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422A -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422A
KR20110030422A KR1020107024939A KR20107024939A KR20110030422A KR 20110030422 A KR20110030422 A KR 20110030422A KR 1020107024939 A KR1020107024939 A KR 1020107024939A KR 20107024939 A KR20107024939 A KR 20107024939A KR 20110030422 A KR20110030422 A KR 20110030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sub picture
service stream
downscaled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스쥑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3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S2, S4),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S5), 및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 수단(3)으로 전송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 스트림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이 방법은,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S11),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단계(S12), 및 사전 정의된 또는 사용자 정의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장치(5) 및 수신 수단(3)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AND METHOD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의 전송 및 수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의 전송 및 수신 분야에서 부가의 서비스 및 응용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이라는 개념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환경에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송 스트림은 다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들(즉, 채널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및 보조 데이터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문자 다중 방송(teletext)의 형태로 또는 수신측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현재의 또는 장래의 방송 이벤트 또는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다른 오디오 스트림들이 전달되는지 여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이 HD(high definition)인지 SD(standard definition)인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다른 해상도를 갖는 부가의 서비스 스트림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전송 스트림 내에 넣어 전송하는 경우, 어떤 수신기들은, 서비스 비디오 스트림을 다운스케일링하여 축소된 크기의 동영상을 생성함으로써, 특정의 서비스로부터 부화면(sub picture)을 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에 의해, 수신기들은 현재 수신되는 이벤트의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IG(picture in guide) 보기(view)와 동시에 장래의 프로그램의 그리드 보기(grid view)를 생성할 수 있다.
비방송 환경(예를 들어, IPTV)에서의 이 방법의 단점은, 적어도 2개의 서비스 비디오 스트림들이 전체 크기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아주 많다는 것이다.
전체 크기의 비디오 영상이, 예를 들어, 뉴스, 스포츠 뉴스, 날씨, 기타를 동시에 보여주는 4개의 축소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는 소위 News Multiscreen 서비스가 BBC 방송으로부터 알려지게 되었다. 수신기 상에서 실행되는 MHEG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를 하이라이트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에 대한 적절한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단점은 News Multiscreen 서비스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기가 전송 스트림 레벨에서 축소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중 임의의 하나를 전체 크기 비디오로부터 분리시키는 유연성이 없다는 것이다. 흔히 사용되는 신호 유형은 DVB(digital video broadcast) 유형에 따른 스트림이다. DVB 전송 스트림은 MPEG-4/AVC 표준에 대응하는 H.264/AVC 표준에 따라 압축 및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비디오 코덱에 대해, 방송 TV, DSL을 통한 비디오 서비스, 실시간 대화 서비스, 즉 화상 회의 및 원격 비디오 감시와 같은 여러가지 응용들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의 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기능들(features) 및 응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문서 ETSI TS 101 154 V 1.8.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the Use of Video and Audio Coding in Broadcast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MPEG-2 Transport Stream[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MPEG-2 전송 스트림에 기초한 방송 응용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딩의 사용에 대한 규격]"는 MPEG-2 전송 스트림에 기초한 DVB 표준을 발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문서는 MPEG-2, VC-1 및 H.264/AVC 비디오 코덱에 따라 HD(high definition) 및 SD(standard definition) 비디오 스트림을 사용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이 문서는 몇가지 서로 다른 SD 해상도를 정의하고 있으며, 가장 낮은 SD 소스의 휘도 해상도가 50Hz 시스템에 대해서는 352 x 288이고, 60Hz 시스템에 대해서는 352 x 240이다. 이 문서는 부가의 서비스들 및 대응하는 응용들을 제공할 가능성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문서 ETSI EN 300 468 V1.9.1-"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SI) in DVB Systems[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정보(SI)에 대한 규격]"은 전송 스트림에 부가하여 상기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문서는 전송 스트림과 함께 전송되는 어떤 부가의 서비스 및 응용도 발표하고 있지 않다.
