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95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953A
KR20110036953A KR1020117004789A KR20117004789A KR20110036953A KR 20110036953 A KR20110036953 A KR 20110036953A KR 1020117004789 A KR1020117004789 A KR 1020117004789A KR 20117004789 A KR20117004789 A KR 20117004789A KR 20110036953 A KR20110036953 A KR 20110036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ode
network controller
source nod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리니바사 라오 에라벨리
하이리앙 카이
윤 린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재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되는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소스 노드 B로 송신하고,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전에 소스 노드 B로 송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고, 예를 들어, 재송신 데이터 이후에,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송신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UE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과 관련되며,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기술들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실시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직교 FDMA(OFDMA:Orthogonal 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FDMA(SC-FDMA: Single-Carrier 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노드 B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의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이동성일 수 있으며, 제1 노드 B의 커버리지 외부로 그리고 제2 노드 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할 수 있다. UE는 제1 노드 B로부터 제2 노드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다양한 엔티티(entity)들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을 수반할 수 있으며, 완료하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몇몇 데이터는 (ⅰ) 하나의 노드 B는 UE가 다른 노드 B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UE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ⅱ) UE가 열악한 채널 조건들로 인하여 데이터를 잘못 디코딩하는 경우 손실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재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 양상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되는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소스 노드 B로 송신하고,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전에 소스 노드 B로 송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 재송신 데이터는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개수의 가장 최신의 패킷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재송신 데이터 이후에,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송신할 수 있다. 새로운 데이터는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버퍼링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고/있거나 다른 기준들에 기반하여 버퍼링을 위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버퍼링을 위해 선택된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의 핸드오버에서 버퍼링을 위해 선택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데이터의 일부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UE는 소스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타겟 노드 B로부터 재송신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소스 노드 B와 타겟 노드 B 모두로부터 수신되는 사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본 데이터의 단일 카피를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및 피쳐(feature)들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UE, 서빙 노드 B, 및 RNC에서의 프로토콜 스택(stack)들을 보여준다.
도 3은 노드 B간 핸드오버를 이용하는 호출에 대한 메시지 플로우를 보여준다.
도 4는 노드 B간 핸드오버 및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이용하는 호출에 대한 메시지 플로우를 보여준다.
도 5는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의 설계를 보여준다.
도 6은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구현하는 순환 버퍼(circular buffer)를 보여준다.
도 7은 RNC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도 8은 타겟 노드 B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도 9는 UE에 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도 10은 UE, 2개의 노드 B들, 및 RNC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버퍼링 및 재송신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 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업커밍 릴리즈(upcoming release)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개시된다. cdma2000 및 UMB는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개시된다. 명료성을 위하여, 상기 기술들의 특성 양상들은 WCDMA에 대하여 하기에 개시되고, 3GPP라는 용어가 하기의 설명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도 1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02) 및 코어 네트워크(104)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UTRAN(102)은 임의의 개수의 노드 B들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UTRAN(102)에 대하여 단 2개의 노드 B들(120 및 122)과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130)만이 도 1에 도시된다. 노드 B는 UE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또한 이벌브드(evolved) 노드 B(eNode B),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 B는 특정 지리적 위치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노드 B의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예를 들어, 3개의)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작은 영역은 개별적인 노드 B 서브시스템에 의하여 서빙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노드 B 및/또는 노드 B 서브시스템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RNC(130)는 노드 B들(120 및 122)에 결함되고, 이러한 노드 B들에 대한 코디네이션 및 제어를 제공한다. RNC(130)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104) 내의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4)는 UE들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 및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노드 B(120) 및/또는 노드 B(122)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노드 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노드 B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다운링크에 대하여, UE(110)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단 하나의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에 대하여, UE(110)는 하나 이상의 노드 B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의 대부분은 다운링크상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것이며, UE(110)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단 하나의 노드 B와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UE(11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국,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UE(110)는 셀룰러 전화, 개인용 디지털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무선 전화 등일 수 있다.
3GPP 릴리즈 5 및 추후 버전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지원하며, 이는 다운링크상의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시져들 및 채널들의 세트이다. HSDPA에 대하여, 노드 B는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 및 코드 모두에서 모든 UE들에 의하여 공유되는 다운링크 전송 채널이다. HS-DSCH는 각각의 전송 시간 인터벌(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하나 이상의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WCDMA에서, 10 밀리초(ms) 무선 프레임은 5개의 2-ms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3개 슬롯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은 0.667 ms의 기간을 갖는다. HSDPA에 대하여, TTI는 하나의 서브프레임과 동일하고, UE가 스케쥴링되고 서빙될 수 있는 시간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HS-DSCH의 공유는 TTI마다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노드 B는 HS-DSCH에 대한 공유 제어 채널(HS-SCCH: Shared Control Channel for HS-DSCH)상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각각의 TTI에서 서빙되는 각각의 UE를 식별할 수 있으며, HS-DSCH로부터 그들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스케줄링된 UE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코딩 및 변조)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HSDPA에 대한 UE(110), 서빙 노드 B, 및 RNC(130)에서의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들을 보여준다. 서빙 노드 B는 도 1의 노드 B(120 또는 122)일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도 2는 단지 데이터 링크 계층(계층 2) 및 물리 계층(계층 1)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들을 보여준다.
