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748A -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 Google Patents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748A
KR20110036748A KR1020117003365A KR20117003365A KR20110036748A KR 20110036748 A KR20110036748 A KR 20110036748A KR 1020117003365 A KR1020117003365 A KR 1020117003365A KR 20117003365 A KR20117003365 A KR 20117003365A KR 20110036748 A KR20110036748 A KR 2011003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transverse
coil
edge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700B1 (ko
Inventor
비탈리 에이. 페이사코비치
Original Assignee
인덕터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덕터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덕터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3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0Establishing desired heat distribution, e.g. to heat particular parts of work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전기 도전성 비철 재료를 포함하는 슬래브의 에지의 전기 유도 가열은 한 쌍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코일과 함께 달성되며, 슬래브는 상기 코일부 사이로 통과한다. 상기 코일부는 슬래브의 마주한 끝부 위로 횡방향으로 뻗어 있다. 자기 플럭스 집중기는 슬래브 위에 그리고 슬래브 아래에 있는 코일부의 영역 둘레에 위치한다. 플럭스 보상기는 슬래브의 에지 부근에 코일부의 2개의 마주하는 연장된 끝부 각각 사이로 삽입된다. 대안으로서, 슬래브의 에지 중 하나만이 유도가열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ELECTRIC INDUCTION EDGE HEATING OF ELECTRICALLY CONDUCTIVE SLABS}
본 출원은 전기 도전성, 비철 재료로 형성된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종래의 횡방향의 플럭스 인덕터는 2개의 부분을 가진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길이의 전기 도전성 시트 재료는 코일의 두 부분 사이에 재료를 놓고, 코일에 ac 전류를 공급하고, 재료를 코일의 2 부분을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그 단면을 따라 유도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유도 코일은, 예컨대,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코일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금속 스트립(90)일 수 있는 재료 위 그리고 아래에 각각 위치된 코일부(101), 및 코일부(103)를 포함한다. 방향에 대하여, 3차원 직교 공간이 도 1에 도시된 X, Y, 및 Z 축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스트립은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코일부 사이의 갭, gc 또는 개구는 명료함을 위해 도면에서 과장되어 있으나, 스트립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길이는 고정된다. 코일부(101)의 단자(101a 및 101b)와 코일부(103)의 단자(103a 및 103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간 전류 극성을 가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ac 전원에 연결된다. 코일을 통한 전류 흐름은 스트립의 평면에서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기 위해 스트립을 통해 수직으로 통과하는 (점선으로 도시된) 전형적인 플럭스 라인(105)으로 도시된, 일반적인 자기 플럭스를 생성한다. (도면에 코일부(101) 둘레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자기 플럭스 집중기(117), 예컨대, 라미네이션 또는 다른 고 투자율(permeablility) 저 저항 재료가 자기장을 스트립을 향하도록 지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효율적인 유도 가열을 위한 ac 전류 주파수(f, Hertz)의 선택은 아래의 식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ρ는 Ω·m 단위로 측정된 스트립의 전기 저항이고; gc는 미터 단위로 측정된 코일부 사이의 갭(개구)이고; τ는 미터 단위로 측정된 코일의 폴 피치(스텝)이고, ds는 미터 단위로 측정된 스트립의 두께이다.
도 2는 코일의 폴 피치가 비교적 작고, 상기 식으로부터 주파수가 그에 대응하여 낮을 때, 도 1에서의 배열로 획득된 전형적인 단면의 스트립 가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2에서 X 축은 스트립의 중심이 좌표 0.0이고, 스트립의 양 에지가 좌표 +1.0 및 -1.0인, 스트립의 노멀라이징된 단면 좌표를 나타낸다. Y축은 스트립의 유도 가열로 인해 달성되는 노멀라이징된 온도를 나타내는데, 노멀라이징된 온도 1.0는 스트립의 중심부(111)를 가로질러 대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된 온도를 나타낸다. 스트립의 에지에 가까운 (숄더 영역이라 불리는) 영역(113)에서 스트립의 단면의 유도된 온도는 노멀라이징된 온도 값 1.0으로부터 감소하고, 그 다음, 스트립의 에지 영역(115)에서 노멀라이징된 온도 1.0 위로 증가한다.
