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55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553A
KR20080014553A KR1020060076435A KR20060076435A KR20080014553A KR 20080014553 A KR20080014553 A KR 20080014553A KR 1020060076435 A KR1020060076435 A KR 1020060076435A KR 20060076435 A KR20060076435 A KR 20060076435A KR 20080014553 A KR20080014553 A KR 2008001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pening
closing
discharge por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렬
임재훈
이종달
조명훈
임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4553A/ko
Publication of KR2008001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실의 공기가 제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이 냉장고는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얼음저장용기의 얼음배출구 쪽에 설치된 얼음분쇄장치와, 각 얼음과 분쇄얼음의 선택적인 배출을 위해 얼음배출구의 일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1개폐장치와,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얼음배출구를 완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2개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기와 얼음분쇄장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배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 분쇄얼음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배출구 갭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 각 얼음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단면도로, 냉장실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단면도로, 냉장실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배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 분쇄얼음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배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 각 얼음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냉장실,
12: 냉동실, 17: 냉동실증발기,
21: 냉장실증발기, 26: 제빙실,
30: 제빙장치, 40: 얼음저장용기,
41: 얼음배출구, 45: 배출슈트,
50: 얼음이송장치, 60: 얼음분쇄장치,
70: 제1개폐장치, 80: 제2개폐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에 마련된 제빙실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565621호에는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는 상부의 냉장실 내에 얼음의 제조를 위한 제빙실이 마련되어 있다.
제빙실은 냉장실도어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단열케이스에 의해 냉장실과 구획되어 있다. 제빙실 내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와, 얼음의 배출기능을 갖춘 얼음저장용기가 마련되어 있다. 제빙실은 하부의 냉동실 쪽으로부터 냉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냉각덕트를 통해 냉동실과 연통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는 냉장실 도어를 개방할 경우 제빙실이 열리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장실의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제빙실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빙실의 온도의 상승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럴 경우 제빙실 내부의 냉기가 냉장실로 공급되기 때문에 냉장실 온도가 필요이상 하강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실의 공기가 제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상기 얼음배출구 쪽에 설치된 얼음분쇄장치와, 각 얼음과 분쇄얼음의 선택적인 배출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의 일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1개폐장치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완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2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 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구동장치와 제1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 및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연결을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중심과 편심된 제1 및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제2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연결을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중심과 편심된 제1 및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얼음배출구로 배출되는 얼음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슈트를 갖춘 냉장실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냉장실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장실도어를 닫을 때 상기 냉장실도어와 접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냉장실도어를 열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냉장실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장실도어를 닫을 때 상기 냉장실도어와 접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냉장실도어를 열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상기 얼음배출구 쪽에 설치된 얼음분쇄장치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 하며, 상기 회전날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날과 상기 고정날 사이에 각 얼음이 끼면서 분쇄되고, 상기 회전날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얼음이 상기 회전날에 밀려 상기 얼음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 예의 냉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냉장실(11)과 하부의 냉동실(12)이 구획벽(13)에 의해 구획된 본체(10)를 구비한다.
냉장실(11)과 냉동실(12)은 전면이 개방되며, 상부의 냉장실(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냉장실도어(14)와 제2냉장실도어(15)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의 냉동실(12)은 냉동실도어(16)에 의해 개폐된다. 제1냉장실도어(14)와 제2냉장실도어(15)는 좌우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냉동실도어(1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진퇴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냉동실(12) 내부에 설치된 서랍형 저장용기(16a)의 전면에 결합된다.
물론 냉동실도어(16)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하여 개폐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냉동실(12) 내측 후방에는 냉동실(12)의 냉각을 위한 냉동실증발기(17)와 냉동실(12)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동실순환팬(18)이 설치된다. 또 냉동실(12) 후방에는 냉동실증발기(17)와 냉동실순환팬(18)이 설치된 공간과 냉동실(12)을 구획하는 내측패널(19)이 설치되고, 이 내측패널(19)에는 냉동실(12)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 기순환유로(20)가 형성된다. 냉기순환유로(20)는 냉동실순환팬(1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냉동실(12)에 분산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냉장실(11) 내측 후방에는 냉장실(11)의 냉각을 위한 냉장실증발기(21)와 냉장실(11)의 냉기 순환을 위한 냉장실순환팬(22)이 설치된다. 또 냉장실(12) 후방에는 냉장실증발기(21) 및 냉장실송풍팬(22)이 설치된 공간과 냉장실(11)을 구획하는 내측패널(23)이 설치되고, 이 내측패널(23)에는 냉장실(11)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기순환유로(24)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냉동실(12)과 냉장실(11)이 별도의 증발기들(17,21)에 의해 각각 냉각된다.