UE(110)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은 계층 2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및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와 계층 1에 대한 에어-링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WCDMA)를 포함할 수 있다. RLC는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자동적 재전송(ARQ: automatic retransmission) 및 사본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RLC에서, 데이터는 논리 채널들에 소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MAC는 전송 채널들로의 논리 채널들의 맵핑 및/또는 멀티플렉싱과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 계층(PHY)은 MAC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물리 계층은 (ⅰ) 물리적 채널들로의 전송 채널들의 맵핑, (ⅱ) 각각의 전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의 프로세싱(예를 들어, 코딩, 인터리빙, 및 레이트 매칭), (ⅲ) 각각의 물리적 채널에 대한 데이터의 프로세싱(예를 들어, 스프레딩 및 스크램블링), 및 (ⅳ) 물리적 채널들의 각각의 세트의 전력 제어와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상에서, RLC는 RNC(130)에서 종료될 수 있다. MAC은 MAC-d 및 MAC-hs로 분할될 수 있다. MAC-d는 RLC로부터 MAC-d 플로우들로의 논리 채널들의 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다. MAC-hs는 플로우 제어, 스케줄링 및 우선순위 핸들링,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전송, 및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TFRI: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선택과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MAC-d는 RNC(130)에서 종료할 수 있는 반면, MAC-hs는 서빙 노드 B에서 종료할 수 있다. 에어-링크 인터페이스는 서빙 노드 B에서 종료할 수 있다. 서빙 노드 B는 계층 2 및 계층 1상에서 HS-DSCH FP(프레임 프로토콜)을 통해 RNC(130)와 통신할 수 있다. HSDPA에 대한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verall description; Stage 2"라는 제목의 3GPP TS 25.308에 개시되며 이는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도 1을 다시 참고하여, UE(110)는 처음에 다운링크상에서 노드 B(120)와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이동성일 수 있으며, 노드 B(120)로부터 노드 B(122)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핸드오버에 대하여, 노드 B(120)는 소스 노드 B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노드 B(122)는 타겟 노드 B로서 지칭될 수 있다. 핸드오버 이후에, UE(110)는 노드 B(122)와 통신할 수 있다. 노드 B(120)는 핸드오버 이전에 UE(110)에 대한 서빙 노드 B일 수 있으며, 노드 B(122)는 핸드오버 이후에 서빙 노드 B일 수 있다.
도 3은 WCDMA에서 노드 B간 핸드오버를 이용한 호출을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플로우(300)를 보여준다. 간략화를 위하여, 도 3은 다운링크상의 데이터 전송만을 보여주며, 업링크상의 데이터 전송을 생략한다.
UE(110)는 최초에 호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패킷 데이터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다운링크에 대하여,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로 UE(11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 소스 노드 B(120)는 UE(110)로 HS-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2a). UE(110)는 상이한 셀들의 신호 강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UE(110)는 소스 노드 B(120)의 신호 강도가 충분히 낮은 것과 타겟 노드 B(122)의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UE(110)는 그 후 Event ID가 검출된 조건을 표시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측정 리포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3). UE(110)는 이러한 RRC 메시지를 소스 노드 B(120) 및/또는 타겟 노드 B(12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RRC 메시지를 RNC(130)로 포워딩할 수 있다.
RNC(130)는 UE(110)로부터 RRC 측정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타겟 노드 B(122)로 UE(110)를 핸드오버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단계 4). RNC(130)는 그 후 UE(110)에 대한 새로운 무선 링크의 셋업을 요청하기 위한 무선 링크 셋업 요청 메시지를 타겟 노드 B(122)로 송신할 수 있다(단계 5). 타겟 노드 B(122)는 UE(110)에 대한 새로운 무선 링크를 셋업하고(단계 6), 새로운 무선 링크를 통한 전송 및 수신을 시작하며, 무선 링크 셋업 응답 메시지를 RNC(130)로 리턴할 수 있다(단계 7).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를 통해 UE(110)로 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8). 이러한 RRC 재구성 메시지는 물리적 채널 재구성 메시지,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 전송 채널 재구성 메시지, 셀 업데이트 확인 메시지, 몇몇 다른 메시지들, 또는 몇몇 다른 메커니즘일 수 있다. RRC 재구성 메시지는 새로운 무선 링크에 대하여 사용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RRC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시, UE(110)는 소스 노드 B(120)로부터의 구(old) 무선 링크의 수용을 종료할 수 있다. UE(110)는 타겟 노드 B(122)와의 계층 1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단계 9), RNC(130)와의 계층 2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10). UE(110)는 그 후 RNC(130)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1). 이러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물리적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 무선 베어러 재구성 완료 메시지,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 몇몇 다른 메시지, 또는 몇몇 다른 메커니즘일 수 있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수신시,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로 무선 링크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2). 소스 노드 B(120)는 UE(110)에 대한 구 무선 링크를 릴리즈할 수 있고(단계 13), RNC(130)로 무선 링크 릴리즈 응답 메시지를 리턴할 수 있다(단계 14).
