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12B1 -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12B1
KR101655212B1 KR1020150035981A KR20150035981A KR101655212B1 KR 101655212 B1 KR101655212 B1 KR 101655212B1 KR 1020150035981 A KR1020150035981 A KR 1020150035981A KR 20150035981 A KR20150035981 A KR 20150035981A KR 101655212 B1 KR101655212 B1 KR 10165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gas station
vehicle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수
박승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주유량 감시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서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명령은, 모바일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유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결제금액 추출명령,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차량의 위치정보와 유종을 수집하며 주유소명, 위치정보, 그리고 유종에 기초하여 서버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연료량 측정명령, 결제금액과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산출명령, 그리고 실제 주유량이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정량 판단명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FUEL VOLUME}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최근 가짜 석유 섞기, 주유 계량기 조작, 또는 석유 끓여 주유하기 등의 주유 정량 사기범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 단속을 강화하고 있으나 주유 관련 범죄가 점점 지능화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모든 주유소를 대상으로 정품 여부 및 정량 미달을 모두 단속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차량 운전자는 주유 후 연비가 떨어지거나 주유 후 소음 및 매연이 심해지는 경우에 정품 여부 또는 정량 미달을 의심하고 있으나, 실제로 주유량 또는 휘발유(또는 경유)의 품질을 측정하여 정품 여부 또는 정량 미달을 증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 운전자에게 실제 주유량 정보와 주유 정량을 준수하지 않는 주유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서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명령은, 모바일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유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결제금액 추출명령,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차량의 위치정보와 유종을 수집하며 주유소명, 위치정보, 그리고 유종에 기초하여 서버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연료량 측정명령, 결제금액과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산출명령, 그리고 실제 주유량이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정량 판단명령을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주유소정보 추출명령은, 주유소명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주유소 지점명과 유종에 기초하여 서버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연료량 측정명령은,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고,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며,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단말장치 및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 그리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명령은, 모바일장치로부터 주유 결제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결제정보 수집명령, 차량단말장치로부터 차량의 연료의 양과 유종을 수집하는 연료량 수집명령,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결제금액 추출명령, 결제메시지, 위치정보, 그리고 유종에 기초하여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결제금액과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고, 연료의 양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산출명령, 실제 주유량이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정량 판단명령을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서버를 제안한다.
여기서, 주유소정보 추출명령은,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주유소명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주유소 지점명과 유종에 기초하여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정량 판단명령은 주유량이 정량 미만인 주유소 정보를 저장하여 모바일장치 또는 차량단말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단말장치는,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고,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여 주유량 감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유량 산출명령은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서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장치의 주유량 감시방법에 있어서, 모바일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유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단계,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차량의 위치정보와 유종을 수집하며, 주유소명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주유소 지점명과 유종에 기초하여 서버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결제금액과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실제 주유량이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실제 주유량 산출단계는,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는 단계,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단말장치 및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서버의 주유량 감시방법에 있어서, 모바일장치로부터 주유 결제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차량단말장치로부터 차량의 연료의 양과 유종을 수집하는 단계,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단계,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주유소명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주유소 지점명과 유종에 기초하여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단계, 결제금액과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고 연료의 양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주유량이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판단 단계는 정량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유량이 정량 미만인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차량단말장치 또는 모바일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에게 실제 주유량 정보와 주유 정량을 준수하지 않는 주유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유량 감시장치의 주유량 감시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감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주유량 감시서버의 주유량 감시방법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기적 장치로서 입력자료를 받아들여서 처리하고, 그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일을 하는 기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령(instruction)은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연산, 처리 등이 되는 것으로, 컴퓨터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일부분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의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110)와, 메모리(110)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장치일 수 있다.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20)가 반응하여 주유량이 결제금액에 대한 정량인지 아닌지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에 반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부", "모듈"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모바일장치(200)와 연결되어 있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300)와 연결되어 있다.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일례로, 차량단말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장치(200)는 카드사 서버에서 전송되는 결제 관련 문자메시지(이하 '결제메시지'라고 함)를 수신하여 주유량 감시장치(100)로 전송한다.
