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852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852A
KR20110037852A KR1020100093097A KR20100093097A KR20110037852A KR 20110037852 A KR20110037852 A KR 20110037852A KR 1020100093097 A KR1020100093097 A KR 1020100093097A KR 20100093097 A KR20100093097 A KR 20100093097A KR 20110037852 A KR20110037852 A KR 2011003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output
reproduction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찌나리 고노
후지오 노보리
사또시 미야자끼
요시끼 다나까
미쯔히로 호소끼
도모히꼬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3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재생 데이터의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음성 및 텍스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일례로서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로서, 상이한 내용을 갖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JP 제2000-172221호 참조). 이 기술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열차가 통과할 때마다 정지 화상 데이터의 조각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표시 내용을 갖는 다수의 조각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의 승객들은 다수의 조각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1장씩 연속적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동화상을 볼 때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72221호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72221호에 개시된 기술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상이한 콘텐츠의 조각을 표시시키는 것이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동일한 콘텐츠를 표시시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JP 제2000-172221호에 개시된 기술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콘텐츠의 조각을 독립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조각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점에 비추어, 출력 장치의 각각의 영역이 동일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들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신규하고 개량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재생 데이터의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관하여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 및 동기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동기 신호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동기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생부는 또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는,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관하여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 신호 수신부 및 동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조정하는 재생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생부는 또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수신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위치 조정부는, 동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로부터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시각 정보에 기초하고,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재생 위치 정보 및 재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부에 의해 행해지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취득부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는,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어 신호로부터 오프셋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재생 데이터를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는, 출력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장치의 각각의 영역들이 동일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들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속성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인원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 간의 동기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이들 구성 요소들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1.제1 실시예(1개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1-1.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
1-2.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
1-3.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
1-4.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속성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
1-5.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인원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
1-6.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1-7.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
1-8.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
1-9.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
1-10.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 간의 동기 처리
1-11.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1-12.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1-13.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2. 제2 실시예(다수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2-1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
2-2.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
2-3.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
2-4.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3. 변형예
4. 정리
< 제1 실시예(1개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
[1-1.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3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한다.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콘텐츠 데이터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300)는 2개의 영역(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하고, 그 영역들의 수는, 그것이 복수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300)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지만,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출력 장치(300)로서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센터 라인 C를 경계선으로 하여 서로 분할되어,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영역(310)에 표시되는 대상 및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대상은, 그 대상이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는 방식으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장치(400)는 사전결정된 위치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검지 장치(400)로서 카메라가 사용되고,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부터 인물 M의 얼굴의 위치가 검출되어, 검출된 얼굴의 위치에 따라,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지 또는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하는지가 검출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 인물 M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재생 데이터 P1의 크기는 제1 영역(310)의 크기 및 제2 영역(320)의 크기와 동일하지만, 재생 데이터 P1의 크기는 제1 영역(310)의 크기 및 제2 영역(320)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클 수도 있다. 검지 장치(400)는 적어도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트리거를 검출할 수 있으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물 M의 검출을 트리거로서 검지하기 위해, 검지 장치(400)로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지 장치(400)의 수가 하나이지만, 그 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 M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갖는 경우에는, 트리거로서의 인물 M의 검출을 검지하기 위해, 제1 영역(310)에 대응하는 제1 판독기가 검지 장치(400)로서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의 부근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영역(320)에 대응하는 제2 판독기가 검지 장치(400)로서 (예를 들어, 제2 영역(320)의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제1 판독기가 RFID 태그를 판독하면,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고, 제2 판독기가 RFID 태그를 판독하면, 제2 영역(32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된다.
또한, 검지 장치(400)는 트리거로서의 인물 M에 의해 행해지는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에 대응하는 제1 버튼은 검지 장치(400)로서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의 부근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영역(320)에 대응하는 제2 버튼은 검지 장치(400)로서 (예를 들어, 제2 영역(320)의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제1 버튼이 인물 M에 의해 눌러지면,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고, 제2 버튼이 인물 M에 의해 눌러지면, 제2 영역(32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된다.
