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636A -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636A
KR20110032636A KR1020090090225A KR20090090225A KR20110032636A KR 20110032636 A KR20110032636 A KR 20110032636A KR 1020090090225 A KR1020090090225 A KR 1020090090225A KR 20090090225 A KR20090090225 A KR 20090090225A KR 20110032636 A KR20110032636 A KR 2011003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ice making
unit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501B1 (ko
Inventor
김봉진
김성재
이동훈
오승환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빙공간을 갖는 트레이; 상기 제빙공간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며, 급수된 물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공간을 따라서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 얼음을 상기 트레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급수 장치, 승강부 및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열 전도부와 상기 열 전도부 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갖는 열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냉장고, 제빙기, 히터, 버블층, 절단.

Description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ICE MAKER AND A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상하지 않도록 오래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음식물 저장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제빙기능은 종래부터 냉장고가 갖는 기능 중의 하나였지만, 제빙 과정을 자동화하여 자동으로 얼음을 생성하고 이를 아이스 뱅크에 보관하는 자동 제빙기(이하, '제빙기'라 함)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템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그 제빙기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이빙하는 방식에 따라 비틀림 방식과 이젝터 방식 그리고 회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 방식은 제빙용기를 비틀어 얼음을 떨어뜨리는 방식이고, 상기 이젝터 방식은 제빙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이젝터가 제빙용기에서 얼음을 퍼올려 떨어뜨리는 방식이며, 상기 회전 방식은 제빙용기가 회전하여 얼음을 떨어뜨리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 및 이 제빙기가 구비되는 냉장고는 다음 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제빙기는 통상 수평한 제빙용기에 물을 담아 제빙을 하는 것으로 제빙용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제빙용기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빙유닛의 부피도 커서 전체적으로 냉장고의 유효공간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를 감안하여, 제빙용기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에는 한번에 제빙할 수 있는 얼음의 양이 그만큼 적어져 여름철과 같이 많은 양의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얼음을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제빙기는 통상 제빙된 얼음을 하측으로 떨어뜨려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방식이어서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제빙실은 디스펜서보다 항상 높게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냉동실이 하측에, 제빙실을 갖는 냉장실이 상측에 배치되는 3-도어 버텀 프리저 타입(3-Door 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 등에서는 상기 제빙실이 높게 배치되면 냉동실과 제빙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이로 인해 냉동실의 냉기를 제빙실로 이송시킬 때 많은 냉기손실이 발생되어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종래의 제빙기는 제빙유닛과 이빙유닛 등이 서로 독립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구성과 제어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빙기에 대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얼음을 생성한 후 커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얼음을 절단하는 형태의 제빙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제빙기에서 얼음을 연속적으로 생성되어 제빙기의 상부로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후, 헬릭스 형태의 커터에 의해 절단되어 제빙기의 측면으로 이송되고 아이스 뱅크에 포집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제빙기는 제빙기 전체의 크기를 슬림화할 수 있어 냉장고 고내의 유효 용적을 확대할 수 있고 기기의 구성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헬릭스 커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헬릭스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높은 토크를 낼 수 있어야 하므로 고용량의 모터가 필요하고,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절단과정에서 생긴 얼음 조각들이 트레이 내부 또는 아이스 뱅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도 얼음의 절단이 가능한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커터를 이용한 얼음 절단 과정에서 얼음 조작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빙공간을 갖는 트레이; 상기 제빙공간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며, 급수된 물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공간을 따라서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 얼음을 상기 트레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급수 장치, 승강부 및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열 전도부와 상기 열 전도부 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갖는 열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빙공간 내에서 얼음을 생성할 시에, 전체에 대해서 균일하게 냉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서 냉기를 상대적으로 적게 전달하여 그 부분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아지도록 한 것이 다. 