단계 9 이후에, UE(110)는 타겟 노드 B(122)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품질을 주기적으로 추정하고, 채널 품질 표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생성하며, 타겟 노드 B로 CQI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UE(110)는 또한 HS-DSCH를 한 UE로의 가능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를 위해 타겟 노드 B(122)로부터 HS-S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1 이후에, RNC(130)는 타겟 노드 B(122)로 UE(11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5). 타겟 노드 B(122)는 UE(110)로 HS-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16).
도 3은 WCDMA에서 노드 B간 핸드오버에 대한 예시적인 메시지를 보여준다. 핸드오버는 또한 메시지들의 상이한 시퀀스들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메시지 플로우들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WCDMA에서의 핸드오버는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라는 제목의 3GPP TS 25.331에 그리고 "Interlayer procedures in Connected Mode"라는 제목의 3GPP TS 25.303에 개시된다.
HSDPA에 대하여, 단 하나의 서빙 노드 B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UE로 다운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핸드오버 동안에, UE 및 UTRAN은 노드 B가 UE를 서빙할 것을 결정하기 위하여 서로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110)는 단계 9에 이르기까지 소스 노드 B(120)를 모니터링하고, 이러한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E(110)는 단계 9에서 타겟 노드 B(122)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인트로부터 이러한 노드 B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UE(110)에 대한 몇몇 데이터는 다수의 이유들로 인하여 핸드오버 동안에 손실될 수 있다. 첫째로, 소스 노드 B(120)는 UE가 타겟 노드 B(122)로 스위칭된 이후에 UE(110)로 데이터를 계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2c). UE(110)는 소스 노드 B(120)로부터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두번째로, 소스 노드 B(120)에 대한 채널 조건들은 악화될 수 있고, 단계 9 이전에 이러한 노드 B에 의하여 송신되는 몇몇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2b)는 UE(110)에 의하여 잘못 수신될 수 있다. 세번째로, 소스 노드 B(120)는 UE(110)로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버퍼를 가질 수 있으며, 단계 9 이전에 UE로 이러한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소스 노드 B(120)로부터 타겟 노드 B(122)로 포워딩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핸드오버의 결과로서 손실될 수 있다. UE(110)는 다운링크상에서 데이터의 아우티지(outage)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핸드오버 동안에 수백 밀리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아우티지는 VoIP와 같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해로울 수 있고, 음성 품질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은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몇몇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타겟 노드 B는 예를 들어, 임의의 새로운 데이터 이전에, UE로 이러한 재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타겟 노드 B 및 소스 노드 B 모두로부터 사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사본 카피를 간단히 폐기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타겟 노드 B로부터 몇몇 데이터를 재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 동안에 UE에서 손실된 데이터는 감소될 수 있으며,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노드 B간 핸드오버 및 버퍼 및 재송신 피쳐를 이용하는 호출에 대한 메시지 플로우(400)의 설계를 보여준다. UE(110)는 처음에 예를 들어, VoIP에 대한 호출을 설정할 수 있다. RNC(130)는 하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UE에 대한 특정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A). 이러한 데이터 버퍼링은 모든 프로시져 동안 모든 콜 셋업에서 및/또는 추후의 시간에 구성될 수 있다.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로 UE(11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단계 1), 이는 UE(110)로 HS-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2a).
UE(110)는 상이한 셀들의 신호 강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소스 노드 B(120)에 대한 충분히 낮은 신호 강도 및 타겟 노드 B(122)에 대한 충분히 높은 신호 강도를 검출시, UE(110)는 RNC(130)로 이벤트 1d에 대한 RRC 측정 리포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3). RNC(130)는 타겟 노드 B(122)로 UE(110)를 핸드오버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고(단계 4), 타겟 노드 B(122)로 무선 링크 셋업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5). 타겟 노드 B(122)는 UE(110)에 대한 새로운 무선 링크를 셋업할 수 있고(단계 6), RNC(130)로 무선 링크 셋업 응답 메시지를 리턴할 수 있다(단계 7).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를 통해 UE(110)로 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8). 이러한 메시지의 수신시, UE(110)는 타겟 노드 B(122)와의 계층 1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단계 9), RNC(130)와의 계층 2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10). UE(110)는 그 후 RNC(130)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1).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로 무선 링크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2). 소스 노드 B(120)는 UE(110)에 대한 구 무선 링크를 릴리즈할 수 있고(단계 13), RNC(130)로 무선 링크 릴리즈 응답 메시지를 리턴할 수 있다(단계 14).
