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226A -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226A
KR20110038226A KR1020090095426A KR20090095426A KR20110038226A KR 20110038226 A KR20110038226 A KR 20110038226A KR 1020090095426 A KR1020090095426 A KR 1020090095426A KR 20090095426 A KR20090095426 A KR 20090095426A KR 20110038226 A KR20110038226 A KR 2011003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test
dock
heavy
dead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121B1 (ko
Inventor
유동훈
서형균
이중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1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draught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 상태에서도 테스트 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중사시험 수행 동안 배수량 및 Trim & List를 동일하게 유지시키지 않는 방안을 적용하여 주수 탱크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진수 전 즉, 도크 주수전 드라이 도크 상태에서(선박이 부유되지 않은 상태) Deadweight survey를 수행하고, 도크 주수후 본선의 진수 직후 Draft reading을 수행하여 안벽 계류 기간 동안 수행되는 중사시험 과정을 제거한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에서 반목 위에 놓여져 부양이 안된 상태에서 Deadweight syuvey를 수행하고, 도크 내부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95426
중사시험, 경사시험, deadweight survey, draft reading

Description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Light Weight in a Dock(on the ground) Before Launching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진수 후에 크게 Deadweight survey와 Draft reading으로 구성되는 중사시험을 수행하는 현재의 방법에서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중사시험을 위한 선박의 이동 행위 제거, 안벽계류기간 단축, 검사 및 작업시간 확보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보다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사시험은 배의 복원성을 알려주는 메타센타의 높이(GM 값)를 찾기 위해 배를 기울여서 하는 시험이며 통상적으로 경사시험을 할 때 GM값 뿐아니라 배의 무게(경하중량, Light Weight) 를 측정하는데 이는 실을 수 있는 화물의 무게(재화중량, Dead Weight)를 알아내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척의 동형선(series ship)을 건조할 때 첫 번째 배에서는 위 두 가지를 모두 계측하며 이를 경사시험이라고 한다. 그리고 두 번째 배부터는 재화중량을 파악하는 시험만 하는데 이를 중사시험(Deadweight Measurement)이라 한다.
중사시험 호선은 첫 호선의 경사시험 호선과 동일한 로딩 컨디션이 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선박의 진수 후 안벽 또는 내항 등의 장소에서 즉, 선박이 부양된 상태에서 중사시험을 수행하였다.
중사시험 수행을 위해 테스트의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선박은 항상 같은 배수량 및 Trim & List 조건으로 부유 되어있어야 한다는 개념이 적용되어 왔으며, 첫 호선인 경사시험 호선과 동일한 로딩 조건으로 중사시험을 수행한다.
내항 및 안벽 수행조건은 선박 부양상태에서 Deadweight survey(trim condition)(배의 무게에 포함되는 것과 포함되지 않는 것을 찾는 것)를 수행하고, 선박 부양상태에서 Draft reading(trim condition)(배가 가라앉은 양에 따라 배수량을 계산하는 것)을 수행하여 많은 작업행위가 이 시험을 위해 중단되었다.
이와 같이 안벽 또는 내항공사에서 중사시험이 수행되므로 본 테스트 수행시 모든 생산활동 및 검사행위가 중단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테스트 선박이 안벽에 이중으로 계류되어 있는 경우, 안벽 외 내항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 중사시험을 위해 예인선(Tug boat)을 이용하여 선박을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바람, 파도가 있을 경우 테스트가 종종 취소되어 공정을 혼란을 초래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중사시험 전 조치 사항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중사시험 전 조치사항이 있는데, 먼저 시험 선박은 안 벽 또는 내항에 부양되어 있어야 하고(S10), 중사시험전 건조사양서에 요구된 구조 및 의장품 모두 설치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S20), 계산의 정확성을 위해 룰에 따라 trim은 LBP(Length Between Perpendiculars)의 1%이내 heel은 0.5%(배는 어느 방향으로도 경사할 수 있다. 가로방향의 경사를 횡경사 (Heel or List) 라고 하고, 세로방향의 경사를 종경사 (Trim) 이라고 부른다) 이내로 선박의 콘디션을 만들기 위한 발라스팅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S30), 불명확한 Free surface moment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탱크의 잔수 제거 작업을 수행하고(S40), 시험 계측 장비를 제외한 불필요 장비 및 오물, 오수 제거 작업을 수행하고(S50), 외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Mooring Line은 느슨하게 하고(S60),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기 위해 드래프트 계측은 중요한 요소이므로 파도 및 바람이 거의 없는 날씨를 택하여 수행하고(S70), 중사시험 수행 필수요원의 승선만 허락하고(S80), 중사시험전 승선인원은 종료시까지 하선 불가한 것이다(S90).