몇몇 다-단계 산업 공정에서, 재료는 최초 가열된 후, 2차 공정 단계로 전달된다. 최초 가열에서 2차 공정 단계로의 전달에 있어서, 재료의 에지는 상당히 냉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몇몇 타입의 재료의 에지 가열은 재료의 최초 가열과 2차 공정 단계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전기 유도 가열에 관하여, 스트립은 재료 내에 유도되는 맴돌이 전류의 표준 투과 깊이가 그 재료의 두께보다 적은 공정에서, 유도 가열되는 시트 재료로 정의된다. 역으로, 슬래브는 재료 내에 유도되는 에지 전류의 표준 투과 깊이가 그 재료의 두께보다 큰 공정에서 유도 가열되는 시트 재료로 정의된다. 시트 재료의 에지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법은 그 재료가 스트립인지, 또는 슬래브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유도 가열이 슬래브의 횡방향의 폭에 걸쳐 더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주한 슬래브의 에지에 집중되는 새로운 방식으로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전기 도전성 슬래브 재료의 에지를 가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형태로서, 본 발명은 슬래브의 마주한 에지 위로 코일의 횡방향의 끝부를 뻗게 하고 각각의 마주한 에지에 인접한 코일의 연장된 부분 사이의 영역에 플럭스 보상기를 삽입함으로써, 횡방향 플럭스 코일로 전기 도전성 슬래브 재료의 에지를 전기 유도 가열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이다. 한 쌍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가 제공된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의 각각의 쌍은 한 쌍의 횡방향의 코일부를 가진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의 하나의 쌍의 횡방향의 코일부의 각각의 쌍은 슬래브의 길이가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 쌍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인 채로, 슬래브가 통과할 수 있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의 다른 하나의 쌍의 횡방향의 코일부의 각각의 쌍과 이격되어 있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에 대한 횡방향 코일부는 코일 피치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동평면으로 분리되어 있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에서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위로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장된 횡방향 끝부를 포함한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의 연장된 횡방향 끝부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에서 슬래브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의 개별적인 세로방향의 코일부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횡방향 코일부 쌍 각각의 연장된 횡방향 끝부 및 세로방향의 코일부는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연장된 횡방향 끝부와 세로방향의 코일부 사이에 에지 보상기 영역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자기 플럭스 보상기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적어도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의 횡방향 코일부를 둘러싼다.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류 전원은 순간 전류가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류 전원 각각은 식:
Figure pct00002
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주파수, fslab를 가진다. 여기서, 여기서, ρslab는 슬래브의 전기적 저항이고, dslab는 슬래브의 두께이다. 전기 도전성 보상기는 에지 보상기 영역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 및 다른 형태는 본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 나열되어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도면에 현재 바람직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시된 배열 및 수단으로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배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배열에 대한 전형적인 단면의 유도 가열 특성을 도표로 도시한다.
도 3은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코일의 상부만 도시된, 본 발명의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의 예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의 도 3의 선 A-A을 통해 취해진 도면이다.
도 4b는 파워 서플라이와의 하나의 예시적인 연결을 가진 도 3에 도시된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의 도 3의 선 B-B를 통해 취해진 도면이다.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에 사용되는 플럭스 보상기의 하나의 예의 입체도이다.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의 도3의 선 C-C를 통해 취해진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4b, 4c, 및 4d에 도시된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배열에 대한 전형적인 단면 유도 가열 특성을 도표로 도시한다.
도 6a는 횡방향 플럭스 코일 위로 슬래브의 에지를 지나 뻗어 있는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기를 사용하는 장점을 보여주고, 횡방향의 끝부는 도 6b에 도시된 시트 재료의 에지 부근에 위치한다.
