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047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047A
KR20110036047A KR1020117001351A KR20117001351A KR20110036047A KR 20110036047 A KR20110036047 A KR 20110036047A KR 1020117001351 A KR1020117001351 A KR 1020117001351A KR 20117001351 A KR20117001351 A KR 20117001351A KR 20110036047 A KR20110036047 A KR 2011003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ilicone
wax
waxes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크리스토퍼 데이비드 자일즈
아누차이 신사와트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3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개질된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COMPOSITION}
본 발명은 개선된 콘디쇼닝(conditioning)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콘디쇼닝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따라서, 소수성 개질된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이 제공된다.
소수성 개질된 음이온성 중합체는 더 우수한 헹굼(rinse-off) 특성을 제공한다. 이는 조성물이 콘디쇼닝 마스크 조성물일 경우 특히 그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개질은 알킬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는 탄소수가 6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8,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4이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롬 앤 하스(Rohm & Haas)에 의해 상표명 아큘린(Aculyn)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큘린 28™이다.
중합체는 0.01 내지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구조제를 포함한다. 구조제는 사용자의 손 안에 있는 제품의 감촉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조화"하는데 사용되는 구조제는 천연 또는 합성 결정질 왁스일 수 있다. 미네랄, 동물 또는 식물(식물성) 왁스는 모두 천연 왁스로서 기술된다. 합성 왁스는 원료로부터 합성에 의해 중합된 왁스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천연 왁스로서 기술된다.
사용될 수 있는 천연 결정질 왁스 중에서 특히 파라핀과 미정질 왁스와 같은 석유계 왁스가 있다. 화학적으로, 장쇄의 포화 탄화수소 쇄로 이루어진 미정질(MC) 왁스와 파라핀 왁스는 매우 유사하다. 두 형태의 왁스는 원유로부터 분리되고, MC 왁스가 전형적으로 더 큰 분자량을 갖는다. 파라핀 왁스는 정제 공정 동안 냉각과 여과에 의해 원유의 고비점 분획으로부터 추출된다. 왁스에 남아 있는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발한 공정 후에, 생성된 파라핀 왁스는 전형적으로 0.5 % 미만의 오일을 함유한다.
대부분은 융점이 다른 이용가능한 다수의 상이한 등급이 있다. 일반적으로, 파라핀 왁스는 무색 또는 흰색이고 투명하다. 파라핀 왁스는 쇄의 말단 가까이에 대부분 분지를 갖는 소량의 분지쇄 분자를 갖는 직쇄 분자로 주로 이루어진다. 긴 직쇄의 결과로서, 파라핀 왁스는 크고 잘 형성된 결정을 갖는다. 파라핀 왁스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360 내지 420(탄소수 26 내지 30)이지만, 더 장쇄인 것(분자량 600 이하)이 이용가능하다. 전형적인 융점은 126 내지 134 ℉(52 내지 57 ℃)이고, 고분자량의 것은 융점이 170 ℉(77 ℃) 근처이다. 파라핀 왁스는 잘 부러지고 오일의 첨가에 의해 구조가 약화된다(인장강도가 낮아짐).
미정질 왁스(MC)는 물성, 쇄 구조 및 길이, 제조 공정에서 파라핀 왁스와 상이하다. 이들은 더 단단하고, 더 가요성이고, 파라핀 왁스보다 높은 인장강도 및 융점을 갖는다. MC 왁스는 첨가되는 경우, 오일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왁스 가소성을 증가시킨다. MC 왁스는 분해 없이 증류될 수 없으므로, 유기 용매에서의 재결정화 및 원심분리를 포함하는 탈랍 공정에 의해 원유의 잔여 증류 분획으로부터 분리된다. 오일 함량은 등급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12 %이다. MC 왁스는 대부분 쇄를 따라 불규칙하게 위치된 분지쇄 분자와 약간의 직쇄를 함유한다. 전형적인 융점은 145 내지 195 ℉(63 내지 91 ℃)이다. 침입도는 왁스의 가요성을 나타내지만, 가요성은 융점의 함수가 아니다.
또한, 몬탄 왁스, 리그나이트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우타 왁스 및 피트 왁스와 같은 기타 미네랄 왁스가 있다.
