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534A -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534A
KR20110031534A KR1020090088833A KR20090088833A KR20110031534A KR 20110031534 A KR20110031534 A KR 20110031534A KR 1020090088833 A KR1020090088833 A KR 1020090088833A KR 20090088833 A KR20090088833 A KR 20090088833A KR 20110031534 A KR20110031534 A KR 2011003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vehicle
senso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104B1 (ko
Inventor
임경영
Original Assignee
임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영 filed Critical 임경영
Priority to KR102009008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01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에서 주유 시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주유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표시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주유되는 연료의 품질상태와 실제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건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유구로 삽입되는 주유건을 감지하는 제1 센서(111)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자동 리셋(Reset)되어 주유 직전에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112) 및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어 종료되면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지하는 제3 센서(113)와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에서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일정시간(수십 초) 동안 주유되는 연료에 근적외선(NIR)을 투과시켜 반사 스펙트럼에 의한 특정의 파장을 검출하는 제4 센서(114)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110)와;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4 센서(11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통계처리 하는 연산처리부(120)와;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기 위한 각종 통계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132) 및;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통계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도록 표시하는 디지털표시장치(140)와; 상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 서(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통계처리하고 통계처리 된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통계데이터를 제2 메모리(132)에 저장 및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하되,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량과 차량에 실제 주유된 연료량에 오차가 발생하면 주유건잠금장치(200)로 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감지센서, 연산처리부, 메모리, 디지털표시장치, 제어부, 주유건잠금장치, 사용자 키입력부,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System for Lubrication Quantity Information with Device Lock Lubrication Gun}
본 발명은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유소에서 주유 시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주유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표시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건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류파동으로 인하여 유류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체연료의 일종인 유사연료(가짜기름)를 차량에 주유하거나 주유기기 또는 주유건의 조작으로 주유량을 속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가짜 휘발유를 넣어 운행을 한 차량은 인체에 해로운 발암물질의 하나인 벤조피렌을 생성시키기도 하고 맹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톨루엔을 방출한다. 따라서 가짜 휘발유는 하루 빨리 단속이 되어야 했지만 가격이 싸다는 이유만으로 시중에 다수 유통이 되기 시작했고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부각되었다. 가짜 휘발유의 진단 과정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제조 과정부터 살펴봐야 한다. 가짜 휘발유는 정유사에서 제조된 정상적인 휘발유에 솔벤트, 알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화학원료를 혼합하거나 경유나 등유 등을 첨가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짜 휘발유를 제조하는 목적은 정상적인 휘발유의 소매가에 포함되어 있는 70% 이상의 세금을 포탈하기 위함인데 그동안 가짜 휘발유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은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짜 휘발유는 일단 육안이나 냄새로는 구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것, 차량의 성능 변화에 따라 가짜 휘발유를 판별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각 차량마다 증상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판별하기가 쉽지 않고 또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가짜 휘발유를 넣었을 경우라면 판별의 의지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가짜 휘발유의 공통적인 증상으로는 연비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엔진에서 금속성의 날카로운 소리가 날 때도 있지만 가짜 휘발유가 아닌 다른 이유에 의해서도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판별을 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18697호(2007. 05. 16) 및 10-0763592호(2007. 10. 09)에 의하면 공지된 근적외선(NIR) 및 UV분광장치를 이용한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도 1의 (가),(나)참조).