단계 11 이후에, RNC(130)는 이전에 소스 노드 B(120)로 송신된 몇몇 데이터를 타겟 노드 B(122)로 재송신할 수 있다(단계 B). 타겟 노드 B(122)는 이러한 데이터를 HS-DSCH를 통해 UE(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C). RNC(130)는 또한 타겟 노드 B(122)로 UE(110)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15). 타겟 노드 B(120)는 HS-DSCH를 통해 UE(110)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16).
도 4에 도시되는 설계에서, RNC(130)는 소스 노드 B(120)로 송신되는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RNC(130)는 단계 A에서 구성된 이후에 연속하여 이러한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RNC(130)는 단계 8에서 RRC 재구성을 송신하기 이전에 소스 노드 B(12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RNC(130)는 그 후 단계 8에서 타겟 노드 B(122)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단계 11에서 UE(110)로부터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임의의 시간에 발생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모든 버퍼링된 데이터가 타겟 노드 B(122)로 재송신된 이후, RNC(130)는 정상의 동작을 재개할하고, 단계 15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타겟 노드 B(122)로 UE(110)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RNC(130)는 UE(110)에 대한 다른 핸드오버의 예측에 타겟 노드 B(120)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유사하게 버퍼링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설계에서, RNC(130)는 핸드오버 동안에 UE(110)에서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버퍼링 및 재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노드 B(120) 및 타겟 노드 B(122)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버퍼링 및 재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RNC(130)를 알지 못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110)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RNC(130)에 의하여 수행되는 버퍼링 및 재송신 동작에 의하여 최소한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UE(110)는 소스 노드 B 및 타겟 노드 B로부터 사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E(110)는 각각의 RL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에 할당되는 시퀀스 번호에 기반하여 사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본 데이터를 간단히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링 및 재송신 동작은 단지 RNC(130)에 대한 작은 영향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스택의 임의의 계층에서의 데이터는 필요할 때 버퍼링되고 재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계층은 플로우들 또는 채널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선택된 계층에서 일부의 또는 모든 플로우들/채널들에 대한 데이터는 필요할 때 버퍼링되고 재송신될 수 있다.
도 5는 RNC(130)에서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한 버퍼링 및 재송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일 설계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RNC(130)에서, RLC는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SDU: service data unit)들로서 더 높은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LC는 (ⅰ) RLC PDU들을 형성하기 위한 RLC SDU들의 세그먼트화 및 연접(concatenation), (ⅱ) 논리 채널들에 대한 RLC PDU들의 멀티플렉싱, 및 (ⅲ) UE(110)에 의하여 잘못 수신되는 RLC PDU들의 재전송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RLC는 4개의 전용 트래픽 채널들 DTCH-O 내지 DTCH-3를 통하여 MAC-d로 RLC PDU들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용 트래픽 채널들은 논리 채널들이다.
MAC-d는 MAC-d 플로우들로의 논리 채널들의 맵핑, 적절히 MAC-d 플로우로의 다수의 논리 채널들의 멀티플렉싱, 암호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MAC-d는 MAC-d 플로우 0으로 2개의 논리 채널들 DTCH-O 및 DTCH-1을 멀티플렉싱하고, MAC-d 플로우 1로 논리 채널 DTCH-2를 맵핑하고, 논리 채널 DTCH-3를 MAC-d 플로우 2로 맵핑하며, MAC-hs로 3개의 MAC-d 플로우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MAC-d는 하나 이상의 MAC-d 플로우들을 MAC-hs로 제공하며, 각각의 MAC-d 플로우는 특정 스케줄링 속성들과 연관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설계에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한 데이터는 개별적인 버퍼에서 버퍼링될 수 있으며, 지시될 때마다 MAC-hs로 제공될 수 있다. 버퍼 및 재송신 피쳐가 인에이블되는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하여, MAC-d 플로우에 대한 데이터는 서빙 노드 B로 데이터가 송신된 이후에 버퍼에 보유될 수 있다.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버퍼에 보유되는 특정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타겟 노드 B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될 수 있다. 재송신 데이터는 이전에 소스 노드 B로 송신된 데이터이다. 새로운 데이터는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이다. 버퍼 및 재송신 피쳐가 디스에이블되는 각각의 MAC-d 플로우에 대하여, MAC-d 플로우가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지 않고, 상기 MAC-d 플로우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만이 타겟 노드 B로 송신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플로우 제어 유닛(510)은 DTCH-O 및 DTCH-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MAC-d 플로우 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플로우 제어 유닛(512)은 DTCH-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MAC-d 플로우 1로 제공할 수 있다. 플로우 제어 유닛(514)은 DTCH-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MAC-d 플로우 2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MAC-d 플로우들 0 및 2에 대하여 디스에이블되고, MAC-d 플로우 1에 대하여 인에이블된다.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MAC-d 플로우들 0 및 2로부터의 데이터가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지 않는다. MAC-d 플로우 1에 대하여 플로우 제어 유닛(512)에 의하여 버퍼링되는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러한 MAC-d 플로우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송신하기 이전에,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개수의 MAC-d 플로우들 및 임의의 MAC-d 플로우는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단지 VoIP, 비디오 화상 회의 등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MAC-d 플로우들에 대해서만 인에이블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특정한 우선순위 레벨 또는 더 높은 레벨로 MAC-d 플로우들에 대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RRC는 계층들 1 및 2의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RC는 RLC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RLC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RRC는 MAC-d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MAC 제어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MAC 제어는 어떤 MAC-d 플로우들이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인에이블하는지, 그리고 어떤 MAC-d 플로우들이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디스에이블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호출 셋업에서 및/또는 이벤트에 의하여 트리거링될 때마다, RRC는 특정 MAC-d 플로우들에 대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인에이블하도록 MAC-d를 구성할 수 있다.