즉, 제빙시에 급수된 물에 냉기를 차등적으로 전달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냉기가 제공되는 부분에는 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미네랄 등이 모여서 버블이 형성되게 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제빙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의 내부에 냉기를 불균일하게 전달하여 버블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절단시에 필요한 구동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절단된 표면의 형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 차단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서, 얼음의 둘레를 따라서 버블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보다 깨끗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열 차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제빙 공간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열 차단부 사이의 간격은 생성될 얼음 조각의 높이를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한 번에 다수의 얼음 조작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 전도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 차단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열 전도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 차단부는 ABS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 전도부의 내부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열 차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복수개의 알루미늄 합금층과 복수개의 ABS 수지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트레이를 구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 가이드; 및 상기 이송 가이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 얼음에서 상기 열 차단부와 접한 부분을 절단하는 커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 부재는 그 외주면에 칼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터 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얼음이 절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 가이드의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가이드의 일측 단부에는 이송 가이드로부터 배출된 얼음을 트레이 하측으로 유도하는 슈트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제빙실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및 제빙실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및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상술한 제빙기 중 어느 하나인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저장공간 및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및 제빙실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및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상술한 제빙기 중 어느 하나인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와 연통되는 아이스 디스펜서가 상기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공급 수단과 상기 제빙실 사이를 연통하는 덕트를 통해서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 함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빙기의 제빙부 사이에서 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열전도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이를 통해 제빙기로 냉기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트레이 내부에서 생성된 얼음에 부분적으로 강도가 약화된 취약부가 생기고 이러한 취약부를 절단함으로써 커터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줄일 수 있고, 얼음의 절단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냉장고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기가 적용된 3-도어 버텀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의 하측에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2)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 본체(1)의 상측에 식품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에는 그 냉동실(2)을 서랍방식으로 개폐하는 한 개의 냉동실 도어(4)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3)의 양측에는 그 냉장실(3)을 양쪽에서 여닫이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복수 개의 냉장실도어(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후면 하단에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와 압축기에 연결되어 냉기를 냉동실(2) 또는 냉장실(3)에 공급하는 증발기(미도시)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후면, 즉 냉동실의 후벽면에서 아우터케이스와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증발기는 냉동실의 측벽면이나 상측벽면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냉동실(2)과 냉장실(3)을 구획하는 베리어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증발기는 냉동실에 한 개만 설치되어 냉기가 냉동실(2)과 냉장실(3)에 분배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냉동실용 증발기와 냉장실용 증발기를 각각 설치하여 냉기가 냉동실(2)과 냉장실(3)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5)의 상측 내벽면에는 얼음을 만들어 보관하기 위한 제빙실(51)이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51)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51)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기(1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냉장고의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52)가 냉장고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2) 또는 냉장실(3)에서 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냉기를 발생하고, 이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2)과 냉장실(3)로 분배 공급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다른 일부는 도시되지 않은 덕트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51)로 공급된다. 상기 제빙실(51)로 공급되는 냉기는 그 제빙실(51)에 장착된 제빙기(100)가 얼음을 만들도록 열교환된 후에 상기 냉동실(2)로 회수되거나 또는 냉장실(3)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1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디스펜서(52)의 요구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 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제빙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100)는 내부에 제빙공간이 제공되는 아이스 트레이(11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110)는 냉장고의 용량 또는 제빙 용량에 따라 한 개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그 복수 개의 트레이(110)들은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주변 부품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복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110)들이 차지하는 전후방향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동일 평면상에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방향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복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트레이(110)들의 배열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1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빙부(114)와 상기 제빙부(114)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열 차단부(112)를 포함하게 된다. 이들 제빙부(114) 및 열 차단부(112)는 일렬로 배치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빙공간(116)을 형성한다.
