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524A -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524A
KR20110030524A KR1020110017461A KR20110017461A KR20110030524A KR 20110030524 A KR20110030524 A KR 20110030524A KR 1020110017461 A KR1020110017461 A KR 1020110017461A KR 20110017461 A KR20110017461 A KR 20110017461A KR 20110030524 A KR20110030524 A KR 2011003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game object
touch screen
movem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서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장원 filed Critical 서장원
Priority to KR102011001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524A/ko
Publication of KR2011003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 또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아케이드 오락 게임기에서 음악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버턴판 에서 선곡 하고 : 선곡 된 음악의 재생시간을 움직임기반게임의 진행시간으로 설정하고; 음악이 선곡 되는 신호에 의해 게임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고; 게임의 진행을 위한 포인터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객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시키고; 이동된 게임객체가 게임객체 감지트랙 상에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지 않거나 재생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음악재생 또는 움직임기반 게임모드를 종료하는 아케이드 게임에서 음악재생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케이드 게임기에 동작 인식을 위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마치 실제 음악 게임 도구를 이용하는 것처럼 해당 동작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생동감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Method for a music game using Equipped with motion sensors attached to foot-stage or a touch screen display in an arcade game.}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의 아케이드 게임기 또는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아케이드 오락 게임기에서 게임어가 풋스테이지에서 움직이거나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노트를 터치하는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아케이드의 음악 게임들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악, 연출 난이도, 악기 효과음 등의 게임 수준을 선택하고 게임의 플레이를 개시하면, 음악이 연주되면서 게임의 화면에 특정 캐릭터나 동영상이 음악에 맞춰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화면의 한 부분에는 복수개의 트랙 내에 연주를 위한 조작 시기를 나타내는 지시표시, 점수표시 등이 표시된다.
특허 제 294603호에는 음악에 대한 연출조작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 및 그 연출 조작을 원활 하게 진행 시키기 위한 연출조작 지시 시스템과, 이들 게임기 및 시스템에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기술 (이하 '고나미 게임 기술'이라 칭함)을 개시하고 있다.
코나미 게임 기술은 음악에 대한 연출조작을 즐길 수 있는 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 및 그 음악에 대한 연출 순서에 관한 데이터를 게임기 내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그 기억내용을 바탕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게임이다. 코나미 게임 기술에서는 연주의 진행과 연동하여 그 음악에 맞춘 연출조작을 게임자에게 시각적으로 지시함과 동시에, 게임자에 의한 연출 조작에 따른 연출효과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며, 사전에 설정된 연출순서와 게임자에 의한 연출 조작의 상관관계에 의거하여 연출조작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게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코나미 게임 기술은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 음악에 맞추어 표시되는 연출순서인 인디케이터가 화면 위에서 아래로 떨어 지면서 화면 하단에 고정된, 정해진 트랙으로 떨어지는데 화면 하단의 정해진 여러 트랙에 매칭되어 있는 조작부를 게임자가 조작하면 그 연출 제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연출효과가 출력된다. 코나미 게임 기술은 음악에 대한 연출순서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가 화면 위에서 아래로 여러 가지의 트랙 중에서 미리 정해진 화면 하단의 트랙으로 떨어지며, 여러 가지의 트랙에 일 대 일로 대응하는 여러 개의 조작부 중에서 연주하고자 하는 인디케이터가 떨어지는 트랙 과 대응하는 조작부를 조작해야 하므로, 게임기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게임자는 게임을 잘 플레이 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등록번호 10-0895259-0000 (이하 펜타비전 게임 기술) 의 펜타비전의 전체 음제어 음악 게임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한 특허에서 펜타비전의 게임 기술은 정해진 트랙으로 인디케이터가 떨어 지는 것이 아닌 인디케이터는 화면상에 다양하게 표현되어져 있고 트랙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트랙이 이동 하면서 게임자가 움직이는 트랙이 화면상의 인디케이터에 위치 하였을 때 조작을 하게 되게끔 되어 있다. 펜타비전의 게임 기술은 코나미 게임 기술에 비해 진일보한 조작 방법이나 이들 기술들의 특징은 트랙이 하단에 고정되어 있거나 트랙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움직이는 단편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과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한 게임 장치(이하 ‘풋스테이지’라 칭함)에서 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상,하,좌,우,중앙 등 어느 곳 에서든 인디케이터가 연속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의 게임객체를 생성하고 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을 기점으로 360도 원을 그려 그려진 원 위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설정해서 게임객체(118)와 게임감지 트랙(120)이 매칭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화면의 상,하,좌,우,중앙 등에서 생성된 게임객체(118)인 인디케이터는 정해진 트랙으로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 이동하게 되고 게임객체(118)가 정해진 게임감지 트랙(120)에 도달하면 음악이 중단 없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게임의 단순한 조작에서 벗어나 게임자가 다양하고 활동적으로 