냉장실(11)의 상부의 한쪽 구석에는 단열벽(27)에 의해 냉장실(11) 내부공간과 구획된 제빙실(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빙실(26)에는 제빙실(26)이 결빙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본체(10) 하부의 냉동실(12) 냉기가 공급된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후방에는 냉동실증발기(17)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제빙실(26)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유로(27)와, 제빙실(26)을 거친 공기가 다시 냉동실증발기(17) 쪽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냉기복귀유로(28, 도 2참조)가 형성된다. 또 냉기공급유로(27)의 하부에는 냉동실증발기(17) 상측의 냉기를 냉기공급유로(27)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29)이 설치된다.
제빙실(26) 내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제빙장치(30), 제빙장치(30)에서 제조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저장용기(40), 얼음의 배출을 위한 얼음이송장치(50), 얼음의 분쇄를 위한 얼음분쇄장치(60)가 설치된다.
제빙장치(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실(26)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빙장치(30)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트레이(31)와, 제빙트레이(31)의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32), 스크레이퍼(3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얼음저장용기(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장치(30)의 하부에 설치된다. 얼음저장용기(40)는 제빙장치(30)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며, 전방하부에 얼음의 배출을 위한 얼음배출구(41)를 구비한다. 얼음저장용기(40)는 제빙실(26)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제빙실(26)에 서랍형으로 장착된다. 얼음저장용기(40)의 전방에는 제빙실(26)의 전방을 폐쇄하는 커버(42)가 설치된다.
얼음이송장치(50)는 얼음저장용기(40) 내부의 얼음을 얼음배출구(41) 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얼음저장용기(4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나선이송부재(51)와, 나선이송부재(51)를 회전시키기 위해 얼음저장용기(40)의 후방에 고정된 이송모터(52)를 포함한다. 나선이송부재(51)는 얼음저장용기(40)를 제빙실(26)로부터 분리할 때 이송모터(52)의 축으로부터 분리되고, 얼음저장용기(40)를 제빙실(26)에 장착할 때 이송모터(52)의 축과 결합된다.
얼음분쇄장치(60)는 얼음저장용기(40)의 얼음배출구(41) 쪽에 설치된다. 얼음분쇄장치(6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41) 쪽에 고정된 고정날(61)과, 고정날(6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회전날(62)을 포함한다. 회전날(62)은 얼음이송장치(50)의 나선이송부재(51)로부터 연장된 축(53)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송모터(52)의 동작에 의해 나선이송부재(51)가 회전 하면 얼음분쇄장치(60)의 회전날(62)도 회전한다.
얼음분쇄장치(60)는 얼음배출구(41)의 일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얼음배출구(41)로 각 얼음(Cubed Ice)이 배출되거나 분쇄얼음(Crashed Ice)배출되도록 하는 제1개폐장치(70)를 포함한다. 제1개폐장치(70)는 얼음배출구(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개폐부재(71)와, 제1개폐부재(71)의 개폐동작을 위해 얼음저장용기(40) 후방의 이송모터(42) 측방에 설치된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72), 그리고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72)와 제1개폐부재(7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73)를 구비한다.
