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67A -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67A
KR20110034967A KR1020090092479A KR20090092479A KR20110034967A KR 20110034967 A KR20110034967 A KR 20110034967A KR 1020090092479 A KR1020090092479 A KR 1020090092479A KR 20090092479 A KR20090092479 A KR 20090092479A KR 20110034967 A KR20110034967 A KR 2011003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enetration
display device
layer
blo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967A/ko
Priority to US12/893,667 priority patent/US201100742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3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6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제 1, 2 가스 배어리층과, 상기 제 1, 2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와,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두께를 얇게 함과 아울러 길이를 짧게 하고,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좁혀 제품의 가스 배어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추가 압착을 통해 요철부를 형성하여 외부 가스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요철부에 의해 외부 가스 침투 경로를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가스 투과 시간을 늘려 가스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1, 2 가스 배어리층, 제 1, 2 가스 침투 차단부.

Description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DLSPLAY DEVICE HAVING GAS INPUT BARRIER}
본 발명은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는 전자종이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방식과, 자발광형인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으로 볼 수 있다. 전자종이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에는 여러 방식이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전기영동형 전자종이가 있다.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극 사이에 전기장이 인가되면 대전된 입자들이 이동하는 현상을 응용한 전자 표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전자북, 전자 신문, 전자 잡지, 전자 도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응용할 수 있다.
전기영동 현상이란,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대전된 입자들(charged particles)이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유체(fluid)내에서 전기영동이 발생하면, 대전된 입자들은 점성 드래그(viscous drag), 전하(charge), 유체의 유전특성(dielectric properties). 인가된 전기장의 세기(magnitude of applied electric field)에 의해서 결정되는 속도(velocity)로 이동하게된다.
이러한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이한 색상의 유전 유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한가지 또는 한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진 입자를 이용하여 색상을 결정한다. 즉, 한가지 또는 한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진 입자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반대의 전하를 갖는 대전된 입자는 전기장과 반대 부호를 가진 전극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로 색상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셀(20)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셀(20)은 투명 또는 투명하지 않은 하부 전극기판(21)과, 상기 하부 전극 기판의 상부에 한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진 입자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부(22)와, 상기 디지털 잉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상부 전극(23)과, 투명 기판(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 회선을 형성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층 위에 발광 작용을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적층되어서, TFT층을 통해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층이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미도시 됨)
그러나, 상기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투명 유기 발광 디스플 레이 장치의 제품화를 위해서는 소자의 신뢰성을 위한 고품위 박막 보호층이 개발이 선결되어야 한다. 소자의 신뢰성은 소자의 수명과 지결되는 문제로, 유기물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유기 전자 소자(전극층, 디지털 잉크, 유기 TFT층, 유기 발광 다이오드등)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 산소, 습기 및 빛등에 매우 민감하여 분해되기 쉬우며, 열에 대해서도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온도가 상승할 경우 소자의 수명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전기영동 타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습기, 수분 및 산소와 같은 대기중의 가스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가스 배리어(gas barrier) 특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산소나 습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특성이 손상되는 디스플레이는 하부 전극기판, 상부 투명기판을 가스침투율이 극히 낮은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상, 하부 가스 베리어를 형성하는 구조이나, 유연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강성의 유리기판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플라스틱 기판에 가스 베리어를 증착하거나 별도의 가스 베리어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밀봉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영동형 플렉서블 전자종이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상, 하부에 가스베리어 필름층(30,40)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밀봉한 구조를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스 베어리 필름층(30)(40)의 외곽 부분에는 습기, 수분 및 산소등과 같은 외부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접착부(50)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습기, 수분 및 산소등과 같은 외부 가스(A1)들의 유입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상기 외부 가스(A1)들이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층(30)(4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기 가스 배어리 필름층(30)(40)의 외곽 부분의 접착부(50)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A1)들이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층(30)(40)을 통과시 매우 낮은 가스 투과성을 갖지만, 상기 가스 배어리 필름층(30)(40)의 접착부(50)를 통과시에는 상대적으로 가스 배어리 필름층(30)(40)보다 수백배 이상 높은 가스 투과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A1)의 가스 침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스 배어리 필름층(30)(40)의 측면 접착부(50)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며 가스 침투성이 낮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접착부(50)의 길이도 길게하여 가스의 침투 경로를 길게 가져가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착부의 길이를 길게 가져갈 경우 동일 활용 면적대비,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즈가 커지고, 이로인해, 실제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스 배어리 필름층의 측면 외곽에서 접착부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함과 아울러 외부 가스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얇게 함과 아울러 길이를 짧게 하고,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좁혀 제품의 가스 배어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추가 압착을 통해 요철부를 형성하여 외부 가스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요철부에 의해 외부 가스 침투 경로를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가스 침투 시간을 늘려 가스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기판(유리 기판 또는 투명 기판) 및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기판 자체가 가스 배어리의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제품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품의 제조원가 및 조립 공정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기판(유리 기판 또는 하부 전극 기 판)및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기판 자체가 가스 배어리의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제품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품의 제조원가 및 조립 공정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제 1, 2 가스 배어리층;
상기 제 1, 2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상부 기판;
접착층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하부 기판;
접착층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 치에 의하면,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제품의 접착부의 두께를 얇게 함과 아울러 길이를 짧게 하고,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좁혀 제품의 가스 배어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추가 압착을 통해 요철부를 형성하여 외부 가스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요철부에 의해 외부 가스 침투 경로를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가스 침투 시간을 늘려 가스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기판(유리 기판 또는 투명 기판)및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기판 자체가 가스 배어리의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제품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품의 제조원가 및 조립 공정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기판(유리 기판 또는 하부 전극 기판) 및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추가 압착을 통해 외부 가스(수분, 습기 및 산소등) 침투를 차단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기판의 자체가 가스 배어리의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제품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 품수를 절감하고, 제품의 제조원가 및 조립 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접착층(900)을 구비한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과, 제 1, 2 가스 침투 차단부(500)(6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셀(20)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셀(20)의 상,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함과 아울러 밀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는 상기 제 1, 2 가스 베어리층(200)(300)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내로 외부 가스(A1)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압착 지그(80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에 2차적으로 상기 외부 가스(A1)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에 구비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지그는 요철 지그(8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상기 요철 지그(800)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철부(600)들은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들 이외에 다른 패턴들도 형성가능하다.