RRC가 UE로부터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RRC는 타겟 노드 B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MAC-d에 통지할 수 있다. MAC-d는 그 후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가 인에이블되는 각각의 MAC-d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MAC-d는 먼저 MAC-d 플로우에 대한 모든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고, 그 후, 타겟 노드 B로 상기 MAC-d 플로우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MAC-d는 버퍼링된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 두 개 설계들 모두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는 시퀀스 번호들이 할당될 수 있으며, 타겟 노드 B 및 UE는 데이터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MAC-d는 그것을 타겟 노드 B로 송신하기 이전에 새로운 데이터를 계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MAC-d는 자신이 다른 핸드오버를 예상하고 노드 B로 송신한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항상 가질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RLC로부터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는 또한 다른 프로토콜들에서 및/또는 다른 계층들에서 채널들 또는 플로우들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각각의 MAC-d 플로우 또는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한 버퍼링하기 위한 데이터량은 핸드오버 동안에 재송신하기 위한 기대 데이터량, RNC에서의 버퍼링 요건들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IP 호출이 매 20ms마다 패킷을 송신한다면, 그리고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핸드오버의 부분이 약 200 ms를 커버한다면, 가장 마지막 10개 패킷들은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연속하여 버퍼링되고,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될 수 있다. TTI가 HSDPA에 대하여 2 ms이고 패킷이 VoIP에 대하여 매 20ms에 도달할 때, 타겟 노드 B는 UE가 임의의 지연들을 통지하지 않도록, 상당히 짧은 시간량에 UE로 모든 재송신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량이 또한 재구성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버퍼링 및 재송신 피쳐를 구현할 수 있는 순환 버퍼(600)의 일 설계를 보여준다. 상위 프로토콜(예를 들어, RLC)로부터의 유입 데이터는 버퍼(600)의 종료/후방(end/back)으로 기록될 수 있다. 버퍼(6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버퍼의 시작/전단(start/front)으로부터 판독되고, 더 낮은 프로토콜(예를 들어, MAC-hs)로 제공될 수 있다. 엔드 포인터(end pointer)(612)는 버퍼(600)의 단부를 추적할 수 있으며, 상위 프로토콜로부터의 유입 데이터가 버퍼로 기록됨에 따라 진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에서 상향으로). 시작 포인터(614)는 버퍼(600)의 시작을 추적할 수 있으며, 버퍼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고 하위 프로토콜로 제공됨에 따라 진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에서 상향으로). 재송신 포인터(616)는 핸드오버의 경우에 데이터를 재송신할 버퍼(600)에서 포인트를 추적할 수 있다. 포인터(616)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포인터일 수 있다. 포인터(616)는 또한 암시적이고, 시작 포인터(614)로부터 미리 결정된 오프셋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포인터는 버퍼의 최상부에 도달한 이후에 버퍼(600)의 바닥부로 랩 어라운드(wrap around)될 수 있다. 버퍼(600)에서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유입 데이터로 기록될 수 있다.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재송신 포인터(616)에서 시작하는 데이터는 타겟 노드 B로 제공될 수 있다. 재송신 데이터는 재송신 포인터(616)와 시작 포인터(614) 사이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데이터는 시작 포인터(614)와 엔드 포인터(612) 사이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데이터를 버퍼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순환 버퍼(600)의 예시적인 설계를 보여준다. 데이터는 또한 다른 버퍼 구조들을 사용하여 다른 방식들로 버퍼링될 수 있다.
