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100A -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5100A KR20110035100A KR1020090092662A KR20090092662A KR20110035100A KR 20110035100 A KR20110035100 A KR 20110035100A KR 1020090092662 A KR1020090092662 A KR 1020090092662A KR 20090092662 A KR20090092662 A KR 20090092662A KR 20110035100 A KR20110035100 A KR 20110035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herbal
- sacchromyces
- strain
- trea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에 것이다.
해동피 추출물, 생물전환, 골관절염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에 것이다.
골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아직까지 이를 완전히 퇴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골관절염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파괴 및 변형을 예방하여 정상적인 관절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종래 골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방법으로는 COX-1 또는 COX-2 억제제, 마약성 진통제, 글루코사민(Glucosamin), 콘드로이틴(Chondroitin) 등의 경구투여 방법과, 국소 도포제, 관절강 내에 스테로이드나 히알론산 등을 주사하는 국소 투여방법 등이 시행되고 있다.
통증이 비교적 경미한 경우에는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약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되는 환자나 통증이 심한 환자, 염증을 동반한 환자에서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가 관절염 치료제로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NSAIDs는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과거에 위궤양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 위출혈 같은 위장관 합병증이 있었던 사람, 스테로이드 제제 또는 항응고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심각한 위장관 합병증이 생길 위험성이 높아 약물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처럼 위장관 부작용 위험이 높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선택적 사이클로 옥시게네즈-2 억제제(COX-2 inhibitor)를 주로 사용한다.
기존의 NSAIDs는 COX-1과 COX-2를 모두 억제하는 반면, COX-2 억제제는 COX-2 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위장관 출혈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COX-1 억제를 막아서 위장관 부작용 위험성을 줄여 준다. 그리고 트라나돌(Tranadol)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는 NSAIDs를 상용하지 못할 경우에 유용하지만, 노년층 환자에 사용 할 경우에는 역시 주의를 요한다.
글루코사민(Glucosamin)이나 콘드로이틴(Chondroitin)은 유럽 류마티스학회에서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조절에 사용하도록 권유된 바 있으나, 아직 그 안정성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
국소 도포제는 전신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약물을 이환 부위에 고농도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32주 이상 투여시에는 효과적인 면에서 위약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국소투여의 다른 방법으로는 관절강 내 주사가 있다. 반감기가 긴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주사는 2주 내지 4주까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반복 투여시에는 역시 부작용이 우려된다.
히알론산 주사제의 경우, 히알론산이 활액 구성성분의 하나로 작용하여 마찰 감소 및 PGE 2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골관절염 환자는 이환된 관절 내 히알론산이 줄어들어 있어서 보충요법이 시도 되고 있다. 그러나 분자량이 적은 히알론산은 오히려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개인간 반응성이 다양하여 좀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치료약물들이 모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는 각종 생약성분을 주제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제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 제2004-2297호(공개일자; 2004.01.07.)에는 칼로파낙스 사포닌 K 및 그 대사물을 함유한 염증 및 관절염 치료제로서, 해동피를 추출하여 분리한 칼로파낙스 사포닌 K와, 이를 인체 장내 미생물과 배양하여 생산한 대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염증 및 관절염 치료제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내 미생물로는 박테로이더스 속,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박테리움 속, 퓨소박테리움 속, 락토바실러스 속, 스트렙토코쿠스 속 미생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483,707호(등록일자; 2005.04.07.)에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로스마린산의 함량을 소정량의 범위로 최적화시킨 생약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생약 조성물은 진통 활성,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 혈소판 및 혈전 응집 억제활성, 항진된 면역세포(B-임파구, T-임파구) 증식억제활성, 염증관련 효소활성 억제효과, 유해활성산소 라디칼 소거활성, 관절조직 분해효소 활성 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특히 관절조직 보호활성도 우수하므로 소염진통제, 혈액순환 개선제, 관절염 치료제 및 관절 보호제 등으로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486,791호(등록일자; 2005.04.22.)에는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프로스타글란딘(PGE 2),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결합 조직의 기질인 콜라젠 단백질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콜라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우슬 추출물, 우백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555,660호(등록일자; 2006.03.02.)