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017A -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017A
KR20110037017A KR1020090094249A KR20090094249A KR20110037017A KR 20110037017 A KR20110037017 A KR 20110037017A KR 1020090094249 A KR1020090094249 A KR 1020090094249A KR 20090094249 A KR20090094249 A KR 20090094249A KR 20110037017 A KR20110037017 A KR 2011003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wall surface
pipe
transfer pip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584B1 (ko
Inventor
박금자
Original Assignee
박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자 filed Critical 박금자
Priority to KR102009009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5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5)(5b)을 이용하여 이송관(4)(4b) 내부로 이송되는 각종 분말이나 입자 또는 이들의 유사물질, 또는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물이나 이들의 유사물질(이하 '이송물'이라 함)이 이송관(4)(4b) 내부로 이송될 때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흡착되거나 달라붙는 현상이 억제되거나 방지되도록 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관, 이송, 회전수단, 코일 스프링, 회전, 이송물, 연장, 분말, 액체

Description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FEEDING WORK GUIDING ADSORPTION-RESTRAINT DEVICE OF USING COIL SPRING}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송관의 내벽면(내측벽면 또는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각종 분말이나 점성을 갖는 액체(이하 '이송물' 이라 함)가 이송관의 내벽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이나 보리, 콩, 밀 등과 같은 곡물이나 한약재, 숯 등과 같은 약재류, 기타 분말 등은 이용하기 좋도록, 또는 필요에 의해 소정 입도(粒度)나 미립자 상태의 분말로 분쇄된 다음 이송관(이송관 또는 호스)을 통하여 후속공정으로 이송시켜 가공 및 처리되거나 배출된다.
상기 분말은 분쇄과정에서 발생되는 풍압 및/또는 고압 블러워-팬(High Pressure Blower-Fan 등)에 의해 이송관을 따라 이송 및 배출되며, 이송과정에서 일부는 이송관 내벽면에 달라붙어 병목현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이송 과부하(過負 荷)에 의해 이송효율과 전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말의 입도가 작을수록, 분말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이송관의 길이가 길수록, 이송관의 굴곡이 심할수록, 이송관의 내벽면에 이송물이 더욱 쉽게 달라 붙으면서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되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병목현상과 이송 과부하(過負荷)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은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분쇄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대부분 직선적이기 보다는 곡선적으로 설치되며, 따라서 이송관의 곡선 부분에서 이송물이 보다 쉽게 흡착된다.
상기 분말은 주변(대기중의)의 수분을 잘 흡수할 뿐 아니라 분말 자신도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고(머금고) 있어서 이송관의 내벽면에 쉽게 달라붙어 잔류하거나 적층되는 문제점이 있다.
심한 경우 다른 분말의 이송을 방해할 정도로 두껍게 달라붙어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이송관를 분리한 다음 도시안된 도구를 이용하여 이송관 내벽면에 달라붙어 있는 분말을 제거하는 작업을 주기적이거나 수시로 병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이송작업이 지체되어 전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물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 이송관의 내벽면에 달라붙어 있던 분말의 일부가 떨어지면서 이종 분말 끼리 혼합되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점성이 있는 액체를 이송관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점액 상의 이송물이 이송관의 내벽면에 달라붙어 수시로 제거하지 않으면 병목현상과 이송 과부하(過負荷) 현상이 발생되고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송관 내에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이송관 내부로 이송되는 각종 분말이나 입자 또는 이들의 유사물질,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물이나 이들의 유사물질(이하 '이송물'이라 함)이 이송관 내벽면(내측벽면 또는 내주면)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RPM으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이송관 내부로 이송되는 각종 이송물(각종 분말이나 입자 또는 이들의 유사물질 및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물이나 이들의 유사물질 등의 이송물)이 이송관 내부로 이송될 때 이송관 