문서 ETSI TS 102 005 V1.3.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the Use of Video and Audio Coding in DVB Services delivered directly over IP Protocols[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P 프로토콜을 통해 직접 전달되는 DVB 서비스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딩의 사용에 대한 규격]"은 비디오가 점대점(point to point)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으로 헤드엔드(head-end)로부터 특정의 수신기로 전송되는 IP(Internet Protocol)를 통한 DVB의 사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IPTV에서는 점대점 전송으로 인해, 많은 서비스들을 동일한 전송 스트림 내에 함께 멀티플렉싱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한번에 단지 하나의 서비스만을 요청하기 때문이다. 이 문서는 따라서 부가의 서비스 또는 응용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의 서비스 및 응용을 제공하는 데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신 수단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은 하나의 서비스 스트림의 전송만이 제공되는 경우들에도 부가의 서비스 및 응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청구항 제9항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청구항 제18항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청구항 제19항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수단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downscaled sub picture service stream)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 스트림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사전 정의된 또는 사용자 정의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적어도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제공 수단,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싱 수단, 및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 스트림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수신 수단은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처리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처리 유닛에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을 포함하고, 전송 스트림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식별해주는 스트림 식별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에 관한 것이다.
유익한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이제부터,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수신기 수단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프로세스 단계들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의 프로세스 단계들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가능한 경우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5) 및 수신 수단(3)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1)의 개략 블록도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5)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9)를 통해 수신 수단(3)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방송 시스템(1)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이지만, 임의의 다른 현재의 또는 장래의 방송 표준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은 임의의 유형의 DVB 물리 계층, 즉 DVB-S, DVB-S2, DVB-C, DVB-C2, DVB-T, DVB-T2, DVB-H, DVB-IP 및/또는 DVB-SH를 포함하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의 표준에 따른 방송 시스템(1)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DVB 환경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ATSC, ARIB 또는 임의의 다른 현재의 또는 장래의 텔레비전 전송 표준과 같은 다른 방송 또는 IPTV 표준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제공자측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와, 선택적으로, 관련 신호 정보를 비롯한 서로 다른 텔레비전 신호 소스들이 제공된다. 제1 소스(7)는 임의의 네트워크(6)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5)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2 소스(8)는 직접 링크(direct link)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각각이 그의 동작 범위에 의해 정의된 각자의 방송 셀(broadcast cell)을 담당하는 안테나들(4)이 제공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5)는 안테나(4), 제1 소스(7) 및 제2 소스(8)로부터 전송된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5)에 포함된 제공 수단(51)에 의한 추가적인 처리 및 전송을 위해 다른 소스들로부터 수신된 다른 채널들, 프로그램들 및/또는 서비스들이 제공된다. 즉, 제공 수단(51)은 다른 소스들로부터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을 추가의 처리 및/또는 전송을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5)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제공한다. 그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소스들로부터의 서비스 스트림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 장치(5)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스트림들을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멀티플렉싱 수단(5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스트림은 이어서 송신기(54)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으로서 전송된다. 제공 수단(51)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스트림을 저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하여 다운스케일링된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다운스케일링 수단(downscaling means)(52)이 제공 수단(51)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다운스케일링된 서비스 스트림을 얻기 위해, 몇가지 가능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5)는 이미 다운스케일링되어 있는(readily downscaled) 서비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서비스 스트림은 이어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제공 수단(51)에 의해, 예를 들어, 멀티플렉싱 수단(53)에 바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1의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치(5)에 의한 추가적인 다운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가능한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5)는 부분적으로 다운스케일링되어 있는(partly downscaled) 서비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서비스 스트림은 이어서 추가적인 다운스케일링을 위해 제공 수단(51)에 의해 다운스케일링 수단(52)에, 그 후에 멀티플렉싱 수단(53)에 제공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공 수단(51)은, 전체적인 다운스케일링 절차가 다운스케일링 수단(52)에 의해 수행되도록, 미처리된 서비스 스트림을 다운스케일링 수단(52)에 제공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제공 수단(51)은, 곧바로 또는 어떤 처리 단계들 후에,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주된 요지에 따르면, 저해상도를 