상기 열 차단부(112)는 상기 제빙부(114)의 알루미늄 합금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갖는 ABS 수지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빙부에 비해서 열 전달률이 낮다. 그러므로, 냉기가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빙부(114)와 접하는 물이 상대적으로 빨리 얼게 되고, 상기 열 차단부(112)와 접하는 물에는 내부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나 미네랄 등이 모여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냉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열 차단부(112)와 접한 물도 얼게 되지만, 상기 버블이 존재하는 상태로 얼게 되어 얼음의 내부에 버블층이 생성된다(도 3 참조). 이렇게 생성된 버블층은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게 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버블층을 중심으로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아울러, 후술할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에도 다른 부분에 비해서 보다 적은 힘으로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차단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충분한 정도의 버블층이 생성되지 않으며, 지나치게 두꺼우면 버블이 분산되어 강도 저하의 효과가 반감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 열 차단층과 제빙부와의 두께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도의 두께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상기 제빙공간(116)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리브(118)가 상기 제빙공간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118)는 상기 트레이의 폭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며, 리브(118)의 형상에 의해 제빙되는 얼음의 형태가 결정된다. 도 2에서, 상기 제빙공간(116)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1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의 전후 방향으로 틈새를 갖도록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제빙되는 얼음들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후술할 스크류에 의해서 트레이의 양측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얼음이 승강되는 경우 동일한 높이에 존재하는 나머지 얼음 조 각들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20)는 상기 트레이의 양측 단부 부근에서 회전가능하게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12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빙공간(116)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된 물이 제빙되면, 상기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제빙되고, 스크류(120)가 회전하면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트레이의 제빙공간(116)을 따라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120)의 하부에는 회전축(122)이 스크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22)은 후술할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한편, 상기 제빙부(114)에는 도시되지 않은 히터가 설치되어 제빙된 얼음을 가열하여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감기는 열선히터일 수 있고, 그 외에도 전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판 히터(plate heater with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알루미늄 박막 필름(AL thin film) 및 그외 열 전달 가능한 물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부(11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 외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부(114)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제빙부(114)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히터는 별도의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빙부(114)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발열되면서 히터 역할을 하도록 상기 트레이를 발열 가능한 저항체로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부(114)에 접촉시키지 않고 그 제빙부(114)로부터 일정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하여 열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열원의 예 로는,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부(1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나,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히터, 광원, 또는 마그네트론과 같은 열원은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경계에 직접 열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부(114)의 경계면 일부를 녹여준다. 이에 따라, 스크류(120)가 작동되었을 때 상기 얼음은 비록 제빙부(114)와의 경계면이 모두 해빙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크류(120)에 의해 상기 제빙부(114)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빙부(114)의 저면 중앙에는 급수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19)는 저면 중앙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구(119)를 통해서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상기 제빙부(114)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110)의 상단부에는 원통형의 이송 가이드(13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내부 공간은 상기 트레이(110)에 형성된 제빙공간(116)과 연통되어 있어, 트레이(110)로부터 승강되어 이송된 얼음은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된 얼음은 나선형 커터(132)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이송 가이드(130)의 우측 단부로 이송된다. 상기 나선형 커터(132)는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나선형 커터(132)가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저면과 접하는 부분은 나선형 커터(132)의 회전에 따라서 이송 가이드(130)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버블층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나선형 커터(132)와 접하도록 상 기 스크류에 의해 얼음의 승강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스크류의 제어는 후술할 제어부(1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우측 단부는 엔드 캡(134)에 의해 폐쇄되어 이송된 얼음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좌측 단부에는 상기 나선형 커터(132)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회전판(142)이 위치한다. 상기 회전판(142)은 구동 모터가 내설된 액츄에이터(140)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나선형 커터(132)가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액추에이터(140)의 하측에는 제2 액추에이터(1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160)는 상기 스크류(12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크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122)에는 제1 베벨 기어(12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베벨 기어(124)는 하부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의 상부에는 벨트(126)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벨 기어(124)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160)에 내설된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베벨 기어(16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액츄에이터(160) 내의 구동 모터가 회전하면, 제2 베벨 기어(162) 및 제1 베벨 기어(124)를 통해 상기 스크류(120)를 회전구동하며, 타측에 위치하는 스크류(120)는 상기 벨트(126)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우측 단부 하부에는 슈트(150)가 설치된다. 상기 슈트(150)는 상기 트레이(1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송된 얼음이 배출되는 출구(152)가 슈트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슈트(150)의 상단부는 상기 이송 가이드(13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어, 상기 나선형 커터(132)에 의해 이송된 얼음은 상기 슈트(15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얼음은 상술한 디스펜서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아이스 뱅크의 내부에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출구측에 이송된 얼음을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구(119)는 급수관(170)을 통해서 급수 밸브(174)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 밸브(174)는 급수 펌프(172)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급수 펌프(172)를 생략하고 급수원과 급수 밸브(174)를 직접 연결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원은 상수도원일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 내에 별도로 설치되는 급수 탱크일 수도 있다. 상기 급수 밸브(174) 및 급수 펌프(172)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빙 공간 내에 적정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이에 수위 센서가 설치되거나 상기 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액츄에이터(140) 및 제2 액츄에이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부(114)의 내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홈(11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114a)의 내부에 띠 형태의 열 차단부(112)가 삽입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 차단부(112)는 ABS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냉기로부터의 열 전달량이 알루미늄 합금보다 작아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얼음의 내부에 버블층이 생기게 된다.