그러나 이 기술은 차량에 탑재되는 별도의 분석장치(10), 연료챔버(20), 시료채취통(25), 다수개의 연료펌프(21, 23, 32, 34) 등과 같은 복잡한 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한국석유품질관리원과 같은 단속기관에서의 가짜 휘발유를 단속을 위해서는 필요한 장비이지만, 일반 자가용 운전자에게는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비경제적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66867(2006. 03. 31)에는 연료탱크에 실질적으로 주유되는 주유량 산출,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차량내부에 설치된 표시부(16)를 통하여 주유량과 재고량만 확인이 가능할 뿐 차량 운전자가 직접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량을 통해 오차발생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 기술에는 경고부(17)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오차 발생 시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가 아니라, 단지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일정레벨 이하로 떨어졌음을 알리는 경고수단에 불과하며, 주유소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유소 직원이 주유구로부터 주유건을 제거하더라도 오차 발생을 전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디지털표시장치 및 주유건잠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주유 시 연료품질 검사는 물론 주유량을 속이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를 안내받을 수 있는 등의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주유량관련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차량에 주유되는 연료의 품질상태와 실제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유구로 삽입되는 주유건을 감지하는 제1 센서(111)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자동 리셋(Reset)되어 주유 직전에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112) 및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어 종료되면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지하는 제3 센서(113)와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에서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일정시간(수십 초) 동안 주유되는 연료에 근적외선(NIR)을 투과시켜 반사 스펙트럼에 의한 특정의 파장을 검출하는 제4 센서(114)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110)와;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4 센서(11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통계처리 하는 연산처리부(120)와;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기 위한 각종 통계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132) 및;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통계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도록 표시하는 디지털표시장치(140)와; 상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통계처리하고 통계처리 된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통계데이터를 제2 메모리(132)에 저장 및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하되,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량과 차량에 실제 주유된 연료량에 오차가 발생하면 주유건잠금장치(200)로 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는, 차량내 운전석 일측면에 장착되되,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산한 오차량, 주유금액, 상기 연료량 오차 발생여부에 따라 부정행위를 표시하는 LED표시등, 상기 총연료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차량주행습관, 엔진오일교환시기, 월별주유현황,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등,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 주유일자/주유소명을 표시하는 메뉴표시부(141)와 입력, 취소, 저장, 출력을 위한 사용자 키패드(142) 및 상기 오차량 발생여부에 따라 알람기능을 갖는 스피커(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는, 차량 주유구의 주유건이 삽입되는 소정 부위에 락(Lock)시키는 형식으로 하되, 주유구 공간에는 스피커(202)를 장착하여 주유직원에게 잠금장치가 체결된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등은, 정상인 경우 녹색(G), 유사연료인 경우 황색(Y), 불량인 경우 적색(R)을 점등시키되,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판별방법은 상기 제4 센서(114)로부터 감지된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을 상기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연료의 화학성분인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표시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는, 주유 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의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근거로 하되, 해당 주유소추천소재지를 찾기 위해서는 GPS(400)와 연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는, 차량의 계기판 또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산한 오차량 표시부와 사용자 키입력부(300)는, 차량의 계기판 하단 또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디지털표시장치 및 주유건잠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1)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 시 근적외선분광분석법(NIRS)을 이용하여 정상연료, 유사연료, 가짜연료의 주유여부를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2)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량감지센서로부터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기표시량과 차량에 실질적으로 주입된 주유연료량의 오차발생 여부를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3) 주유연료량 오차발생시 주유건잠금장치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주유소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할 수 있다.
(4) 디지털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매월 주유소별 주유현황 통계정보로부터 차량에 설치된 GPS와 연계하여 고품질의 연료를 공급하는 우수주유소를 안내받을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가)(나)는 종래기술에 대한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대한 연료탱크에 실질적으로 주유되는 주유량 산출 및 표시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표시장치에 대한 메뉴표시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차량계기판 하단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핸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차량내부와 주유건잠금장치를 차량 주유구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주유구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주유건잠금장치 및 음성안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은, 주유 시 차량에 주유되는 연료의 품질상태와 실제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확인하여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핵심 기술적 해결수단은 복수개의 감지센서(110), 연산처리부(120), 디지털표시장치(140), 제1/제2 메모리(131, 132), 제어부(150), 주유건잠금장치(200), 사용자 키입력부(300) 및 네비게이션(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110)는, 주유건감지센서인 제1 센서(111), 보유연료감지센서인 제2 센서(112), 주유량감지센서인 제3 센서(113) 및 근적외선투과센서인 제4 센서(114)를 구비하며, 이들 제1 센서 내지 제4 센서는 연료탱크 내부 또는 주유구 내부 일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 센서(111)는 차량의 주유구로 삽입되는 주유건(201)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에 표시되는 정보를 초기화시킬 준비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111)는 주유구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주유건잠금장치(200)에 설치하되, 주유구로부터 주유건(201)의 삽입 및 제거 시 주유구내의 빛의 양(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에 대한 변화량을 감지하거나 주유건의 금속 물체 자체를 감지 및 주유구에 삽입된 주유건을 주유원이 무리한 힘을 가하여 빼내려고 할 경우 그 충격량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는 공 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센서(112)는 상기 제1 센서(111)가 감지되면 자동 리셋(Reset)되어 주유 직전에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112)는 차량의 연료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이는 기존의 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유구 내부 일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113)는 상기 제1 센서(111) 감지 후 주유건(201)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여 종료가 이루어지면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지한다.