갖고 전송 스트림 및 다른 스트림들(있는 경우)로부터 분리가능하며 또 수신측에서 전송 스트림 및 다른 스트림들과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전송 스트림 내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은 앞서 언급한 BBC News Multiscreen의 스트림들과 다르다. BBC News Multiscreen에서는, 축소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송 스트림 레벨에서 전체 크기 비디오로부터 분리할 수 없으며, 따라서 각각의 축소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가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부화면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으로서 수신 수단(3)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은 주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며, 주 서비스 스트림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 또 주 서비스 스트림과 독립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수신측에서 부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주 스트림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스트림이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으로서 수신 수단(3)으로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에서 부화면을 제공하는 아주 간단한 방식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전송 스트림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은, 예를 들어, DVB 또는 다른 텔레비전 전송 표준들에 의해 정의된 MPEG-2 전송 스트림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기화, 기타 등등의 MPEG-2 전송 스트림의 이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다른 현재의 또는 장래의 유형의 전송 스트림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중요한 이점은 다운스케일링이 제공자측(2)에서 수행된다는 것이다. 즉, 부화면이 서비스 제공 장치(5)에 의해 또는 심지어 서비스 제공 장치(5) 이전에 이미 준비되어 다운스케일링되어 있는 사전-렌더링된, 다운스케일링된 버전의 서비스들이다. 이것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에 부가하여, 보통 단지 하나의 서비스 스트림이 전송되는 IPTV 환경의 분야에서, 이것은 부화면 및 부가의 응용들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다른 스트림들(있는 경우)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수신측에서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의할 점은, 다운스케일링이 꼭 서비스 제공 장치(5)에 의해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5)가, 소스들(4, 7, 8) 중 임의의 소스로부터, 이미 또는 부분적으로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을 수신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어느 경우든지, 다운스케일링, 즉 부화면 형식을 갖는 스트림을 제공하는 것이 스트림들을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기 전에 수행될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9)는 어떤 유형이라고 될 수 있다, 즉 임의의 현재의 또는 장래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유형에 따른 무선 또는 유선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 즉 전송 스트림이 DVB(digital video broadcast) 유형이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송 스트림이 DVB-IP 유형이다, 즉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이 인터넷을 통해 IP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되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치는 IP 트래픽을, 문서 ETSI TS 102 005 V1.3.1에 정의된 IP를 통한 DVB 서비스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딩을 사용하기 위해 DVB 규격에 따라 텔레비전 신호의 스트림 내에 포함시킬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송 스트림 및 주 스트림이 MPEG-2 시스템 표준에 따라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다른 현재의 또는 장래의 서비스 스트림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표준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 주 스트림이 또한 제공된다.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스트림은 주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다. 이는, 주 스트림이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 경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SDTV 형식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에 대한 코덱으로서, H.264/AVC (MPEG-4 part 10) 표준이 사용되지만, 임의의 다른 표준 코덱들, 예를 들어, MPEG 1, MPEG 2, MPEG 4 part 2 또는 임의의 다른 현재의 또는 장래의 표준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H.264/AVC 표준이 사용되는 경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스트림의 형식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라인 프로파일, 레벨 1.3(baseline profile, level 1.3)이다. 이 경우에, 부화면의 비디오 해상도는 128 x 96 (SQCIF), 176 x 144 (QCIF), 320 x 240 (QVGA), 352 x 240 (525 SIF) 또는 352 x 288 (CIF), 또는 주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고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임의의 다른 해상도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현재, DVB-SI 표준은 SD 형식보다 낮은 해상도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시키는 것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25Hz 및 30Hz에서 4:3 및 16:9 종횡비를 갖는, H.264/AVC 부화면 비디오 및 H.264/AVC 부화면 비디오의 성분 유형들에 대해 또한 이와 유사하게 다른 비디오 코덱들을 사용하는 부화면 스트림들에 대해 새로운 스트림 콘텐츠 유형을 정의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주 스트림 없이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에,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가 SD(standard definition) 형식에 따른 해상도 또는 SD 형식보다 낮은 해상도, 예를 들어, 상기한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은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저해상도"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를 말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만이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저해상도"라는 용어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와 같은 해상도 및/또는 그보다 낮은 해상도를 말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에 부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이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는 주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다. 구체적으로는, 주 서비스 스트림이 SD 형식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는 SD 형식의 해상도보다 낮다. 그렇지 않고 주 서비스 스트림이 HD(high definition) 형식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 경우,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는 SD 형식의 해상도와 같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은 최대 해상도로서 SD 형식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다.
