이 상승하면 배유구를 개방하는 압력밸브가 각각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작동유가 충입된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와 연통하는 확장탱크와; 상기 수용부와 확장탱크를 상온에서는 폐쇄하고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화재에 의해 열팽창된 작동유의 정형화된 배출경로와 저장공간을 확보한 도어 클로저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열팽창된 작동유의 배출경로와 저장공간을 확보하면, 화재에 의해 가열된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어진 열에 의해 실린더 몸체에 충입된 작동유가 열 팽창하여 실린더 몸체가 순간적으로 파열되거나 실린더 몸체에서 작동유가 누유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실린더 몸체의 파열에 의한 작동유의 확산에 따른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또 종래 작동유가 재연구역에 넓게 확산되어 착화 내지 발화를 통해 재연구역 내에 화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어서, 도어 클로저에 의한 발화요인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피스톤에 수용부와 배유구를 통해 연통하는 보조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유구에 차폐부재를 마련하여 열 팽창된 작동유가 피스톤에 형성된 보조 수용부에 유입되도록 구성하면, 저장탱크에 의해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도어 클로저를 방화문에 시공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7은 본 발명에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의 단면 구성; 및 가열에 따른 작동유의 배출 및 저장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도어 클로저(1, 1', 1")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10)와;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설치되는 피스톤(20)과;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설치된 피스톤(20)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충입되어 피스톤(20)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40); 및 상기 피스톤(20)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상기 피스톤(20)에 랙기어를 형성하고 회전축(50)에는 피니언 기어를 형성하여, 이들 피스톤(20)과 회전축(50)이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 해 회전력이 직진 이송력으로, 직진 이송력이 회전력으로 각각 변환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클로저(1, 1', 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문(100)에 고정되고, 이때 실린더 몸체(10)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50)의 상단은, 문틀(110)에 고정 브라켓(200)을 통해 고정된 절첩링크(210)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화문(100)을 개방하면 회전축(50)은 역방향을 회전하고, 이와 치합된 피스톤(20)은 좌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30)을 압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방된 방화문(100)을 놓게 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20)은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20)과 치합된 회전축(50)은 정방향으로 회동하여서, 방화문(100)의 개방에 의해 전개된 절첩링크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절첩되면서 방화문(100)을 서서히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몸체(10)에는 피스톤(2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부(11)의 좌측과 우측을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관(12)이 형성되며, 이 순환관(12)을 통해 피스톤(20)의 좌우 이송에 따른 작동유(40)의 좌우 이송이 이룩된다. 따라서, 순환관(12)을 통한 작동유(40)의 이송속도에 의해 피스톤(20)의 이동속도는 제어된다.
상기 순환관(12)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2a)에는 체결량에 따라 순환관(12)의 개방량을 제어하는 조절볼트(60)가 체결되어서, 조절볼트(60)에 의해 조절된 순환관(12)의 개방량에 따라 피스톤(20)의 이 동속도가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방화문용 도어 클로저(1, 1', 1")는, 밀폐된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작동유(40)가 충입된 관계로, 화기에 의해 가열된 방화문(100)의 열기가 실린더 몸체(10)에 전달되면 실린더 몸체(10)에 충입된 작동유(40)는 열 팽창하며, 상기 열 팽창된 작동유(40)에 의해 실린더 몸체(10)의 내압이 높아져 파열이 발생될 수도 있고, 또 열기에 의해 손상된 기밀링을 통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외부로 누유되는 현상이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실시형태들을 통해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열기에 의해 도어 클로저(1, 1', 1")가 가열되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서 소정의 경로 및 저장공간을 통해 분할 배출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유(40)의 열팽창에 따른 실린더 몸체(10)의 파열이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하고 있으며, 이를 본원의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몸체(10)를 관통하는 회전축(50), 또는 순환관(12)의 체결공(12a)에 체결되어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볼트(60)에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와 외부를 상호 연통하는 배유구(52, 61)를 관통되게 형성하고, 이 배유구(52, 61)에 비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52, 61)를 폐쇄하여 작동유(40)가 충입된 수용부(11)의 밀폐상태를 이룩하고, 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는 차폐된 배유구(52, 61)를 개방하여 작동유(40)가 충입된 수용부(11)의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 