동물 왁스는 꿀벌, 곤충 또는 고래와 같은 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들 왁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밀랍, 백랍, 셀락 왁스, 경랍 및 울 왁스가 있다. 예를 들어, 동물 왁스로서 분류되는 밀랍은 벌집을 구성하기 위해 꿀벌에 의해 분비된다. 왁스는 벌집을 용융시켜 왁스를 여과해 냄으로써 수획된다. 밀랍은 융점이 약 61 내지 65 ℃이고, 거의 모든 왁스 및 오일과 상용성이다.
식물 왁스는 콩류, 잎 및 베리류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식물 또는 식물성 왁스는 월계수 열매, 칸델릴라, 카나우바, 면, 에스파르토(esparto), 전나무, 일본 왁스, 오우리큐리(ouricury), 야자, 미강유, 사탕수수, 우쿠후바(ucuhuba) 및 코코아 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합성 결정질 왁스 중에서 폴리에틸렌, 폴리메틸렌, 화학적으로 개질된 왁스, 중합된 알파 올레핀 및 합성 동물 왁스가 있다. 예를 들어 화학적으로 개질된 밀랍인 실리코닐 밀랍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왁스의 샘플 및 그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기술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다른 구조화 물질(예컨대, 다른 유익제를 구조화하는데 사용되는)은 미정질 왁스 바셀린(석유 또는 미네랄 젤리로도 알려져 있음)으로서, 이것은 전형적으로 약 90 중량%의 미정질 왁스의 천연 혼합물 및 소량의 기타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콘디쇼닝 조성물에서 일반적인 다수의 성분 중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헤어의 트리트먼트(전형적으로는 샴푸 후의) 및 후속 헹굼을 위한 콘디쇼너로서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콘디쇼너는 화장품으로 허용가능하고 헤어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1종 이상의 콘디쇼닝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것이다.
적합한 콘디쇼닝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고,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물로 사용된다. 그 예로는 4급 수산화 암모늄 또는 그의 염(예컨대, 클로라이드)이 있다.
본 발명의 헤어 콘디쇼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옥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옥틸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도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탈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상응하는 수산화물이 있다. 추가의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CTFA 명칭이 콰터늄-5, 콰터늄-31 및 콰터늄-18인 물질이 있다. 임의의 상기 물질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콘디쇼너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예를 들어 헨켈(Henkel)의 데히콰트(DEHYQUART)로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이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는 유리하게는 지방 알콜 물질을 도입한다. 콘디쇼닝 조성물에 지방 알콜 물질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로 인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되는 라멜라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지방 알콜은 탄소수가 8 내지 22,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이다. 적합한 지방 알콜의 예로는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들 물질의 사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적인 콘디쇼닝 특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 내 지방 알콜의 수준은 편리하게는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지방 알콜의 중량비는 적합하게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8, 최적으로는 1:1 내지 1:4이다.
실리콘은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의 특히 바람직한 성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콘디쇼너는 콘디쇼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의 유화된 입자를 또한 포함할 것이다. 실리콘은 조성물의 수성 매트릭스에 불용성이므로 유화된 형태로 존재하고, 실리콘은 분산된 입자로서 존재한다.
적합한 실리콘으로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특히 CTFA 명칭이 디메티콘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것은 CTFA 명칭이 디메티코놀인, 히드록실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WO 96/31188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약간 가교결합되어 있는 실리콘 검이다. 이들 물질은 헤어에 풍성함, 볼륨감 및 스타일(stylability)은 물론, 우수한 습윤 및 건조 콘디쇼닝을 제공한다.
유화된 실리콘 자체(유화액 또는 최종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이 아님)의 점도는 전형적으로 10,000 cst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콘디쇼닝 성능이 점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실리콘 자체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60,000 cst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cst 이상, 이상적으로는 1,000,000 cst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는 배합의 편의를 위하여 109 cst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에 사용하기 위한 유화된 실리콘은 전형적으로 조성물 내 평균 실리콘 입도가 3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일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입도를 줄이면 일반적으로 콘디쇼닝 성능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 유화된 실리콘의 평균 실리콘 입도는 2 ㎛ 미만이고, 이상적으로는 0.01 내지 1 ㎛이다. 평균 실리콘 입도가 0.15 ㎛ 이하인 실리콘 유화액을 일반적으로 미세유화액이라 한다.
