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393A -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393A
KR20110030393A KR20100090973A KR20100090973A KR20110030393A KR 20110030393 A KR20110030393 A KR 20110030393A KR 20100090973 A KR20100090973 A KR 20100090973A KR 20100090973 A KR20100090973 A KR 20100090973A KR 20110030393 A KR20110030393 A KR 2011003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resource
interferenc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757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드레베스
마르쿠스 도미니크 무에크
벤 수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가 제공되었다. 이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허용 결정기와,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할당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펨토-셀(FC; Femto Cell) 또는 펨토-셀 기지국(FC BS)은 가까운 미래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운영자로 하여금 CAPEX(Capital expenditures) 및 OPEX(Operational expenditure)를 사용자에게 오프로딩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펨토-셀 기지국(FC-BS)을 구매함으로써 기지국(BS) 장비 획득에 기여할 수 있으며 에너지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운영 비용에 기여할 것이다. 기술적 측면에서, 이러한 배치(deployment)는 3GPP LTE(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3GPP LTE-Advanced, IEEE 802.16m 등에서 가능한 초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 퍼텐셜을 활용하고 작은 셀들이 제공되어야 하는 동시에 관련된 BS 및 UE(사용자 장비)의 출력 파워를 적당히 낮게 유지하도록, 넓은 스펙트럼을 차지하는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체 도면들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면들은 반드시 실제 축적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강조되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치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매니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배치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 및 리소스 소자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실시예에 따라 간섭(interference)을 용납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의 프레임워크 내의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실시예에 따라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을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실시예에 따라 간섭을 용납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실시예에 따라 제어된 레벨의 간섭을 용납하는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추가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새롭게 진입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활성화와 간섭 감소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스위칭-오프하는 식별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20은 3GPP LTE에 대한 프레임 구조 타입 2(TDD(시간 할당 듀플렉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실시예에 따라 개별 반송파와 개별 무선 리소스의 할당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펨토-셀 기지국이 서로 근접하게 동작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무선 리소스가 펨토-셀 기지국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간섭이 수용가능하거나 허용되는 펨토-셀 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간섭이 엄격히 방지되어야만 하는 펨토-셀 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다. 구현에서, 무선 리소스는 간섭이 해당 펨토-셀 기지국에 대해 허용되는지 아닌지 여부에 기초하여 각 펨토-셀 기지국으로 할당될 수 있다. 구현에서, 간섭을 허용하는 펨토-셀 기지국에 있어서, 펨토-셀 기지국들 간의 통신에서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오버랩된 무선 리소스들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리소스의 전체적으로 더 우수한 사용을 나타낼 수 있다. 구현에서, 간섭이 엄격히 방지되어야만 하는 펨토-셀 기지국에 대해서는 각 펨토-셀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가 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펨토-셀 기지국이 간섭 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한 세부사항 및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상단", "바닥", "앞", "뒤", "앞의", "뒤의"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도면(들)이 기술된 배향을 참조로 하여 사용되었다.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이 다수의 서로 다른 배향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며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구조적, 논리적 및 전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는 반드시 서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 실시예들은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된다.
"예시적인"이라는 표현은 "예, 사례, 또는 실례로서의 역할을 하는"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적으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는 반드시 해당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보다 바람직하거나 우수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MD)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임의의 유형의 이동 전화기, PDA, 이동 컴퓨터, 또는 이동 통신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위해 구성되며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되는 그외의 이동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펨토-셀 기지국 또는 홈 NodeB 기지국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IEEE 802.16m에 따르는 개선된 기지국(advanced BS, ABS) 및 개선된 이동국(advanced MS, AMS)이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이 수행될 때 사용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는 예컨대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예컨대 PROM, EPROM,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예컨대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 전하 트랩핑 메모리, MRAM 또는 PCRAM과 같은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이 수행될 때 사용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는 예컨대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예컨대 PROM, EPROM,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예컨대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 전하 트랩핑 메모리, MRAM 또는 PCRAM과 같은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는 메모리,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전용 회로일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로직 구현 엔티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CISC) 프로세서 또는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RISC)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회로 또는 하드와이어 로직 회로일 수 있다. "회로"는 또한 예컨대 Java와 같은 가상 머신 코드를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기술될 각 기능을 갖는 다른 유형의 구현물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커플링" 또는 "접속"이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접속" 뿐 아니라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간접적인 "접속"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통신 규정 층의 일부를 구현하도록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의 조각을 포함하는 것이다. "프로토콜"은 물리적 층(층 1), 데이터 링크 층(층 2), 네트워크 층(층 3), 또는 전술된 층의 임의의 다른 서브-층 또는 임의의 상위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홈 NodeB, 홈 (e)NodeB와 같은 홈 기지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에서, "홈 NodeB"는 주거 환경 또는 기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셀룰러 이동 무선 기지국의 트리밍-다운된(trimmed-down) 버전으로서 3GPP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수의 예시에서, "홈 기지국(Home Base Station)", "홈 NodeB(Home NodeB)", "홈 eNodeB(Home eNodeB)", "펨토-셀", "펨토-셀 기지국"은 동일한 논리적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며, 명세서 전반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FC-BS는 3GPP 표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지만, 예컨대 IEEE 802.16m과 같은 임의의 다른 이동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소위 "홈 기지국" 컨셉은 셀룰러 호출을 가정에서 수신하고 개시하며, 매크로 네트워크 아키텍처(리거시 NodeB 또는 E-NodeB의 각각)를 바이패싱하여 운영자의 코어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광대역 접속(전형적으로 DSL, 케이블 모뎀 또는 광섬유), 즉 리거시 UTRAN 또는 E-UTRAN 각각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펨토-셀은 고객에게 값비싼 듀얼-모드 핸드셋 또는 UMA 디바이스로 업그레이드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현존하는 핸드셋과 미래의 핸드셋 모두와 동작할 수 있다.