에는 해동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및 칼로파낙스 사포닌 A 유도체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진행성, 염증성 자가면역 관절염의 제반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각종 관절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생약 조성물들은 대부분 약효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거나, 약효가 아주 완만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골관절염 치료제로 사용하기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예컨대 상기 국내 특허공개 제2004-2297호의 경우, 해동피 에서 추출한 칼로파낙스 사포닌 B,H,K 등의 약리효과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칼로파낙스 사포닌을 A,I 비당체인 헤테라게닌으로 생물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미생물의 대사물을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균주의 성장 속도를 향상시키고, 생물 전환율을 보다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기 복용시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종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달리, 자연에서 채취된 생약으로부터 약리적으로 안정하고 저용량으로 항염증작용, 소염진통작용 등의 통증억제 효능이 있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동피(海桐皮) 추출물을 생물 전환하되, 종래의 장내 미생물에 비하여 성장속도가 빠르고, 생물 전환율도 크게 향상된 새로운 변이주를 이용하여 생물전환 시킨 해동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는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海桐皮)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작약(芍藥)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당귀(當歸)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우슬(牛膝)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생약 조성물은 기존의 진통제로 널리 쓰이는 약물들과 비교할 때 저용량 사용으로 소염진통효과가 우수하고 기존 약물들에 비해 순수 천연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해동피(海桐皮) 추출물을 생물 전환함에 있어서 종래의 장내 미생물에 비하여 성장속도가 빠르고, 생물 전환율도 크게 향상된 새로운 변이주를 이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제조원가를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는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Sacchromyces cerevisiae BH02 변이주와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는 각각 Sacchromyces cerevisiae 균주와 Sacchromyces exiguus 균주를 모균주로 사용하여 모노셀(Monocell) 균주개량 방식으로 장기간에 걸쳐 균주개량 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균주인 상기 Sacchromyces cerevisiae 균주와 Sacchromyces exiguus 균주는 각각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이들 모균주에 대한 균주개량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Eesculin을 함유한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상에서 미리 준비한 모균주를 심사하여 발효한 발효 산물을 원심분리하고, 그 원액 또는 희석액을 Esculin을 함유한 PDA 배지에 도말하여 검붉은 갈색의 환을 형성하는 콜로니를 1차 선별한다. 이어 1차 선별된 모균주를 28C, 35C 배양기에 3일에서 7일간 발효하고, 그 발효산물 중 대조군과 비교하여 HPLC 차트 상에서 생물전환이 많이 진행된 균주를 2차 선별한다.
다음으로 2차 선별된 균주를 칼로파낙스 사포닌의 함량을 높인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단계적으로 그 함량을 높여가는 증량계대법으로 칼로파낙스 사포닌에 대한 내성을 유도한다. 이렇게 하여 생물전환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 배양하고,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미리 준비한 고체배지 위에 콜로니가 분리되도록 도말한 후, 30℃에서 2일간 배양하여 콜로니가 크고 표면에 주름이 있는 콜로니를 선별한다. 선별된 유효균주는 PDB(potato dextrose broth)에 배양하여 그 배양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HPLC 차트 상에서 대조군과 비교해서 생물전환이 많이 전환된 균주를 선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차례 반복 시행하여 유효균주를 개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균주 개량된 변이주를 각각‘Sacchromyces cerevisae BH02’ 및 ‘Sacchromyces exiguus BH12’라 명명한다. 당업자라면 누구나 상기 모균주로부터 상기 변이주를 개량생산 할수 있다. 상기 두 변이주는 성장속도나 생물 전환율등과 같은 균학적 특성이 거의 유사하며, 모균주에 비해 칼로파낙스 사포닌A의 함량이 150% 정도 증대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상기 변이주를 통상적인 해동피 추출물에서 배양하면, 해동피 추출물의 주요 구성성분인 칼로파낙스 사포닌이 칼로파낙스 사포닌 A, 비당체인 헤테라게닌으로 생물전환(Bioconversion)되어 장관막을 통한 체내 흡수율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체내 부종 억제율과 항염증 효과에서 매우 유의성 있는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생물전환이란 미생물의 생촉매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거나, 생약 추출물의 효능 또는 특성 등을 개량하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상기 해동피(海桐皮)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 또는 그 동속식물인 당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chinensis Nakai), 털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magnificus Nakai), 가는잎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maximowiczii Nakai )의 수피로서, 신경통, 관절염 및 당뇨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민간 약재이다.