음악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게임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게임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91);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키부로 움직 임 센서를 장착한 풋스테이지(40) 또는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버튼(50); 게임을 진행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동전 및 지폐를 각각 처리하는 동전처리부(61) 및 지폐 처리부(71); 게임을 위한 카드나 바코드가 인식된 상품권과 접촉되면 카드나 바코드에 저장된 포인트 정보나, 게임머니 정보, 마일리지 정보를 처리하고, 통신을 제공하는 카드/바코드 처리부(8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 동전,지폐 및 카드/바코드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전, 지폐 및 카드/바코드 정보에 따라 게임 머니를 카운트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수치값, 터치스크린(30)을 장착한 디스플레이(20)에서 수신한 게임자의 터치 위치값 그리고 조작 버튼(50)에서 입력된 키조작 명령을 처리하여 이를 영상 처리부를 통해 처리하도록 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보드(100); 동전,지폐, 카드/바코드 처리부에 직접 연결되어 동전처리부, 지폐처리부, 카드/바코드 처리부로부터의 동전이나 지폐의 인식, 카드 및 바코드의 인식신호, 게임 프로그램의 오디오 출력신호, 조작키부로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20)에서의 제어신호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제어신호, 조작버튼등과 같은 제어신호들을 게임제어보드(100) 와 송수신 처리하는 입출력보드(9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구; 를 제공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음악재생 게임방법은 게임자가 선택한 음악선택모드(112)에서 게임제어보드(100)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에서 선곡하는 음악선곡단계(S1); 선곡 된 상기 음악의 재생시간을 게임의 진행시간으로 설정하는 게임진행시간 설정단계(S2); 상기 음악이 선곡 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음악선택모드에서 상기 게임을 위한 게임모드로 상기 음악이 선곡 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음악선택모드에서 상기 게임을 위한 게임모드로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전환하는 게임모드 전환단계(S3);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한 포인터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객체(118)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으로 상기 게임객체(118)를 이동시키는 게임객체 출력단계(S4);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여,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 및 상기 게임객체(118)가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지 않거나 상기 재생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상기 음악재생 또는 상기 게임모드를 종료하는 게임모드 종료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상,하,좌,우,중앙등 어느곳에서든지 연속하여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게임객체(118)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상기 게임객체(118)를 직선이동, 또는 회전 이동 시키고; 상기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에 상기 게임객체(118)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 (120) 상에 위치할 때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대응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악이 중단없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임객체(118)는, 상기 직선이동 또는 상기 회전이동을 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2 이상 생성되는 상기 게임객체(118) 각각은 동일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임객체 출력단계(S4)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상,하,좌,우,중심 어느곳에서 생성될수 있으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생성된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중심에서 360도 방위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정해진 트랙까지 도달한 후 다른 게임객체(118)가 생성되는 단순생성단계; 또는 생성된 상기 게임객체(118)가 정해진 트랙까지 도달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생성되는 연속생성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20)의 중심에서 360도 방위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은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118)의 형상 또는 색상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 되어,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118)의 도달시 상기 게임객체(118)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는, 이동하는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상에 위치할 때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매칭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인가되는지 판단하는 매칭단계; 및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과 매칭되면,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도달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하,좌,우 360도 방위로의 직선이동;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우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120a)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우상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우상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e)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상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행 축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좌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좌상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좌상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h)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상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전방 세로축 방향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세로축 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의 터치에 매칭되는 