상기 제1 센서(111) 감지 후 주유건에서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일정시간(수십 초) 동안 주유되는 연료에 근적외선(NIR)을 투과시켜 반사 스펙트럼에 의한 특정의 파장을 검출한다.
여기서 근적외선(Near-Infra-Red)이란 자외선-가시광선과 적외선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파장대역이며 일반적으로 적외선에 가깝게 있다하여 근적외선이라 한다. 파장대역으로서는 700nm에서 2500nm이며 적외선보다 흡광에너지가 많게는 1,000배에서 10배정도 작기 때문에 시료를 전처리 없이 있는 그대로 측정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4 센서(114)는 특정의 주유소에서 공급되는 연료에 대한 품질정도를 손쉽게 판별하기 위한 (근적외선반사스펙트럼센서로서,) 근적외선분광분석법(Near Infrared Spectroscopy : NIRS)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NIRS 원리는 측정대상물에 외부 광 에너지를 가해 대상물을 통해 나온 변형된 광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물의 물리적, 화학적 정량, 정성분석을 할 수 있으며, 이의 특징으로는 시약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시료의 정량, 혼합, 가열, 추출 등의 과정이 필요 없어 주유구에 주유되는 연료자체만으로도 신속하게 동시에 화학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조작과정이 없으므로 기존 분석법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근적외선을 연료에 비추면 연료의 표면과 내부의 분자들은 다양한 분자 운동을 일으킨다. 각 분자들이 선호하는 파장의 빛을 흡수해 다양한 분자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그 성분의 분자량에 따라 분자운동의 세기가 달라진다. 따라서 근적외선 영역의 각 파장에 대한 빛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은 후, 이를 분석해 연료에 들어있는 화학성분, 즉 가짜 휘발유를 만드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용제(일명 시너)와 톨루엔, 알코올 등 화학물질의 종류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의 방법으로는 관능기 (functional group)의 흡광도 특성 고찰(고전적인 IR방법)과, 알고 있는 시료의 스펙트럼으로 미지의 시료를 대조하거나, 검사 및 화학적 또는 수학적인 분리법 등의 확인방법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정상적인 연료, 즉 기지의 시료에 대한 스펙트럼을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제1 메모리(131)에 저장하고 이를 연산처리부(120)에서 주유 시 주유되는 연료, 즉 미지의 시료 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주유와 동시에 연료의 품질상태를 정확히 정성분석을 할 수 있다. 이의 용도에 알맞은 소프트웨어로는 아이큐 자승법(IQ2, Identify, Qualify, Quantify)이 있다.
상기 연산처리부(120)는,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4 센서(11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통계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과 정상적인 연료와 유사연료 혹은 가짜연료에 대한 화학성분에 대한 특정의 파장인 기준값, 즉 스펙트럼을 저장한다.
또한, 여기서 통계 처리된 데이터는, 사용자 키패드(132) 또는 사용자 키입력부(300)를 통해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제2 메모리(132)에 저장되어 필요시 언제든지 확인하고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제2 메모리(131, 132)는, 본 발명의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과 연료성분에 대한 스펙트럼을 저장하는 상기 제1 메모리(131)는 롬(ROM)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통계 처리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상기 제2 메모리(132)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는, 상기 연산처리부(120)를 통해 입력된 각종 통계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는 차량내 운전석 일측면에 장착되되, 차량 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산한 오차량, 주유금액, 상기 연료량 오차 발생여부에 따라 부정행위를 표시하는 LED표시등, 상기 총연료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차량주행습관, 엔진오일교환시기, 월별주유현황,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등,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 주유일자/주유소명을 표시하는 메뉴표시부(141)와 입력, 취소, 저장, 출력을 위한 사용자 키패드(142) 및 상기 오차량 발생여부에 따라 알람기능을 갖는 스피커(14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등은, 정상인 경우 녹색(G), 유사연료인 경우 황색(Y), 불량인 경우 적색(R)을 점등시키되,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판별방법은 상기 제4 센서(114)로부터 감지된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을 상기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연료의 화학성분인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표시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는, 주유 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의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근거로 하되, 해당 주유소추천소재지를 찾기 위해서는 GPS(400)와 연동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통계처리하고 통계처리 된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통계데이터를 제2 메모리(132)에 저장 및 리셋하도록 제어하되,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량과 차량에 실제 주유된 연료량에 오차가 발생하면 주유건잠금장치(200)로 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표시장치리모콘(500)은 상기 사용자키입력부(300)가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의 사용자 키패드(142)와 유사한 기능을 갖되, 차량 계기판 하단 혹은 핸들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리모콘 형식으로 간편하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입력하고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차량 계기판 하단 혹은 핸들에 설치되는 기능은 동일하되, 핸들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공간활용상 수치표시부(501)와 키패드(502)로 나누어 설치하며 LED경고등(503)과 스피커(504)는 상기 수치표시부(501)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필요한 데이터는 주유 시 주유일자, 주유미터기에 표시 된 주유량, 주유금액, 