이때, 상기 열 차단부(112)는 반드시 띠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부(114') 및 열 차단부(112')가 트레이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기(100)는 반드시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의 고내에 설치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즉, 제빙실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위치하고, 상기 슈트의 출구가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뱅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빙실을 냉각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된 냉기를 덕트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간접 냉각 방식이나,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빙부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부재를 통해 제빙부를 냉각하는 직접 냉각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제빙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4)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빙공간을 갖는 트레이;
    상기 제빙공간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며, 급수된 물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공간을 따라서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 얼음을 상기 트레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급수 장치, 승강부 및 이송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열 전도부와 상기 열 전도부 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갖는 열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열 차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제빙 공간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 차단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부의 내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열 차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 가이드; 및
    상기 이송 가이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 얼음에서 상기 열 차단부와 접한 부분을 절단하는 커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부재는 그 외주면에 칼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부재는 절단된 얼음을 상기 이송 가이드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의 일측 단부에는 이송 가이드로부터 배출된 얼음을 트레이 하측으로 유도하는 슈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0.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제빙실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및 제빙실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및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내부에 저장공간 및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 및 제빙실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및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와 연통되는 아이스 디스펜서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수단과 상기 제빙실 사이를 연통하는 덕트를 통해서 냉기가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빙기의 제빙부 사이에서 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열전도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90225A 2009-09-23 2009-09-23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KR10154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25A KR101542501B1 (ko) 2009-09-23 2009-09-23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25A KR101542501B1 (ko) 2009-09-23 2009-09-23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36A true KR20110032636A (ko) 2011-03-30
KR101542501B1 KR101542501B1 (ko) 2015-08-06

Family

ID=4393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225A KR101542501B1 (ko) 2009-09-23 2009-09-23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40A2 (ko) 2016-12-07 2018-06-14 주식회사 디알텍 구동 캠의 강제 구동이 가능한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996A (en) 1975-04-02 1976-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rtical tube ice maker
US6082121A (en) 1999-04-02 2000-07-04 Group Dekko Services, Llc. Ice maker
US7281385B2 (en) 2005-06-02 2007-10-16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Ice making method for a vertical ice mak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40A2 (ko) 2016-12-07 2018-06-14 주식회사 디알텍 구동 캠의 강제 구동이 가능한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501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260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EP1517103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maker
KR101688132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20100137637A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11018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US9423166B2 (en) Refrigerator
KR20100137304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20130028324A (ko) 냉장고
EP2413071A2 (en)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 banks
KR2012008299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20012230A (ko) 아이스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US20070137240A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165902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49055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90084048A (ko) 냉장고
KR20080014553A (ko) 냉장고
KR20080020126A (ko) 냉장고
US20110167860A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KR20100081038A (ko) 냉장고
KR10228093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오거의 제조방법
KR20110032636A (ko)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KR101754705B1 (ko)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KR20090030689A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20100113205A (ko) 냉장고
KR101690126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