고객의 측면에서, "홈 NodeB"는 사용자에게 가정 또는 그 외의 장소에서의 모든 호출에 대한 내장 개인 폰북(built-in persol phonebook)을 포함하는 단일 이동 핸드셋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있어서 오직 하나의 계약과 청구서만이 존재한다. 또한, "홈 NodeB"를 제공함으로써 실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증가하며 트래픽 처리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핸드셋과 "홈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 품질이 핸드셋과 리거시 "NodeB" 사이의 링크보다 훨씬 좋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 NodeB"로의 접속은 오직 근접한 사용자 그룹에 대해서만 허용될 수 있으며, 즉 통신 서비스 제공이 특정한 기업의 직원 또는 가족 구성원으로, 일반적으로는 가까운 사용자 그룹의 멤버들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홈 기지국"은 3GPP에서 "CSG 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로 지칭될 수 있다. CSG 셀임을 나타내는 이동 무선 셀은 자신의 CSG 아이덴티티를 이동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예컨대, UE)로 제공해야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무선 셀의 CSG 아이덴티티가 예컨대 이동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의 CSG 화이트 리스트(이동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 또는 특정한 이동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에서 사용되는 것이 허용되었음을 이동 무선 셀에게 표시하는 관련된 스마트 카드 내에서 관리되는 CSG 아이덴티티의 리스트)에 나열되어 있다면, 이러한 이동 무선 셀은 오직 이동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에만 적합해야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홈 기지국은 고정된 라인(예컨대, DSL)을 통해 이동 무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이동 무선 매크로 셀에 무선 접속되는 소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는 리거시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빌딩 내에서의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고 사용자당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근접 모드 홈 기지국은 소위 CSG에만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CSG의 예는 가족 또는 기업의 일부 또는 전체 직원일 수 있다.
"펨토-셀" 엔티티 또는 "홈 기지국" 엔티티가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박스형이며 사용자의 물리적인 제어를 받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MNO(이동통신망 사업자)의 영역을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장소에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이러한 엔티티를 자신의 집에서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지만 예컨대 사업차 출장의 경우와 같이 그가 집을 떠날 경우에는 호텔에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홈 NodeB"는 오직 임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밤 사이에 이를 동작하길 원치 않거나 그의 집을 떠날 경우에 시간에 따라 스위칭온 및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및 방법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가 제공되었다.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특성들은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들이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확성을 위해서 이러한 특성들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치 시나리오(100)를 도시한다. 시나리오(100)에서, 다수의 방(104, 106, 108, 110, 112)(일반적으로는 빌딩의 다수의 일부분)을 구비하는 빌딩(102)이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각각의 방에(일반적으로는 빌딩의 각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4)는 제 1 방(104)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6)는 제 2 방(106)에 제공될 수 있다.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8)는 제 3 방(108)에 제공될 수 있다.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는 제 4 방(1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2)는 제 5 방(112)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방에서는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MD) 등의 추가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동작될 수 있다. 제 1 방(104)에서는 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124)가 동작될 수 있다. 제 2 방(106)에서는 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126) 및 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128)가 동작될 수 있다. 제 3 방(108)에서는 제 9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가 동작될 수 있다. 제 4 방(110)에서는 제 10 무선 통신 디바이스(132)가 동작될 수 있다. 제 5 방(112)에서는 제 11 무선 통신 디바이스(134), 제 12 무선 통신 디바이스(136) 및 제 13 무선 통신 디바이스(138)가 동작될 수 있다. 레거시(legacy) 무선 기지국과 같은 매크로 셀 기지국 등의 무선 기지국은 빌딩(102)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이 가정 또는 사무실 배치 시나리오에서 존재할 수 있는 배치를 도시하였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의 애플리케이션이 이러한 시나리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어떠한 장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펨토-셀(FC) 또는 펨토-셀 기지국(FC BS)은 가까운 미래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운영자로 하여금 CAPEX 및 OPEX를 사용자에게 오프로딩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펨토-셀 기지국(FC-BS)을 구매함으로써 기지국(BS) 장비 획득에 기여할 수 있으며 에너지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운영 비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3GPP LTE, 3GPP LTE-Advanced, IEEE 802.16m 등에서 가능한 초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 퍼텐셜을 활용하고 작은 셀들이 제공될 수 있는 동시에 관련 BS 및 UE(사용자 장비)의 출력 파워를 유지하도록, 넓은 스펙트럼을 차지하는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인구가 밀집한 장소에서는 다수의 FC-BS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층 빌딩에서 개인 소유의 플랫과 같이) 한집당 하나의 FC-BS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만약 각 FC-BS가 전체 셀룰러 대역을 제어하고 있다면,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이 매우 불충분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한된 스펙트럼의 상황은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HRRM) 접근법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HRRM 접근법 3GPP LTE,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각 FC-BS와 같은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업링크/다운링크를 위해 이용가능한 데이터 슬롯의 서브-세트가 할당될 수 있다. 예로서 FC-BS와 같은 이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부착된 UE로의 무선 리소스 할당은 주어진 서브-세트 내에서의 동작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펨토-셀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이용가능한 장소들에서 미세하게 분할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FC-BS)에 대한 간섭 관리용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슨 통신 디바이스는 FC-BS 또는 UE로서, 즉 듀얼 모드 FC-BS/UE로서 동작될 수 있고,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HRRM)가 이러한 듀얼 모드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집적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다수의 FC-BS와 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밀집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스펙트럼 할당이 제공될 수 있다.