모바일장치(200)는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서버(300)는 전국의 정유사, 주유소, 또는 충전소의 지역별, 상표별, 그리고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고 있으며, 주유량 감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유종별 판매가격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2의 메모리(110)는 결제금액 추출명령(111), 주유소정보 추출명령(112), 연료량 측정명령(113), 주유량 산출명령(114), 그리고 정량 판단명령(115)을 포함한다.
결제금액 추출명령(111)은 차량 운전자가 주유 금액을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모바일장치(200)로 수신되는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한다.
주유소정보 추출명령(112)은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모바일장치(200) 또는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한 후 주유소명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주유소 지점명은 주유소명과 주유소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주유소정보 추출명령(112)은 주유소 지점명과 차량의 연료정보(휘발유 또는 경유)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로부터 해당 주유소의 연료 판매가격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차량의 연료정보는 주유량 감시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차량 운전자가 주유량 감시장치(100) 또는 모바일장치(2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연료량 측정명령(113)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회 이상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한다.
연료량 측정명령(113)은 차량의 위치가 주유소 POI(point of interest)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 주유구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 감지되는 경우에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한다(1차 측정). 또한, 주유구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모바일장치(200)를 통해 주유 결제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한다(2차 측정).
연료량 측정명령(113)은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연료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때, 연료 변화량은 주유 전 연료량과 주유 후 연료량의 차이를 의미하며, 실제 주유량과 거의 동일하다.
주유량 산출명령(114)은 결제금액 추출명령(111)으로 추출된 결제금액과 주유소정보 추출명령(112)으로 추출된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한다. 이때, 판매가격은 연료의 리터(ℓ)당 가격이며, 결제금액을 판매가격으로 나누어 정상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정량 판단명령(115)은 연료량 측정명령(113)으로 산출된 실제 주유량(연료 변화량)과 주유량 산출명령(114)으로 산출된 정상 주유량을 비교하여 정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출력한다.
정량 판단명령(115)은 정량 판단 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정량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유 정량을 준수하지 않는 주유소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서버(300)에 접속하는 다수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주유량 감시장치의 주유량 감시방법이다.
먼저, 연료량 측정명령(113)을 통해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한다(S24-1). S24-1 단계는 차량의 위치가 주유소 POI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반경 내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의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의 양을 측정한다.
이후, 차량 운전자가 주유 금액을 카드로 결제하면, 모바일장치(200)는 결제메시지를 수신하고(S10), 결제메시지를 주유량 감시장치(100)로 전송한다(S11).
이후, 주유량 감시장치(100)는 결제금액 추출명령(111)을 통해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한다(S21).
이후, 주유소정보 추출명령(112)을 통해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S22). 구체적으로, S22 단계에서는 결제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주유소명과 차량 또는 모바일장치(200)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주유소명과 주유소 주소를 포함)을 추출한다.
이후, 주유소 지점명과 연료정보(휘발유 또는 경유)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23).
이후, 서버(300)는 S23 단계에서 전송된 주유소 지점명과 연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유소의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하고(S30), 연료 판매가격을 주유량 감시장치(100)로 전송한다(S31). 예를 들어, "주유소 지점명 - XX시 YY구 ZZ동 AA 주유소, 연료 - 휘발유"가 수신되면, XX시 YY구 ZZ동에 존재하는 AA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가격을 검색하여 주유량 감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연료량 측정명령(113)을 통해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한다(S24-2). S24-2 단계는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모바일장치(200)의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연료량 측정명령(113)을 통해 S24-1 단계와 S24-2 단계의 연료량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연료 변화량)을 산출한다(S25).
이후, 주유량 산출명령(114)을 통해 S21 단계의 결제금액과 S31 단계에서 전송되는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한다(S26).