상기 외부 가스(A1)는 수분, 습기 및 산소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분, 습기 및 산소등 이외에 다른 외부 가스(A1)들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상기 제 1 가스 로 침투 차단부(500)로 침투하는 외부 가스(A1)를 요철부와 충돌시켜 침투 경로를 여러방향으로 분산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 가스(A1)의 침투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어리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또 다른 평평한 압착 지그(700)를 통해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상기 요철 지그 및 상기 평평한 압착 지그(700)이외에 다른 압착 지그도 사용가능하며, 또 다른 압착 지그를 통해 추가적으로 압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셀(20)과, 접착층(900)을 구비한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과, 제 1, 2 가스 침투 차단부(500)(60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셀(20)은 투명 또는 투명하지 않은 하부 전극 기판(21)과, 상기 하부 전극 기판의 상부에 한가지 이상이 색상을 가진 입자를 구비한 디지털 잉크부(22)와, 상기 디지털 잉크부(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상부 전극(23)과, 투명 기판(24)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셀(20)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셀(20)의 상, 하부에 구비되고,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함과 아울러 밀봉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스 배어리층(200)(300)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200)(300)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외부 가스(A1)의 침투를 차단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 부(500)에 상기 압착 지그(80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를 형성한다. 상기 압착 지그(800)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600)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상기 외부 가스(A1)를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로 외부 가스(A1)가 침투하면,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와 먼저 부딪쳐 접촉되고, 이때,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에 의해 침투 경로 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A1)는 바로 직진하여 침투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요철부(600)에 접촉되어 경로 방향을 수직/수평방향으로 바꿈과 아울러 분산되어 침투 경로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부(600)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의 패턴 형상에 따라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 재그 패턴으로 경로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또 다른 압착 지그(700)에 의해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를 압착시켜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50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외부 가스(A1)의 침투 경로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를 얇게 형성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600)는 침투되는 외부 가스(A1)의 침투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전극 기판(21)과, 디지털 잉크부(22)와, 투명 상부 전극(23)과, 접착층(900)을 구비한 상부 기판(2100)과, 접착층(900)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2200)과, 제 1, 2 가스 침투 차단부(2300)(24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기판(2100)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2100)는 상기 하부 전극 기판(21)보다 더 크게 제공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스 배어리층(2200)은 상기 상부 기판(2100)과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함과 아울러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전극 기판(21)과 디지털 잉크부(22)와, 투명 상부 전극(23)도 함께 밀봉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2100) 및 가스 배어리층(2200)의 측면에는 상기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외부 가스(A1)의 침투를 차단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2300)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 가스(A1)는 수분, 습기 및 산소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외에 다른 외부 가스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2300)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2200) 쪽으로 상기 압착 지그(80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를 형성한다. 상기 압착 지그(800)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2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2400)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는 상기 외부 가스(A1)를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로 외부 가스(A1)가 침투하면,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2400)와 먼저 부딪쳐 접촉되고, 이때,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에 의해 침투 경로 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A1)는 바로 직진하여 침투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요철부에 접촉되어 경로 방향을 수직/수평방향으로 바꿈과 아울러 분산되어 침투 경로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부(2400)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의 패턴 형상에 따라 곡선, 사선, 그물 망 및 지그 재그 패턴으로 경로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는 또 다른 압착 지그(700)를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2300)의 가스 배어리층(2200)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230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외부 가스(A1)의 침투 경로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를 얇게 형성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2400)는 침투되는 외부 가스(A1)의 침투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2100)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자체가 가스 배어리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상부 기판(2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 기판으로 사용가능하여 제품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2200)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지털 잉크부(22)와, 투명 상부 전극(23)과, 투명 기판(24)과, 접착층(900)을 구비한 하부 기판(1100)과, 접착층(900)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1200)과, 제 1, 2 가스 침투 차단부(1300)(1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기판(1100)은 유리 기판 또는 하부 전극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기판(1100)는 상기 투명 기판(24)보다 더 크게 제공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스 배어리층(1200)은 상기 하부 기판(1100)과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함과 아울러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투명 기판(24)과, 디지털 잉크부(22) 및 투명 상부 전극(23)도 함께 밀봉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기판(1100) 및 가스 배어리층(1200)의 측면에는 상기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외부 가스(A1)의 침투를 차단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1300)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 가스(A1)는 수분, 습기 및 산소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외에 다른 외부 가스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1300)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1200) 쪽으로 상기 압착 지그(80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를 형성한다. 상기 압착 지그(800)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진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1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1400)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는 상기 외부 가스(A1)를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로 외부 가스(A1)가 침투하면,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1400)와 먼저 부딪쳐 접촉되고, 이때,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에 의해 침투 경로 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A1)는 바로 직진하여 침투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요철부(1400)에 접촉되어 경로 방향을 수직/수평방향으로 바꿈과 아울러 분산되어 침투 경로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부(1400)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외부 가스(A1)는 상기 요철부의 패턴 형상에 따라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 재그 패턴으로 경로방향을 바꾸거나 분산된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는 또 다른 압착 지그(700)를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1300)의 가스 배어리층(1200)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130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외부 가스(A1)의 침투 경로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를 얇게 형성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1400)는 침투되는 외부 가스(A1)의 침투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기판(1100)은 유리 기판 또는 하부 전극 기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자체가 가스 배어리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하부 기판(1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전극 기판으로 사용가능하여 제품의 두께를 더 욱 얇게 하며, 추가적으로 가스 배어리층(1200)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 영동형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투명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라미네이션을 통해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 이 장치의 구성 중 상부 기판과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C부 확대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D부 확대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하부 기판과 가스 배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0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 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E부 확대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F부 확대 측단면도.