밀집하게 배치된 다수의 FC-BS에서 FC-BS로의 스펙트럼 할당을 위해 흔히 두 가지 접근법이 고려된다:
1)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또는 간섭의 결과적인 레벨을 최소화하지 않고)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이 FC-BS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파워 레벨을 적응시킬 수 있으며, 즉 펨토-셀 커버리지를 감소시킨다;
2) 충분한 스펙트럼이 이용가능한 한 FC-BS 사이에서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의 공유가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채널이 하나의 FC-BS에 대해 전용화될 수 있다.
상기 두 접근법에서, 매우 밀집한 FC-BS 배치의 측면에서, 파워 레벨 적응은 매우 제한적인 FC-BS의 커버리지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근처의 사용자 디바이스조차도 낮은 스펙트럼 효율 모드에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낮은 QoS(서비스 품질)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FC-BS 사이에서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접근법은 다수의 FC-BS가 배치된 경우에 본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각 FC-BS가 20MHz 대역폭에 이르는 전체 채널을 획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다수의 실시예에서,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HRRM) 접근법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FC-BS 및 UE로서 동작할 수 있는 듀얼 모드에 대한 아키텍처로의 HRRM 집적화가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HRRM 유닛을 FC-BS 및 UE로서 동작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디바이스에 대한 아키텍처로 집적화하는 것이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FC-BS와 같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리소스의 최적의 분배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으며, 부분적 제어 간섭 레벨 없이 또는 부분적 제어 간섭 레벨을 가지고 리소스 분배가 허용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솔루션에 비교하여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보다 우수한 사용을 나타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새로운 FC-BS과 같은 새로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예컨대 FC-BS 프레임워크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프레임워크로 추가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새롭게 진입시키기 위해 적합한 리소스를 식별하는 효율적인 프로세스가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FC-BS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예컨대 FC-BS 프레임워크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프레임워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자유화된 리소스를 재분배하기 위한 효율적인 프로세스가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리소스 관리(RRM) 기능들을 듀얼 모드 FC-BS/UE 디바이스로 집적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제조자로 하여금 UE SDR 아키텍처를 활용하는 듀얼 모드 FC-BS/UE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를 도시한다.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20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결정기(204) 및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2), 간섭 허용 결정기(204) 및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예컨대 케이블 또는 컴퓨터 버스와 같은 전기 접속(208)를 통해 또는 전기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기 접속부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현재 상황에 따라서 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결정한다는 것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고정된 할당의 결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결정기(204)는 현재의 무선 콘택스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현재의 무선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202)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결정기(2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간섭 허용 결정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의 간섭은 해당 신호 전송이 다른 전송과의 간섭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간섭 허용 결정기(2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간섭 허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즉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QoS(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요청을 만족시키는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 내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1) 간섭을 도입하지 않고 QoS 요구가 만족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2) 간섭을 도입하지 않는 것에 대한 솔루션이 발견될 수 있다면 상응하는 리소스 할당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상응하는 시스템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레벨의 간섭을 나타내는 리소스 할당이 사용될 수 있고, 3) 만약 FC-BS가 시스템을 떠나면, 상응하는 비사용 리소스 소자가 재분배될 수 있고 -이는 리소스 할당 및 이전의 간섭에 대한 완전한 재고려를 나타낼 수 있다- 보급 시스템은 간섭이 (거의) 없어질 수 있으며, 4) 만약 리소스가 일부 FC-BS 변경을 요구하면, FC-BS에 대한 전체 할당 또한 고려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interference)"은 전형적인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간섭"과는 다른 것임을 인지해야 한다. 현존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인터-셀 간섭은 셀들이 이웃하고 신호가 다소 오버랩되어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결과적인 간섭 레벨은 낮을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실시예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의 유형이 아닐 수 있으며, 매우 밀집한 (전형적으로 무질서한) 펨토-셀 배치가 고려될 수 있다(사용자가 펨토-셀을 아무 곳에서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무질서한 배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섭 레벨은 잠재적으로 매우 강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이웃하는 셀-간섭 경우와 비교해서 매우 다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것과 같이, 무선 리소스 매니어 디바이스(200)는 간섭하는 FC-BS가 서로로부터 멀리 위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FC-BS로 리소스를 공급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매니저(200)는 간섭 특징이 종래의 셀 간섭 경우에 근접할 것을 보장할 수 있지만 그것이 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가 밀집한 FC-BS 배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는 밀집한 FC-BS 배치에서 동작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도 2의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200)와 유사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20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결정기(204) 및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은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2), 간섭 허용 결정기(204),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 및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304)는 예컨대 케이블 또는 컴퓨터 버스와 같은 전기 접속부(208)를 통해 전기 신호로의 교환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기 접속부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202)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결정기(2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 경우에,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가 이전에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하였던 무선 리소스가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에 의해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는 무선 리소스 사용이 중단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중단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더 이상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으며, 각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에 의해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300)가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는 예를 들어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소자로부터의 트리거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트리거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컴퓨팅하도록 구성된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는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304)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302)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재할당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304)에 의해 컴퓨팅된 무선 리소스의 할당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재할당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 별개의 서브-영역(distinct sub-are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비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기(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비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이미 할당된 무선 리소스 정보 매니저(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300)는 서로 다른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추정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된 간섭이 문턱값 아래에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 간섭이 가능한 전체 할당에 대해 최소값이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사전결정된 문턱값보다 높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임의의 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기(206)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와,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 및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는 예컨대 케이블 또는 컴퓨터 버스와 같은 전기 접속부(406) 또는 전기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기 접속부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에 대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는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를 도시한다.