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546A -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546A
KR20110033546A KR1020090091088A KR20090091088A KR20110033546A KR 20110033546 A KR20110033546 A KR 20110033546A KR 1020090091088 A KR1020090091088 A KR 1020090091088A KR 20090091088 A KR20090091088 A KR 20090091088A KR 20110033546 A KR20110033546 A KR 2011003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eceiving body
basket
sewage receiving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9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546A/ko
Publication of KR2011003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받이에 있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오수를 일정량 저수할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버릴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측에 우수지관을 부설할 수 있도록 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받이본체를 깊게 형성하고 유입구와 배출구를 상측부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일정량 저수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바스켓을 구비하여 오수와 함게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줌으로서 오수가 배출될 때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억제)하고 배출구가 폐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되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입관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다른 우수관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받아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저수형 오수받이. 오수받이. 바스켓. 입관. 우수지관설치형 입관. 뚜껑.

Description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A DRAIN SEWAGE}
본 발명은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받이에 있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오수를 일정량 저수할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버릴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측에 우수지관을 부설할 수 있도록 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오수받이본체를 깊게 형성하고 유입구와 배출구를 상측부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일정량 저수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바스켓을 구비하여 오수와 함게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줌으로서 오수가 배출될 때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억제)하고 배출구가 폐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되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입관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우수관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받아 함께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의 오수받이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유입 되는 우수를 포함하는 오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오수받이는, 오수받이본체의 외면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오수받이통은, 유입관을 통해서 오수와 함께 이물질(오물)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오수받이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섞여있는 오수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수받이는 여러 개의 유입관을 통해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 하나의 배출관을 통해 함께 배출되는데,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모래 및 작은 돌멩이와 같은 작은 물질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쌓이게 된다.
내부에 쌓이는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 공간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게 되고, 오수받이본체의 내부 공간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면서 오수의 유입과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 오수받이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 집결되어 배출관을 통해 일시에 배출될 때에 배출관을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배출관이 폐쇄되면서 오수받이는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특히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쌓인 모래 및 자갈과 같은 각종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수받이본체의 내부를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상면에 형성되어 커버가 덮어지는 구멍이 좁아 각종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받이에 있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오수를 일정량 저수할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버릴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측에 우수지관을 부설할 수 있도록 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받이본체를 깊게 형성하고 유입구와 배출구를 상측부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일정량 저수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바스켓을 구비하여 오수와 함게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줌으로서 오수가 배출될 때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억제)하고 배출구가 폐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되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입관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다른 우수관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받아 함께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오수받이본체에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 받이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오수받이본체의 상측부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바스켓을 구비한 것과;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고, 입관의 상단에 뚜껑을 결합한 것과;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입관을 우수지관설치형 입관으로 형성하여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형 오수받이(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는,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받이에 있어,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 오수를 일정량 저수할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버릴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측에 우수지관을 부설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받이본체를 깊게 형성하고 유입구와 배출구를 상측부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일정량 저수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바스켓을 구비하여 오수와 함게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줌으로서 오수가 배출될 때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억제)하고 배출구 가 폐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되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입관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다른 우수관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받아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를 보인 분해도 및 결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는, 오수를 받아 배출시키는 오수받이(10)와, 상기 오수받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스켓(20)과, 오수받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입관(30) 및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과, 상기 입관(30) 또는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의 상단에 결합 되는 뚜껑(40)으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오수를 받아 배출시키는 오수받이(10)는, 오수받이본체(11)를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면에는 입관설치공(12-1)을 형성하였고, 상기 오수받이본체(11)의 외면에는 다수의 설치공(15)을 내외부가 연통되게 형성하여 오수유입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오수배출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설 치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공(15)을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시켜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 바닥에 적층되는 이물질이 설치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오수받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함께 섞여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 충진되는 바스켓(20)은, 바스켓통(21)을 상부가 개방되는 통상의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바스켓통(21)의 지름을 상기 오수받이(10)의 입관설치공(12-1)으로 삽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였고, 바스켓통(21)의 상단에 손잡이(22)를 구비하여 바스켓(20)을 오수받이(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안치 및 인출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수받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입관(30)은, 통상적으로 상하로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오수받이(10)의 입관설치공(12-1)에 밀접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입관(30)을 대신하여 입관의 측면에 우수지관설치구(32)가 하나 이상 형성된 우수지관설치형 입관(31)을 오수받이(10)의 입관설치공(12-1)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우수지관설치구(32)에는 우수지관(33)을 조립 설치한다.
상기 입관(30) 또는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의 상단에 결합 되는 뚜껑(40)은, 입관(30) 또는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의 상단에 결합 되는 뚜껑본체(41)와 상기 뚜껑본체(41)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42)로 형성하였으며, 덮개(42)를 제거(분리)한 상태에서 바스켓(20)을 안치 또는 인출하고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를 청소(오물 제거 및 세척)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오수받이(10)와 바스켓(20)과 입관(30) 또는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과 뚜껑(40)을 지중에 매설하되 뚜껑(40)의 덮개(42)가 지표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 즉, 오수받이(10)와 바스켓(20)과 입관(30) 또는 우수지관설치형 지관(31)과 뚜껑(40)을 차례로 지중에 매설할 때에 각 오수받이본체(11)의 설치공(15)에는 하나 이상의 오수유입관과 하나의 오수배출관을 설치하고, 우수지관설치형 입관(31)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우수지관설치구(32)에 우수지관(33)을 함께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오수받이본체(11)의 설치공(15)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오수유입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통해서 오수받이본체(11)에 직접 유입되고, 우수지관(33)을 통해서 우수가 입관(31)으로 유입된 후에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로 낙하하여 집수 된다.
상기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와 우수는 먼저 바스켓통(21)의 내부로 유입(낙하)되고, 바스켓통(21)의 상단으로 넘쳐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에 충진 된다.
특히, 바스켓통(21)의 내부로 유입(낙하)되는 오수 및 우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은 바스켓통(21)의 내부에 수집(잔류하거나 적층(충진))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 및 우수만이 바스켓통(21)의 상단으로 넘쳐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에 충진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 및 우수는 하나의 배출용 설치공(15)과 그 설치공(15)에 결합(조립)된 배출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통해서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에서 바스켓통(21)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40)의 덮개(42)를 제거한 상태에서 바스켓(20)의 손잡이(21)를 파지하고 상승시켜 뚜껑본체(41)의 외측(지상)으로 인출하며, 외부(지상)로 인출된 바스켓통(21)에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또, 상기와 같이 덮개(42)를 제거(분리)한 상태에서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는 솔과 걸레(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등을 이용하여 닦은 후에 물로 씻어 깨끗히 청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수받이본체(11)의 내부를 청소한 후에 이물질이 제거되고 깨끗하게 청소된 바스켓통(21)을 다시 안치하고, 덮개(42)를 덮어 줌으로서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완료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저수형 오수받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수 및 우수를 받아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의 결합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저수형 오수받이 10: 오수받이 11: 오수받이본체
15: 설치공 20: 바스켓 30: 입관
31: 우수지관설치형 입관 40: 뚜껑 42: 덮개

