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303A -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 Google Patents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303A
KR20110034303A KR1020090091788A KR20090091788A KR20110034303A KR 20110034303 A KR20110034303 A KR 20110034303A KR 1020090091788 A KR1020090091788 A KR 1020090091788A KR 20090091788 A KR20090091788 A KR 20090091788A KR 20110034303 A KR20110034303 A KR 2011003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column
coupled
pla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355B1 (ko
Inventor
조복현
박노호
임기수
장순용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3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8Handrail member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공판의 개구부를 둘러막기 위해 설치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공판(2)들 사이의 개구부(1) 주위에 설치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로서, 상기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며, 각각 상기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 상에 설치되는 지주(20); 상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주(20)와 상기 지주(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가로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을 제시한다.
복공판, 가시설구조물, 난간, 지주

Description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Temporary structure for deck plate}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공판의 개구부를 둘러막기 위해 설치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복공판은 소정 크기로 제작되어 수십 내지 수백개가 설치되며, 지상과 지하의 연결 등의 목적을 위해 일부 복공판을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복공판의 개구부를 통한 낙하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바, 개구부 주위에 가시설구조물을 세운다.
그런데, 복공판의 개구부의 크기나 위치는 공사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한 공사현장 내에서도 공사진행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며 복공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규격이 조절될 수 있는 가시설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며, 규격 조절이 가능한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공판(2)들 사이의 개구부(1) 주위에 설치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로서, 상기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며, 각각 상기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 상에 설치되는 지주(20); 상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주(20)와 상기 지주(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가로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을 제시한다.
상기 지주(20)는 적어도 하단부가 상기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지주용 홈(2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공판(2)의 지주용 홈(2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주(20)는 상기 복공판(2)에 설치된 앵커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단부에 볼트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30)는 강성체일 수 있다.
상기 가로대(30)는 상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경간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 및, 상기 가로대부재(32)와 가로대부재(32)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34)가 결합되는 결합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홀(32A)이 상기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34)가 결합되는 결합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홀(32A)이 상기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30)는 봉형 또는 패널형일 수 있다.
상기 지주(20)와 상기 가로대(30)는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상기 지주(20)에 상기 가로대(30)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이 상기 지주(20)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는 턴버클(42)일 수 있다.
상기 턴버클(42)은 상기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턴버클용 홈(2B)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턴버클(42)은 상기 복공판(2)에 설치된 고리(20B)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20) 또는 가로대(30)에 설치된 안전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은 복공판의 개구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규격조절될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은 복공판(2)들 사이의 개구부(1) 주위에 설치되어 복공판(2)의 개구부(1)를 둘러막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며 각각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 상에 설치되는 지주(20)와,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가로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주(20)가 복공판(2)에 설치 및 해체 가능하며, 지주(20)와 가로대(30)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시설구조물(10)의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 및 철거가 용이하고, 특히 도 1과 도 9를 비교하는 바와 같이 가로대(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공판(2)의 개구부(1)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가시설구조물(10)의 규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공판(2)의 개구부(1)의 크기나 형상에 따른 호환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지주(20)는 복공판(2) 상에 단지 올려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2)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지주(20)가 복공판(2)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시설구조물(10)이 지상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임의 위치 변경 및 철거, 특히 전도가 방지될 수 있는 바 안전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20)가 복공판(2)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방안이 대두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는 적어도 하단부가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지주용 홈(2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복공판(2)의 지주용 홈(2A)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지주(20)가 복공판(2)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지주(20)가 복공판(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별도의 지지대나 구조없이도 전도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는 복공판(2)에 설치된 앵커(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단부에 볼트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주(20)가 복공판(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주(20)가 보다 확실하게 복공판(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주(20)의 회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지지부재(40) 없이도 지주(20)가 확실하게 복공판(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주(20)의 전도 및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지주(20)에 결합되며 타측이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0)는 지주(2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든 무방하며,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turnbuckle)(42) 구조를 취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턴버클(42)은 지주(20)와 여러가지 방법으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주(20)에 턴버클(42)이 끼워질 수 있는 고리(20B)가 형성되고, 턴버클(42)에 지주(20)의 고리(20B)에 끼워지는 끼움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끼움부(42A)라 한다)가 형성될 수 있다. 턴버클(42)의 제1끼움부(42A)는 지주(20)의 고리(20B) 형상 등에 따라서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턴버클(42)은 복공판(2)과 여러가지 방법으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42)은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턴버클용 홈(2B)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끼움부(42B)라 한다)가 형성될 수 있다. 턴버클(42)의 제2끼움부(42B)는 복공판(2)의 턴버클용 홈(2B)의 형상 등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42)의 제2끼움부(42B)는 복공판(2)에 설치된 고리(6)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대(30)는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가로대(30)는 길이조절을 위해 여러가지 방안이 대두될 수 있으며, 다만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 간소화, 조립 및 철거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할 수 있다.
즉, 가로대(30)는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경간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 및, 가로대부재(32)와 가로대부재(32)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경간에 따라 가로대부재(32)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여러 길이의 가로대부재(32)를 연결함으로써, 복공판(2)의 개구부(1)의 크기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가로대(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는 각각 결합부재(34)가 결합되는 결합홀(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합홀(32A)이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합홀(32A)이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가로대부재(32) 간 결합위치를 조절함에 따라서 두 가로대부재(32)의 결합길이, 즉 가로대(30)의 길이를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로대(30), 즉 가로대부재(32)는 여러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봉형 또는 패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34)는 가로대부재(32)의 형상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34)으로 구성되거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너트(34B)로 구성될 수 있다.
가로대(30) 즉 적어도 가로대부재(32)는 특히 낙하 등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강성측면에서 유리한 금속재나 목재 등 강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 다.
이와 같은 지주(20)와 가로대(3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에 가로대(30)가 끼워지는 끼움부(20C)가 형성됨으로써 간단하게 지주(20)와 가로대(30)가 조립,해체될 수 있다. 나아가, 지주(20)의 끼움부(20C)에 끼워진 가로대(30)의 결합 유지를 위해, 핀(50) 또는 볼트&너트(52) 등의 결합유지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주(20) 또는 가로대(30)에는 안전사고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안전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 예의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의 모식도.
도 3은 제1실시 예의 지주와 복공판의 결합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 예의 지주와 복공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 예의 가로대의 단면도.
도 7은 도 6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 예의 가로대의 단면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의 턴버클과 복공판의 결합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2실시 예의 모식도.
도 10은 제3실시 예의 가로대를 보여주는 모식도.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제3실시 예의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 실시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개구부 2; 복공판
10; 가시설구조물 20; 지주
30; 가로대 32; 가로대부재
34; 결합부재 40; 지지부재
42; 턴버클