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와 유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와,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간섭 허용 결정기(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수신기(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확장 회로(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502), 간섭 허용 결정기(504), 수신기(506),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510), 확장 회로(512) 및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는 예컨대 케이블 또는 컴퓨터 버스와 같은 전기 접속부(406) 또는 전기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기 접속부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에 대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는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GSM 무선 통신 기술, GPRS 무선 통신 기술, EDGE 무선 통신 기술 및/또는 3GPP 무선 통신 기술(예컨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FOMA(Freedom of Multimedia Access), 3GPP LTE(long term Evolution), 3GPP LTE Advanced), CDMA2000, CDPD, Mobitex, 3G, CSD, HSCSD, UMTS(3G), W-CDMA(UMTS), HSPA, HSDPA, HSUPA, HSPA+, UMTS-TDD, TD-CDMA(Time D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PP Rel.8(Pre-4G), UTRA, E-UTRA, LTE Advanced(4G), cdmaOne(2G), CDMA2000(3G), EV-DO, AMPS(1G), TACS/ETACS, D-AMPS(2G), PTT, MTS, IMTS, AMTS, OLT, MTD(Swedish abbreviation for Mobiltelefornisystem D, or Mobile telephony system D), Autotel/PALM, ARP, NMT, Hicap, CDPD, Mobitex, DataTAC, iDEN, PDC, CSD, PHS, WiDEN, iBurst, 비허가 이동 접속(Unlicensed Mobile Access)(UMA, 3GPP Generic Access Network 또는 GAN 표준으로도 지칭됨), 공용 안전 표준 TETRA,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TS(Technical Specification) 101 376 (Geo-Mobile Radio GMR-1 3G) 및 다수의 위성 통신 표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 내에서 설정된 간섭 허용 정보를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404)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502)는 간섭 허용 정보가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402)에서 변화된 경우에 간섭 허용 정보를 재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의 ETSI RRS 아키텍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이동국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펨토-셀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Home Node B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추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매니저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펨토-셀 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운영자의 네트워크의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에 의해 MD 또는 UE와 같은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506),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결정기(506) 및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수신기(506)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간섭 허용 결정기(506)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간섭 허용 결정기(5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간섭 허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즉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가 이전에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하였던 무선 리소스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에 의해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무선 리소스 사용이 중단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중단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더 이상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으며, 각 무선 리소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에 의해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500)가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컴퓨팅하도록 구성된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재할당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에 의해 컴퓨팅된 무선 리소스의 할당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재할당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재할당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 별개의 서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비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기(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비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이미 할당된 무선 리소스 정보 매니저(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서로 다른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추정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된 간섭이 문턱값 아래에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 간섭이 가능한 전체 할당에 대해 최소값이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사전결정된 문턱값보다 높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임의의 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무선 리소스 할당기(508)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무선 리소스 매니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위치 정보 전송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명령에 따라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라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라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 별개의 서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단말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확장 회로(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확장 회로(512)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기지국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게이트웨이 액세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확장 회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 회로(512)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가 확장 회로(512)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510)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예컨대 MD 또는 UE)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514)가 확장 회로(512)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510) 및 추가로 확장 회로(512)를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예컨대 펨토-셀 기지국, 또는 Home Node B, 또는 예컨대 eHome Node B)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600)를 도시한다. 단계(602)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가 허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결정은 현재 상태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결정은 변경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고정된 할당의 결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결정은 현재 무선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현재 무선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간섭 허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즉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 경우에, 이전에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하였던 무선 리소스가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사용이 중단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중단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각 무선 리소스는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무선 리소스는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모두에 대해 재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새로운 FC-BS가 추가될 때 리소스 귀속성(attribution)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FC-BS가 스위칭오프되었을 때 리소스 귀속성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 할당이 계산될 수 있다.