도 7a는 도 7b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달성되는 대표적인 플럭스 필드를 능가하는 유리한 본 발명에서 달성되는 대표적인 플럭스 필드를 도시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의 하나의 예가 도 3,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슬래브(91)는 슬래브의 마주한 측면 위 아래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기(유도 코일)(12)을 구성하는,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12a 및 12b)의 횡방향의 코일부(12a1 및 12b1) 사이에서 X 방향으로 이동한다. 2개의 코일부는 Z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조성물과 같은 높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 도전성 보상기(20)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에지 보상기 영역 내에 슬래브의 마주한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코일부(12a 및 12b)는 순간 전류 흐름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이도록,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워 서플라이(9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플라이가 도 4b에서 각각의 코일의 한쪽 끝부에서 양 코일부에 연결되어 있으나, 다른 적합한 파워 연결 포인트가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횡방향의 코일부 내의 각각의 코일부에 대하여 전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코일부 및 하부 코일부 사이에 자기 플럭스 대칭성이 쉽게 달성되도록, 각각의 코일부에 별도의 서플라이를 연결하는 것보다는 하나의 서플라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부(12a)의 하나의 횡방향의 부분(12a1)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자기적 분류기(94)는 한 쌍의 코일부(12a 및 12b)를 구성하는 각각의 횡방향의 코일부 둘레로 뻗어 있다. 각각의 코일부는 폴 피치 거리(xc)만큼 떨어져 있는 한 쌍의 횡방향 코일부를 가진다.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는, 예컨대, 횡방향 코일부(12a1)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의 횡방향 에지를 지나 횡방향으로 뻗어 있다. 인접한 횡방향 코일부의 연장된 끝부는 슬래브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는 세로방향의 코일부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코일부(12a1)는 세로방향의 코일부(12a2)에 의해 한 쌍의 인접한 끝부에서 함께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횡방향 코일부(12a1)의 마주하여 뻗어 있는 끝부는 코일부(12a' 및 12a")의 결합으로부터 형성된 세로방향의 코일부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그 다음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를 교류 파워 서플라이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이 분류기는 코일부 내의 전류 흐름에 의해 생성된 자기 플럭스를 슬래브(91)의 표면을 향해 지향시키기 위해, 코일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슬래브의 전체폭에 대하여 각각의 횡방향의 코일부 위로 뻗어 있다.
본 발명에서 비철 조성물로 형성된 슬래브에 대한 에지 가열기로서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의 사용에 대한 기초는 파워 서플라이(92)의 출력 주파수, fslab가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된 값보다 크도록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Figure pct00003
[식 (1)]
여기서, ρslab는 Ω·m로 측정된 슬래브 재료의 전기 저항이고, dslab는 미터로 측정된 슬래브의 두께이다.
횡방향의 슬래브 폭의 범위는 수단(96)(도 3)이 슬래브의 폭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Y(횡)방향으로 보상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배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기를 이동시키는 장치는 보상기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선형 액츄에이터의 출력단에 부착된(또는 대안으로서 수동적으로 동작되는) 선형 레일 또는 로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수한 예에서, 1,000mm와 2,150mm 사이의 횡방향 폭(wslab), 및 30mm와 60mm 사이의 두께를 가진 슬래브는 아래의 본 발명의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횡방향 코일부 쌍에 대한 각각의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의 피치(xc)는 대략 900mm이고, 각각의 코일부의 폭(yc)은 대략 2,400mm이고,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를 구성하는 코일은 대략 240mm(wcoil)의 폭을 가지고, 코일부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방형 도전체로 형성된 때, 물과 같은 냉각 매체의 흐름을 위한 옵션의 내부 공동 통로를 가진다. 슬래브의 폭에 대한 코일 피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슬래브의 나머지 횡방향 단면 내에 유도되는 파워에 대한 슬래브 에지 내에 유도된 파워의 비율은 또한 증가한다. 각각의 보상기(20)는 구리 조성물과 같은 전기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대략 1,300mm의 길이, xcomp, 대략 900mm의 폭, ycomp, 보상기와 인접한 코일부 사이에 단선(short circuit)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갭 zgap보다 단지 약간 작은 높이 zcomp를 가진다. 상부 코일부(12a)와 하부 코일부(12b) 사이의 거리(갭), zgap은 대략 250mm이다. 슬래브의 폭이 변할 때, 보상기는 슬래브의 에지와 인접한 보상기의 에지 사이에 최소의 분리 ygap을 허용하기 위해 Y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ygap에 대한 40mm의 거리는 보상기 사이에서 Y 방향으로의 슬래브의 좌우이동(weaving)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 13에서 거리 d1은 슬래브의 폭이 최대 2,150mm에서 1,000mm까지 변함에 따라 대략 0에서 575mm까지 변할 것이고, 보상기는 다양한 폭을 수용하기 위해 Y 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본 발명의 본 예에서 사용되는 플럭스 보상기의 치수는 각각의 플럭스 보상기가 횡방향의 코일부의 연장된 횡방향 끝부와 맞은편의 코일부(12a 및 12b)의 수반하는 세로방향의 부분 사이에 형성된 에지 보상기 영역 내에, 그리고 각각의 슬래브 에지에 인접하게 놓여지도록 선택된다.