주유소전화번호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계기판 하단 또는 차량의 핸들에는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501a),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501b), 실제 주유된 실제주유량(501c),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실제주유량을 감산한 오차량(501d) 표시한 수치표시부(501)와 키패드(502) 및 LED경고등(503)과 스피커(504)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ED경고등(503)은 상기 주유기표시량에 표시된 수치와 상기 실 제주유량에 표시된 수치를 감산하였을때 값이 0인 경우는 오차가 없을 경우로서, 녹색불을 띄며, 감산한 값이 0이 아닌 경우는 오차가 있을 경우로서 적색불을 띄고 상기 스피커(504)에서 경고메세지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는, 주유 시 주유량을 속일 경우 주유건(201)을 락(Lock)시키는 수단으로, 차량 주유구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주유구 공간 일측에는 음성안내용 스피커(202)를 더 장착하여 주유직원에게 주유건잠금장치(200)가 체결된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주유직원이 무리한 힘을 가하여 주유건(201)을 제거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가 락(Lock)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의 메뉴표시부(141)에는 주유에 따른 연료오차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차량계기판 하단 혹은 핸들에는 오차발생을 나타내는 적색램프가 깜박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가 락(Lock)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잠금해제 버튼(button)을 눌러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주유량 오차 발생에 대한 증거물 확보 및 주유상황을 유지하여 주유소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400)은, 인공위성을 통해 차량운전에게 교통지리정보를 제공하는 GPS 수단으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의 메뉴표시부에 표시되는 주유소별 연료품질에 따른 우수주유소추천정보를 통해, 해당 주유 소의 소재지를 찾기 위해서는 GPS(400)와 연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추천주유소의 정보는 주유 시 운전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의 메뉴표시부(141)에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디지털표시장치 및 주유건잠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주유 시 연료품질 검사는 물론 주유량을 속이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를 안내받을 수 있는 등의 운전자가 차량내부에서 주유량 관련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가)(나)는 종래기술에 대한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대한 연료탱크에 실질적으로 주유되는 주유량 산출 및 표시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표시장치에 대한 메뉴표시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표시장치 리모콘을 차량계기판 하단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표시장치 리모콘을 차량계기판 하단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을 차량내부와 주유건잠금장치를 차량 주유구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주유구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주유건잠금 장치 및 음성안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감지센서 111 제1센서
112 제2센서 113 제3센서
114 제4센서 120 연산처리부
131 제1메모리 132 제2메모리
140 디지털표시장치 141 메뉴표시부
142 사용자키패드 143 스피커
150 제어부 200 주유구
201 주유건 202 음성안내용 스피커
300 사용자 키 입력부 400 네비게이션(GPS)
500 디지털표시장치 리모콘 501 수치표시부
502 키패드 503 LED경고등
504 경고안내용스피커

Claims (7)

  1. 차량에 주유되는 연료의 품질상태와 실제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유구로 삽입되는 주유건을 감지하는 제1 센서(111)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자동 리셋(Reset)되어 주유 직전에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112) 및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어 종료되면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지하는 제3 센서(113)와 상기 제1 센서 감지 후 주유건에서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일정시간(수십 초) 동안 주유되는 연료에 근적외선(NIR)을 투과시켜 반사 스펙트럼에 의한 특정의 파장을 검출하는 제4 센서(114)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110)와;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4 센서(11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통계처리 하는 연산처리부(120)와;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기 위한 각종 통계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132) 및;
    상기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통계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하도록 표시하는 디지털표시장치(140)와;
    상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통계처리하고 통계처리 된 데이터를 상기 디지 털표시장치(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통계데이터를 제2 메모리(132)에 저장 및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하되, 주유미터기에 표시된 주유량과 차량에 실제 주유된 연료량에 오차가 발생하면 주유건잠금장치(200)로 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는, 차량내 운전석 일측면에 장착되되,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산한 오차량, 주유금액, 상기 연료량 오차 발생여부에 따라 부정행위를 표시하는 LED표시등, 상기 총연료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차량주행습관, 엔진오일교환시기, 월별주유현황,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등,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 주유일자/주유소명을 표시하는 메뉴표시부(141)와 입력, 취소, 저장, 출력을 위한 사용자 키패드(142) 및 상기 오차량 발생여부에 따라 알람기능을 갖는 스피커(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잠금장치(200)는, 