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할당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재할당 결정에 기초하여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의 컴퓨팅된 할당에 기초하여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의 별개의 서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비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비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의 신호 전송의 간섭이 추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된 간섭이 문턱값 아래에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 간섭이 가능한 전체 할당에 대해 최소값이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사전결정된 문턱값보다 높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임의의 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700)를 도시한다. 단계(702)에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의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704)에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가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는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에서 설정된 간섭 허용 정보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정보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는 간섭 허용 정보 설정 단계(702)에서 간섭 허용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재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단말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자세하게 기술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장비의 ETSI RSS 아키텍처에 따른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실사용자 이동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국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펨토-셀 기지국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Home Node B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Home eNode B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추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술되고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관리 방법의 기능을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펨토-셀 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운영자의 네트워크의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에 의해 MD 또는 UE와 같은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될 수 있고,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의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간섭 허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즉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무선 리소스를 새롭게 신청하는 경우에, 이전에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하였던 무선 리소스가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사용이 중단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중단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각 무선 리소스는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무선 리소스는 간섭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모두에 대해 재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 할당이 계산될 수 있다.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가 할당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재할당 결정에 기초하여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의 컴퓨팅된 할당에 기초하여 재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의 별개의 서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비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비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의 신호 전송의 간섭이 추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된 간섭이 문턱값 아래에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추정 간섭이 가능한 전체 할당에 대해 최소값이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사전결정된 문턱값보다 높도록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복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임의의 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지형학적 거리가 거리에 대한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1-기준량, 2-기준량, 임의의 자연수인 n-기준량, 또는 무한대 기준량이 거리에 대한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무선 리소스 매니저로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간섭 허용 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주파수-시간 평면에서 별개의 서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3GPP LTE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단말 기능이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사용하는 것에 추가로 확장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기지국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확장 회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확장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가 확장 회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예컨대 MD 또는 UE)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가 확장 회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와 추가로 확장 회로를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예컨대 펨토-셀 기지국, 또는 Home Node B, 또는 예컨대 eHome Node B)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무선 리소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해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가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이웃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도 8은 ETSI RRS 아키텍처(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td Institute)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RRS)의 아키텍처(800)를 도시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술되고 아래에서 기술되는 접근법이 현존하는 UE 재구성가능한 아키텍처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아키텍처는 관리자(802), 이동성 정책 매니저(804), 네트워킹 스택(806), 구성 매니저(808), 무선 접속 매니저(810), 흐름 제어기(812), 멀티 무선 제어기(814), 리소스 매니저(816), 통합 무선 애플리케이션(818)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교환은 "Ctrl"로 표기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구성 정보의 교환은 "Cfg"로 표기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데이터 정보의 교환은 "Data"로 표기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아키텍처에 따라 구성된 디바이스의 모든 서비스는 멀티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822)에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는 접속가능성 및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지만, 포지셔닝 및 브로드캐스팅 서비스와 같은 다른 종류의 서비스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킹 스택(806) 및 이동성 정책 매니저(804)를 통해 디바이스로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것은 라디오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호도 정책을 유지할 수 있다. 새로운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추가 서비스가 관리자 사용자(802)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구성가능한 매니저(CM)(808)는 무선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파라미터로의 액세스의 관리뿐 아니라 무선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로의 무선 애플리케이션의 업로딩 및 다운로딩, 설치 및 설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접속 매니저(RCM)(810)는 하나의 무선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스위칭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흐름의 전체 관리 및 사용자 요청에 따른 무선 애프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흐름 제어기(FC)(812)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고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멀티 무선 제어기(MRC)(814)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상호동작가능성 문제를 사전에 검출하기 위해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발행된 스펙트럼 리소스에 대한 요청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RM)(816)는 무선 컴퓨터 리소스를 동시에 활성화되어 있는 무선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공유하는 동시에 그들의 실시간 요청을 보장하기 위해서 무선 컴퓨터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무선 애플리케이션(818)은 소프트웨어 규정 무선(SDR)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로딩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무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URAI)(824)는 무선 컴퓨터 운영 시스템으로 무선 애플리케이션의 양상을 조화시킬 수 있다. 모든 무선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무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824) 내에서 특정된 서비스들의 잘 규정된 세트에 접속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소자의 구조(900)의 예시를 도시한다. 리소스 그리드(902)는 예컨대 하나의 업링크 슬롯 또는 하나의 다운링크 슬롯과 같은 하나의 슬롯(920)에 대해 도시되었다. 슬롯은 참조번호(918)로 표시된 시간 길이 Tslo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C-FDMA 심볼(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의 리소스 그리드일 수 있는 리소스 그리드(902)는, 예컨대 참조번호(908)로 표시되는