슬래브, 코일, 및 보상기의 상기 상대적 치수들은 앞서 서술된 슬래브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 배열과 함께 슬래브 에지 가열을 달성하는데 가장 유리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상기 배열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다른 구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으로 달성가능한 에지 가열의 2가지 예를 도시하는데, 2,150mm 또는 1,000mm의 폭을 가진 슬래브의 극단적 에지는 슬래브 에지의 50℃의 유도 가열 온도를 달성할 수 있고, 슬래브의 중심의 단면 영역에서는 5℃의 명목적 온도 상승이 발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0mm의 폭을 가진 슬래브에 대하여, 슬래브의 횡방향 에지는 본 발명의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로 슬래브의 내부 횡방향 폭(Ws1)의 대략 65%의 온도(5℃)의 10배(50℃)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다. 2,150mm의 폭을 가진 슬래브에 대하여, 슬래브의 횡방향 에지는 본 발명의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로 슬래브의 내부 횡방향 폭(Ws2)의 대략 80%의 온도(5℃)의 10배(50℃)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횡방향의 플럭스 유도 코일의 횡방향 끝부를 연장하는 것은 스트립의 에지 영역에 유도된 전류의 집중을 최대화한다. 도 6b에서, 슬래브의 에지 부근에 위치한 코일의 횡방향 끝부와 함께, (화살표로 선(93b)으로 표시된) 순간적으로 유도된 에디 전류 흐름, 및 그로 인한 슬래브의 극단적 에지 내의 유도 가열은 최대화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의 연장된 횡방향 코일 끝부와 자기 플럭스 집중기와 함께,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선(93a)에 의해 표현된) 슬래브의 극단적 에지 내에 유도된 맴돌이 전류 흐름이 최대화된다.
슬래브 재료의 전기 도전성, 및 슬래브의 두께를 기초로, 동작 주파수, fslab를 선택하는 것은 앞서 서술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도 7b에 도시된 자기 플럭스 분포(98)(점선)와 달리, 에지 가열에 유리한 도 7a에 도시된 자기 플럭스 분포(99)(점선)를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효율적인 에지 가열을 위해, 표준 맴돌이 전류 투과 깊이에 대한 슬래브의 두께의 비율은 대략 3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표준 맴돌이 전류 투과 깊이가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것으로 서술된 종래기술의 스트립 가열과 대조되는 것이다.