제1연결부재(7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저장용기(40)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며, 얼음저장용기(40)의 측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제1연결부재(73)의 양단에는 회전중심과 편심되도록 절곡된 제1편심부(73a)와 제2편심부(73b)가 각각 마련되며, 제1편심부(73a)가 제1개폐부재(71)에 결합되고 제2편심부(73b)가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72)와 결합된다. 또 제1개폐부재(7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핀(74)에는 제1개폐부재(7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개폐부재(7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1개폐부재(7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75)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개폐장치(70)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72)가 승강 동작하면 제1연결부재(73)가 회전하고, 제1연결부재(73)의 회전이 제1편심부(73a)를 통해 제1개폐부재(71)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72)의 동작에 의해 제1개폐부재(71)가 회전하면서 얼음배출구(41)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분쇄장치(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71)에 의해 얼음배출구(41) 일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할 경우 배출되는 각 얼음이 회전날(62)과 고정날(61) 사이에 끼면서 분쇄되므로, 얼음배출구(41)로 분쇄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71)가 얼음배출구(41)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동작할 경우에는 배출되는 각 얼음이 회전날(62)과 고정날(61) 사이에 끼지 않으므로 얼음배출구(41)로 분쇄되지 않은 각 얼음을 곧바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냉장실도어(14)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저장용기(40)의 얼음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을 제1냉장실도어(14)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슈트(45)가 형성되고, 제1냉장실도어(14) 전면에는 배출슈트(45)를 통하여 배출되는 얼음의 받기 위한 얼음수납공간(46)이 마련된다. 배출슈트(45)는 제1냉장실도어(1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7) 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출슈트(45)는 제1냉장실도어(14)를 닫을 때 그 입구가 얼음저장용기(40)의 얼음배출구(41)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또 얼음저장용기(40)의 얼음배출구(41)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41)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냉장실(11)의 공기가 얼음배출구(41)를 통하여 제빙실(26)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2개폐장치(80)가 마련된다. 제2개폐장치(80)는 얼음배출구(41)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제2개폐부재(81), 제2개폐부재(81)의 개폐동작을 위해 얼음저장용기(40) 후방의 이송모터(52) 측방에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82),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 구 동장치(82)와 제2개폐부재(81)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83)를 구비한다.
제2연결부재(8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저장용기(40)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며, 얼음저장용기(40)의 측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제2연결부재(83)의 양단에는 회전중심과 편심되도록 절곡된 제1편심부(83a)와 제2편심부(83b)가 각각 마련되며, 제1편심부(83a)가 제2개폐부재(81)에 결합되고 제2편심부(83b)가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82)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개폐장치(80)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82)가 승강 동작하면 제2연결부재(83)가 회전하고, 제2연결부재(83)의 회전이 제1편심부(83a)를 통해 제2개폐부재(81)에 전달되므로, 제2개폐부재(81)가 횡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얼음배출구(4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개폐장치(80)는 얼음저장용기(40)로부터 얼음이 배출될 때 얼음배출구(41)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얼음저장용기(40)로부터 얼음이 배출되지 않을 때 얼음배출구(41)를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장실(11)의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제빙실(26)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빙실(26)의 온도상승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빙실(26) 내부의 냉기가 얼음배출구(41)를 통하여 냉장실(11)로 공급됨으로 인해 냉장실(11) 온도가 필요이상 하강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 예는 제2개폐장치(180)가 제1냉장실도어(14)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얼음배출구(41)를 개폐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제2개폐장치(1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181)와, 개폐부재(181)가 얼음배출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개폐부재(181)를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182)을 포함한다. 개폐부재(181)는 제1냉장실도어(14)를 닫을 때 제1냉장실도어(14)의 돌출부(47, 배출슈트(45)가 형성된 부분)와 접촉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자유단이 돌출부(47)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 개폐부재(181)의 자유단에는 원활한 개폐를 위해 돌출부(47)와 접하는 곡면안내부(183)가 마련된다. 그 밖의 냉장고 구성들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2개폐장치(1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냉장실도어(14)를 열 때 제1냉장실도어(14) 내면의 돌출부(47)가 개폐부재(181)로부터 이격되므로, 개폐부재(181)가 토션스프링(182)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여 얼음토출구(41)를 폐쇄한다. 따라서 냉장실(11) 내부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얼음토출구(41)를 통하여 제빙실(26)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냉장실도어(14)를 닫을 때는 돌출부(47)가 개폐부재(181)를 밀어서 개방하므로 개폐부재(181)가 얼음토출구(41)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1냉장실도어(14)가 완전히 닫힐 때는 얼음배출구(41)가 배출슈트(45)의 입구와 접한다. 따라서 이때는 냉장실(11)의 공기가 얼음토출구(41)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 배출슈트(45)의 출구는 얼음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별도의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제빙실(26)로 유입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 예는 얼음을 분쇄하는 얼음분쇄장치(260)와, 얼음배출구(4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280)가 제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얼음분쇄장치(260)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41) 쪽에 고정된 고정날(261)과, 고정날(26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262), 그리고 회전날(262)을 제1방향(반시계방향)과 제2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63)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 예의 얼음분쇄장치(260)는 회전날(262)을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263)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얼음분쇄장치(26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날(262)이 제1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배출되는 각 얼음이 회전날(262)과 고정날(261) 사이에 끼면서 분쇄되고, 분쇄된 얼음은 얼음배출구(41)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날(262)이 제2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각 얼음이 회전날(262,침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밀리면서 얼음배출구(41)로 곧바로 배출된다. 즉 이때는 각 얼음이 회전날(262)과 고정날(261)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되므로 얼음이 분쇄되지 않고 배출된다.