전방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후방 세로축 방향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세로축 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의 터치에 매칭되는 후방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우하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우하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f)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하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좌우하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좌하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g)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하측 직선이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임객체(118)의 회전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게임객체(1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되거나, 시계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정 방향 회전이동; 및 상기 터치스크린(30) 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게임객체(118) 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 되거나, 반 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역방향 회전이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에서 게임자가 손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에서 게임자의 동작을 통해 게임을 즐기면 보다 생동감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 게임보드의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3은 도1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 게임보드의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가 구비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따른 음악선택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가 구비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 도8, 도9,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가 구비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 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케이드 전자 게임기(10)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전자 게임기(10)는 게임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90), 게임 프로그램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0)와,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키부로 터치스크린(30), 게임어가 게임을 하기 위해 서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게임을 진행하기 위하여 동전이나 지폐를 집어넣는 동전 삽입구(60), 지폐 삽입구(70), 카드 포인트나 마일리지 및 전자화폐를 게임머니로 인식하도록 하는 카드/바코드 접촉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구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기구 게임보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실시 예는 조작키부로 터치스크린(30), 풋스테이지(40), 버튼(50),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 처리부(81), 오디오 출력부(91), 디스플레이부(20), 전원부(110) 및 게임제어보드(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 키부(30)(40)(50)는 게임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동전처리부(61)는 동전이 삽입되는 것을 인식 하여 처리한다. 지폐처리부(71)는 입력되는 지폐를 처리한다. 카드/바코드 처리부(81)는 카드사 포인트나 마일리지, 전자화폐 등을 게임머니로 인식하도록 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전원부(110)는 아케이드 전자 게임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게임 제어보드(100)에서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출력부(91)는 게임제어보드(100)에서 송신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게임제어보드(100)는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처리부(81), 디스플레이부 (20) 및 조작키부(30)(40)(50)에 연결되어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처리부 (81)에 투입되는 동전이나 지폐, 카드, 바코드를 인식하고, 조작키부(30)(40)(50)의 조작신호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로 송신한다.
이를 위한 게임제어부(30)는 음악재생부(130), 인터페이스모듈(132), 음악재생 제어모듈(138), 게임진행 제어모듈(140), 및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32)은 터치스크린(30)에서의 터치위치값,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움직임 감지값, 버튼(50) 등과 같은 조작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적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게임어는 터치스크린(30), 풋스테이지(40), 버튼(50)을 통하여 음악선택모드(120)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50)은 상기 게임자의 터치스크린(30)을 통한 터치 신호 또는 움직임 감지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터치신호 또는 움직임정보를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 또는 음악선곡부(136)에 인가한다.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은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될 때,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을 통해 게임자의 터치신호(30) 또는 풋스테이지(40) 위에서의 게임자의 움직임정보가 인가되는지 판단하면서 게임진행을 제어한다. 음악재생 제어모듈(38)은 음악의 재생시간이 종료하면 음악재생부(130)에서 음악의 재생을 종료하고,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에서 음악재생 중단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음악재생부(130)에서 음악의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에는 게임객체(118)가 포인터 기능을 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게임객체(118)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는 도 1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기구 게임보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제 2 실시 예는 입출력보드가 별도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조작키부로 터치스크린(30), 풋스테이지(40), 버튼(50),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 처리부(81), 오디오 출력부(91), 디스플레이부(20), 입출력보드(95), 전원부(110) 및 게임제어보드(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키부(30)(40)(50)는 게임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동전처리부(61)는 동전이 삽입되는 것을 인식 하여 처리한다. 