이후, 정량 판단명령(115)을 통해 S25 단계의 실제 주유량과 S26 단계의 정상 주유량을 비교하여 정량 여부를 판단한다(S27).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오차범위가 ­5%이며, 정상 주유량이 30리터(ℓ)이고, 실제 주유량이 28리터인 경우 실제 주유량이 오차범위인 28.5리터 이하이므로 정량 미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27 단계의 판단 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28). 또한, 모바일장치(200) 또는 주유량 감시장치(100)를 통해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감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주유량 감시서버(400)는 복수개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410), 메모리(410)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420), 그리고 전국의 정유사, 주유소, 또는 충전소의 지역별, 상표별, 그리고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주유소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주유량 감시서버(400)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장치일 수 있다.
주유량 감시서버(400)는 메모리(4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420)가 반응하여 주유량이 결제금액에 대한 정량인지 아닌지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유량 감시서버(400)는 모바일장치(5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량단말장치(6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장치(500)는 카드사 서버에서 전송되는 결제메시지를 수신하여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500)는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차량단말장치(600)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하여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하고,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차량의 연료정보를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
차량단말장치(600)는 모바일장치(5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의 위치, 주유구 열림,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의 양을 측정하고(1차 측정), 주유구 닫힘,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주유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의 양을 측정하여(2차 측정) 측정 결과를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
도 4는 주유소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서버(400)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5의 메모리(410)는 결제정보 수집명령(411), 연료정보 수집명령(412), 결제금액 추출명령(413), 주유소정보 추출명령(414), 주유량 산출명령(415), 그리고 정량 판단명령(416)을 포함한다.
결제정보 수집명령(411)은 모바일장치(500)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집하고, 차량단말장치(600)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연료정보 수집명령(412)은 차량단말장치(60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량 측정 결과와 연료정보(휘발유 또는 경유)를 수집한다.
차량단말장치(6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결제금액 추출명령(413)은 결제정보 수집명령(411)을 통해 수집한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한다.
주유소정보 추출명령(414)은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결제정보 수집명령(411)을 통해 수집한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
주유소정보 추출명령(414)은 주유소 지점명과 연료정보(휘발유 또는 경유)를 이용하여 주유소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해당 주유소의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한다.
주유량 산출명령(415)은 결제금액 추출명령(413)을 통해 추출된 결제금액과 주유소정보 추출명령(414)을 통해 추출된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고, 연료정보 수집명령(412)을 통해 수집된 연료량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한다.
정량 판단명령(416)은 주유량 산출명령(415)을 통해 산출된 정상 주유량과 실제 주유량을 비교하여 정량 여부를 판단하고, 정량 판단 결과를 모바일장치(500) 또는 차량단말장치(600)로 전송한다.
정량 판단명령(416)은 정량 판단 결과, 주유량이 정량 미만인 주유소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모바일장치(500) 또는 차량단말장치(60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주유량 감시서버의 주유량 감시방법이다.
먼저, 차량단말장치(600)는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한다(S131-1). S131-1 단계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주유소 POI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반경 내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의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제정보 수집명령(411)을 통해 모바일장치(500)에 결제정보를 요청하고(S110), 차량단말장치(6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120). 이때, 모바일장치(500)는 카드사 서버에서 전송되는 결제메시지를 수신하고(S111),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S112). 또한, 차량단말장치(600)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S121),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S122).
S120 단계에서는 모바일장치(500)에 결제정보와 위치정보를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연료정보 수집명령(412)을 통해 연료량 측정 결과를 수집한다(S130, S131, S132). 이때, 차량단말장치(600)는 주유량 감시서버(400)의 요청(S130)에 따라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측정하고(S131-2), S131-1 단계와 S131-2 단계에서 측정된 연료의 양과 연료정보(휘발유 또는 경유)를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한다(S132).
S131-2 단계에서 차량단말장치(600)는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연료의 양을 측정하여 주유량 감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결제금액 추출명령(413)을 통해 S112 단계에서 전송된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한다(S141).