차량 주유구의 주유건이 삽입되는 소정 부위에 락(Lock)시키는 형식으로 하되, 주유구 공간에는 음성안내용 스피커(202)를 장착하여 주유직원에게 잠금장치가 체결된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소별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등은, 정상인 경우 녹색(G), 유사연료인 경우 황색(Y), 불량인 경우 적색(R)을 점등시키되, 연료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판별방법은 상기 제4 센서(114)로부터 감지된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을 상기 제1 메모리(131)에 저장된 연료의 화학성분인 특정의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표시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품질에 따른 주유소추천정보는, 주유 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의한 상기 디지털표시장치(140)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근거로 하되, 해당 주유소추천소재지를 찾기 위해서는 GPS(400)와 연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키패드(142) 및 사용자 키입력부(300)는, 차량의 계기판 또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기 보유된 연료재고량, 주유 시 주유기표시량,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 상기 연료재고량과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합산한 총연료량, 상기 주유기표시량에서 실제 주유된 주유연료량을 감산한 오차량 표시부와 사용자 키입력부는, 차량의 계기판 하단 또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090088833A 2009-09-21 2009-09-21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KR10111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833A KR101118104B1 (ko) 2009-09-21 2009-09-21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833A KR101118104B1 (ko) 2009-09-21 2009-09-21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534A true KR20110031534A (ko) 2011-03-29
KR101118104B1 KR101118104B1 (ko) 2012-03-09

Family

ID=4393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833A KR101118104B1 (ko) 2009-09-21 2009-09-21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1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20A1 (ko) * 2012-07-19 2014-01-23 Cho Juhyun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504981B1 (ko) * 2012-07-25 2015-03-24 주식회사 카스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KR101655212B1 (ko) * 2015-03-16 2016-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97B1 (ko) * 2016-04-01 2016-09-05 박재웅 자동차의 주유조작 검출시스템
WO2017175895A1 (ko) * 2016-04-06 2017-10-12 주식회사 더원 주유량 안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03Y1 (ko) 2003-02-18 2003-05-23 배진호 주유량 모니터링 장치
KR100566867B1 (ko) * 2004-04-13 2006-03-31 조두형 연료탱크에 실질적으로 주유되는 주유량 산출 및 표시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18697B1 (ko) * 2005-07-14 2007-05-16 한국석유품질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20A1 (ko) * 2012-07-19 2014-01-23 Cho Juhyun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504981B1 (ko) * 2012-07-25 2015-03-24 주식회사 카스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KR101655212B1 (ko) * 2015-03-16 2016-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104B1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173B2 (ja) 車両搭載型燃料検査装置
KR101118104B1 (ko)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US8148692B2 (en) Method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components of the drive train of a vehicle following the deterioration of the fuel
JP4394172B2 (ja) 液体をマーカ付けする及び識別する方法及び装置
US6929018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metering system in a service station environment
US9291609B2 (en) Sensor system for fuel transport vehicle
CA28824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cidic corrosion in fuel delivery systems
JP5169190B2 (ja) 軽油識別方法及び軽油モニタ
JP5555870B1 (ja) 不正燃料の判別方法及び判別装置
KR100763592B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20130049438A (ko) 주유구 정품 정량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1653997B1 (ko) 자동차의 주유조작 검출시스템
KR101376064B1 (ko)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EP3103667A1 (en) Vehicle fuel system
KR101891995B1 (ko)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18697B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CN105051498B (zh) 基于路线的物质分析系统和方法
KR101856242B1 (ko) 차량의 유사 연료 검출 장치
JP4418845B1 (ja) 不正燃料の判別方法及び装置
KR101762406B1 (ko) 차량의 유종 선별을 이용한 혼유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3351A (ko) 성분분석기를 탑재한 주유장치
KR200427718Y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DE19943733C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optoelektronischen Identifikation strömender Flüssigkeiten
WO2020170006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examining petroleum liquids
KR200398775Y1 (ko)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창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