그리고 종래의 중사시험은 첫 번째로 Deadweight survey를 수행하는데, 장소는 안벽 또는 내항이며, 상태는 부양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로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데, 동일한 조건으로 장소는 안벽 또는 내항이고, 상태는 부양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드라이 도크 상태에서도 테스트 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중사시험 수행 동안 배수량 및 Trim & List를 동일하게 유지시키지 않는 방안을 적용하여 주수 탱크를 변경가능하게 하고, 진수 전 즉, 도크 주수전 드라이 도크 상태에서(선박이 부유되지 않은 상태) Deadweight survey를 수행하고, 도크 주수후 본선의 진수 직후 Draft reading을 수행하여 안벽 계류 기간 동안 수행되는 중사시험 과정을 제거한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에서 반목 위에 놓여져 부양이 안된 상태에서 Deadweight syuvey를 수행하고, 도크 내부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사시험 기준 선박설계 및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도크 내에서 중사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중사시험시 건조사양서에 요구된 구조 및 의장품의 99% 이상 설치를 선주 및 선급과 확인하는 단계,
선주, 선급과 협의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제거 작업 없이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도크내 주수하여 선박을 부양하는 단계;
자유로운 선박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외력을 제거하는 단계;,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 단계;
중사시험 종료 단계, 및
플로트 아웃 즉, 선박을 도크내부로부터 토우잉(towing)하여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수 시점 즉, 드라이 도크에서 주수하는 시점에는 생산활동 및 검사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중사시험으로 인한 공정 지연 방지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사시험이 드라이 도크내에서 모두 수행되므로 많은 비용이 유발되는 선박의 이동 행위가 제거되고, 도크내에서 테스트 수행에 따른 바람, 파도 등의 외력요인이 사라져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공정에 지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사시험 전 조치사항과 본 발명에 따른 중사시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사시험 전 조치 사항으로, 드라이 도크내에서 수행 단계로, Deadweight survey는 부양전 Draft reading은 부양후 수행한다(S10'). 중사시험전 건조 사양서에 요구된 구조 및 의장품 모두 설치 작업을 수행하고(S20'), Deadweight survey는 부양전 수행 조건으로 even trim, heel 상태이므로 계산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진수를 위한 발라스팅이 수행되므로 시험을 위한 별도의 발라스팅 불필요하고(S30'), 진수시점(도크 건조중)에는 탱크 내부에 물이 없으므로 별도의 잔수 제거작업이 불필요하고(S40'), 선주, 선급 협의 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제거 작업 없이 시험을 수행하고(S50'), 외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Mooring line(계류삭)은 느슨하게 한다(S60'). 도크 내부는 도크 게이트에 의해 바다와 차단되어 있어 파도 및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드래프트 계측에 의한 정확한 결과를 도출 가능하고(S70'), Deadweight survey가 부양전 수행되므로 모든 생산 작업자들이 승선한 상태로 시험 수행가능하고, Draft reading 직전 모든 생산 작업자가 하선하므로 시험에 지장이 없으며(S80'), 드래프트 계측전까지(부양 전)까지 자유로운 승, 하선 및 생산작업이 가능하였다(S90'). 본 발명의 중사 시험에서는 첫 번째로 Deadweight survey를 수행하는데, 장소는 드라이 도크이고, 상태는 반목 위에 놓여져 부양 안된 상태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데, 장소는 도크 내부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수행한다.