Figure pat00001
SC-FDMA 심볼과 같은 1차원의 다수의 SC-FDMA 심볼 및 예컨대 참조번호(910)로 표시되는
Figure pat00002
서브 반송파와같은 2차원의 다수의 서브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리소스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902) 중 하나가 굵은 프레임으로 표시되었다. 각 리소스 블록은 참조번호(912)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Figure pat00003
서브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Figure pat00004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은 하나의 SC-FDMA 심볼과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쌍인
Figure pat00005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쌍은 리소스 소자일 수 있다. 각 리소스 소자(906)는 인덱스(k,l)에 의해 어드레스될 수 있으며, 이때 l는 SC-FDMA 심볼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는 서브 캐리어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l은 좌측 열(참조번호(914))에 대한 값 l=0으로부터 우측 열(참조번호(916)) 값
Figure pat00006
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리소스 블록은
Figure pat00007
리소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IEEE 802.16e 및 IEEE 802.16m에 따른 "리소스 블록"의 매우 유사한 개념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정의 및 용어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가 리소스 소자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리소스 블록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리소스 소자와 같은 리소스는 하나의 채널에서 예컨대 FC-BS와 같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하나의 리소스 소자와 같은 하나의 특정 무선 리소스는 오직 하나의 단일 클라이언트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하나의 주어진 채널의 리소스 소자와 같은 무선 리소스에 대한, 예를 들어 FC-BS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프로세스가 구체화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새로운 FC-BS와 같은 새로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경우에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가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예를 들어 FC-BS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스위칭오프되거나 네트워크를 떠나는 경우에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가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를 조직하는 다양한 가능성이 예컨대 복수의 FC-BS와 같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직교 리소스 소자로 분배될 수 없는 시그널링 심볼을 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FC-BS는 예컨대 스위칭오프될 수 있거나 상응하는 새롭게 이용가능한 리소스가 모든 FC-BS에 대한 전체 리소스 귀속성을 재고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고려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새로운 전체 리소스 할당은 전체 간섭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완전히 간섭이 없는 구성이 필요한 처리량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함).
(별개의 반송파 주파수에서) 이용가능한 이상 채널의 개수는 작은 수로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광범위한 배치에 대해 불충분할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채널(즉, 앞서 정의된 하나의 "전송된 신호" 내의 모든 "리소스 소자")이 주어진 FC-BS에 할당될 수는 없으며, 오직 그것의 일부분만이 채널 내의 "리소스 소자"의 일부분을 복수의 FC-BS로 할당함으로써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채널 내의 리소스가 예컨대 FC-BS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전술되었고 도 9에서 설명될 "리소스 소자"의 전체 세트가 반드시 예를 들어 하나의 단일 FC-BS와 같은 하나의 단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귀속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복수의 FC-BS와 같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것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시 말하면 리소스 소자의 직교 분배가 발생하지 않도록) 리소스 소자를 분배함으로써 데이터 부분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배치 시나리오(1000)를 도시한다. 시나리오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및 기본 레이아웃은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6) 및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8)가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100)와 비교하여 다른 위치에 도시되었다. 제 1 내지 제 13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움직임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영역으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진입 및 퇴장이 조절될 수 있는지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채널 내에서 이용가능한 무선 소자의 서브-세트가 예컨대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세트에 귀속된다. 도 10에서,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를 갖는 두 채널("전송 신호(transmitted signal)")이 도시되었다.
제 1 채널(1002)은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4),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8)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로 제공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리소스 소자들이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8)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의 각각에 대해 제 1 채널(1002)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채널(1002)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 세트(1004)가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4)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채널(1002)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 세트(1008)가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채널(1002) 상의 제 3 리소스 소자 세트(1010)가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8)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채널(1002)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 세트(1004), 제 1 채널(1002)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 세트(1008) 및 제 1 채널(1002) 상의 제 3 리소스 소자 세트(1010)가 제 1 전송 신호 내에서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제 2 채널(1012)은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6)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2)로 제공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리소스 소자들이 제 2 채널(1012) 상에서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6)와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2)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채널(1012)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 세트(1014)는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2)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채널(1012)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 세트(1016)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6)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채널(1012)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 세트(1014) 및 제 2 채널(1012)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 세트(1016)는 제 2 전송 신호 내에서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리소스 소자의 영역이 채널 그리드 내의 직사각형 블록으로서 도시되었지만, 리소스 소자들이 이러한 형태를 갖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리소스 소자들은 임의의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영역은 접속되어야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시나리오가 리소스 소자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임의의 다른 무선 리소스의 분할이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오직 두 개의 채널만이 존재하지만, 채널의 개수가 두 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에 따른 다수의 펨토-셀(각각이 별개의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송 신호"를 가짐)로의 3GPP LTE 리소스 소자 할당의 예시에서, 리소스의 할당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별개의 리소스를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예컨대 별개의 펨토-셀로 할당하기 위해, 충분한 리소스가 이용가능하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이것은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무간섭(interference-free) 동작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소정의 간섭 허용 레벨이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최적의 시나리오를 전개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FC-BS와 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 소자의 서브-세트와 같은 무선 리소스의 서브-세트의 귀속성은 운영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응하는 귀속성 (결정) 유닛, 회로 또는 디바이스가 운영자의 코어 네트워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귀속성의 계층적 원리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소자의 할당 및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의 예시(11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소스의 할당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서, 무간섭 리소스의 계층적 귀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의 시나리오에서, 기지국 심볼(1102)로 표시된 운영자는 예컨대 반송파 주파수 및 리소스 소자의 서브-세트인 무선 리소스를, 예컨대 다수의 FC-BS, 또는 예컨대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8),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0)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5)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은 펨토-셀 기지국 심볼로 표시된 펨토-셀 기지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채널은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4) 및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로 할당될 수 있다. 