해동피의 구성성분으로는 13 내지 30%의 탄닌성분, 글루코스, 칼로톡신(Kalotoxin), 칼로사포닌(Kalosaponin),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 헤더라게닌(Hederagenin), 아미노산(Ainoacid), 디-만니톨(d-Mannitol) 및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사포닌, 리그닌 및 항산화물질 등의 추출 및 분리에 관한 연구(한국자원식물 학회지 2, p89-119, 1998)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구성성분들 중에서 특히 칼로파낙스 사포닌(Kalopanax saponin)은 헤테라게닌을 모핵으로 C-3과 C-28 위치에 당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인데, C-3 위치에만 당이 결합된 모노데스모사이드(Monodesmoside)에는 델타헤드린(δ-hedrin), 칼로파 낙스 사포닌 A, I, J 등이 있으며, C-3과 C-28 위치에 당이 결합되어 있는 비스데스모사이드(Bisdesmoside)에는 칼로파낙스 사포닌 B, H, K 등이 보고되어 있다(Lee M., Hahn D.R., Arch pharm. Res., 14, 124-128.1991). 상기 헤데라게닌, 델타헤데린, 칼로파낙스 사포닌 A ,I ,J, B, H 는 모두 해동피의 주성분인 칼로파낙스 사포닌 K의 부분 구조로서, 완전 가수분해 또는 부분 가수분해로 수득할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모노데스모사이드와 비스데스모사이드는 경구 투여시 흡수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지만, 이를 바실러스(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사크로마이세스(Sacchromyces), 모나스커스(Monascus) 속 세균과 함께 배양하여 생물전환 시키면, 상기 균주들의 촉매작용으로 인해 상기 비스데스모사이드가 모노데스모사이드인 칼로파낙스 사포닌 A, I, J 및 비당체인 헤테라게닌으로 전환되고, 모노데스모사이드는 대부분이 비당체인 헤테라게닌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활성성분들의 비극성이 증대되어 장관막을 통한 체내 흡수율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체내 부종 억제율과 항염증 효과에서 매우 유의성 있는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염증 반응시 중심적인 신호전달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서 관절염, 위염, 대장염,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을 개선시키는 효과도 발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생물전환 된 해동피(海桐皮)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작약(芍藥)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당귀(當歸)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우슬(牛膝)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약(芍藥)은 모란과(Paeon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이다. 작약근에는 배당체로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과 알칼로이드인 파에오닌(Paeonine)을 함유하고 탄닌· 수지· 안식향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적 작용으로는 내분비계에 대한 작용, 혈관확장 작용, 동맥경화 억제작용, 혈압 상승효과, 고지혈증 억제효과,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및 관절염 치료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서, 주성분은 코우아인(Coumain) 유도체로서 데쿠르신(Decursin)가 함유되어 있고, 기타 성분으로7-디메틸-수베로신(7-Demethyl-suberosine),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 크산틸레틴(Xanthyletin), 노다케닌(Nodaken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다당체로서 안젤란(Angelan)이 함유되어 있다. 당귀의 약리작용으로는 혈액에 대한 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기억력 개선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위장관에 대한 작용, 자궁근에 대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우슬(牛膝)은 우리나라 전지역, 일본, 중국의 황하 이남 지역에서 분포하는 비름과 식물인 쇠무릅(Achyranthes japanica)의 뿌리로서,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우슬의 어린 싹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신경통에 쓰기도 한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처방은 관절염에 쓰이는 우슬 탕(牛膝湯)과 혈압에 복용하는 평간강압탕(平肝降壓湯)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생약제 및 생약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생약제, 즉 해동피와 작약근, 당귀 및 우슬의 건조물을 각각 분쇄하고, 상기 생약 분쇄물에 각각 용매를 1 : 2 내지 1 : 10 중량비로 첨가하여 환류장치에서 추출한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물, 탄소수 1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드,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추출액들을 각각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한 다음, 감압농축으로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용매가 제거된 상태의 생약 추출물을 얻는다.
한편, 상기 생약 추출물 중에서 해동피 추출물은 미리 준비된 배양배지에 넣고, 여기에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하여 7~10일간 배양한다. 이어 상기 배양액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살균한 후 동결건조 하여 생물 전환된 해동피 추출물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생물 전환된 해동피 추출물과 작약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HP20 수지로 칼럼크로마토 그래피를 실시하여 유효성분을 분획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므로서 본 발명의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의 구성성분이 되는 최종 생약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생약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제, 액제, 환제, 정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등의 제형으로 다양하게 제제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이 정제나 당의정 및 경질 캡슐제인 경우에는 부형제로서 락토오스, 옥수수 전분 또는 그 유도체, 활석, 스테아린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연질 캡슐제의 경우에는 식물성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의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병증의 정도, 성별,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통상 건강한 성인 남성의 경우 1일 5mg 내지 20mg/kg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회수는 환자의 체중, 병증의 정도, 성별, 연령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제 및 그 조성물은 의약품 이외에도 각종 식품이 첨가되어 염증의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A) 생약 추출물의 제조
해동피 300g, 작약 300 g, 당귀300 g 및 우슬300 g을 취하여 각각 물로 세척하고, 하루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한 후 50% 에탄올 수용액 400L에 침적하여 실온에서 24시간동안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1차 추출한다.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추출액을 각각 7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그 추출액들을 여과하여 따로 모은다. 그리고, 추출 잔류물은 동일한 방법으로 한번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상기 추출액과 합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유기용매가 제거된 해동피 추출물60 g, 작약 추출물70 g, 당귀 추출물60g 및 우슬 추출물50 g을 각각 얻었다.