도 7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서(700)의 일 설계를 보여준다. 프로세스(700)는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제어기는 RNC 또는 몇몇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블록 712).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UE에 대하여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블록 714).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소스 노드 B로 송신할 수 있다(블록 716). 네트워크 제어기는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블록 718). 블록(718)은 도 4에 도시되는 메시지 플로우(400)에서 핸드오버를 위해 RNC(130)에 의하여 수행되는 태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블록 720). 재송신 데이터는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개수의 가장 최신의 패킷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의 부분을 재송신한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타겟 노드 B로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722). 새로운 데이터는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버퍼링하기 위한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또한 다른 기준들에 기반하여 버퍼링을 위한 데이터 플로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는 적어도 하나의 MAC-d 플로우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 또는 몇몇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버퍼링을 위해 선택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버퍼링을 위해 선택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데이터의 일부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800)의 일 설계를 보여준다. 프로세스(800)는 (하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타겟 노드 B에 의하여, 또는 몇몇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타겟 노드 B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재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재송신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되었다(블록 812). 타겟 노드 B는 UE로 재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814). 타겟 노드 B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새로운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았다(블록 816). 타겟 노드 B는 새로운 데이터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블록 818). 블록들(814 및 818)에 대하여 타겟 노드 B는 재송신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고속 공유 채널을 통해 UE로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900)의 일 설계를 보여준다. 프로세스(900)는 (하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UE에 의하여 또는 몇몇 다른 엔티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UE는 소스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912). UE는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블록 914). 블록 914는 도 4에 보여지는 메시지 플로우(400)에서의 핸드오버를 위해 UE(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태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타겟 노드 B로부터 재송신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916). 재송신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재송신 데이터는 버퍼링을 위해 선택되는 데이터 플로우, 예를 들어,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새로운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타겟 노드 B로 송신되나, 소스 노드 B로는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소스 노드 B 및 타겟 노드 B 모두로부터 수신되는 사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고(블록 918), 사본 데이터의 단일 카피를 보유할 수 있다(블록 920).
도 10은 도 1의 UE(110), 노드 B들(120 및 122), 및 RNC(130)의 일 설계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업링크상에서, 인코더(1012)는 업링크상에서 UE(110)에 의하여 송신될 시그널링 메시지들 및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코더(1012)는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포맷팅, 인코딩 및 인터리빙)할 수 있다. 변조기(Mod)(1014)는 인코딩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변조, 채널화, 및 스크램블링)하고, 출력 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기(TMTR)(1022)는 출력 칩들을 조정(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업컨버팅)하고,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노드 B(120) 및/또는 노드 B(122)로 전송될 수 있다.
다운링크상에서, UE(110)는 노드 B(120) 및/또는 노드 B(122)에 의하여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RCVR)(1026)는 수신된 신호 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다운컨버팅, 및 디지털화)하고,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Demod)(1016)는 샘플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디스크램블링, 채널화, 및 복조)하고, 심볼 추정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코더(1018)는 심볼 추정치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10)로 송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 및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인코더(1012), 변조기(1014), 복조기(1016) 및 디코더(1018)는 모뎀 프로세서(10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는 무선 기술(예를 들어, WCDMA, cdma2000 등)에 따라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30)는 UE(110)에서 다양한 유닛들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30)는 또한 도 9의 프로세스(900)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1032)는 UE(110)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 B에서, 전송기/수신기(1038)는 UE(110) 및 다른 UE들과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기/네트워크(1040)는 UE들과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업링크에 대하여, UE(11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는 수신기(1038)에 의하여 수신되고 조정되며, UE에 의하여 송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 및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제어기/프로세서(1040)에 의하여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다운링크에 대하여,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제어기/프로세서(1040)에 의하여 프로세싱되고,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송기(1038)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UE(110) 및 다른 UE들로 전송될 수 있다. 타겟 노드 B(122)에서의 제어기/프로세서(1040)는 도 8의 프로세스(800)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하거나, 또는 참여할 수 있다. 메모리(1042)는 노드 B에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Comm) 유닛(1044)은 RNC(13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RNC(130)에서, 제어기/프로세서(1050)는 UE들에 대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50)는 도 5에 보여지는 RRC, RLC 및 MAC-d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50)는 도 7의 프로세스(700)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하거나, 또는 참여할 수 있다. 메모리(1052)는 RNC(130)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52)는 버퍼링을 위하여 선택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예를 들어, MAC-d 플로우)에 대하여 도 6의 순환 버퍼(600)를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유닛(1054)은 노드 B들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버퍼링 및 재송신 기술들은 동기화 및 비동기화 서빙 셀 변화들과 같은 서빙 셀의 임의의 변화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은 서빙 셀에서의 비동기화 변화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동기화 서빙 셀 변화에 대하여, UE는 제1 트리거(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8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타겟 노드 B로 스위칭할 수 있고, UTRAN은 제1 트리거와 상이할 수 있는 제2 트리거에 기반하여 타겟 노드 B로 스위칭할 수 있다. 