또한, 검지 장치(400)로서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컨트롤러(조이 스틱 등)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인물 M에 의해 컨트롤러에 입력된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1-2.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M이 제1 영역(310)의 앞에서 제2 영역(320) 앞까지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인물 M이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의 일부가 출력될 수 있고, 제2 영역(320)으로부터 그 나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정밀도로, 인물 M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될 수 있다.
[1-3.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M이 제2 영역(320) 앞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인물 M이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어, 제2 영역(320)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된다. 따라서, 인물 M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될 수 있다.
[1-4.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속성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속성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속성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F가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인물 F가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다. 여기에서, 검출된 인물 F가 해석되어, 해석된 결과로서 추출된 속성에 기초하여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F의 속성으로서 성별(여성)이 추출되는 경우에는, 여성에 적합한 재생 데이터 P2가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인물의 속성은 인물의 성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인물의 연령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1-5.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인원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인원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검출 인원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고, 인물 H1 및 인물 H2가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고, 인물 H1 및 인물 H2가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다. 여기에서, 검출된 인원수에 따른 위치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310) 앞에는 1명의 인물(인물 M)이 존재하는 것에 반해, 제2 영역(320) 앞에는 2명의 인물(인물 H1 및 인물 H2)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2 영역(320) 앞의 인원수가 제1 영역(310) 앞의 인원수보다 많으므로, 재생 데이터 P1이 제2 영역(320)으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양쪽으로부터 재생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은 인물 M의 속성에 따른 재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영역(320)은 인물 H1 또는 인물 H2의 속성에 따른 재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1-6.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A)은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 제어 장치(200), 출력 장치(300) 및 검지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10A)과 후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B) 간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10A) 및 정보 처리 시스템(10B)을 "정보 처리 시스템(10)"으로서 각각 표현한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와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 간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서 각각 표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네트워크(500)에 접속되고, 또한 출력 장치(300)에도 접속된다.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500)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와는 구분되는 장치로서 제어 장치(200)가 사용되지만, 제어 장치(200)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 내장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내장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검지 장치(400)는 제어 장치(200)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검지 장치(400)는 제어 장치(200)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만, 검지 장치(400)는 제어 장치(200) 이외의 장치(예를 들어,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200)에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지 장치(40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7.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는 재생부(120), 출력부(130), 제어 신호 취득부(140) 및 출력 제어부(15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 동기 신호 송신부(160) 및 동기 신호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 송신부(160) 및 동기 신호 생성부(170)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및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 전에 콘텐츠 데이터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가 필요해지지고,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될 때에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콘텐츠 데이터 취득부가 필요해진다.
재생부(12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 P1을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대상이 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에 기억될 수 있거나, 또는 콘텐츠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1 제어 신호에 콘텐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재생부(120)는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1 제어 신호에 문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재생부(120)는 문자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문자의 크기 및 색을 출력부(130)에 출력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문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문자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재생부(12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RAM에 전개되어, 전개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재생부(120)에 의해 취득된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 장치(300)의,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출력부(130)는 예를 들어, 출력 장치(300)에 준거하는 규격을 따른 사전결정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예에서, 사전결정된 입력은, 적어도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트리거를 지칭한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출력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부(130)에 의해 행해지는 재생 데이터 P1의 출력 장치(300)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50)가, 제1 제어 신호에,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30)가 재생 데이터 P1을 제1 영역(310)에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50)가, 제1 제어 신호에,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30)가 재생 데이터 P1을 제1 영역(310)에 출력하도록 하지 않는다. 출력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CPU 및 RAM을 포함하여, 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RAM에 전개되어, 전개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에 의해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그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1 제어 신호로부터 오프셋을 추출하고, 추출된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부(130)는 출력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300)의,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이 "제1 영역(310)으로부터 제2 영역(320)에의 방향의 50%인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제2 영역(320)에의 방향으로 (도 2에 도시한 예에서, 재생 데이터 P1의 폭의 50%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킨다. 출력 제어부(150)가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재생 데이터 P1의 일부)가 제1 영역(310)에 출력된다.