B)
해동피
추출물의 생물전환
상기 생약 추출물 중 해동피 추출물 5g을 1L Potato Dextrose Broth에 넣고, 여기에 미리 준비한 Sacchromyces cerevisiae BH02 균액 50ml를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다음, 그 배양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살균 및 동결건조 하여 생물전환된 해동피 추출물 50g을 얻었다.
C) 생약 추출물의
칼럼크로마토 그래피
상기 생물전환된 해동피 추출물과 작약근 추출물, 당귀근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각각 HP20 수지를 채운 컬럼으로 서서히 흡착한 후, 5% 에탄올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다시 30% 에탄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취한 다음, 이를 감압 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24시간 동안 동결건조 하였다.
D) 생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생물 전환된 해동피 추출물 40g, 작약 추출물 40g, 당귀 추출물20g , 우슬 추출물 20g 을 혼합하여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활성시험]
A) 소염작용 시험
웅성 흰쥐를 사용하여 왼쪽 뒷발의 발목 관절부위에 기준선을 표시하고 Plethysmometer(Ugo Basile, Italy)로 발의 용적을 측정한 후, 상기 실시예 D)의 생약 조성물과 생물전환 해동피 추출물을 각각 10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30분 후에 생리식염수 0.1ml를, 양성대조군은 기염제인 1% type IV lambda Carrageenan-saline 용액 0.1ml를 흰쥐의 왼쪽 뒷발의 족저 중심부 피하에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 각 시험약물의 투여 후 0.5, 1, 2, 4 및 6시간 마다 Plethysmometer로 발의 용적을 측정하고, 기염제 투여 전의 용적과 비교하여 부종 증가율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 부종증가율(%)= (투여후의 발 용적 - 투여전의 발 용적) ÷ 투여전의
발 용적 X 100
< 표 1 >
구 분 |
부종률(단위; %) | ||||
30분 | 60분 | 120분 | 240분 | 360분 | |
정상대조군(Saline) | 4.30 | 3.99 | 4.17 | 2.73 | 1.74 |
양성대조군(Carrageenan) | 13.12 | 34.17 | 45.91 | 68.11 | 68.00 |
생약 조성물 투여군 | 13.09 | 28.64 | 7.38 | 3.27 | 1.44 |
생물전환 해동피추출물 투여군 | 13.01 | 29.01 | 9.39 | 4.69 | 2.45 |
상기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Carrageenan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30분부터 부종이 급격히 증가하여 6시간까지 정상대조군(saline)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부종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과 생물전환된 해동피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에서는 투여 후 30분 및 1시간에서 히스타 민(Histam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이 관여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일시적인 부종증가 현상만을 나타내었고, 이후 2시간, 4시간 및 6시간에서는 부종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참고로 급성 염증유도 약물인 Carrageenan은 해조류에서 추출한 Lipopolysaccharide의 일종으로서 대식세포에 대한 선택적 독성작용에 의해 급성 및 만성 염증을 일으키며 또한 Biphasic한 부종을 유발한다. 이때, Carrageenan 주사 후 1시간 이내에는 히스타민(Histamine)과 세로토닌(Serotonine)이, 그 이후부터 2.5시간까지는 키닌(Kinin)이, 2.5시간 이후부터는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이 화학적 염증 매개인자로 작용한다.
B) 진통효과 시험
휘틀의 방법(Brif.J.pharmcol., 22, 246, 1964)에 준하여 하루 동안 절식시킨 10마리의 성숙한 I.C.R 계 생쥐 수컷(체중 22± 2g)을 한 군으로 하여 각각 상기 실시예 D)의 생약 조성물 100mg/Kg 과 생물전환된 해동피추출물 100mg/Kg, 아세트아미노펜 100 mg/Kg 을 경구투여하였다.