몇몇 데이터는 UE 및 UTRAN에 대한 상이한 스위칭 시간들로 인하여 손실될 수 있다. 추가로, 소스 노드 B로 이미 송신되고 UE로 아직 송신되지 않은 몇몇 데이터가 또한 손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은 이러한 2개 이유들로 인하여 데이터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 기술들은 특정한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들은 RNC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트리거는 데이터의 버퍼링을 시작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버퍼링된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한 트리거는 핸드오버 및 몇몇 다른 이벤트를 초래할 수 있다. 단지 작은 양의 데이터만이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3에서 RRC 특정 리포트 메시지에 의하여 트리거링될 때, UE의 활성 세트에서 모든 노드 B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바이-캐스팅 및 멀티-캐스팅 방식들을 통해 백홀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트리거 이전에 소스 노드 B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바이(bi)-캐스팅 및 멀티-캐스팅 방식들로 손실될 수 있는 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버퍼링 및 재송신 기술들은 이러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들은 레트로(retro)-캐스팅 방식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버퍼링 및 재송신 기술들은 백홀 비용들의 절약 및 복잡성의 감소의 관점에서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다. 기술들은 RNC와 노드 B들 사이에 현존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RNC는 MAC-d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으며, 서빙 셀에 변화가 존재할 때, 데이터를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노드 B에 동작 변화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술들은 현재 노드 B들에 대한 변화들을 요구하지 않고 RNC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을 통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는 다양한 예증적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그러한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써 상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구현된다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그러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소자,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도록 의도된다.

Claims (33)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재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노드 B에 이전에 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것이고,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을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일부를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을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버퍼링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는 적어도 하나의 MAC-d 플로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최대 하나의 노드 B로부터 상기 UE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을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일부를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을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일부를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에 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UE에 대한 서빙 노드 B로 송신된 미리 결정된 양의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버퍼링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을 버퍼링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버퍼링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일부를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재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됨 ― ;
    상기 재송신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UE)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음 ― ;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데이터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를 고속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재송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소스 노드 B로 이전에 송신됨 ― , 상기 재송신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UE)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며 ―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지 않음 ― , 그리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를 상기 U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재송신 데이터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를 고속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UE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소스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노드 B로부터 재송신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타겟 노드 B로는 송신되나 상기 소스 노드 B로는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노드 B 및 상기 타겟 노드 B 모두로부터 수신되는 사본(duplicate)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본 데이터의 단일 카피를 보유하는(retain)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버퍼링을 위해 선택되는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3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노드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노드 B로부터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타겟 노드 B로부터 재송신 데이터 및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 상기 재송신 데이터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 B로 송신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B로 재송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타겟 노드 B로는 송신되나 상기 소스 노드 B로는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함 ―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노드 B 및 상기 타겟 노드 B 모두로부터 수신되는 사본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사본 데이터의 단일 카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17004789A 2008-07-31 2009-07-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36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3,741 US20100027503A1 (en) 2008-07-31 2008-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183,741 2008-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953A true KR20110036953A (ko) 2011-04-12

Family

ID=4122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89A KR20110036953A (ko) 2008-07-31 2009-07-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27503A1 (ko)
EP (1) EP2321993A1 (ko)
JP (1) JP2011530230A (ko)
KR (1) KR20110036953A (ko)
CN (1) CN102113373A (ko)
TW (1) TW201108782A (ko)
WO (1) WO2010014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11282T3 (da) * 2008-08-08 2014-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at udføre ændring i betjenende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celle.