상기 차폐부재를, 도 2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온에서는 고체상태를 형성하여 배유구(52, 61)를 폐쇄하고,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되어 배유구(52, 61)를 개방하는 가용체(71)를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용체(71)는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를 형성하고 표준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하는 것으로, 통상 70℃ 내지 90℃의 용융점을 갖는 용융납이나 용융 플라스틱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로 가용체(71)를 채택한 도어 클로저(1, 1")는, 도 2a와 도 4a의 상태에서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배유구(52, 61)의 온도가 표준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 도 2b와 도 4b와 같이 회전축(50), 또는 조절볼트(60)에 형성된 배유구(52, 61)에 설치되어 배유구(52, 61)를 차폐하고 있던 가용체(71)는 용융되어 배유구(52, 61)를 개방하고, 상기 개방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40)는 외부 배출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클로저(1, 1")는 열기에 의해 가용체(71)가 용융하여 수용부(11)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유구(52, 61)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배출되므로, 열 팽창된 작동유(40)에 의해 실린더 몸체(10)가 파열되는 등의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부재로는 도 3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용체(71) 외에도, 상온에서는 배유구(52, 61)를 폐쇄하고, 방화문(1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작동유(40)가 열 팽창하여 실린더 몸체(10)의 내압이 표준압력 범위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차폐된 배유구(52, 61)를 개방하는 압력밸브(72)가 채택될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압력밸브(72)는, 회전축(50), 또는 조절볼트(60)에 형성된 배유구(52, 61)의 내벽에 스프링(72b)에 의해 탄지된 강구(72a)가 밀착되어 강구(72a)에 의해 배유구(52, 61)가 폐쇄되도록 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로 압력밸브(72)를 채택한 도어 클로저(1, 1")는, 도 3a 또는 도 5a의 상태에서 방화문(1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수용부(11)에 충입된 작동유(40)가 열 팽창하여 수용부(11)의 내압력이 강구(72a)를 탄지하는 스프링(72b)의 탄지력 보다 높게 상승하면, 도 3b와 도 5b와 같이 회전축(50), 또는 조절볼트(60)에 형성된 배유구(52, 61)에 설치되어 배유구(52, 61)를 차폐하고 있던 강구(72a)는 후퇴하여 배유구(52, 61)는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40)는 실린더 몸체(10)의 외부로 외부 배출된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 클로저(1, 1")는 열기에 의해 상승된 수용부(11)의 내압력에 의해 배유구(52, 61)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배출되므로, 열 팽창된 작동유(40)에 의해 실린더 몸체(10)가 파열되는 등의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외부에, 배유구(52, 61)와 연통하는 저장탱크(80)를 설치하여, 상기 개방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실린더 몸체(10)의 외부로 배유된 작동유(40)가 외부로 확산되지 아니하고 저장탱크(80)에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저장탱크(80)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81)가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81)를 통해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서 저장탱크(80)로 배출되어 열기에 의해 증발된 작동유의 증기가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유 증기에 의한 저장탱크(80)의 내압 상승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와 같이 상기 실린더 몸체(10)와 저장탱크(80)에 커버(90)를 덧씌워 이들의 외부 노출을 억제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90)에는 공기의 순환경로인 순환공(91)을 형성하여, 상기 순환공(9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커버(90)의 내부로 순환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몸체(10)와 저장탱크(80)의 냉각을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설치면에는 단열편(14)이 설치되어, 상기 단열편(14)에 의해 방화문(100)을 통해 제공되는 열이 실린더 몸체(10)에 직접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클로저(1")는,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기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클로저(1, 1')와 같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회동축(50) 또는 조절볼트(60)에 형성된 배유구(52, 61)를 통해 실린더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피스톤(20)에 형성된 보조 수용부(21)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한 형태이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클로저(1")는, 상기 피스톤(20)에는 배유구(23)를 통해 수용부(11)와 연통하는 보조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23)에는 표준 온도범위를 초과하여 가열되거나 수용부(11)의 내압력이 표준 압력범위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배유구(23)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유구(23)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차폐부재로, 가용체(71)와 압력밸브(72)가 각각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클로저(1")는, 도 6a와 도 7a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방화문(1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배유구(23)의 