[1-8.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재생부(120), 출력부(130), 제어 신호 취득부(140) 및 출력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 동기 신호 수신부(180) 및 재생 위치 조정부(190)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 수신부(180) 및 재생 위치 조정부(190)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에 기억되는 콘텐츠 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예를 들어, HDD 및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 전에 콘텐츠 데이터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가 필요해지고,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될 때에 네트워크(500)를 통해 다른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다른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콘텐츠 데이터 취득부가 필요해진다.
재생부(12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 P1을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대상이 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110)에 기억될 수도 있고, 또는 콘텐츠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될 수도 있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2 제어 신호에 콘텐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재생부(120)는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2 제어 신호에 문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재생부(120)는 문자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문자의 크기 및 색을 출력부(130)에 출력한다.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문자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문자 식별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재생부(120)는 예를 들어, CPU 및 RAM을 포함하여, 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RAM에 전개되어, 전개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재생부(120)에 의해 취득된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 장치(300)의,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320)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출력부(130)는 예를 들어, 출력 장치(300)에 준거하는 규격을 따른 사전결정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된 예에서, 사전결정된 입력은, 적어도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트리거를 지칭한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출력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부(130)에 의해 행해지는 재생 데이터 P1의 출력 장치(300)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50)가, 제2 제어 신호에,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30)가 재생 데이터 P1을 제2 영역(320)에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출력 제어부(150)가, 제2 제어 신호에,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30)가 재생 데이터 P1을 제2 영역(320)에 출력하도록 하지 않는다. 출력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CPU 및 RAM을 포함하여, 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RAM에 전개되어, 전개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에 의해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그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 취득부(140)에 의해 취득된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오프셋을 추출하고, 추출된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부(130)는 출력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300)의,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320)으로부터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오프셋이 "제1 영역(310)으로부터 제2 영역(320)에의 방향의 50%"인 경우, 출력 제어부(150)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제2 영역(320)에의 방향으로 (도 2에 도시한 예에서, 재생 데이터 P1의 폭의 50%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킨다. 출력 제어부(150)가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제2 영역(320)으로부터 출력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재생 데이터 P1의 나머지 부분)가 제2 영역(320)에 출력된다.
[1-9.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0)는 취득부(210), 제어 신호 생성부(220) 및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취득부(210)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을 검지 장치(400)로부터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210)는 사전결정된 입력을 검지 장치(400)로부터 직접 취득할 수도 있거나, 또는 사전결정된 입력을,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 등을 통해 검지 장치(400)로부터 간접적으로 취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전결정된 입력을 검지 장치(400)로부터 직접 취득하는 경우, 취득부(210)는 검지 장치(400)에 준거하는 규격을 따른 사전결정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전결정된 입력을,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 등을 통해 검지 장치(400)로부터 간접적으로 취득하는 경우, 취득부(21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취득부(210)에 의해 취득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된 예에서, 사전결정된 입력은, 적어도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트리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부터 인물 M의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위치에 따라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지 또는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인물 M이 제1 영역(310) 앞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물 M이 제2 영역(320) 앞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 및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지 장치(400)로서 1대의 카메라가 제공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검지 장치(400)는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검지 장치(400)의 수도 1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대의 검지 장치(400)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1 영역(310)에 대응하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인물 M이 검출되면,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영역(320)에 대응하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인물 M이 검출되면,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산출하여,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산출하여,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예를 들어, 검지 장치(400)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부터 인물 M의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얼굴의 위치에 따라 오프셋을 산출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의 위치에 기초한 얼굴의 위치의 어긋남(displacement)으로부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예를 들어, 제2 영역(320)의 위치에 기초한 얼굴의 위치의 어긋남으로부터, 제2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의 위치 및 제2 영역(320)의 위치는, 제어 장치(200)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될 수 있고,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의해 취득된 되어 제어 장치(200)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 대응하는 검지 장치(400)가 더 제공되는 경우, 검지 장치(400)에 의해 인물 M이 검출되면,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제2 영역(320)에의 방향의 50%"인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제2 영역(320)으로부터 제1 영역(310)에의 방향의 50%"인 오프셋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취득부(210)에 의해 취득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인물을 검출하고, 검출된 인원수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의 앞에서 검출된 인원수가 제2 영역(320) 앞에서 검출된 인원수보다 많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영역(320) 앞에서 검출된 인원수가 제1 영역(310) 앞에서 검출한 인원수보다 많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제1 영역(310) 앞의 인원수가 1명인 것을 검출하고, 또한 제2 영역(320) 앞의 인원수가 2명인 것을 검출한다. 