내부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회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은 이송관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물이 이송관의 내벽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본 발명에서 이송관의 길이가 긴 경우, 이송관의 중간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 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연장 설치하여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이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이 이송관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이송물(각종 분말이나 입자 또는 이들의 유사물질,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물이나 이들의 유사물질 등)이 이송관의 내벽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이송효율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1)의 단면 구성도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분쇄기(20)에 적용시켜 분말 상태의 이송물(11)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이송물 흡착장치(21)는 입구(2)와 출구(3)가 구비된 이송관(4)의 공 간부(4a)에 소정 피치(P)와 소정 직경(L)의 코일 스프링(5)을 설치하되 코일 스프링(5)의 외곽부(6)가 이송관(4)의 내벽면(7)에 접촉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5)의 일측 단부(5a)는 도 3과 같이 회전수단인 모터(8)의 회전축(9)에 결합된 회전판(10)에 편심되게 고정시켜 회전판(10)을 따라 소정의 회전속도, 예컨대 5 ~ 20RPM의 속도로 코일 스프링(5)이 회전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코일 스프링(5)의 일측 단부(5a)가 연결된 고정캡(9b)을 모터(8)의 회전축(9)에 고정시켜 5 ~ 20RPM의 속도로 코일 스프링(5)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송관(4)의 공간부(4a)로 이송되는 이송물(11)이 회전 스프링(5)에 의해 이송관(4) 내벽면(7)에 달라붙지 못하도록 방해하게되어 이송 부하(負荷) 및 이송관(4)의 막힘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의 외경(Ø)과 내벽면(7)의 내경은 같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5)의 외경(Ø)을 조금 크게 구성하여 코일 스프링(5)이 회전하지 않는 기간에는 탄성에 의해 내벽면(7)에 더욱 접촉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5)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5) 전체에 작용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외경(Ø)이 조금 작아지더라도 내벽면(7)과의 접촉상태는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코일 스프링(5)의 회전방향은 내벽면(7)에 흡착되는 일부의 이송물(11a)을 출구(3) 방향으로 1피치(P) 가량 밀면서 긁어낼 수 있는 방향이며, 도 2와 같이 내벽면(7)에 순간적으로 흡착되는 일부의 이송물(11a)은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의 긁어 내림 작용에 의해 내벽면(7)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공간부(4a)를 통하여 출구(3)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은 이송관(4) 전체에 걸쳐 설치되며, 필요한 경우 소정 구간에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의 일측 단부(5a)는 도 3과 같이 회전판(10)에 가장자리 부분에 편심되게 결합된 다음 피스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9a)으로 고정되거나, 도 4와 같이 코일 스프링(5)의 일측 단부(5a)가 고정되는 고정캡(9b)이 모터(8)의 회전축(9)에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5)이 이송관(7)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며, 코일 스프링(5)의 타측 단부는 출구(3)측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정도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은 경질 내마모성의 턴성재질이고, 이송관(4)의 내벽면(7)에 면접촉한 상태로 소정 피치(P)가 유지되며, 이송관(4)의 내벽면(7)에 면접촉한 상태로 5 ~ 2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구조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화 할 수 있으며, 내벽면(7)에 흡착되는 이송물(11)을 비교적 쉽게 긁어내면서 내벽면(7)과의 회전마찰을 줄일 수 있는 단면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송관의 길이가 긴 경우, 도 5와 같이 이송관(4)과 이송관(4b) 이 연결되는 부분, 또는 적당한 단위 구간별로 각각의 모터(8)(8a)에 의해 5 ~ 2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5b)이 각각 설치되어 이송물(11)을 이송 부하없이 또는 막힘없이 이송관(4b)의 출구(3a)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본 발명 도 1에서 (20)은 분쇄기이고, (21)은 호퍼이고, (22)는 분쇄부이고, (23)은 고속회전하는 분쇄날이고, (24)는 분말 상태의 이송물(11)이 배출되는 망체이고, (25)는 분말화 대상물이며, (26)은 싸이클론집진기이며, (27)은 공기배출구이고, (28)은 이송물 배출구이고, (29)는 이송물이 담기는 용기이고, (30)은 상기 분쇄날(23)을 고속회전시키는 모터이다.