SD 형식은 25Hz 시스템에 대해 720 x 576 또는 30Hz 시스템에 대해 720 x 480의 최대 해상도를 의미하고, 마찬가지로 HD의 경우는 양 시스템에 대해 1920 x 1080의 최대 해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흔히 이해된다. SD에 대한 최소 해상도는 DVB 또는 다른 전송 서비스들에서 352 x 288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해상도 값들보다 낮은 SD 해상도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은 비디오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연관된 오디오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원하는 응용에 따라, 제공 수단(51)은 연관된 오디오를 갖지 않거나 갖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즉각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다운스케일링 수단(52)이 제공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다운스케일링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부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데이터가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부화면 서비스에 대한 DVB의 경우에, 문서 ETSI EN 300 468 V1.9.1에 정의된 서비스 유형들에 추가된 새로운 서비스 유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 코덱 부화면 서비스(advanced codec sub picture service)"를 의미하는 0x1C가 제공될 수 있다. 그로써, 부화면 서비스가 다른 비디오 서비스들과 멀티플렉싱될 수 있도록, 부화면 스트림 콘텐츠에 대한 단일 또는 다중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이 채택될 수 있다. 보통의 비디오 서비스와 같이, 부화면 서비스가, 예를 들어, 적절한 자막 및 문자 다중 방송의 경우, 하나 이상의 부속 오디오 스트림 및 다른 연관된 스트림들을 가질 수 있지만, 부속 오디오 및/또는 다른 스트림들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5)는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이 전송될 사용자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특정의 요청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청들은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수 및/또는 유형, 주 서비스 스트림 및/또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특정의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5)는 이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는 서비스 스트림들을 조정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5)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 단계들의 개요가 도 2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프로세스는 단계(S0)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소스들(4, 7, 8)로부터 몇개의 서비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단계(S1)에서, 제공 수단(51)은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한다. 병렬 단계(S2)에서, 제공 수단(51)은 소스들(4, 7, 8) 중 임의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병렬 단계(S3)에서, 제공 수단(51)은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고, 이 서비스 스트림이, 그 다음 단계(S4)에서, 다운스케일링 수단(53)에 의해 저해상도로, 즉 주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로 또는 SD 형식에 따른 또는 그보다 낮은 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된다. 어느 경우든지, 제공 수단(51)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한다.
유의할 점은, 상기한 병렬 단계들 모두가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즉, 독립적인(stand alone)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단계(S1)이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스들(4, 7, 8)에 의해 수신되는 서비스 스트림들에 따라, S2만 또는 S3 및 S4만이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2개 이상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과, 또한 선택적으로, 2개 이상의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한 병렬 처리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몇번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에서, 멀티플렉싱 수단(53)은 하나 이상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주 서비스 스트림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고, 이 전송 스트림은 이어서 단계(S6)에서 송신기(54)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으로서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9)를 통해 수신 수단(3)으로 전송된다. 이는 멀티플렉싱 수단(53)이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스는 단계(S7)에서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수신 수단(3)과 관련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응용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수신 수단(3)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1)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수신 수단(3)은 프로그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2)와, 선택적으로, 수신된 신호 스트림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수신기(11)는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처리하는 처리 수단(19)을 더 포함한다.
유의할 점은, 다른 유형의 수신 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 유형의 수신 수단(3)은 상기한 구성요소들 전부를 하나의 장치에, 즉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에 포함하고 있다. 다른 경우들에, 수신기(11)는 별도의 장치로서, 예를 들어, 셋톱 박스(STB)로서 제공될 수 있다. STB는, 예를 들어, IPTV 환경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의 전송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수단(3)이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어떻게든 현재의 또는 장래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 유형들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 비디오 서비스 수신기 장치들은 점차적으로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은, 부가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해 또는 독립적인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을 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수신 수단(3)의 새로운 응용 및 현재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의 확장에 기초한 몇가지 응용들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수단(3)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기(11)를 통해 수신하고 또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처리 수단(19)에서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적어도 수신되어 처리된,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이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수단(3)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단계들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프로세스는 단계(S10)에서 시작된다. 제1 단계(S11)에서, 수신기(11)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 즉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그 다음 단계(S12)에서, 처리 수단(19)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할 것이다. 