제 2 채널은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0)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2)로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채널들이 리소스 소자(1120 내지 1134)에서 서로 다른 해칭(hatching)으로 의해 표시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4)에는 제 1 채널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1120)가 할당될 수 있으며, 즉 제 1 채널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1120)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4)에 대한 제 1 전송 신호 내의 사용된 리소스일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에는 제 1 채널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1122)가 할당될 수 있으며, 즉 제 1 채널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1122)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에 대한 제 1 전송 신호 내의 사용된 리소스일 수 있다.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8)에는 제 2 채널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1124)가 할당될 수 있으며, 즉 제 2 채널 상의 제 1 리소스 소자(1124)는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8)에 대한 제 2 전송 신호 내의 사용된 리소스일 수 있다.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0)에는 제 2 채널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1126)가 할당될 수 있으며, 즉 제 2 채널 상의 제 2 리소스 소자(1126)는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0)에 대한 제 2 전송 신호 내의 사용된 리소스일 수 있다.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2)에는 제 2 채널 상의 제 3 리소스 소자(1128)가 할당될 수 있으며, 즉 제 2 채널 상의 제 3 리소스 소자(1128)는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2)에 대한 제 3 전송 신호 내의 사용된 리소스일 수 있다.
리소스가 할당된 후, 예컨대 각 FC-BS와 같은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리소스 소자의 서브-세트 내에서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리소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는 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4), 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6) 및 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8)로부터 무선 리소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4), 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6) 및 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8)의 각각은 이동 전화기 심볼로 표시되는 UE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로 할당되었던 제 1 채널 상의 제 2 무선 리소스의 서브-세트(1122)인 무선 리소스(1130)를 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4)로 할당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로 할당되었던 제 1 채널 상의 제 2 무선 리소스의 서브-세트(1122)인 무선 리소스(1132)를 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6)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6)로 할당되었던 제 1 채널 상의 제 2 무선 리소스의 서브-세트(1122)인 무선 리소스(1134)를 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1118)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1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간섭의 도입은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에서 방지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들 및/또는 서로 다른 리소스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별개의 무선 리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FC-BS와 같은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UE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일부분들을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리소스의 완전한 직교 분배가 원하는 QoS를 획득하는 데에 (또는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래의 접근법이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채널 내의 리소스들은 예컨대 FC-BS와 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는 반면 제어되는 간섭 레벨이 일부 선택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다. 제어되는 간섭 레벨이 임의의 계층적 무선 리소스 관리 층에서 도입될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UE와 같은 추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 모두에서 도입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HRRM의 애플리케이션은 다음의 단계들로 수행될 수 있다:
1) 중앙 제어기는 예컨대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 리소스의 서브-세트와 반송파 주파수를 분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할당 인터리빙(assignment interleaving)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2)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FC-BS와 같은 특정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예컨대 UE와 같은 추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예컨대 FC-BS와 같은 특정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되기 이전에 할당되었을 수 있는) 리소스의 최적의 할당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UE와 같은 추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이들이 할당되는 예컨대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단계들은 인구가 밀집한 주거 지역에서 기대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예컨대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매우 조밀한 배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간섭의 존재를 용납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의 예시(1200)를 도시한다. 기지국 심볼(1202)로 표시된 운영자는 예컨대 반송파 주파수 및 리소스 소자의 서브-세트와 같은 무선 리소스를 예컨대 다수의 FC-BS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1202)는 무선 리소스를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2의 시나리오에서, 모든 무선 리소스가 예컨대 동일한 채널 상의 동일한 전송 신호에서 사용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예컨대 FC-BS 확립 펨토-셀과 같은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별개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이용가능한 충분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음이 가정될 수 있다. 실제 펨토-셀 배치에 따라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시스템 처리량 최대화 및 사용자 만족도와 관련하여 도 11의 솔루션과 비교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시스템 처리량 측면에서, 간섭을 일체 방지하는 것이 언제나 최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는 다수의 디바이스에 대해 요구하는 동작 모드에 의존한다(구체적으로, 변조(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QAM-16(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64, 등),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코드-레이트(R=1/2, 2/3, ...), 등과 같이 물리적 층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가 중요하다). 만약 소정의 모드가 매우 높은 레벨의 견고성(robustness)를 필요로 한다면, 이러한 경우에는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중간 또는 낮은 레벨의 견고성이 선택되면, 일부 (제어되는) 간섭 레벨은 시스템 간섭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고 보다 높은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나타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견고성은 높은 신호대 노이즈+간섭 비율(SINR; signal-to-noise-plus-interference ratio)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즉 사전정의된 견고성의 레벨을 요구하는 모드는 SINR이 사전정의된 문턱값보다 높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은 펨토-셀 기지국 심볼로 표시된 펨토-셀 기지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는 소정의 레벨의 간섭을 허용한다. 