이어 60분 후에 0.7% 초산 생리식염수 10ml/kg을 복강주사하고, 10분 경과후 10분 동안의 스트레칭 횟수를 통각 지표로 하여 그 횟수를 측정하였다. 항 라이징(Writhing) 효과는 대조군의 라이징수에 대한 시료 투여군의 억제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 표 2 >
용량(mg/kg) | 마리수 | 라이징수 | 억제율(%) | |
대조군 | - | 10 | 20.3 | - |
시험군 | 100 | 10 | 8.6 | 57.6 |
생물전환된 해동피추출물 투여군 | 100 | 10 | 10.6 | 47.7 |
아세트아미노펜 투여군 | 100 | 10 | 8.1 | 59.0 |
* 시험군의 통증 억제율 : (20.3 - 8.6) ÷ 20.3 X 100 = 57.6%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D)의 생약 조성물과 생물전환된 해동피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각각 기존의 강력한 합성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와 거의 동등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별다른 부작용을 나타나지 않아서 진통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Claims (3)
-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피 추출물은 1일 유효 투여량이 5mg 내지 20mg/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 Sacchromyces cerevisae BH02 변이주 또는 Sacchromyces exiguus BH12 변이주에 의해 생물전환 된 해동피(海桐皮)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작약(芍藥)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당귀(當歸)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와, 우슬(牛膝) 추출물 3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662A KR20110035100A (ko) | 2009-09-29 | 2009-09-29 |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662A KR20110035100A (ko) | 2009-09-29 | 2009-09-29 |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100A true KR20110035100A (ko) | 2011-04-06 |
Family
ID=4404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2662A KR20110035100A (ko) | 2009-09-29 | 2009-09-29 |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5100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79634A (zh) * | 2012-02-23 | 2012-07-18 | 熊桂华 | 治疗膝关节骨性关节炎的外用中药组合物 |
CN102648929A (zh) * | 2012-04-17 | 2012-08-29 | 中国中医科学院中医基础理论研究所 | 一种治疗骨性关节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KR101380970B1 (ko) * | 2012-04-27 | 2014-04-10 | 진병식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혈액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
KR101467393B1 (ko) * | 2013-10-29 | 2014-12-15 | 이남기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혈액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
US10617725B2 (en) | 2018-01-31 | 2020-04-14 | Bifido Co., Ltd. | Composition containing Bifidobacterium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
CN111110812A (zh) * | 2020-03-07 | 2020-05-08 | 柳州市中医医院 | 用于治疗膝骨关节炎的中药组合物 |
-
2009
- 2009-09-29 KR KR1020090092662A patent/KR2011003510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79634A (zh) * | 2012-02-23 | 2012-07-18 | 熊桂华 | 治疗膝关节骨性关节炎的外用中药组合物 |
CN102648929A (zh) * | 2012-04-17 | 2012-08-29 | 中国中医科学院中医基础理论研究所 | 一种治疗骨性关节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KR101380970B1 (ko) * | 2012-04-27 | 2014-04-10 | 진병식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혈액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
KR101467393B1 (ko) * | 2013-10-29 | 2014-12-15 | 이남기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혈액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
US10617725B2 (en) | 2018-01-31 | 2020-04-14 | Bifido Co., Ltd. | Composition containing Bifidobacterium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
CN111110812A (zh) * | 2020-03-07 | 2020-05-08 | 柳州市中医医院 | 用于治疗膝骨关节炎的中药组合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95311B2 (en) |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 |
KR101373245B1 (ko) |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Geng et al. |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f Ganoderma lucidum on kidney injuries and diseases | |
KR20110035100A (ko) | 골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 및 그 조성물 | |
CN101214278A (zh) | 提取五味子总木脂素的新原料及制备工艺和用途 | |
KR101902911B1 (ko) | 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 손상 개선용 조성물 | |
KR101150643B1 (ko) |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CN110893197B (zh) | 用于治疗痛风的蔓三七提取物及其制备方法 | |
WO2011019239A2 (ko) |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 |
KR20120134166A (ko) |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 |
Huang et al. | The traditional uses, secondary metabolites, and pharmacology of Eleutherococcus species | |
Li et al. | Pharmacological studies on anti-hyperglycemic effect of folium eriobotryae | |
KR20140017932A (ko) |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 |
KR20170027914A (ko) |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1810337A (zh) | 三七灵芝黄芪保健食品 | |
CN111714519B (zh) | 海蟑螂有机溶剂提取物的应用及组合物 | |
Ren et al. | The attenuation effect of licorice on the hepatotoxicity of Euodiae Fructus by inhibiting the formation of protein conjugates and GSH depletion | |
CN106421075A (zh) | 一种竹柳抗氧化活性组分的制备方法和应用 | |
KR101521753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TW200304828A (en) | Extract of processed panax genus plant,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 |
KR20170091804A (ko) |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4435293B (zh) | 异型南五味子总三萜乙醇提取物在制备抗关节炎药物中的应用 | |
KR101521752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680294B1 (ko) |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101521754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