지폐처리부(71)는 입력되는 지폐를 처리한다. 카드/바코드 처리부(81)는 카드사 포인 트나 마일리지, 전자화폐등을 게임머니로 인식하도록 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전원부(110)는 아케이드 전자 게임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게임 제어보드(100)에서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출력부(91)는 게임제어보드(100)에서 송신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입출력보드(95)는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처리부(81), 조작키부(30)(40)(50), 오디오 출력부(91) 등이 게임제어보드(100)에 연결되어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나 카드/바코드 처리부로 투입되는 동전이나 지폐, 카드 인식신호와 조작키부(30)(40)(50)로 부터의 조작신호를 게임제어보드(100)로 송신하고 게임제어보드(100)로 부터 입출력보드(95)로 수신한 게임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91)로 송신한다 게임제어보드(100)는 입출력보드(95)를 통해 동전처리부(61), 지폐처리부(71), 카드/바코드 처리부(81), 에 동전, 지폐, 카드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또한 게임 제어보드(100)는 조작키부 (30)(40)(50)의 조작신호를 입출력 보드(95)를 통하여 수신 받아 이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입출력 보드(95)로 송신한다. 이를 위한 게임제어부(30)는 음악재생부(130), 인터페이스모듈(132), 음악재생 제어모듈(138), 게임진행 제어모듈(140), 및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32)은 터치스크린(30)에서의 터치위치값 그리고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장착 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움직임 감지값, 버튼(50)조작 신호 같은 입력 신호를 입출력 보드로 부터 받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적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게임어는 터치스크린(30), 풋스테이지(40), 버튼(50)을 조작하여 입출력 보드를 통하여 음악선택모드(120)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상기 게임자의 터치스크린(30)을 통한 터치신호 또는 움직임 감지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정보를 입출력 보드를 통하여 전달받고, 전달받은 움직임정보 또는 터치신호를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 또는 음악선곡부(136)에 인가한다.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은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트랙(120) 상에 위치될 때,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을 통해 게임자의 터치 신호 또는 풋스테이지 위에서의 게임자의 움직임정보가 인가되는지 판단하면서 게임진행을 제어한다.
음악재생 제어모듈(38)은 음악의 재생시간이 종료하면 음악재생부(130)에서 음악의 재생을 종료하고,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에서 음악재생 중단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음악재생부(130)에서 음악의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에는 게임객체(118)가 포인터 기능을 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게임객체(118)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는 게임어가 게임을 하기 위해 서있는 풋스테이지(40)에 설치 되어, 게임어가 이동하면 게임어의 여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데, 즉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는 게임어가 상,하,좌,우, 나선형, 대각선, 높낮이, 높이 등의 이동 및 회전 같은 게임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40a,40b,40c,40d)는 게임어의 움직임 속도 및 상대적 위치 측정을 위한 운동 가속도 감지, 기울기 검출을 위한 중력 가속도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40a,40b,40c,40d)의 대표적인 예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들 수 있는데, 자이로스코프는 상,하,좌,우,전,후에 발생하는 각도의 변화를 읽어 이동체의 속도,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일종의 센서이다. 실리콘 웨이퍼 상에 극소형 진동 구조물을 제작하고 이 진동 구조물의 회전 에 의하여 각 변위가 생기면 1초에 0.1도 이하의 각도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30)은 사용자가 손 또는 특정 물체(펜)로 스크린 화면을 터치하면 그 위치를 입력 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 장치를 구비한 장치로써, 키보드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특정 물체(펜)가 접촉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터치 스크린(30)은 조작키부로 화면 디스플레이부(20)에 장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은 상층부의 필름이 하층부의 글라스와 맞닿은 곳을 터치 신호로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내구성이 떨어지나, 가격이 싼 편이고, 터치감이 좋아 많이 이용되는 장치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Navigation, Home Auto System,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obile Phone, LCD, DMB Phone, LOTTO 복권 단말기, WEB PAD 등에 이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은 터치 표면에 미세한 전류가 흘러 도전체가 스크린을 터치시 전류가 흘러가는 점을 찾아 터치로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전도성이 없는 물체로는 터치가 되지 않으며, 전도성을 가진 물체만으로 터치가 되는 방식으로서, 유럽에서 사용되는 ATM(Auto Teller Machine)에 주로 이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적외선 방식(IR Type) 및 초음파 방식(SAW Type)은 스크린 표면에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초음파 및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끝이나 기타 특정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흐름이 방해 받는 곳의 포인터를 해석하여 터치로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국내에서 사용되는 ATM에 주로 이용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나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가 있는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가 구비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게임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30)을 