그 결과,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제2 영역(320) 앞의 인원수가 제1 영역(310) 앞의 인원수보다 많다고 판단하여,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취득부(210)에 의해 취득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인물을 검출하고, 검출된 인물을 해석하여 인물의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제1 영역(310) 앞의 인물의 속성으로서 그 인물이 여성인 것을 추출하고, 여성에 적합한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속성 및 콘텐츠 식별 정보가 서로 상관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추출된 속성에 기초하여, 문자의 크기 및 색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속성 및 문자 식별 정보가 서로 상관되는 정보로서, 제어 장치(200)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검출된 인물을 해석하여 인물의 얼굴의 크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추출된 얼굴의 크기가 임계값보다도 작은 인물이 출력 장치(300)로부터 멀리에 있다고 판단하여, 재생 데이터 P1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출력부(230)는, 제어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 출력하고,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1-10.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 간의 동기 처리]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 간의 동기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 간의 동기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는 각각, 그 내에 포함된 재생부(120)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이 개시되는 타이밍에 완전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와 동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와 동기시키기 위해,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동기 신호 생성부(170)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관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와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동기 신호 송신부(160)는 동기 신호 생성부(170)에 의해 생성된 동기 신호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송신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동기 신호 수신부(180)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관련된 동기 신호를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로부터 수신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재생 위치 조정부(190)는 동기 신호 수신부(180)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가 시각 T1에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가 시각 T1'에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재생부(120)는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a초 후의 재생 위치를 재생한 시각 t1)를 취득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동기 신호 생성부(170)는 재생부(120)에 의해 취득된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재생부(120)는 또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를 취득한다. 동기 신호 수신부(180)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서의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재생 위치 조정부(190)는 동기 신호 수신부(180)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로부터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를 추출하고, 추출한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에 기초하고, 재생부(120)에 의해 취득된 재생 위치 정보(예를 들어, a초) 및 재생 시각 정보(예를 들어, 시각 t1')에 기초하여 재생부(120)에 의해 행해지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재생 위치 정보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대하여는 동일하지만, 재생 시각 정보에 대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재생 시각 정보보다 늦은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재생 위치 조정부(190)는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t1'-t1초에 상당하는 시각만큼 앞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정을 행한다.
[1-11.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0)의 취득부(210)는 검지 장치(400)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의 취득까지 대기한다(스텝 S101). 제어 장치(200)의 취득부(210)가 사전결정된 입력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스텝 S102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101로 복귀된다. 제어 장치(200)의 취득부(210)가 사전결정된 입력을 취득한 경우(스텝 S102에서 "예"),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3). 제어 장치(200)의 출력부(230)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 송신하고(스텝 S104), 또한, 제2 제어 신호를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송신하고(스텝 S105), 처리는 스텝 S101로 복귀된다.
[1-12.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재생부(12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고(스텝 S201),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출력된 제1 제어 신호의 취득까지 대기한다(스텝 S202).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가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스텝 S203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02로 복귀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가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한 경우(스텝 S203에서 "예"),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출력 제어부(150)는 제1 제어 신호로부터 오프셋을 추출한다(스텝 S204). 계속해서,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출력 제어부(150)는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205).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의 출력부(130)는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제1 영역(310)으로부터 출력하고(스텝 S206), 처리는 스텝 S202으로 복귀된다.
[1-13.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재생부(12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고(스텝 S301),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출력된 제2 제어 신호의 취득까지 대기한다(스텝 S302).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가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3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302로 복귀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제어 신호 취득부(140)가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한 경우(스텝 S303에서 "예"),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출력 제어부(15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오프셋을 추출한다(스텝 S304). 계속해서,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출력 제어부(150)는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재생 데이터 P1을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305).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출력부(130)는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제2 영역(320)으로부터 출력하고(스텝 S306), 처리는 스텝 S302로 복귀된다.