Claims (3)

  1.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오수받이본체에 오수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오수받이본체의 상측부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내부에는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바스켓을 구비한 것과;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입관을 설치하고, 입관의 상단에 뚜껑을 결합한 것과;
    상기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입관을 우수지관설치형 입관으로 형성하여 우수지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수받이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입관은;
    입관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우수지관설치구가 형성된 우수지관설치형 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수받이본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오수받이본체의 상측부에 형성하여 오수받이본체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KR1020090091088A 2009-09-25 2009-09-25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KR20110033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88A KR20110033546A (ko) 2009-09-25 2009-09-25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88A KR20110033546A (ko) 2009-09-25 2009-09-25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46A true KR20110033546A (ko) 2011-03-31

Family

ID=4393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088A KR20110033546A (ko) 2009-09-25 2009-09-25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54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584A (ko) 2015-05-25 2018-01-24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메추리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180118128A (ko) 2016-03-03 2018-10-30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대두 알레르기의 항원
KR20190013767A (ko) 2016-06-02 2019-02-11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190017755A (ko) 2016-06-16 2019-02-20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생선 알레르기의 항원
KR20200143291A (ko) 2019-06-13 2020-12-23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레르기 항원 및 그 에피토프
KR20210095986A (ko) 2020-01-27 2021-08-04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레르기 항원 및 그 에피토프
KR20220165796A (ko) 2016-03-03 2022-12-15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대두 알레르기의 항원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584A (ko) 2015-05-25 2018-01-24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메추리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210144908A (ko) 2016-03-03 2021-11-30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대두 알레르기의 항원
KR20180118128A (ko) 2016-03-03 2018-10-30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대두 알레르기의 항원
KR20220165796A (ko) 2016-03-03 2022-12-15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대두 알레르기의 항원
KR20190013767A (ko) 2016-06-02 2019-02-11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210088753A (ko) 2016-06-02 2021-07-14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220104296A (ko) 2016-06-02 2022-07-26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 알레르기의 항원
KR20190017755A (ko) 2016-06-16 2019-02-20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생선 알레르기의 항원
KR20210142010A (ko) 2016-06-16 2021-11-23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생선 알레르기의 항원
KR20220153678A (ko) 2016-06-16 2022-11-18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생선 알레르기의 항원
KR20230167444A (ko) 2016-06-16 2023-12-08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레르기의 항원 및 그 에피토프
KR20200143291A (ko) 2019-06-13 2020-12-23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레르기 항원 및 그 에피토프
KR20210095986A (ko) 2020-01-27 2021-08-04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알레르기 항원 및 그 에피토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3546A (ko)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KR101838899B1 (ko)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DK202100021U1 (da) Nedsivningssystem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JP2008248571A (ja) 雨水一時貯留槽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JP5137037B2 (ja) 雨水貯水タンク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110043123A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CN107514045A (zh) 下凹式绿地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0954145B1 (ko)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60073544A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JP2009167666A (ja) 雨水利用装置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KR200358265Y1 (ko) 침전물 제거가 용이한 배수관 구조
KR200431520Y1 (ko) 습윤재가 매입된 배수구용 맨홀박스
JP2015137508A (ja) 排水システム
KR20110022369A (ko) 오물수집형 우수받이
KR20170087840A (ko)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KR102022246B1 (ko) 우수겸용 오수받이
KR20080023711A (ko) 오물 자동 분리식 맨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