이후, 주유소정보 추출명령(414)을 통해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주유소명과 S122 단계에서 전송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한다(S142).
이후, 주유소 지점명, 결제금액, 그리고 연료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데이터베이스(413)를 통해 해당 주유소의 연료 판매가격을 검색한다(S143).
이후, 주유량 산출명령(415)을 통해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고(S144), 정상 주유량을 산출한다(S145). 이때, 실제 주유량은 S141 단계의 결제금액과 S143 단계의 판매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정상 주유량은 S131-1 단계와 S131-2 단계의 연료 변화량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금액이 50,000원이고, 판매가격이 2,000원/리터(ℓ)인 경우에 결제금액을 판매가격으로 나누어 25리터의 정상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S131-1 단계의 연료량 측정 결과가 5리터이고, S131-2 단계의 연료량 측정 결과가 29리터인 경우에 연료량의 차이를 구하여 24리터의 실제 주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정량 판단명령(416)을 통해 S144 단계의 실제 주유량과 S145 단계의 정량 주유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정량 여부를 판단한다(S146). S146 단계는 실제 주유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량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정량을 주유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오차범위가 ­5%이며, 정상 주유량이 25리터이고, 실제 주유량이 24리터인 경우에 실제 주유량이 오차범위인 23.75리터 이상이므로 정량을 주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146 단계의 판단 결과를 모바일장치(500) 또는 차량단말장치(600)로 전송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통지한다(S147-1, S147-2).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 금액을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운전자의 모바일장치로 수신되는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과 주유소명을 추출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유 금액의 일부를 포인트카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립하는 경우 모바일장치로 수신되는 적립금 안내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과 주유소명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 완료 후 정량주유 정보를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정량 사기 주유소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유 시간, 주유 날짜, 결제 금액, 즐겨 찾는 주유소, 즐겨 찾는 주유소 브랜드, 또는 정량을 준수하는 주유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유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주유량 감시장치 200, 500 : 모바일장치
300 : 서버 400 : 주유량 감시서버
110, 410 : 메모리 120, 420 : 프로세서
430 : 주유소 데이터베이스 111, 413 : 결제금액 추출명령
112, 414 :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113 : 연료량 측정명령
114, 415 : 주유량 산출명령 115, 416 : 정량 판단명령
411 : 결제정보 수집명령 412 : 연료정보 수집명령
600 : 차량단말장치

Claims (12)

  1.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서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명령은,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유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결제금액 추출명령,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와 유종을 수집하며 상기 주유소명과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주유소 지점명과 상기 유종에 대응하는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연료량 측정명령,
    상기 결제금액과 상기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산출명령, 그리고
    상기 실제 주유량이 상기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정량 판단명령
    을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연료량 측정명령은,
    상기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고,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상기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며,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감시장치.
  4. 차량단말장치 및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명령에 반응하는 프로세서(processor), 그리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주유소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명령은,
    상기 모바일장치로부터 주유 결제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결제정보 수집명령,
    상기 차량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연료량과 유종을 수집하는 연료량 수집명령,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결제금액 추출명령,
    상기 결제금액과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고, 상기 주유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유소 지점명과 상기 유종에 대응하는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주유소정보 추출명령,
    상기 결제금액과 상기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연료량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산출명령,
    상기 실제 주유량이 상기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정량 판단명령
    을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서버.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정량 판단명령은 주유량이 정량 미만인 주유소 정보를 저장하여 모바일장치 또는 차량단말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주유량 감시서버.
  7. 제4항에서,
    상기 차량단말장치는,
    상기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고,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상기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여 상기 주유량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주유량 감시서버.
  8. 제7항에서,
    상기 주유량 산출명령은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주유량 감시서버.