즉, 하나 이상의 주 서비스 스트림들 및/또는 추가적인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추가적인 스트림들도 역시 분리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1)가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 처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다른 기능들(즉, 디코딩, 기타 등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게다가,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서로 다른 스트림들을 식별해주는 스트림 식별 데이터도 역시 수신기(11)에 의해 분리되어 분석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13)에서, 수신된 서비스 스트림들 중 임의의 서비스 스트림의 저장이 제공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저장이 제공되는 경우, 단계(S14)에서, 수신된 서비스 스트림들 중 하나 또는 그 전부가 나중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저장 장치(13)에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S15)에서,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거나 요청되는 경우, 수신 수단(3)은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검사할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계속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 다음 단계(S16)에서, 적어도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로세스는 단계(S17)에서 종료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은 디스플레이 상에 몇개의 수신된 서비스 스트림들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및 수신된 서비스 스트림들이 디스플레이(12) 상에 어느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의 규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 및/또는 주 스트림들의 크기, 형상, 위치, 수 및/또는 해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라미터들은 수신 수단(3)의 판매업자측에서 수신 수단(3)에 대해 이미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입력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그에 부가하여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전송 스트림에 넣어 전송되는 관련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5)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비디오 창 기술자 위치 결정 정보(video window descriptor positioning information)도 전송 스트림과 함께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면, 수신기측에서, 디코딩/디스플레이 프로세스는 적어도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을 디멀티플렉싱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수신된 창 기술자 위치 결정 정보에 따라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이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된 스트림의 수, 해상도, 크기, 위치 및/또는 형상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이 파라미터들은 수신 수단(3)의 설정 내의 사전 정의된 파라미터들, 전송 스트림에서 제안된 사전 정의된 파라미터들일 수 있거나, 사용자 정의된 파라미터들 또는 상기한 가능한 경우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응용 제공자가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위치에 부화면 비디오를 위치시키고 및/또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의 형상, 크기, 해상도 및 수를 나타내는 설정을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응용 환경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가능한 방법은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선택가능한 IPTV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IPTV 사용자 터미널, 즉 수신 수단(3)은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원하는 서비스들 및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서비스는 콘텐츠를 어떤 해상도만으로, 어쩌면 부화면 형식만으로 제공한다. 이 응용은 앞서 기술한 전송 방식들에 기초할 수 있거나, 다른 대안으로서, 오디오비쥬얼 서비스가 다수의 버전들, 예를 들어, HD, SD 및 SP(sub picture)로 제공되는 DVB-IP SD&S 표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주 서비스 스트림 상에 중첩되는 부화면으로서 SP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요청하는 옵션과 함께 사용자에게 각자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서비스 선택 프로토콜은 파라미터, 예를 들어, HD, SD 또는 SP를 선택하는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 수신 수단(3)의 디스플레이(12)가 HD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SD 및 SP 해상도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수신된 서비스 스트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여러가지 가능한 경우들이 제공될 것이다. 이로써, 서비스 스트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도 4a는 주 서비스 스트림(14)이 디스플레이(12) 전체에, 즉 전체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주 서비스 스트림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 부화면(15)에 보여지고, 디스플레이(12) 전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부화면에, 예를 들어, 주 서비스 스트림과 겹치는 디스플레이(12)의 코너에 보여진다. 따라서, 도 4a에는, 주 서비스 스트림이 디스플레이(12) 전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15)이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응용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의할 점은, 부화면(15)의 위치 및 형상이 도시된 응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가능한 위치, 해상도, 크기 및/또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 스트림은 주 서비스 스트림,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 그리고 그에 부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 경우에, 주 서비스 스트림(14)이 디스플레이(12) 전체 상에, 즉 전체 화면 모드로 보여질 수 있고, 2개 이상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15 및 16a)이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부화면들에 보여질 수 있다. 또다시 유의할 점은, 도 4b에 나타낸 일례가 보여진 부화면들의 수, 크기, 해상도, 형상 및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4c에, 추가적인 가능한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에,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16b)만이 디스플레이 전체 상에, 즉 전체 화면 모드로 보여지고 있다. 이는, 부화면 스트림만이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도록, 수신기(11) 및 관련 처리 수단(19)이 수신된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스트림의 해상도를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부화면 스트림이 디스플레이 일부 또는 디스플레이 전체 상에 보여질 수 있지만, 어느 경우든지, 어떤 추가적인 주 스트림 또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즉, 이 경우에,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연관된 주 서비스 스트림 없이 독립적인 스트림으로서 전송 스트림에 넣어 전송되었을 수 있거나, 주 스트림 서비스가 수신되었지만 단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4d에, 몇개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일례에서, 4개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수신된 추가적인 응용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몇개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디스플레이(12) 상의 몇개의 부화면들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응용에서, 몇개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의 모자이크식 디스플레이(mosaic display)가 제공될 수 있다. DVB 표준에 따른 전송의 경우에, 이미 준비된 모자이크 기술자(mosaic descript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코딩된 비디오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 비디오 영상들의 모음을 제공한다. 각각의 특정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12)의 작은 영역에 나타나도록,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가지 가능한 응용들 및 특징들에 대해 더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여러 응용들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전송에 의해, PIP(picture in picture) 디스플레이를 위한 저해상도 및 저대역폭 버전의 TV 프로그램들 또는 기타 비디오 서비스들[현재 보고 있는 주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되거나, EPG, 대화 메뉴, 기타와 같은 어떤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asset) 내에 임베딩되어 있음]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또는 특정의 스트림을 고해상도(예를 들어, SD 또는 HD)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이러한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용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로써,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특정의 방식으로 주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주 서비스 스트림(21)이 특정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을 수 있다. 제1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20a)은 주 서비스 스트림에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위치로부터의 라이브 웹캠 피드(live webcam feed)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20b)은 청각 장애 시청자들을 위한 수화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수신 수단(3)은, 웹캡 서비스 스트림(20a)과 함께 또는 그 대신에, 이 스트림(20b)을 디스플레이(12) 상의 주 서비스 스트림 상에 중첩시킨다.