또한, 도 5에서 이송관(4)과 이송관(4b) 사이에 송풍기(후황기)(36)가 설치되어 이송물(11)의 원활한 이송을 돕게되며, 배출구(28) 하부에는 이송물 및 이송물과 함께 이송된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기이며, (32)는 호퍼이고, (33)은 미세분쇄기 또는 기타 공정이 필요한 기구이며, (34)는 미세분쇄기 또는 기타 기구를 회전기구를 구동시키는 모터이고, (35)는 배출슈트이다.
본 발명의 코일 스프링(5)은 이송물(11)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교란시켜 이송물(11)이 이송관(4) 내벽면(7)이나 달라붙지 아니하며, 코일 스프링(5)(5b)은 회전하더라도 이송물(11)을 훼손하지 않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코일 스프링(5)(5b)은 경질 내마모성 탄성 스프링이므로 이송관(4)(4b)의 휘어짐이나 꺽임구조이더라도 적정 피치와 회전 상태가 유지되며, 코일 스프링(5)(5b)의 외곽부(6)와 이송관(4)(4b)의 내벽면(7) 끼리의 접촉이 유지되어 이송물(11)의 흡착이 방지되므로 이송지체 현상이 해소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5)은 회전하면서 내벽면(7)에 흡착되는 이송물(11)을 긁어 분리시키거나 내벽면(7)으로 이송물(5)이 달라붙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의 회전방향은 이송물(11)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송물(11)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고 도움을 주게되면,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접촉 회전하므로 내벽면(7)이 자연스럽게 청소된다.
회전수단인 모터(8)(8a)는 기어드모터 또는 인버터모터 등을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간접 연결시켜 5 ~ 20RPM의 속도로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효율적인 회전마찰을 위하여 코일 스프링(5)의 표면과 이송관(4)(4b)의 내벽면(7), 또는 코일 스프링(5)의 표면, 또는 이송관(4)(4b)의 내벽면(7)을 미끄럼 가공시켜 접촉 마찰을 줄임으로써 코일 스프링(5)의 원활한 회전과 일부 이송물(11)의 흡착이 억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이송관(4)(4b)을 통과하는 이송물(11)이 이송관(4)의 내벽면(7)에 달라붙지 못하게 되므로 이송물(11)의 보다 효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게된다.
본 발명에서 이송관(4)은 통과하는 이송물은 각종 분말이나 입자 또는 이들의 유사물질,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물이나 이들의 유사물질이며, 이들이 이송관(4) 내부를 지나 이송될 때 회전 스프링(5)의 방해작용에 의해 이송관(4) 내벽면(6)에 달라붙는 현상이 억제 및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5b)에 의해 이송물(11)이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일부의 이송물(11)이 내벽면(7)에 흡착되거나 고착화가 방지되며, 이에 따라 이송관(4)(4b)의 내경이 줄어드는 병목현상 등이 방지된다.
분쇄후 이송관(4)(4b)을 따라 이송되는 분말 상태의 이송물(11)인 경우,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5b)의 방해작용(접촉식 회전 작용에 의해)에 의해 상기 이송물(11)이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달라붙지 못하게 되므로 이송물(11)이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며, 따라서, 종래처럼 작업자가 이송관을 분리한 다음 도시안된 도구를 이용하여 이송관(4)(4b) 내벽면(14)에 달라붙어 있는 이송물(11)을 수시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없어질 뿐 아니라 분쇄기(20)등을 정지시킬 필요없이 지속적인 분쇄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점성을 갖는 액체 상태의 이송물(11)인 경우에도 이송관(4)(4b)의 내벽 면(7)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5)(5b)에 의해 상기 이송물(11)이 이송관(4)(4b)의 내벽면(7)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며,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이송관(5)(5b)을 세척하거나, 이송관(5)(5b)을 분리시켜 이송관(5)(5b)의 내벽면(7)에 흡착된 점액 상태의 이송물(11)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세척하거나 분리시켜 흡착물을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작업성과 샌삼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송물(11)의 종류나 크기 등이 변경되더라도 내벽면(7)에 이송물(11)의 부착이 방지되므로 이종의 이송물(11) 끼리 혼합되는 현상이 없어 상품성 저하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회전부 측면도.