< 2. 제2 실시예(다수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
[2-1.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장치(300)는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310)은 출력 장치(300A)에 제공되고, 제2 영역(320)은 출력 장치(300B)에 제공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B)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A)에 포함된 그 밖의 부분들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하에서, 출력 장치(300A)와 출력 장치(300B) 간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출력 장치(300A) 및 출력 장치(300B)는 각각 "출력 장치(300)"로서 표기된다. 도 14에 도시한 예에서, 출력 장치(300A)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한다.
[2-2.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출력 장치(300A)는 제1 영역(31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의 일부를 출력하고, 출력 장치(300B)는 제2 영역(32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의 나머지 부분을 출력한다.
[2-3.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에 의한 콘텐츠 출력의 예(파트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출력 장치(300B)는 제2 영역(320)으로부터 재생 데이터 P1을 출력한다.
[2-4.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A)은 출력 장치(300)를 포함하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B)은 출력 장치(300A) 및 출력 장치(300B)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300A)는 제1 정보 처리 장치(100A)에 접속되고, 출력 장치(300B)는 제2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접속된다.
< 3. 변형예 >
각종 변경, 조합, 서브-조합 및 수정이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건 및 이외 요소들에 따라, 각종 변경, 조합, 서브-조합 및 수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들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물을 검출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출 대상은 인물 이외의 것일 수 있고, 차량, 동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제공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영역들이 배열되는 방향은 수평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직 방향 등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역들의 수는 2개(제1 영역 및 제2 영역)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개 이상일 수 있다.
< 4. 정리 >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장치의 각각의 영역들이 동일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영역들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1개의 콘텐츠가 분할되어 얻어지는 분할된 콘텐츠의 조각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표시하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상이하다. 즉,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사전에 각각의 분할 콘텐츠의 조각에 저작(authoring)을 행할 필요가 있다. 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동일한 콘텐츠를 취급한다. 따라서, 각각의 정보 처리 장치들이 표시해야 할 대상들 및 범위들을 조정하고, 표시 타이밍을 동기시킬 필요는 있지만, 사전에 각각의 분할 콘텐츠의 조각에 저작을 행하는 수고는 생략할 수 있다.
본원은 2009년 10월 5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9-231352호에 기재된 바와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10A , 10B: 정보 처리 시스템
100: 정보 처리 장치
100A: 제1 정보 처리 장치
100B: 제2 정보 처리 장치
110: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
120: 재생부
130: 출력부
140: 제어 신호 취득부
150: 출력 제어부
160: 동기 신호 송신부
170: 동기 신호 생성부
180: 동기 신호 수신부
190: 재생 위치 조정부
200: 제어 장치
210: 취득부
220: 제어 신호 생성부
230: 출력부
300, 300A , 300B: 출력 장치
310: 제1 영역
320: 제2 영역
400: 검지 장치
500: 네트워크
P1, P2: 재생 데이터
M: 인물

Claims (13)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동기 신호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또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위치 정보및 상기 재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동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를 조정하는 재생 위치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또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동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상기 재생 위치가 재생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재생 위치 조정부는, 상기 동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동기 신호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재생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재생 시각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위치 정보 및 상기 재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는, 상기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산출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재생 데이터를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력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시프트된 재생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7.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로부터 출력시키는 단계;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 및
    취득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의,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동기 신호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에 관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동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위치를 조정하는 재생 위치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1.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어 장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을 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출력 장치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데이터를 취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의,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된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재생 데이터의 상기 출력 장치에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인물을 검지하고, 검지된 상기 인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사전결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인물을 검지하고, 검지된 상기 인물을 해석하여 상기 인물의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00093097A 2009-10-05 2010-09-27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10037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1352A JP5310456B2 (ja) 2009-10-05 2009-10-05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JP-P-2009-231352 2009-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852A true KR20110037852A (ko) 2011-04-13