온도가 표준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상승하거나, 도 7b와 같이 열 팽창된 작동유(40)에 의해 실린더 몸체(10)에 형성된 수용부(11)의 내압이 표준 압력 범위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상기 차폐부재는 배유구(23)를 개방시켜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열 팽창된 작동유(40)를 피스톤(20)에 형성된 보조 수용부(21)로 유입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열 팽창된 작동유(40)가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설치된 피스톤(20)의 보조 수용부(21)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면, 실린더 몸체(10)의 외부에 저장탱크(80) 등이 부가하여 설치되지 아니하므로 저장탱크(80)에 의해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고, 또 저장탱크(80)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몸체(10)에 커버(90)를 덧씌워 이들의 외부 노출을 억제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90)에는 공기의 순환경로인 순환공(91)을 형성하여, 상기 순환공(9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커버의 내부로 순환하여 실린더 몸체(10)의 냉각을 도모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실시형태의 도어 클로저(1")를 구현함에 있어,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충입되어 배유구(23, 52, 61)를 통해 미배출된 작동유(40)의 증발에 의해 생성된 작동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린더 몸체(10)의 내압력이 과다 상승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몸체(10)의 상부 일지점에, 증기공(13)을 형성하고 이 증기공(13)에 상온에서는 증기공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차폐부재를 통해 배유구(23, 52, 61)가 개방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져 실린더 몸체(10)가 200℃이상으로 고온 가열되면 증기공(13)을 개방시키는 고온 가용체(73)를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상기 증기공(13)에 200℃ 내지 250℃의 용융점을 갖는 고온 가용체(73)를 설치하여, 증기공의 차폐를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 클로저(1, 1', 1")의 가열이 이루어지면, 도 2 내지 도 7의 각 b와 같이 최초 배유구(23, 52, 61)에 설치된 차폐부재(71, 72)가 배유구(23, 52, 61)를 개방시켜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40)를 저장탱크(80) 또는 보조 수용부(21)에 분할하여 저장하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 몸체(10)의 가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고온 가열상태를 이루면 도 2 내지 도 7의 각 c에서와 같이 고온 가용체(73)는 용융하여 증기공(13)을 개방시켜 실린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잔류되어 증발한 작동유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온 가용체(73)가 마련된 증기공(13)에 의해, 작동유(40)의 증발에 의한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도어 클로저를 방화문에 시공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7은 본 발명에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의 단면 구성; 및 가열에 따른 작동유의 배출 및 저장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용 도어 클로저
10. 실린더 몸체 11. 수용부
12. 순환관 12a. 체결공
13. 증기공 14. 단열편
20. 피스톤 21. 보조 수용부
23. 배유구
30. 스프링 40. 작동유
50. 회전축 52. 배유구
60. 조절볼트 61. 배유구
71. 가용체
72. 압력밸브 72a. 강구
72b. 스프링 73. 고온 가용체
80. 저장탱크 81. 증기 배출구
90. 커버 91. 순환공
100. 방화문 110. 문틀
200. 고정 브라켓 210. 절첩링크
B. 고정볼트

Claims (8)

  1. 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충입되어 피스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 및 상기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수용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유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에는 작동유가 열 팽창되지 아니하는 상온상태에서는 배유구를 차폐하고, 작동유가 열 팽창되는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는 배유구와 연통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상태가 형성되면 차폐부재는 배유구를 개방하여, 수용부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가 배유구를 통해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2. 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충입되어 피스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 및 상기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을 포함 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에는,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수용부의 좌측과 우측을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관이 형성되고, 이 순환관에는 외부와 연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에는 순환관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조절볼트가 체결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에는 수용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유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에는 작동유가 열 팽창되지 아니하는 상온상태에서는 배유구를 차폐하고, 작동유가 열 팽창되는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는 배유구와 연통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상태가 형성되면 차폐부재는 배유구를 개방하여, 수용부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가 배유구를 통해 실린더 몸체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3. 