장착한 아케이드 게임기 이거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를 장착한 풋스테이지(40)가 구비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이를 이용한 게임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음악선택모드에서 게임 제어 보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에서 선곡하는 음악선곡단계(S1); 선곡 된 상기 음악의 재생시간을 게임의 진행시간으로 설정하는 게임진행시간 설정단계(S2); 상기 음악이 선곡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음악선택모드에서 상기 게임을 위한 게임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게임모드 전환단계(S3);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한 포인터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객체(118)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으로 상기 게임객체(118)를 이동 시키는 게임객체 출력단계(S4); 상기 게임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여,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 및 상기 게임객체(118)가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지 않거나 상기 재생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상기 음악재생 또는 상기 게임모드를 종료하는 게임모드 종료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 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 가 포함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를 이용한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따른 음악선택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음악선택모드(112)는 게임자의 터치스크린(30)에의 터치 또는 풋스테이지(40)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게임자에 의해 선택된다
즉 게임자가 터치스크린(30)이나 풋스테이지(40)를 통해 음악선택양식(2)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32)에 구비되는 상기 모드선택부(134)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를 음악 선택모드(112)로 설정한다.
상기 음악선택모드(112) 하에서, 상기 게임자가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몸을 움직여 음악을 선곡하면서 상기 음악선곡단계(S1)가 수행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선택 아이콘(114)이 표시하는 방향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가 움직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40a,40b,40c,40d)가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40a,40b,40c,40d)에서 움직임 정보를 인가 받아, 인터페이스모듈(132)에 구비되는 음악선곡부(136)가 상기 음악을 선곡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연산한다. 또는 게임자에 의해 터치스크린(30)이 터치되면서 음악선곡단계(S1)가 수행된다. 즉, 선택 아이콘(114)이 터치되면서 음악선곡부(136) 가 터치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선곡 된 음악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는 음악선곡부(136)를 통해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에 전달되면서 게임진행시간 설정단계(S2)가 수행된다. 즉, 상기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의 게임모드 제어부(142)가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을 플레이 시간으로 설정한다. 게임모드 전환단계(S3)는, 인터페이스모듈(132)에서 출력되는 음악선택신호를 게임모드 제어부(142)가 인가 받아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를 상기 음악 선택모드(112)에서 게임모드 중 터치기반 게임모드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게임모드 중 도시된 바와 같은 풋스테이지 게임모드(116)로 전환되면서 수행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가 구비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에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은, 상기 게임모드 하에서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연속하여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게임객체(118)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에 대응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상기 게임객체(118)를 직선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상기 게임객체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악이 중단 없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기반게임은 게임객체(118)가 디스플레이부(20)의 중앙부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되면서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풋스테이지(40) 위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음악이 중단 없이 재생될 수 있는 게임방식 이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으로 게임객체(118)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할 때는 후술하는 좌측 직선이동에 대한 움직임 감지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이 감지되어야 한다. 만약,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게임객체가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에 도달되지 못하면, 상기 음악의 재생이 중단될 수 있다.
게임모드 제어부(142)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를 움직임기반 게임모드(116)로 전환하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생성부(144)가 상기 게임객체(118)를 상기 터치스크린이(30)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 생성하면서, 게임객체 출력단계(S4)가 수행된다. 게임모드 제어부(142)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게임자 움직임은 감지하지 않고, 터치스크린(30)을 통한 터치신호를 인가 받으면서,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의 도달을 판단할 수 있다.
게임의 진행 방식은 게임객체(118)를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만으로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에 도달시키거나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에서의 터치만을 동원해 게임객체(118)를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에 도달 시킬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움직임과 터치가 혼합된 방식으로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될 수 있다.