Family

ID=4370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97A KR20110037852A (ko) 2009-10-05 2010-09-27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6438B2 (ko)
EP (1) EP2323072B1 (ko)
JP (1) JP5310456B2 (ko)
KR (1) KR20110037852A (ko)
CN (1) CN102034404A (ko)
TW (1) TW2011138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2029A1 (de) * 2011-04-13 2012-10-18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ersonengruppenbezogenen Einblendung von Zusatzinformationen auf einem Geldautomaten
US20140168277A1 (en) * 2011-05-10 2014-06-19 Cisco Technology Inc. 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
JP2012247840A (ja) * 2011-05-25 2012-12-13 Sony Corp 近隣人物特定装置、近隣人物特定方法、近隣人物特定プログラム及び近隣人物特定システム
JP5914992B2 (ja) * 2011-06-02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85201B2 (en) * 2012-03-01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images at mobile devices using sensors
US20140071159A1 (en) * 2012-09-13 2014-03-13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File System
JP6094274B2 (ja) * 2013-03-06 2017-03-15 株式会社リコー 管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US9772764B2 (en) 2013-06-06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ommodating sensors and touch in a unified experience
WO2016047043A1 (ja) * 2014-09-25 2016-03-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装置
JP2018005358A (ja) * 2016-06-29 2018-0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出力装置、通信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時間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92304B2 (ja) * 2018-08-20 2022-12-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方法
DE102019219244B3 (de) * 2019-12-10 2021-05-20 Psa Automobiles Sa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Teilen eines Bildes auf einer Bildschirmanordnung, Computerprogrammprodukt, Kraftfahrzeuganzeige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GB2607569A (en) * 2021-05-21 2022-12-14 Everseen Ltd A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240022686A1 (en) * 2022-07-15 2024-01-18 Stereyo Bv Focused sound and infotain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173B1 (en) * 1998-05-15 2001-07-31 Onemore Inc. Instant response broadcast board system and method
JP2000172221A (ja) 1998-12-07 2000-06-23 Masaomi Yamamoto 映像表示装置
US6466183B1 (en) 1998-12-07 2002-10-15 Sony Corporatio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DE19962201A1 (de) * 1999-09-06 2001-03-15 Holger Lausc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fassung und Analyse des Rezeptionsverhaltens von Personen
US20020046100A1 (en) * 2000-04-18 2002-04-18 Naoto Kinjo Image display method
DE10027365A1 (de) * 2000-06-02 2002-01-03 Zn Vision Technologies Ag Objektbezogene Steuerung von Informations- und Werbeträgern
EP1168840A3 (en) * 2000-06-30 2003-12-17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al video reproduction modes
JP2002132242A (ja) * 2000-07-31 2002-05-09 Hewlett Packard Co <Hp> 自動適合式デジタルピクチャフレームディスプレイ
US20020032975A1 (en) * 2000-09-20 2002-03-21 Shin Gwon Sik Mobile advertising system
JP2002218261A (ja) * 2001-01-23 2002-08-02 Minolta Co Ltd 画像情報伝送方法、画像情報作成装置、画像情報出力装置、画像情報作成プログラム、画像情報出力プログラム、こ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画像情報伝送システム
US7098869B2 (en) * 2001-06-29 2006-08-29 Novus Partners Llc Business method for billboard advertising
CN1444093A (zh) * 2002-03-13 2003-09-24 沈嘉清 一种用于地铁隧道内的动态广告装置的制作方法
US20040044574A1 (en) * 2002-06-04 2004-03-04 Kordex, Inc.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l advertising to a display screen
JP2004080382A (ja) * 2002-08-19 2004-03-11 Sony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US20040098137A1 (en) * 2002-11-15 2004-05-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rror display message board
US6983393B2 (en) * 2002-12-11 2006-01-03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eterministically handling asynchronous events in a time triggered system
US7627808B2 (en) * 2003-06-13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media synchronization player
US7499044B2 (en) * 2003-10-30 2009-03-03 Silicon Graphics, Inc. System for synchronizing display of images in a multi-display computer system
JP2005157135A (ja) * 2003-11-27 200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526501A (ja) * 2004-01-20 2007-09-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動的メッセージ位置変更のあるメッセージボード
US8190680B2 (en) * 2004-07-01 2012-05-29 Netg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igital media playback
US7894854B2 (en) * 2004-10-26 2011-02-22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3061B1 (ko) * 2005-01-05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호스트 디바이스