입도는 맬버른 인스트루먼츠(Malvern Instruments)의 2600D 입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광산란 기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 유화액은 또한 사전 유화된 형태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사전 유화된 유화액의 예로는,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유화액 DC2-1766, DC2-1784, 및 미세유화액 DC2-1865 및 DC2-1870이 있다. 이들은 모두 디메티코놀의 유화액/미세유화액이다. 가교결합된 실리콘 검은 또한 사전 유화된 형태로 입수가능한데, 이는 배합의 편의를 위해 유리하다. 바람직한 예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DC X2-1787로서 입수가능한 물질로서, 가교결합된 디메티코놀 검의 유화액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예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DC X2-1391로서 입수가능한 물질로서, 가교결합된 디메티코놀 검의 미세유화액이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에 포함시키기에 바람직한 추가의 부류의 실리콘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이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이란 1개 이상의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기, 또는 4급 암모늄 기를 함유하는 실리콘을 뜻한다.
적합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i) CTFA 명칭이 "아모디메티콘"인 하기 화학식의 폴리실록산: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와 y는 중합체의 분자량에 좌우되는 수로서,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500,000이게 하는 수이다.
(ii) 하기 화학식의 폴리실록산: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G는 H, 페닐, OH 또는 C1-8 알킬, 예컨대 메틸 중에서 선택되고;
a는 0 또는 정수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이고;
b는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m과 n은 (m+n)이 1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일 수 있게 하는 수이고;
m은 1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수이고;
n은 0 내지 1999,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149의 수이고;
R'은 화학식 -CqH2qL의 1가 라디칼이고, 이때 q는 2 내지 8의 수이고, L은
Figure pct00004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관능성 기(식중, R"은 H, 페닐, 벤질, 또는 포화 1가 탄화수소 라디칼(예컨대, C1 -20 알킬) 중에서 선택되고; A는 할라이드 이온, 예컨대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임)이다.
상기 화학식에 상응하는 적합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으로는 하기 나타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하도록 충분히 수불용성인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이라는 폴리실록산이 있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x+y는 약 50 내지 약 500의 수이고,
R은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킬렌 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수 x+y는 약 100 내지 약 300이다.
(iii) 하기 화학식의 4급 실리콘 중합체: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10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H, 포화 또는 불포화된 장쇄 또는 단쇄 알킬(알케닐), 분지쇄 알킬(알케닐) 및 C5-C8 환상 고리 시스템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R2 내지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지쇄 저급 알킬(알케닐), 및 C5-C8 환상 고리 시스템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n은 약 60 내지 약 120의 범위 내의 수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80이고;
X-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이지만, 대신에 예를 들어 할라이드, 유기 카르복실레이트, 유기 술포네이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적합한 4급 실리콘 중합체는 EP-A-0 530 974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콘디쇼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은 전형적으로 아민 관능기의 몰%가 약 0.1 내지 약 8.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0 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 몰%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민 농도는 약 8.0 몰%를 초과하면 안되는데, 왜냐하면 본 발명자들이 아민 농도가 너무 크면 총 실리콘 침적에 해로울 수 있고 따라서 콘디쇼닝 성능에 해로울 수 있음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점도는 특히 중요하지는 않으며, 적합하게는 약 100 내지 약 500,000 cs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구체적인 예는 아미노실리콘 오일 DC2-8220, DC2-8166, DC2-8466, 및 DC2-8950-114(모두 다우 코닝 제품), 및 GE 1149-75(제너럴 일렉트릭 실리콘즈(General Electric Silicones))이다.
또한, 비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오일의 유화액이 적합하다.