  9.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서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장치의 주유량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유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와 유종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유소명과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추출된 주유소 지점명과 상기 수집된 유종에 대응하는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결제금액과 상기 검색된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제 주유량이 상기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실제 주유량 산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유소 POI 주변에 존재, 주유구 열림 감지, 또는 계기판의 연료 경고등 점등 감지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1차 측정하는 단계,
    주유구 닫힘 감지, 계기판의 연료 게이지 변화, 또는 상기 결제메시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양을 2차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
  11. 차량단말장치 및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유량 감시서버의 주유량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로부터 주유 결제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연료량과 유종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금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주유소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유소명과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주유소 지점명을 추출하는 단계,
    주유소의 유종별 판매가격을 저장하는 주유소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추출된 주유소 지점명과 상기 수집된 유종에 대응하는 판매가격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결제금액과 상기 검색된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정상 주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연료의 양에 기초하여 실제 주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실제 주유량이 상기 정상 주유량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량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정량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유량이 정량 미만인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단말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량 감시방법.
KR1020150035981A 2015-03-16 2015-03-16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5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81A KR101655212B1 (ko) 2015-03-16 2015-03-16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81A KR101655212B1 (ko) 2015-03-16 2015-03-16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12B1 true KR101655212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981A KR101655212B1 (ko) 2015-03-16 2015-03-16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6090A (zh) * 2016-12-30 2017-05-17 北奔重型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卡车气耗监控系统
KR102009956B1 (ko) * 2018-03-27 2019-08-12 이종국 주유정보를 제공하는 주유 방법 및 장치
KR102058582B1 (ko) * 2018-03-27 2019-12-23 이종국 주유장치의 변조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8856A (ko) * 2020-05-28 2021-04-08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새로 추가된 차량 에너지 스테이션의 결정 방법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011A (ko) * 2006-05-16 2007-11-21 김종균 주유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10031534A (ko) * 2009-09-21 2011-03-29 임경영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KR20130049438A (ko) * 2011-11-04 2013-05-14 박태수 주유구 정품 정량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011A (ko) * 2006-05-16 2007-11-21 김종균 주유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10031534A (ko) * 2009-09-21 2011-03-29 임경영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KR20130049438A (ko) * 2011-11-04 2013-05-14 박태수 주유구 정품 정량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6090A (zh) * 2016-12-30 2017-05-17 北奔重型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卡车气耗监控系统
KR102009956B1 (ko) * 2018-03-27 2019-08-12 이종국 주유정보를 제공하는 주유 방법 및 장치
KR102058582B1 (ko) * 2018-03-27 2019-12-23 이종국 주유장치의 변조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8856A (ko) * 2020-05-28 2021-04-08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새로 추가된 차량 에너지 스테이션의 결정 방법과 장치
KR102463059B1 (ko) * 2020-05-28 2022-11-03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새로 추가된 차량 에너지 스테이션의 결정 방법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212B1 (ko) 주유량 감시장치 및 방법
US10713862B2 (en) Enhanced vehicle bad fuel sensor with crowdsourcing analytics
KR101683242B1 (ko)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JP5326621B2 (ja) エネルギー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情報提供方法
US10431022B2 (en) Customized fuel recommendations
EP3854650A1 (en) Risk unit based policies
CN104239669A (zh) 用于监测加油站的系统和方法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US99534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rofile of fuel quality
CN105046343A (zh) 用于定位最优燃料补充站的方法和设备
CN111507883A (zh) 一种加油过程中获取车辆运行数据的方法
US11085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uel loss
KR20130049438A (ko) 주유구 정품 정량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US202200281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uel Loss Event
JP7266264B2 (ja) 洗車システム
US20180025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eling location recommendations
US20170221284A1 (en) Vehicle fluid replac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60162957A1 (en) Vehicle position based fueling station reputation system
KR101376064B1 (ko)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KR102353044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KR20130050619A (ko) 주유량 오차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8582B1 (ko) 주유장치의 변조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9956B1 (ko) 주유정보를 제공하는 주유 방법 및 장치
KR101500378B1 (ko) 유사 연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76344B1 (ko) 혼유 방지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