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수용부에 충입되어 피스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작동유; 및 상기 피스톤의 직진 이송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용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배유구를 통해 수용부와 연통하는 보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유구에는 작동유가 열 팽창되지 아니하는 상온상태에서는 배유구를 차폐하고 작동유가 열 팽창되는 가열상태에서는 배유구를 개방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되어,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상태가 형성되면 차폐부재는 차폐된 배유구를 개방시켜, 수용부에서 열 팽창된 작동유를 배유구를 통해 피스톤에 형성된 보조 수용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배출구에 의해 확장탱크로 유입된 작동유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작동유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온에서는 고체상태를 형성하여 배유구를 폐쇄하고,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되어 배유구를 개방하는 가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온에서는 배유구를 폐쇄하고, 방화문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작동유가 열 팽창하여 실린더 몸체의 내압이 상승하면 배유구를 개방하는 압력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몸체의 설치면에는 단 열편이 설치되어, 상기 단열편에 의해 방화문(100)을 통해 제공되는 열이 실린더 몸체(10)에 직접 전도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의 상부에 증기공을 형성하고 이 증기공에 고온으로 가열되면 용융하여 증기공을 개방하는 고온 가용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KR1020090096362A 2009-10-09 2009-10-09 방화용 도어 클로저 KR10108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362A KR101085057B1 (ko) 2009-10-09 2009-10-09 방화용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362A KR101085057B1 (ko) 2009-10-09 2009-10-09 방화용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084A true KR20110039084A (ko) 2011-04-15
KR101085057B1 KR101085057B1 (ko) 2011-11-18

Family

ID=4404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362A KR101085057B1 (ko) 2009-10-09 2009-10-09 방화용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100A (zh) * 2011-11-08 2013-05-08 利优比株式会社 闭门器
WO2014088280A1 (ko) * 2012-12-03 2014-06-12 (주)다원에스디에스 도어 클로저
CN104074427A (zh) * 2013-03-26 2014-10-01 利优比株式会社 闭门器
US9410352B2 (en) 2012-12-03 2016-08-09 Dawon Sds Co., Ltd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EP4119756A1 (de) * 2021-07-13 2023-01-18 dormakaba Deutschland GmbH Türbetätiger-brandschutzanordnu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100A (zh) * 2011-11-08 2013-05-08 利优比株式会社 闭门器
WO2014088280A1 (ko) * 2012-12-03 2014-06-12 (주)다원에스디에스 도어 클로저
US9410352B2 (en) 2012-12-03 2016-08-09 Dawon Sds Co., Ltd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US9410353B2 (en) 2012-12-03 2016-08-09 Dawon Sds Co., Ltd Door closer
CN104074427A (zh) * 2013-03-26 2014-10-01 利优比株式会社 闭门器
CN104074427B (zh) * 2013-03-26 2016-07-06 利优比株式会社 闭门器
EP4119756A1 (de) * 2021-07-13 2023-01-18 dormakaba Deutschland GmbH Türbetätiger-brandschutz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057B1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57B1 (ko) 방화용 도어 클로저
KR100961229B1 (ko)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KR20210146799A (ko) 도어 개방용 및/또는 폐쇄용 도어 액츄에이터
FI91911C (fi) Itsetoimiva ovensuljin
US4454890A (en) Solar heater system and valve
RU182079U1 (ru) Огне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и/ил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208024218U (zh) 一种铝合金防火窗
PT757742E (pt) Mola automatica para fecho de portas e processo de montagem da mesma
CN202244534U (zh) 单开盖式设备防护保温舱
EP1544408B1 (en) A system for exhausting flue gases in a tunnel
KR20070005821A (ko) 방화도어 조립체와 방화도어
KR101050509B1 (ko) 작동유의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CN113216812A (zh) 一种防热辐射防火门
FI117766B (fi) Ovensuljin
CN111980555A (zh) 用于易燃物存放仓库的钢制防火门
CN216477035U (zh) 一种用于阻断火势的水冷式防火门
CN208934563U (zh) 一种钢制隔热防火门
JP5493534B2 (ja) 油圧機器の耐火構造
JP5932610B2 (ja) コンシールドドアクローザ
KR101482153B1 (ko) 기밀성을 갖는 방화 도어
CN106812404B (zh) 用于门或窗的驱动装置的壳体
US5309891A (en) Direct evacuation gas heater or fireplace and safety release valve for said heaters
NO180351B (no) Brannsikringsventil
CN215292208U (zh) 一种密封防火门
CN106225220B (zh) 一种高防水保温阻燃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