Claims (14)

  1. 복공판(2)들 사이의 개구부(1) 주위에 설치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로서,
    상기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며, 각각 상기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 상에 설치되는 지주(20);
    상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주(20)와 상기 지주(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가로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적어도 하단부가 상기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지주용 홈(2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공판(2)의 지주용 홈(2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상기 복공판(2)에 설치된 앵커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단부에 볼트부(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30)는 강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30)는 상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경간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 및, 상기 가로대부재(32)와 가로대부재(32)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34)가 결합되는 결합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홀(32A)이 상기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부재(32)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34)가 결합되는 결합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결합되는 두 가로대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홀(32A)이 상기 가로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30)는 봉형 또는 패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20)와 상기 가로대(30)는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상기 지주(20)에 상기 가로대(30)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지주(20)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개구부(1)의 인접 복공판(2)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턴버클(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42)은 상기 복공판(2)의 상면에 형성된 턴버클용 홈(2B)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42)은 상기 복공판(2)에 설치된 고리(20B)에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0) 또는 가로대(30)에 설치된 안전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10).
KR1020090091788A 2009-09-28 2009-09-28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KR10114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88A KR101143355B1 (ko) 2009-09-28 2009-09-28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88A KR101143355B1 (ko) 2009-09-28 2009-09-28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303A true KR20110034303A (ko) 2011-04-05
KR101143355B1 KR101143355B1 (ko) 2012-05-09

Family

ID=4404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88A KR101143355B1 (ko) 2009-09-28 2009-09-28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842A (zh) * 2016-02-25 2018-10-23 莱斯利·苏珊·帕梅拉·凯特莱特·泰勒 用于楼梯的扶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330B1 (ko) 2019-10-02 2021-10-25 (주)바로건설기술 분할 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569B2 (ja) * 1995-02-28 2001-07-30 株式会社国元商会 仮設用手摺り
JP2000291265A (ja) * 1999-04-05 2000-10-17 Nkk Corp 開口部養生用仮設材
KR200362197Y1 (ko) * 2004-06-18 2004-09-16 김진곤 난간바의 다중 지지 구조
KR20090030410A (ko) * 2007-09-20 2009-03-25 복 성 김 도로용 탄력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842A (zh) * 2016-02-25 2018-10-23 莱斯利·苏珊·帕梅拉·凯特莱特·泰勒 用于楼梯的扶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355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761B2 (en) Protective shelter
CN101918657A (zh) 安全屏障
CN109235861B (zh) 一种应用于小高层建筑的装配式脚手架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KR101143355B1 (ko)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US20070245972A1 (en) Barriers or partitions
CN109267820B (zh) 一种模块化附带参观走道活动围挡及安装方法
GB2459486A (en) Fence post
GB2549540A (en) Fence system
JP5163861B2 (ja) 仮設門扉の支柱立設具及びその支柱立設構造
CN104631910B (zh) 预制围墙
CN210217105U (zh) 一种脚手架阳角网框安装件及阳角网框安装结构
CN211396523U (zh) 一种装配式支撑施工平台
KR102491586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JP7378987B2 (ja)
JP3029324B2 (ja) 仮囲い及び仮囲い用基礎
ES1246580U (es) Barandilla modular de planchas
CN219547568U (zh) 箱梁支撑结构
WO2023029358A1 (zh) 用于附着式升降脚手架的封闭平铺结构单元
CN210460182U (zh) 一种装配式抗风围挡
RU113744U1 (ru) Мат,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обустройства временных дорог и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на промышленной площадке
JP4496500B2 (ja) 保持部材
KR0116932Y1 (ko) 조립식 가설재(비계)
JP2000282431A (ja) 仮設防護柵及び仮設防護柵組立工法
US20060174565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