적합하게는 이러한 사전 형성된 유화액은 조성물의 평균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입도가 3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일 것이다. 다시, 본 발명자들은 입도를 감소시키면 일반적으로 콘디쇼닝 성능이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 평균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입도는 2 ㎛ 미만, 이상적으로는 0.01 내지 1 ㎛이다. 평균 실리콘 입도가 0.15 ㎛ 이하인 실리콘 유화액을 일반적으로 미세유화액이라고 한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사전 형성된 유화액은 또한 다우 코닝 및 제너럴 일렉트릭과 같은 실리콘 오일 공급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DC929 양이온성 유화액, DC939 양이온성 유화액, 및 비이온성 유화액 DC2-7224, DC2-8467, DC2-8177 및 DC2-8154(모두 다우 코닝 제품)가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4급 실리콘 중합체의 예는 골드슈미트(Goldschmidt)의 K3474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도입되는 실리콘의 총량은 원하는 콘디쇼닝의 수준 및 사용되는 물질에 좌우된다. 바람직한 양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약 10 중량%이지만, 이러한 한도는 절대적이지 않다. 하한은 콘디쇼닝을 달성하는 최소 수준에 의해 결정되고, 상한은 헤어 및/또는 피부가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지성이 되는 것을 피하는 최대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전체 조성물의 0.3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의 실리콘의 총량이 적합한 수준임을 발견하였다.
그 밖의 성분들로는 점도 개질제, 보존제, 착색제, 폴리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킬레이트제(예를 들면, EDTA), 산화방지제(예를 들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향료, 항균제 및 자외선 차단제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성분은 각각 그의 목적을 이루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임의의 성분들은 개별적으로 전체 조성물의 약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헤어 관리에 적합한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성분들은 개별적으로 전체 조성물의 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적합한 헤어 케어 보조제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i) 천연 모근 영양분, 예를 들어 아미노산 및 당.
적합한 아미노산의 예로는 아르기닌,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세린 및 발린 및/또는 이들의 전구체 및 유도체가 있다. 아미노산은 단독으로 첨가되거나, 혼합물로 첨가되거나, 또는 펩티드 형태(예컨대, 디펩티드 및 트리펩티드)로 첨가될 수 있다. 아미노산은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예를 들어 케라틴 또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당은 글루코즈, 덱스트로즈 및 프럭토즈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첨가되거나 또는, 예컨대 과일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ii) 헤어 섬유 유익제.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헤어 섬유를 보습하고 큐티클의 완전함을 유지시키기 위한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추출에 의해, 또는 합성 세라마이드 및 유사세라마이드로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세라마이드는 퀘스트(Quest)의 세라마이드 II이다. 세라마이드의 혼합물, 예를 들어 라보라토이레 세로비오올로지크(Laboratoires Serobiologiques)의 세라마이드 LS도 또한 적합할 수 있다.
- 큐티클 회복 및 손상 방지를 위한 자유 지방산. 그 예는 분지쇄 지방산(예를 들면, 18-메틸에이코사노산 및 이 계열의 다른 동족체), 직쇄 지방산(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및 팔미트산), 및 불포화 지방산(예를 들면,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아라키돈산)이다. 바람직한 지방산은 올레산이다. 지방산은 단독으로 첨가되거나, 혼합물로서 첨가되거나, 또는 예컨대 라놀린의 추출물로부터 유도된 블렌드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활성 성분들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2 양상에서, 제1 양상에 따른 콘디쇼닝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 물질을 포함하는 콘디쇼닝 겔상을 형성하고, 임의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존재하는 경우, 맨 먼저 물에 첨가됨) 소수성 개질된 중합체의 용액을 별개로 형성함을 포함한다.
그 다음, 두 혼합물을 서로에게 첨가한 후, 남아 있는 성분들을 첨가하여 콘디쇼닝 조성물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성분들로는 향, 증점제, 보존제, 색소 및 콘디쇼닝 실리콘이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을 첨가하기 전에 물 약 35 중량%를 65 내지 70 ℃로 가열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생성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계속 혼합하였다.
고속 전단에서 아큘린28을 첨가하여 분산을 도왔다.
별개로, 베헤닐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및 파라핀 왁스를 함께 용융시키고, 이 용융된 혼합물을 아큘린 및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과 함께 주 혼합기에 첨가하였다.
40 내지 45 ℃로 냉각한 다음, 콘디쇼닝 실리콘, 향료 및 보존제를 첨가하였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2
조성물 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고,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다. 조성물 B는 임의의 소수성 개질된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8
조성물 A 및 B를 일 대 일 비교로 비교하였는데, 전문가 집단이 내린 평가는 헹구기 쉽다는 것이었다. 12명의 전문 평가자 중에서, 11명이 조성물 A가 더 헹구기 쉽다고 여겼다.