추가적인 가능한 경우는 실제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주 서비스 스트림에 대한 별도의 오디오-비디오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개개의 양방향 대화 통신으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피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에서, 예를 들어, 이벤트(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의 대안의 카메라 각도 또는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20a, 20b ... 20e)이 주 서비스 스트림(21)과 다른 카메라 각도 또는 시점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일례에서, 주 서비스 스트림(21)에 자동차 경주가 보여지고 있고,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20a, 20b ... 20e)에 서로 다른 카메라 각도 및/또는 시점이 제공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청자는 이벤트를 즐기는 데 있어서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주 비디오 스트림(21)이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20a, 20b, .... 20e)을 전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어서 특정의 수 및/또는 유형의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을 요청하는 요청들(22)을 서비스 제공 장치(5)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될 하나의 카메라 각도를 선택하는 종래 기술과 다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들 및 응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주된 요지에 속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들 및/또는 응용들 전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현재의 또는 장래의 전송 시스템들 및 표준들을 채택하는 모든 응용들을 포함한다. 유의할 점은, 상기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 특징들 및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서로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0)

  1.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S2, S4),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S5), 및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 수단(3)으로 전송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가,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S3), 및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를 저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VB(digital video broadcast) 유형, 바람직하게는 DVB-IPTV 유형의 전송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지 비디오만을 포함하는 스트림 또는 비디오 및 관련 오디오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부화면 스트림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들의 유형 및/또는 수를 선택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EG-1, MPEG-2, MPEG-4 part 2 또는 H.264/AVC 표준에 따라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을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S1),
    상기 주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MPEG-2 표준에 따른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표준에 따른 해상도를 갖는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전송 스트림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이,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S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단계(S12), 및
    사전 정의된 또는 사용자 정의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트림에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 및 상기 주 서비스 스트림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서비스 스트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단계(S12)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전체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만을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부가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서비스 스트림을 전체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제1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제1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12)의 일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스트림들의 수, 위치, 해상도, 형상 및/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검사하고 상기 분리된 서비스 스트림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응용으로부터의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5)로서,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제공 수단(51),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S4)하는 멀티플렉싱 수단(53), 및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 수단(3)으로 전송(S5)하는 송신기(54)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9.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수단(3)으로서,
    전송 스트림에는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이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수신 수단이,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기(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분리시키는 처리 유닛(19), 및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처리 유닛(19)에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수신 수단.