상기 게임객체(118)는, 상기 직선이동 또는 상기 회전이동을 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2 이상 생성되는 상기 게임객체(118) 각각은 동일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객체(118)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리 정해진 다수의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게임객체(118)는 볼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형상과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게임객체 출력단계(S4)는, 생성된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까지 도달한 후 다른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중앙부에서 생성되는 단순생성단계; 또는 생성된 상기 게임 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까지 도달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 의 중앙부에서 생성되는 연속생성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순생성단계는 게임객체(118)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상에서 하나 존재 하는 상태에서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게임객체(118)가 도달하여 사라지는 순간에 다음 게임객체(118)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반면, 연속생성단계는 게임의 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게임객체(118)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게임객체(118)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2 이상의 게임객체(118)가 출력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은, 상기 게임객체(118)의 형상 또는 색상에 대응 하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고; 감지 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에서의 터치의 제어에 의해,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하는 상기 게임객체(118)의 도달을 판단할 수 있다.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는 게임객체(118)에 설정되는 포인터 기능을 감지하는 포인터 감지 부의 기능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수행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은 4개가 구비될 수 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객체(118)가 볼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이 이에 대응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게임객체(118)의 미리 정해진 색상에 대응하여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도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게임진행 제어모듈(140)에 구비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가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과 연동되면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 하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가 감지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에서의 터치를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 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게임객체(118)가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가 음악재생 제어모듈(138)에 음악재생 중단신호를 출력하여 인가할 수 있다. 음악재생 중단신호를 인가 받은 음악재생 제어모듈(138)은 음악재생부(130)의 기능을 오프하여 음악재생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는, 이동하는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어(20)에서의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 에 매칭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에서의 터치가 인가되는지 판단하는 매칭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에서의 터치가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과 매칭되면, 상기 게임객체(118) 상기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으로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도달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객체(118)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으로 좌측 직선 이동하여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하게 될 때,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좌측 직선이동 하거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행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야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 객체 감지 트랙(120c)으로 좌측 직선 이동하여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하게 될 때, 게임객체(118)가 위치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를 통해 터치가 감지 되어야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나아가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의 도달판단단계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어느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도달하는지 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일체 되게 도달하는 완벽한 히트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성과 표시부에 "GREAT"란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객체(118)가 미리 정해진 범위 만큼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커버하면서 도달하면, 상기 성과 표시부에 "GOOD"이란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성과 표시부는 "FAIL"이란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성과 표시부는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와 연동되면서 제어를 받으며. "GREAT", "GOOD", 또는 "FAIL"이란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문구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되는 정도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문구가 동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행 축을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이(30)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a)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방향과 평행한 평행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의 터치에 매칭되는 전방 직선 이동; 및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 자의 움직임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후방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120b)의 터치에 매칭되는 후방 직선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a) 상에 위치할 때, 풋스테이지에 설치된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력정보 연산 모듈(150)이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를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전달받아 데이터신호로 연산한다. 이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를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전달받아 데이터신호로 연산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방향의 평행 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풋스테이지(40) 위에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좌측 에서 우측으로 게임자의 직선상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가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게임자의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좌에서 우로 직선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우측 직선이동 과 매칭될 수 있는 우측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는 우측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a)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 하게 된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 (120a)상에 위치할 때, 게임객체 감지트랙(120a)이 터치되면서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터치신호를 우측 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할 때, 움직임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의 움직임 센서(40a,40b,40c,40d)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방향의 평행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직선상의 게임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가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움직임 센서에서 전달받은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우에서 좌로 직선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좌측 직선이동 과 매칭될 수 있는 좌측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는 좌측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직선이동을 하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하게 될 때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가 좌측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아야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c)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 상에 위치할 때,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에 터치되면 서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터치신호를 좌측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 상에 위치할 때,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길이 방향과 직교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직선상의 게임자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가 풋스테이지(40)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 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전방 직선이동과 매칭될 수 있는 전방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는 전방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게 된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 상에 위치할 때, 게임객체 감지트랙(120d)에 터치되면서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터치신호를 전방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 상에 위치할 때,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길이방향과 직교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상의 게임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가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후방직선 이동과 매칭될 수 있는 후방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는 후방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고,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게 된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 상에 위치할 때,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이 터치되면서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터치신호를 후방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 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되거나, 시계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정 방향 회전이동; 및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되거나, 반 시계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역방향 회전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을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가 감지하고,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에서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연산 되는 데이터신호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의 아케이드 게임기가 수직 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가 풋스테이지(40)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 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될 수 있다.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정 방향 회전이동과 매칭될 수 있는 정 회전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경유하여 정 방향 회전이동을 할 때,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가 정 회전이동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아야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경유하여 정 방향 회전이동을 할 때,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이 시계방향으로 연속하여 터치 되면서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이 터치신호를 정 회전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 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가 수직 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게임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정보가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를 입력정보 연산모듈(150)은 움직임정보를 전달받아,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게임객체(118)의 역방향 회전이동과 매칭될 수 있는 역회전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경유하여 역방향 회전이동을 할 때,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가 역회전이동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아야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게임객체(118)가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을 경유하여 역방향 회전이동을 할 때,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이 반 시계방향으로 연속하여 터치되면서 입력정보 연산 모듈(150)이 터치신호를 역회전이동 데이터신호로 연산할 수 있다.