(공기를 대신하여)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의 연장된 끝부 사이에 플럭스 보상기를 사용하는 것은 코일의 임피던스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슬래브의 유도 에지 가열을 위해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충분한 파워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를 통해 이동하는 각각의 슬래브는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하나의 턴 코일부를 가진 횡방향의 플럭스 인덕터가 본 발명의 상기 예에서 사용되었으나, 복수의 턴 코일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에서,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가 슬래브의 양쪽 횡방향 에지를 모두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다른 예에서 슬래브의 하나의 횡방향 에지만이 유도 가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 및 실시예에 관하여,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에 서술되었다.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면, 동등물, 대안,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의 교시를 이해하는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로서,
    한 쌍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로서,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은 한 쌍의 횡방향 코일부를 가지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중 하나 코일부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 쌍은 슬래브의 길이가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 쌍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향조절된 채로 슬래브가 통과할 수 있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중 다른 코일부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 쌍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에 대한 상기 횡방향 코일부는 서로 코일 피치 거리만큼 동평면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는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의 상기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위로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장된 횡방향 끝부를 가지고,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의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는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의 상기 슬래브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인 개별적인 세로방향의 코일부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와 상기 세로방향의 코일부는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 중 각각의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 및 상기 세로방향의 코일부 사이에 에지 보상기 영역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플럭스 집중기;
    순간 전류가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류 전원; 및
    상기 에지 보상기 영역에 배치된 전기 도전성 보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류 전원은 각각 아래의 식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주파수, fslab를 가지고,
    Figure pct00004

    ρslab는 슬래브의 전기 저항이고, dslab는 슬래브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보상기는 대체로 직방형이고, 상기 플럭스 보상기의 길이는 상기 폴 피치 거리보다 크고, 상기 보상기의 높이는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횡방향 플럭스 코일부 쌍의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와 상기 세로방향의 코일부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플럭스 보상기의 높이는 상기 슬래브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는 상기 슬래브의 내부의 횡방향 폭의 65 퍼센트에서의 온도의 적어도 10배의 온도로 유도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두께 대 유도된 맴돌이 전류 투과 표준 깊이의 비율은 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의 상기 슬래브의 횡방향 폭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전기 도전성 보상기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슬래브 에지 유도 가열 장치.
  6.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방법으로서,
    한 쌍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사이로 상기 전기 도전성 슬래브를 통과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은 한 쌍의 횡방향 코일부를 가지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중 하나의 코일부의 횡방향 코일부 쌍은 상기 슬래브가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횡방향 코일부 쌍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슬래브의 길이를 따라 통과하는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중 다른 코일부의 횡방향 코일부 쌍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에 대한 상기 횡방향 코일부는 동평면상에서 코일 피치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에 대한 상기 횡방향 코일부는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에서 상기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지나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장된 횡방향 끝부를 가지고, 상기 횡방향의 플러스 코일부 쌍 각각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의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는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 내에서 상기 슬래브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인 개별적인 세로방향의 코일부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 및 상기 세로방향의 코일부는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의 상기 연장된 횡방향 끝부와 상기 세로방향의 코일부 사이에 에지 보상기 영역을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의 상기 횡방향 코일부는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기 플럭스 보상기에 의해 둘러싸인, 한 쌍의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사이로 상기 전기 도전성 슬래브를 통과시키는 단계;
    순간 전류가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 쌍 각각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횡방향의 플럭스 코일부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아래의 식에 따라 결정된 슬래브 에지 가열 주파수, fslab로 설정하는 단계(여기서, ρslab는 슬래브의 전기적 저항이고, dslab는 슬래브의 두께); 및
    Figure pct00005

    상기 에지 가열 보상 영역 내에 전기 도전성 보상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에지를 상기 슬래브의 내부의 횡방향 폭의 65퍼센트에서의 온도의 적어도 10배의 온도로 유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유도 가열 영역의 상기 횡방향 폭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 도전성 보상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의 에지를 유도 가열하는 방법.