US7669219B2 (en) * 2005-04-15 2010-02-23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ed media experience
US8606949B2 (en) * 2005-04-20 2013-12-10 Jupiter Systems Interconnection mechanism for multiple data streams
JP3957725B2 (ja) * 2005-10-04 2007-08-15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ゲームシステム
US7728712B2 (en) * 2006-03-21 2010-06-01 Onestop Media Group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with security features
AU2007247852B2 (en) * 2006-05-04 2012-01-19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n electronic media system
US8810480B2 (en) * 2006-08-04 2014-08-1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US20080147488A1 (en) * 2006-10-20 2008-06-19 Tunick James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ewer attention with respect to a display and determining associated charges
WO2008071000A1 (en) * 2006-12-15 2008-06-19 Micro Target Media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JP4935345B2 (ja) * 2006-12-25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57216A (ja) * 2007-03-12 2008-10-23 Akira Tomono 公衆用情報提示装置
JP5151211B2 (ja) * 2007-03-30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多画面同期再生システム、表示制御端末、多画面同期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17315A1 (en) * 2008-02-26 2009-08-27 Cognovision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measurement and targeting media
US8612643B2 (en) * 2007-06-30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s for digital media processing
JP4435223B2 (ja) * 2007-09-27 2010-03-17 株式会社ナナオ 表示装置
US8209635B2 (en) * 2007-12-20 2012-06-2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a display
JP5541153B2 (ja) * 2008-03-10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5151588B2 (ja) 2008-03-19 2013-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誘電性フィルム形成用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高誘電性フィルム
WO2009125481A1 (ja) * 2008-04-10 2009-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
US9003280B2 (en) * 2008-05-09 2015-04-07 Vizio, Inc. Displaying still and moving images of a constant size or images that occupy a specified percentage of a screen across different size display screens
JP4636474B2 (ja) * 2008-11-17 2011-02-2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変換装置、映像再生装置、映像変換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43514A1 (en) * 2009-08-24 2011-02-24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display synchronization
JP4852159B2 (ja) * 2010-02-24 2012-01-11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空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0478A1 (en) 2011-04-07
CN102034404A (zh) 2011-04-27
EP2323072B1 (en) 2014-05-21
JP2011081483A (ja) 2011-04-21
TW201113865A (en) 2011-04-16
US10026438B2 (en) 2018-07-17
EP2323072A1 (en) 2011-05-18
JP5310456B2 (ja)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785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EP3230950B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synchronisation of colour and depth videos
US8836760B2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210315B1 (ko) 3차원 비디오 위에 그래픽 객체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추천 깊이 값
US20170359612A1 (en) Simultaneously viewing multiple camera angles
EP286096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U2011105393A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данных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данных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я
MX2012002098A (es) Metodo y aparato de procesamiento de señal para reproduccion de tres dimensiones de datos adicionales.
KR20100002048A (ko)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RU2012101829A (ru) Вставка трехмерных объектов в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е изображение на относительную глубину
KR102081934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19636A1 (en) Stereoscopic 3D Images and Video on a Non-Stereoscopic 3D Capable Screen
KR102072022B1 (ko)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요약 장치와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EP36939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9017242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5001525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테스트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US11568893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KR101688926B1 (ko) 크로마키를 이용한 증강현실 영상 제작 장치 및 방법
EP2464127A1 (en)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stereo sound synchronized with stereographic moving picture
US10708536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udio signal
WO2016072238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表示方法
US20160078664A1 (e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03845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00007306A1 (en) Virtual reality viewing system, reproduction synchronizing method, and virtual reality viewing program
JP2008219608A (ja) コンテンツ付随情報表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付随情報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