도 4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회전부 측면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2)(2a)--입구
(3)(3a)--출구 (4)(4b)--이송관
(4a)--공간부 (5)(5b)--코일 스프링
(5a)--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 (6)--외곽부
(7)--내벽면 (8)(8a)--모터
(9)--모터의 회전축 (9a)--고정수단
(9b)--고정캡 (10)--회전판
(11)(11a)--이송물 (P)--코일 스프링의 피치
(L)--코일 스프링의 직경 (Ø)--코일 스프링의 외경

Claims (4)

  1. 이송물이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소정피치를 갖는 내마모성 탄성재 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외곽부와 이송과의 내벽면이 면접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KR1020090094249A 2009-10-05 2009-10-05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KR10106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49A KR101065584B1 (ko) 2009-10-05 2009-10-05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49A KR101065584B1 (ko) 2009-10-05 2009-10-05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17A true KR20110037017A (ko) 2011-04-13
KR101065584B1 KR101065584B1 (ko) 2011-09-19

Family

ID=440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249A KR101065584B1 (ko) 2009-10-05 2009-10-05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975B1 (ko) * 2023-03-09 2023-12-27 양세실 퇴적물 제거가 용이한 축산용 사료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943B (zh) * 2015-09-06 2017-04-12 衢州妙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灰浆输送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411A (ja) 1984-08-18 1986-03-13 Canon Inc 粉体搬送用パイプ
KR200272303Y1 (ko) 2002-01-23 2002-04-17 전금진 분말이송장치
JP2006168894A (ja) * 2004-12-15 2006-06-29 Horyo Corp 粉体クリーナおよびこれを備えた粉体搬送装置
JP4776319B2 (ja) 2005-09-28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その組み付け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975B1 (ko) * 2023-03-09 2023-12-27 양세실 퇴적물 제거가 용이한 축산용 사료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584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1925B (zh) 咖啡研磨机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JP2005522391A (ja) 粉粒体ポンプフィーダ
JP5938447B2 (ja) 粉砕機
KR101065584B1 (ko)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이송물 흡착 억제장치
JP2009247970A (ja) 残渣処理装置
CN108901371A (zh) 一种全自动玉米脱粒研磨机
CN112871628A (zh) 一种用于粉料筛选的滚筒筛选装置的操作方法
JP2007153396A (ja) 粉体脱気装置
EP2676742A2 (en) Centrifugal sifting apparatus
CN213922814U (zh) 一种气凝胶生产线用传送装置
CN212328906U (zh) 用于推流离心筛的多曲面复合推流破碎螺旋轴
CN115007296A (zh) 建筑废料粉碎回收装置
CN204996546U (zh) 一种自动化防尘橡胶、塑胶磨粉机
CN106238313A (zh) 一种餐厨废弃物大物质分选机
KR20140002363A (ko) 분체 이송장치
KR101047808B1 (ko) 경사형 패각분쇄기
CN206901236U (zh) 一种多用途管式螺旋输送机
CN220578271U (zh) 适用于食品加工的物料筛选结构
CN205438254U (zh) 链条输送式自动喷砂机
JP5543898B2 (ja) 粉砕分別機
CN218013038U (zh) 一种密封垫生产用磨粉机
CN205151000U (zh) 一种单轴破碎螺旋输送机
CN219518985U (zh) 一种水泥立磨机物料除杂机构
CN220610532U (zh) 一种油茶加工用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