Claims (22)

  1.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제 1, 2 가스 배어리층;
    상기 제 1, 2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지그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부들은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 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스는 수분, 습기 및 산소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로 침투하는 외부 가스를 요철부와 충돌시켜 침투경로를 여러방향으로 분산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시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가스 배어리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어리 필름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 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또 다른 압착 지그를 통해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9.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상부 기판;
    접착층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지그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부들은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로 침투하는 외부 가스를 요철부와 충돌시켜 침투경로를 여러방향으로 분산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시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어리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어리 필름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또 다른 압착 지그를 통해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비한 하부 기판;
    접착층을 구비한 가스 배어리층;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베어리층을 라미네이션을 통해 봉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가스 배어리층의 측면에 외부 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 및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압착 지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압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에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지그는 요철 지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요철 지그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부들은 다수의 엠보싱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곡선, 사선, 그물망 및 지그재그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로 침투하는 외부 가스를 요철부와 충돌시켜 침투경로를 여러방향으로 분산시 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 가스의 침투 시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하부 전극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어리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어리 필름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침투 차단부는 상기 가스 배어리층 쪽으로 또 다른 압착 지그를 통해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스 침투 차단부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92479A 2009-09-29 2009-09-29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4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79A KR20110034967A (ko) 2009-09-29 2009-09-29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2/893,667 US20110074275A1 (en) 2009-09-29 2010-09-29 Display device having gas input b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79A KR20110034967A (ko) 2009-09-29 2009-09-29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67A true KR20110034967A (ko) 2011-04-06

Family

ID=4377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479A KR20110034967A (ko) 2009-09-29 2009-09-29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74275A1 (ko)
KR (1) KR201100349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68B1 (ko) * 2013-04-15 2021-07-2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2383B2 (en) * 2006-02-28 2010-04-06 Tdk Corporation EL panel
JP4973268B2 (ja) * 2007-03-26 2012-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防湿構造、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4275A1 (en)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0758B (zh) 透明显示装置
CN105070720B (zh) 集成有传感器的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JP6965235B2 (ja) 有機電界発光ダイオード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CN107240596B (zh) 显示设备
CN107204403B (zh) 显示装置
CN105304676A (zh) 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的封装结构、柔性显示装置
CN205789979U (zh)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面板、显示设备
CN102576820B (zh) 封装的光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CN104124268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203759662U (zh) 触控面板
CN105957878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208173590U (zh) Oled柔性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07689384A (zh) 显示模组
KR20150021887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725763B (zh) 具有集成的触摸屏的显示装置
KR20190012186A (ko) Oled 장치 봉지 구조, oled 장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CN109599426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9000271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0626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O2021108277A3 (en) Stretchable polymer and dielectric layers for electronic displays
KR20110034967A (ko) 가스 침투 차단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205281089U (zh) 一种显示面板
CN107068713B (zh) 有机el显示装置
CN113540325B (zh) 电子装置
CN205789983U (zh) 有机电致发光二极管基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