KR1020117003365A 2008-07-25 2009-07-25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KR101533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54708P 2008-07-25 2008-07-25
US61/083,547 2008-07-25
PCT/US2009/051779 WO2010011987A2 (en) 2008-07-25 2009-07-25 Electric induction edge heating of electrically conductive sla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748A true KR20110036748A (ko) 2011-04-08
KR101533700B1 KR101533700B1 (ko) 2015-07-03

Family

ID=4157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365A KR101533700B1 (ko) 2008-07-25 2009-07-25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00187223A1 (ko)
EP (1) EP2311296B1 (ko)
JP (1) JP5536058B2 (ko)
KR (1) KR101533700B1 (ko)
CN (1) CN102106185B (ko)
AU (1) AU2009273793B2 (ko)
CA (1) CA2730529C (ko)
ES (1) ES2897526T3 (ko)
RU (1) RU2497314C2 (ko)
WO (1) WO20100119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0882B2 (en) * 2007-09-12 2015-05-26 Inductotherm Corp. Electric induction heating of a rail head with non-uniform longitudinal temperature distribution
DE102010061454A1 (de) * 2010-12-21 2012-06-2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ochfrequenzschweißen von Sandwichblechen
TWI421161B (zh) * 2011-07-13 2014-01-01 Quanta Comp Inc 高週波電磁感應加熱裝置及使用其加熱模具表面的方法
CN105121042B (zh) 2013-03-08 2017-12-08 Sms集团有限公司 用于通过铸造轧制制造金属带的方法
FR3014449B1 (fr) * 2013-12-06 2020-12-04 Fives Celes Section de recuit apres galvanisation comportant un appareil de chauffage a inducteur a flux transverse
KR101981407B1 (ko) * 2014-09-05 2019-05-2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띠판의 유도 가열 장치
CN105698525B (zh) * 2014-11-27 2019-07-2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具有分半式平板感应线圈的感应加热炉
CN107926085B (zh) * 2015-06-30 2021-08-31 丹尼尔和科菲森梅克尼齐有限公司 横向磁通感应加热装置
US20170094730A1 (en) * 2015-09-25 2017-03-30 John Justin MORTIMER Large billet electric induction pre-heating for a hot working process
KR102498744B1 (ko) * 2017-11-24 2023-02-13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가열 장치 및 대응하는 기기 및 방법
CN109971928B (zh) * 2019-04-16 2023-09-15 北京科技大学 一种板坯感应加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588A (ja) * 1985-10-25 1987-05-0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横磁束型電磁誘導加熱装置
JP2560043B2 (ja) * 1987-09-08 1996-12-04 川崎製鉄株式会社 スラブ材の誘導加熱装置
US5245148A (en) * 1990-12-06 1993-09-14 Mohr Glenn R Apparatus for and method of heating thick metal slabs
US6274857B1 (en) * 2000-02-10 2001-08-14 Inductoheat, Inc. Induction heat treatment of complex-shaped workpieces
FR2808163B1 (fr) * 2000-04-19 2002-11-08 Celes Dispositif de chauffage par induction a flux transverse a circuit magnetique de largeur variable
US6576878B2 (en) * 2001-01-03 2003-06-10 Inductotherm Corp.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6570141B2 (en) * 2001-03-26 2003-05-27 Nicholas V. Ross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of conductive strip
JP3893941B2 (ja) * 2001-10-26 2007-03-14 東洋製罐株式会社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DE10312623B4 (de) * 2003-03-19 2005-03-24 Universität Hannover Querfeld-Erwärmungsanlage
TWI326713B (en) * 2005-02-18 2010-07-01 Nippon Steel Corp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traveling metal plate
BRPI0709236A2 (pt) * 2006-03-29 2011-06-28 Inductotherm Corp bobina e aparelho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compensador e método de controlar o fluxo magnético gerado em torno da região de cabeça de uma bobina de indução de fluxo magnético
US8070018B2 (en) * 2006-03-31 2011-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scoelastic liquid flow splitter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1296A2 (en) 2011-04-20
AU2009273793B2 (en) 2014-08-07
US20100187223A1 (en) 2010-07-29
US20170347407A1 (en) 2017-11-30
WO2010011987A2 (en) 2010-01-28
CA2730529A1 (en) 2010-01-28
CA2730529C (en) 2016-08-30
RU2497314C2 (ru) 2013-10-27
JP2011529256A (ja) 2011-12-01
RU2011106954A (ru) 2012-08-27
KR101533700B1 (ko) 2015-07-03
WO2010011987A3 (en) 2010-04-15
AU2009273793A1 (en) 2010-01-28
ES2897526T3 (es) 2022-03-01
CN102106185A (zh) 2011-06-22
JP5536058B2 (ja) 2014-07-02
EP2311296A4 (en) 2017-04-19
EP2311296B1 (en) 2021-10-20
CN102106185B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748A (ko)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US7482559B2 (en)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mpensators
US7525073B2 (en) Transverse flux electric inductors
US8536498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a metal plate
US8803046B2 (en) Inductor assembly for transverse flux electric induction heat treatment of electrically conductive thin strip material with low electrical resistivity
KR20180100200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방법
JP6331900B2 (ja)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KR102031865B1 (ko) 이차전지 파우치 전극리드 밀봉장치
JP2010027470A (ja) トランスバース方式の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