Claims (2)

  1. 아크릴레이트/베헤네트-25 메타크릴레이트 및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17001351A 2008-06-20 2009-06-17 조성물 KR20110036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8658 2008-06-20
EP08158658.8 2008-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47A true KR20110036047A (ko) 2011-04-06

Family

ID=3995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351A KR20110036047A (ko) 2008-06-20 2009-06-17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293769A1 (ko)
JP (1) JP2011524876A (ko)
KR (1) KR20110036047A (ko)
CN (1) CN102065830A (ko)
AR (1) AR072176A1 (ko)
AU (1) AU2009259418A1 (ko)
BR (1) BRPI0909940A2 (ko)
EA (1) EA201170063A1 (ko)
MX (1) MX2010014069A (ko)
TW (1) TW201000145A (ko)
WO (1) WO2009153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7395B (zh) * 2011-04-12 2017-08-08 拜尔斯道夫股份有限公司 可雾化的毛发定型组合物
WO2012150260A1 (en) * 2011-05-04 2012-11-08 Unilever Plc Hai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obically-modified anionic polymer and a methylcellulose
WO2012150259A1 (en) * 2011-05-04 2012-11-08 Unilever Plc Composition
US9556405B2 (en) 2012-11-29 2017-01-31 Conopco, Inc. Polymer structured aqueous detergent compositions
JP6211436B2 (ja) * 2014-02-28 2017-10-11 株式会社マンダム リンス剤
US20200197273A1 (en) * 2017-06-15 2020-06-25 Conopco, Inc., D/B/A Unilever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inse properties
WO2018228899A1 (en) 2017-06-15 2018-12-20 Unilever Plc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improved rinse
MX2019014877A (es) * 2017-06-15 2020-02-13 Unilever Nv Composicion para el cabello que posee propiedades de enjuague mejoradas.
BR112020022871B1 (pt) 2018-06-07 2024-03-12 Unilever Ip Holdings B.V Método de previsão das propriedades de enxágue de uma composição de tratamento capilar pura a partir de uma superfície capila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257A (en) * 1995-04-28 1997-08-12 Electronics Hair Styling, Inc. Shampoo and conditioning composition
EP0779097B1 (en) * 1995-06-30 2003-06-11 Shiseido Company, Ltd. Emulsion composition
MA25005A1 (fr) * 1998-10-09 2000-07-01 Colgate Palmolive Co Compositions pour soins de cheveux donnant du volume
BR9916762A (pt) * 1999-01-04 2001-09-25 Procter & Gamble Composição de condicionamento do cabelo
US20060193789A1 (en) * 2002-10-25 2006-08-31 Foamix Ltd. Film forming foamable composition
US9359585B2 (en) * 2003-12-08 2016-06-0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nonaqueous reactive skin care and cleansing compositions having a continuous and a discontinuous phase
WO2005044216A1 (ja) * 2004-10-26 2005-05-1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DE102005022021A1 (de) * 2005-05-12 2006-11-16 Basf Ag Isoalkangemisch,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01404973A (zh) * 2006-03-22 2009-04-08 宝洁公司 包括含有颗粒物质的发泡母料组合物的气溶胶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2176A1 (es) 2010-08-11
TW201000145A (en) 2010-01-01
CN102065830A (zh) 2011-05-18
MX2010014069A (es) 2011-02-23
JP2011524876A (ja) 2011-09-08
EA201170063A1 (ru) 2011-06-30
AU2009259418A1 (en) 2009-12-23
BRPI0909940A2 (pt) 2015-10-20
WO2009153281A1 (en) 2009-12-23
EP2293769A1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047A (ko) 조성물
KR20110020927A (ko) 조성물
AU739034B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7278973B2 (ja) 改善されたリンス特性を有する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10077138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4990126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EP3193820B1 (en) Hai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polydimethylsiloxane polymer emulsion
EP2296758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ree kinds of silicones
EP2605743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O2010089199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JP2006504647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用組成物
WO2010102891A2 (en) Composition
RU2810339C2 (ru) Система осаждения для волос
DE69834423T2 (de) Haarpflegezusammensetzung
CN113226263A (zh) 用于毛发的沉积体系
JP2006501189A (ja) ヒドロキシ化合物を含むヘアトリートメント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