개폐장치(280)는 얼음배출구(41)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하며 얼음분쇄장치(260) 측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281)와, 개폐부재(281)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미도시)와, 개폐부재(281)와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8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폐장치(280)는 상술한 제1실 시 예에서 제1개폐장치(70)와 유사한 형태이다. 다만 제3실시 예의 개폐장치(280)는 개폐부재(281)가 얼음배출구(41)를 완전히 폐쇄하는 점에서 제1실시 예의 제1개폐장치(70)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280)는 얼음배출구(41)를 통하여 얼음이 배출되지 않을 때 얼음배출구(41)를 폐쇄함으로써 냉장실(11)의 공기가 얼음배출구(41)를 통하여 제빙실(2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 예에서 개폐장치(280)는 개폐부재(281)가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얼음배출구(41)를 완전히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한 것이나, 이러한 개폐장치(280) 대신 제1실시 예의 제2개폐장치(80)처럼 개폐부재가 횡으로 진퇴하는 형태를 채용하거나, 제2실시 예처럼 개폐부재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얼음배출구를 개폐장치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장실의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제빙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실의 온도의 상승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빙실 내부의 냉기가 얼음배출구를 통하여 냉장실로 공급됨으로 인하여 냉장실 온도가 필요이상 하강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개폐장치 뿐 아니라, 얼음배출구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분쇄얼음과 각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상기 얼음배출구 쪽에 설치된 얼음분쇄장치와, 각 얼음과 분쇄얼음의 선택적인 배출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의 일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1개폐장치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완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제2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구동장치와 제1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 및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연결을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중심과 편심된 제1 및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제2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연결을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중심과 편심된 제1 및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얼음배출구로 배출되는 얼음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슈트를 갖춘 냉장실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냉장실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장실도어를 닫을 때 상기 냉장실도어와 접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냉장실도어를 열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냉장실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장실도어를 닫을 때 상기 냉장실도어와 접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냉장실도어를 열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이 상호 구획된 본체와, 상기 냉장실 내에 마 련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에 설치된 제빙장치와, 얼음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빙실에 설치되며 얼음배출구를 갖춘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상기 얼음배출구 쪽에 설치된 얼음분쇄장치와, 상기 얼음배출구를 통한 공기유통차단을 위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날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날과 상기 고정날 사이에 각 얼음이 끼면서 분쇄되고, 상기 회전날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얼음이 상기 회전날에 밀려 상기 얼음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장치와 연결을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중심과 편심된 제1 및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얼음배출구로 배출되는 얼음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슈트를 갖춘 냉장실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냉장실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얼음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장실도어를 닫을 때 상기 냉장실도어와 접하여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냉장실도어를 열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얼음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076435A 2006-08-11 2006-08-11 냉장고 KR20080014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35A KR20080014553A (ko) 2006-08-11 2006-08-1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35A KR20080014553A (ko) 2006-08-11 2006-08-1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553A true KR20080014553A (ko) 2008-02-14

Family

ID=3934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435A KR20080014553A (ko) 2006-08-11 2006-08-1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455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020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1136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441924B1 (ko) * 2008-06-23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51912A (ko) * 2015-11-03 2017-05-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87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89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752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755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8662A (ko) * 2016-06-08 2017-12-18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24B1 (ko) * 2008-06-23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0020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1136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51912A (ko) * 2015-11-03 2017-05-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87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89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752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6755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70138662A (ko) * 2016-06-08 2017-12-18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553A (ko) 냉장고
US8789388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KR101775403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613108B1 (en) Refrigerator
US8408023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KR100820816B1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607287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토출 유로구조
EP2520878B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10148627A1 (en) Refrigerator
US20080034780A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034779A1 (en) Refrigerator
KR100793786B1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050028657A (ko) 냉장고
KR20050077844A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KR20070076751A (ko) 냉장고
KR102492165B1 (ko) 냉장고
KR2008001459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797155B1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10060728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EP4004460B1 (en) Refrigerator
KR20050028656A (ko) 냉장고
KR101639441B1 (ko) 냉장고
KR2010011320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