  20.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10)으로서,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형식의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은 해상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스트림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케일링된 부화면 서비스 스트림을 식별해주는 스트림 식별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
KR1020107024939A 2008-05-06 2009-04-15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KR20110030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5731A EP2117231A1 (en) 2008-05-06 2008-05-06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and method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EP08155731.6 2008-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422A true KR20110030422A (ko) 2011-03-23

Family

ID=3968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939A KR20110030422A (ko) 2008-05-06 2009-04-15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93911A1 (ko)
EP (1) EP2117231A1 (ko)
KR (1) KR20110030422A (ko)
CN (1) CN102017644B (ko)
WO (1) WO2009135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527B1 (ko) 2009-09-22 2016-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소스들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129823A (ko) * 2010-05-26 2011-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403236B1 (en) * 2010-06-29 2013-12-11 Stockholms Universitet Holding AB Mobile video mixing system
IT1403450B1 (it) * 2011-01-19 2013-10-17 Sisvel S P A Flusso video costituito da frame video combinati, e procedimento e dispositivi per la sua generazione, trasmissione, ricezione e riproduzione
US20120254933A1 (en) * 2011-03-31 2012-10-04 Hunt Electronic Co., Ltd. Network video server and video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7639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833583B (zh) * 2012-07-27 2015-07-01 北京视博云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的处理方法及装置
CN102843606A (zh) * 2012-08-07 2012-12-26 华为终端有限公司 马赛克业务的实现方法、设备及系统
JP2014238537A (ja) * 2013-06-10 2014-12-1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伝送システム及び映像伝送方法
US9271048B2 (en) 2013-12-13 2016-02-23 The Directv Grou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CN104185033B (zh) * 2014-08-08 2018-05-29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多画面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4320563A (zh) * 2014-10-23 2015-01-28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系统
US20160127790A1 (en) * 2014-11-05 2016-05-05 Sony Corporation Provision of a video mosaic service
KR20170006576A (ko) *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WO2018155670A1 (ja) * 2017-02-27 2018-08-3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画像配信方法、画像表示方法、画像配信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0118492A1 (zh) * 2018-12-10 2020-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流传输方法和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595B2 (ja) * 1995-07-21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WO1998056176A1 (en) * 1997-06-03 1998-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avigating through television programs
US6204887B1 (en) 1998-12-11 2001-03-20 Hitachi Americ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multiple images using a common processor
JP4401721B2 (ja) * 2002-09-26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受信装置
US7829069B2 (en) 2002-10-15 2010-11-09 Yoram Fishman Hai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40150750A1 (en) * 2003-01-31 2004-08-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isual information
US20040163126A1 (en) * 2003-01-31 2004-08-19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computer data stream to a video appliance with a network interface device
US20040150748A1 (en) * 2003-01-31 2004-08-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picture-in-picture signals
US20040150751A1 (en) * 2003-01-31 2004-08-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picture-in-picture signals
US20040150749A1 (en) * 2003-01-31 2004-08-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data over video
US7187418B2 (en) * 2003-01-31 2007-03-06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icture-in-picture signals at diverse compressions and bandwidths
US20040184523A1 (en) * 2003-02-25 2004-09-23 Dawson Thomas Patric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duced bandwidth for picture in picture video transmissions
US7133051B2 (en) * 2003-09-19 2006-11-07 Microsoft Corporation Full scale video with overlai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caled image
JP4408845B2 (ja) * 2005-07-27 2010-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54652B1 (ko) * 2006-02-0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8132208B2 (en) * 2006-02-10 2012-03-06 Cox Communications, Inc. Presenting a television services program guide information as a video mosaic
KR20090030278A (ko) * 2006-06-30 2009-03-24 톰슨 라이센싱 케이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화된 모자이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7644B (zh) 2014-07-02
WO2009135585A1 (en) 2009-11-12
US20110093911A1 (en) 2011-04-21
CN102017644A (zh) 2011-04-13
EP2117231A1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0422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US20180115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broadcast signal for panorama service
US100914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EP18394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9036700B2 (en) Simulcast of stereoviews for 3D TV
EP1971142B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KR1008944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9998B1 (ko)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EP1879382B1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35650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기
US86401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ent-side compositing of video streams
US20080267589A1 (en) Television bandwidth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205343A1 (en) Method & Apparatus for an Enhanced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US20140223502A1 (en) Method of Operating an IP Client
KR20140004069A (ko) 3d (3-dimentional)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9479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information using reserved channels
US20080069521A1 (en) Broadcast system, and its distribu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080055488A1 (en) Video channel changing
US20120008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channel change between programs utilizing a single decoder to concurrently decode multiple programs
KR20170130883A (ko) 하이브리드 망 기반의 가상 현실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07531B1 (ko)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포함한 실시간 방송 편성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111707A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application
US2013011153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ulti-view contents
KR101085392B1 (ko) 분기 방송 방법 및 수신 방법과 그 분기방송을 위한 송신 및 수신장치
EP2053864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TV signals to an end-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