그러면 이어서 본 발명의 중사시험을 설명한다.
첫째로, 단계 S10"에서 중사시험 기준 선박설계 및 건조를 수행한다(선박 전체 중량의 99%이상 건조시 중사시험 수행가능). 이어서 중사시험을 실시하고(도크 내에서 수행시작)(S20"), 중사시험시 건조사양서에 요구된 구조 및 의장품의 99% 이상 설치를 선주 및 선급과 확인하고(S30"), 선주, 선급과 협의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제거 작업 없이 시험을 수행하고(S40")(중사시험시 불필요 장비 및 오물의 양을 선주, 선급과 확인하며, 미지 항목은 선박 전체 중량의 2%이하가 되어야 함), 이어서 도크내 주수하여 선박 부양을 수행하고(S50"), 자유로운 선박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외력을 제거하고(S60")(외력을 없애기 위해 Mooring Line(계류삭)을 느슨하게 만듦), Draft reading 수행하고(S70"), 중사시험 종료한 다음, 플로트 아웃 즉, 선박을 도크내부로부터 토우잉(towing)하여 안벽으로 이동시킨다(S80").
상기 단계 S20"에서 S40"까지는 육상 및 도크 반목위에서 수행하는데, Deadweight Survey 단계로서 설치 안된 구조, 의장품 및 불필요 장비 및 오물 확인을 하고, 작업자가 승선하여 선박내 진수 마무리 작업과 동시에 중사시험을 수행한다. 단계 S40"이후에 진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S50"단계에서 종료 단계까지는 Draft reading 단계로서 보트 승선후 드라프트 게이지를 이용하여 계측을 한다.
이렇게 하여 중사시험이 종료된다.
도 3은 육상 또는 도크 반목위 Deadweight survey 단계 진수 그리고 부양후 Draft reading 단계를 도시한다.
위의 도면은 반목 위에서 Deadweight survey 단계로서, 설치안된 구조, 의장품 확인 불필요 장비 및 오물 확인 그리고 작업자가 승선하여 선박내 진수작업과 동시에 중사시험을 수행한다.
아래 도면은 진수후 부양후의 도면으로서 Draft reading 단계로서 보트 승선 후 Draft gauge를 이용하여 계측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수 시점 즉, 드라이 도크에서 주수하는 시점에는 생산활 동 및 검사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중사시험으로 인한 공정 지연 방지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사시험이 드라이 도크내에서 모두 수행되므로 많은 비용이 유발되는 선박의 이동 행위가 제거되고, 도크내에서 테스트 수행에 따른 바람, 파도 등의 외력요인이 사라져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공정에 지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중사시험 전 조치 사항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사시험 전 조치사항과 본 발명에 따른 중사시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육상 또는 도크 반목위 Deadweight survey 단계 진수 그리고 부양후 Draft reading 단계를 도시한다.

Claims (6)

  1. 드라이 도크에서 반목 위(육상)에 놓여져 부양이 안된 상태에서 Deadweight syuvey를 수행하고, 도크 내부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 시험 수행 방법.