게임모드 종료단계(S6)는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여 게임객체(118)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가 초과하여 게임객체(118)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게임객체 감지 트랙 제어부(148)의 전기 신호를 음악재생 제어모듈(138)이 인가 받아 음악의 재생이 중단되면서 수행된다. 또한,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여 게임객체(118)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게임모드 제어부(142)가 게임객체 감지트랙 제어부(148)의 전기 신호의 제어에 의해 움직임기반 게임모드를 종료하면서 게임모드 종료단계(S6)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디스플레이부 40a,40b,40c,40d : 움직임 감지 센서
112 : 음악선택모드 114 : 선택 아이콘
116 : 풋스테이지 게임모드 118 : 게임객체
100 : 게임제어부 120 : 게임개체 감지트랙
130 : 음악재생부 132 : 인터페이스모듈
138 : 음악재생 제어모듈 140 : 게임진행 제어모듈
150 : 입력정보 연산모듈

Claims (10)

  1.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를 장착한 풋스테이지(40) 나 게임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30)을 장착한 상업용 오락기에서의 게임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음악선택 모드(112)에서 상기 오락기 게임제어 보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에서 선곡하는 음악선곡단계(S1); 선곡 된 상기 음악의 재생시간을 게임의 진행시간으로 설정하는 게임진행시간 설정단계(S2); 상기 음악이 선곡 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음악선택모드에서 상기 게임을 위한 게임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상태를 전환하는 게임모드 전환단계(S3);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한 포인터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객체(118)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으로 상기 게임객체(118)를 이동 시키는 게임객체 출력단계(S4);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에 구비 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여,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도달하는지 판단 하는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6); 및 상기 게임객체(118)가 매칭되는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지 않거나 상기 재생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상기 음악재생 또는 상기 게임모드를 종료하는 게임모드 종료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 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 가 구비된 상업용 오락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상기 게임모드 하에서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연속 하여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게임객체(118)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객체(118)를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직선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 상기 게임객체(118)가 이동하여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대응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게임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악이 중단 없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118)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상,하,좌,우 360도 방위로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을 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생성되는 상기 게임객체(118) 각각은 동일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118)는,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상,하,좌,우 360도 방위로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을 다양한 형태의 형상(예로 동물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생성되는 상기 게임객체(118) 각각의 형상은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118)의 생성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상,하,좌,우,중심 등 360도 방위 어디에서든 생성을 시킬 수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 출력단계(S4)는, 생성된 게임객체(118)가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까지 도달한 후 다른 게임객체(118)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중앙부에서 생성되는 단순생성단계; 또는 생성된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 객체 감지 트랙(120)까지 도달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중앙부에서 생성되는 연속생성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형성은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 이부(20)의 중심에서 360도 원을 그려 그려진 원 위에 어디에든 상기 게임객체(118)의 형상 또는 색상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 이상 형성되고; 형성된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은 원을 따라 음악재생 게임 중 음악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을 시킬 수 있고;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에서 감지되는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의 제어에 의해,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 상에 위치하는 상기 게임객체(118)의 도달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 도달 판단단계(S5)는, 이동하는 상기 게임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트랙(120) 상에 위치할 때,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매칭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40a,40b,40c,40d) 에서 감지되는 게임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인가되는지 판단하는 매칭단계; 및 상기 게임자 의 움직임 또는 터치가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 또는 회전이동과 매칭되면, 상기 게임 객체(118)가 상기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로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도달판단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118)의 직선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하,좌,우 360도 방위로의 직선이동;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우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 (120a)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우상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우상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e)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상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행 