WO2010105145A1 (en) 2009-03-12 2010-09-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RU2497312C2 (ru) 2009-04-27 2013-10-27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ключения
KR101640847B1 (ko) * 2009-11-12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 시 미디어 데이터 손실 감소 방법 및 장치
CN102695202B (zh) * 2011-03-25 2015-12-16 华为技术有限公司 重配置的方法、无线网络控制器和终端
US10785687B2 (en) * 2011-08-16 2020-09-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node B handover in HSDPA or multi-flow HSPA including packet retransmission
EP2763460B1 (en) * 2011-09-27 2017-06-21 Nec Corporation Gateway,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GB2511562B (en) * 2012-03-02 2015-08-12 Seven Networks Inc Providing data to a mobile application accessible at a mobile device via different network connections without interruption and mobile device which hands over
EP3146760B1 (en) * 2014-05-20 2018-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me or sgsn selection at handover in a network sharing environment
JP2016048881A (ja) * 2014-08-28 2016-04-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局におけるユーザデータ管理方法、無線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6095115A1 (en) * 2014-12-17 2016-06-23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using dual active connections
US10462834B2 (en) * 2015-05-15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Offloading through simplified multiflow
US10524173B2 (en) * 2016-02-24 2019-12-3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haring bearer inform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2019145858A (ja) * 2016-06-30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8616945B (zh) * 2017-02-10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链路切换的方法及相关设备
CN107454638A (zh) * 2017-08-02 2017-12-08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报文的发送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34456A1 (zh) * 2019-12-31 2021-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发送、接收方法以及装置
CN113810964B (zh) * 2020-06-13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763B1 (fi) * 1995-12-01 1998-08-14 Nokia Mobile Phones Ltd Siirrettävän tiedon koostumuksen säilyttäminen tukiaseman vaihdon yhteydessä
US6230013B1 (en) * 1997-11-26 2001-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versity handling moveover for CDMA mobile telecommunications
US6507572B1 (en) * 1999-06-11 2003-01-14 Lucent Technologies Inc. Primary transfer for simplex mode forward-link high-speed packet data services in CDMA systems
US6466556B1 (en) * 1999-07-23 2002-10-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accomplishing handover of packet data flow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3069617A (ja) * 2001-08-27 2003-03-07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基地局、エッジルータ、中継ルータ、無線端末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EP1461889B1 (en) * 2001-11-28 2008-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of retransmission
US6717927B2 (en) * 2002-04-05 2004-04-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 B buffered data following serving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cell change
US7706405B2 (en) * 2002-09-12 2010-04-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B buffered data following MAC layer reset
US8254935B2 (en) * 2002-09-24 2012-08-28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97524B1 (ko) * 2003-01-2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핸드오프 처리방법
US20040202129A1 (en) * 2003-04-14 2004-10-14 Troels Kolding Method, network nodes and system for send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1633159A4 (en) * 2003-06-12 2011-02-23 Fujitsu Ltd BASIC STATION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E353174T1 (de) * 2003-08-14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Zeitüberwachung von packetwiedersendungen während eines sanften weiterreichens
US7206581B2 (en) * 2003-11-05 2007-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locks during soft handover
KR20060033658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EP1708524B1 (en) * 2005-04-01 2009-07-08 Panasonic Corporation "Happy bit" set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7096819A (ja) * 2005-09-29 2007-04-12 Fujitsu Ltd Hsdpa無線通信システム
US7826424B2 (en) * 2005-10-11 2010-11-0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Packet loss prevention during handoff through managed buffer nodes architecture
CN100407614C (zh) * 2005-10-18 2008-07-30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数据传输方法
US20070110015A1 (en) * 2005-10-19 2007-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 diversity for radio communications
US8054799B2 (en) * 2005-12-02 2011-11-08 Alcatel Lucent Seamless mobility in layer 2 radio access networks
WO2007074514A1 (ja) * 2005-12-27 2007-07-05 Fujitsu Limited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WO2007079771A1 (en) * 2006-01-09 2007-07-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node and a method relating to handover within mobile communication
CN101496387B (zh) * 2006-03-06 2012-09-05 思科技术公司 用于移动无线网络中的接入认证的系统和方法
KR101387475B1 (ko) * 2006-03-22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 엔터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CA2649667C (en) * 2006-04-29 2014-08-26 Thomson Licensing Seamless handover of multicast sessions in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networks using staggercasting
EP1858190B1 (en) * 2006-05-16 2012-01-11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for safely transmitting short ACK/NACK bitmaps in ARQ process inside edge compliant systems
JP2007336389A (ja) * 2006-06-16 2007-12-27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再送制御方法
US8718645B2 (en) * 2006-06-28 2014-05-06 St Ericsson Sa Managing audio during a handover in a wireless system
JPWO2008029628A1 (ja) * 2006-09-06 2010-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再送方法、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移動局および基地局
KR100950670B1 (ko) * 2006-11-17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망
US7710987B2 (en) * 2006-12-14 2010-05-04 Motorola, Inc. Efficient transitions between operating stat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4778071B2 (ja) * 2006-12-28 2011-09-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4995927B2 (ja) * 2007-02-08 2012-08-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バッファ・オーバフローの低減方法
CN101652951A (zh) * 2007-04-06 2010-02-17 株式会社Ntt都科摩 重发请求发送方法及接收端装置
WO2009002841A1 (en) * 2007-06-22 2008-12-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handover operation
JP5079870B2 (ja) * 2008-02-27 2012-11-2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30230A (ja) 2011-12-15
US20100027503A1 (en) 2010-02-04
EP2321993A1 (en) 2011-05-18
TW201108782A (en) 2011-03-01
CN102113373A (zh) 2011-06-29
WO2010014828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9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233452B2 (en) Signaling transmission on shared and dedicated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799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cell change
US9357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erving cell change
JP5190143B2 (ja) 非サービング基地局へのttiバンドル表示
KR1011192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링크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A2644291C (en) Uninterrupted transmission during a change in ciphering configuration
US20090307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bundled transmission
JP200753687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律的再送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847543B2 (ja) メディアフレームの耐性のある表現形を使用してメディア伝送品質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262302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