  2. 중사시험 기준 선박설계 및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도크 내에서 중사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중사시험시 건조사양서에 요구된 구조 및 의장품의 99% 이상 설치를 선주 및 선급과 확인하는 단계,
    선주, 선급과 협의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제거 작업 없이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도크내 주수하여 선박을 부양하는 단계;
    자유로운 선박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외력을 제거하는 단계;,
    Draft reading을 수행하는 단계;
    중사시험 종료 단계, 및
    플로트 아웃 즉, 선박을 도크내부로부터 토우잉(towing)하여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 시험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사시험 기준 선박 설계 및 건조 단계에서 선박 전에 중량의 99% 이상 건조시 중사시험을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 시험 수행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주 선급 협의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 제거작업없이 시험 수행하는 단계는 중사시험시 불필요 장비 및 오물의 양을 선주 선급과 확인하며, 알려지지 않은 항목은 선박 전체 중량의 2% 이내에 되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로운 선박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외력 제거 단계에서 외력을 없애기 위해 mooring line(계류삭)을 느슨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사시험 전 조치 사항으로, 드라이 도크내에서 Deadweight survey는 부양전 수행하고, Draft reading은 부양후 수행하고, 진수시점에는 탱크 내부에 물이 없으므로 별도의 잔수 제거 작업 불필요하고, 선주 선급 협의하에 불필요 장비 및 오물 제거작업 없이 시험수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수전 도크 단계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KR1020090095426A 2009-10-08 2009-10-08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KR10111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26A KR101115121B1 (ko) 2009-10-08 2009-10-08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26A KR101115121B1 (ko) 2009-10-08 2009-10-08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26A true KR20110038226A (ko) 2011-04-14
KR101115121B1 KR101115121B1 (ko) 2012-02-27

Family

ID=4404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26A KR101115121B1 (ko) 2009-10-08 2009-10-08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1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618A (zh) * 2015-08-23 2015-12-02 陕西沃德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对接定位引导方法
CN114379726A (zh) * 2020-10-21 2022-04-22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船舶的空船重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834607A (zh) * 2022-05-24 2022-08-02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辅助船舶倾斜试验的顶推工装及船舶倾斜试验方法
CN114964444A (zh) * 2022-05-23 2022-08-30 江苏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船坞进水流量的船舶重量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14B1 (ko) 2001-06-04 2003-08-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안벽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안벽시뮬레이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618A (zh) * 2015-08-23 2015-12-02 陕西沃德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对接定位引导方法
CN114379726A (zh) * 2020-10-21 2022-04-22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船舶的空船重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964444A (zh) * 2022-05-23 2022-08-30 江苏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船坞进水流量的船舶重量计算方法
CN114834607A (zh) * 2022-05-24 2022-08-02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辅助船舶倾斜试验的顶推工装及船舶倾斜试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121B1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Latest progress in floatover technologi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and decommissioning
KR101115121B1 (ko) 선박의 진수 전 도크 단계(육상)에서 중사시험 수행 방법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CN110877705B (zh) 一种大型集装箱船舭部压载舱结构的修复方法
US4084529A (en) Floating dry dock with lifting pontoons
CN204473090U (zh) 外挂式可拆卸船用升降鳍板装置
RU2481223C1 (ru)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spar -платформы (варианты)
CN102092458A (zh) 超大型船舶坞内漂浮二次定位工艺
ITTO990486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ssemblaggio di una strutturaoffshore galleggiante
CN108382528A (zh) 一种客滚船舶倾斜试验的方法
CN107796603A (zh) 一种平台悬臂梁负荷试验方法
KR20160148762A (ko)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KR101654608B1 (ko) 반잠수식 리그 및 반잠수식 리그의 경사시험 방법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101159029B1 (ko) 메가블록 슬라이딩 진수를 통한 선박건조공법
KR20110136395A (ko) 반목 유격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101566524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Ozguc Fatigue assessment of longitudinal stiffener end connections for ageing bulk carriers
CN105501393B (zh) 一种船舶起重柱的安装方法
KR20180000838A (ko)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KR101566522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Yang et al. Design considerations for challenging floatover installation of Liwan 3-1 mega topsides with a t-shaped barge
CN108532660A (zh) 一种绞吸式挖泥船桥架轴承维护方法
Zhang et al. Application of a newly built semi-submersible vessel for transportation of a tension leg platform
RU2443593C1 (ru) Способ правки перегиба корпуса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