축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좌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 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c)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좌상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좌상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h)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상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전방 세로축 방향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세로축 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 트랙(120d)의 터치에 매칭되는 전방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후방 세로축 방향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세로축 후방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b)의 터치에 매칭되는 후방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 에서 대각선으로 우하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우하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f)의 터치에 매칭되는 우하측 직선이동;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가로 길이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으로 좌우하측을 향한 직선상의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에 매칭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0)의 가로 길이 방향과 세로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각선의 좌하측에 형성되는 게임객체 감지트랙(120g)의 터치에 매칭되는 좌하측 직선이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객체(118)의 회전이동은,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게임객체(1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되거나, 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정 방향 회전이동; 및 상기 터치스크린(3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의 상면에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게임객체(118)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에서 게임자의 움직임이 매칭 되거나, 반 시계방향으로 인접하는 2 이상의 게임객체 감지트랙(120)의 터치에 매칭되는 역방향 회전이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장착된 풋스테이지(40)나 터치 스크린(30)이 장착된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KR1020110017461A 2011-02-25 2011-02-25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KR20110030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61A KR20110030524A (ko) 2011-02-25 2011-02-25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61A KR20110030524A (ko) 2011-02-25 2011-02-25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524A true KR20110030524A (ko) 2011-03-23

Family

ID=4393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461A KR20110030524A (ko) 2011-02-25 2011-02-25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5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179B1 (ko) * 2012-08-16 2014-01-10 주식회사 인퍼니 평판형 터치 게임장치
KR102088335B1 (ko) * 2019-04-01 2020-03-12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학습과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 현실 기반의 학습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354559B1 (ko) * 2021-08-24 2022-0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제어용 다종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179B1 (ko) * 2012-08-16 2014-01-10 주식회사 인퍼니 평판형 터치 게임장치
KR102088335B1 (ko) * 2019-04-01 2020-03-12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학습과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 현실 기반의 학습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354559B1 (ko) * 2021-08-24 2022-0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제어용 다종 인터페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442B2 (ja) オーディオゲーム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
US10201753B2 (en) Gaming machine and program thereof
US8959459B2 (en) Gesture sensing enhancement system for a wagering game
US9086732B2 (en) Gesture fusion
US20050208993A1 (en) Gaming machine and program thereof
US20040053661A1 (en) Wagering gaming device having simulated control of movement of game functional elements
KR101908745B1 (ko)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상의 항목을 비밀리에 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U2005202983A1 (en) Video game machine, video game machine server, and video game machine system
WO2007107874A2 (en) Interactive playmat
KR20110030524A (ko) 움직임 감지 센서를 장착한 발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업용 아케이드 오락게임기 에서의 음악재생 게임방법
US20080268932A1 (en) Gaming machine with a plurality of touch panels as an input device
JP2012183157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84203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6317049B1 (ja) 遊技機
JP200531894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2015008987A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100867400B1 (ko) 오디오 게임을 중계하기 위한 장치
KR1010418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재생 게임 방법
KR101162765B1 (ko) 슬롯머신용 버튼장치
JP4205109B2 (ja) サポート機能付ゲーム機
KR1009365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음악재생 게임 방법
KR20110012896A (ko) 2 이상의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재생 게임 방법
JP200915402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2006284861A (ja) 手書き学習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手書き学習支援装置
JP2015012912A (ja) ゲーム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