그 결과 이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매우 높은 처리량 모드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낮은 효율 모드 내지 중간 효율 모드의 범위에서는 예컨대 FC-BS 확립 펨토-셀과 같은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을 이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에는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는 간섭이 허용되더라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무선 리소스(즉 아마도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 리소스)를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함으로써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당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에는 제 1 무선 리소스(1214)가 할당되고,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에는 제 2 무선 리소스(1216)가 할당되며,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에는 무선 리소스(1222)가 할당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는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와의 간섭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는 서로 멀리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이 낮을 수 있다. 유사하게, 오직 낮은 간섭이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와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서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와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는 별개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로 인한 간섭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과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는 어떠한 간섭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높은 처리량 모드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에는 제 3 무선 리소스(1218)가 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오직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만이 제 3 무선 리소스(1218)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가 간섭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에는 제 4 무선 리소스(1220)가 독점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오직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만이 제 4 무선 리소스(122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20)는 간섭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도 12의 시나리오에서,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에 의해 생성되는 간섭이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상응하는 무선 리소스를 지형적으로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의 프레임워크에서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interfering radio communication device), 즉 간섭을 허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배치의 예시(13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무선 리소스들은 도 12에서와 동일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의 양이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들이 오버랩핑될 것을 요구한다면, 대부분의 별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오버랩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간섭이 최소화되어야 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3에서 타원(1302)에 의해 도시되었다.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는 서로 별개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로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선택되었을 수 있다.
도 14는 총 무선 리소스의 양이 무간섭 통신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선택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1400)를 도시하며, 다시 말하면, 순서도(1400)는 간섭을 겪을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다.
단계(1402)에서,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수가 i=0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세트가 공집합인 s={}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1404)에서, 세트
Figure pat00008
로부터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속한 최대
Figure pat00009
무선 통신 디바이스 리소스 부분이 상호 간섭을 겪도록,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이 모든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할당될 수 있다.
단계(1406)에서, 모든 서비스 품질(QoS) 요구가 만족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모든 서비스 품질 요구가 만족되었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406)에서의 "예"), 식별된 리소스 분배가 사용될 수 있다(1408).
모든 서비스 품질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406)에서의 "아니오"), 단계(1410)에서 간섭을 겪을 수 있는 리소스 부분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예컨대 i=i+1 로 i가 1만큼 증가할 수 있다. 서로 간섭하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귀속된 리소스는 간섭을 겪는 리소스 부분들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단계(1412)에서, 간섭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세트
Figure pat00010
는 전체 QoS 요구가 만족될 수 있도록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는 이 프로세스의 각 반복적인 단계에 따라서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파생되어야할 수 있으며, 이전의 단계로부터의 세트의 단순한 확장으로 생성될 수 없을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간섭의 존재를 용납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의 예시(1500)를 도시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되는 간섭의 레벨을 용납하는 리소스의 계층적 귀속성이 제공된다. 도 11의 예시(1100)와 유사하게,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6, 1508, 1510, 1512, 1514)에는 무선 리소스(1516, 1518, 1520, 1522, 1524)가 할당될 수 있고,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추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게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예컨대,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8)는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리소스(1518)의 일부분들을 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1526)(무선 리소스(1532))와, 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1528)(무선 리소스(1534)) 및 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1530)(무선 리소스(1530))로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의 제어되는 허용을 포함하기 위해서 도 11에 따른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아래의 변경사항들이 제공되었다. 간섭과 거래할 수 있는 추가 층을 구현하는 추가의 디바이스 또는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층을 구현하는 추가의 디바이스 또는 회로는 제어되는 간섭 레벨이 허용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 및 그룹핑(grouping)할 수 있으며(블록(1502)으로 표시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6),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8),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510)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512)임), 간섭이 완전히 방지될 것이 요구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 및 그룹핑할 수 있다(블록(1504)으로 표시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514)임).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되는 간섭 레벨이 용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섭을 용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도 예컨대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8)와 같이 추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라 제어되는 간섭 레벨을 용납하는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추가한 예시(16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도 16의 상단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도 12의 제 1 내지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시나리오가 도시되었다. 통신은 타원(1602)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어떠한 간섭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화살표(1604)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도 16의 하단에서는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2)가 스위치온되거나 고려되고 있는 영역으로 진입한다. 그 다음,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의 양이 두 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가 서로 오버랩되어있다고 가정하면, 간섭이 최소화되어야할 수 있으며 가장 원거리에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오버랩되어 있는 리소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간섭 없는 통신은 타원(160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6),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1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활성화 및 상응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소정의 영역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귀속된다고 가정될 수 있다. 갑자기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러한 시나리오로 진입할 수 있으며 무선 리소스의 세트를 요청할 수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가지 접근법이 가능하다:
1) 전술된 것과 같이 모든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모든 무선 리소스의 재분배를 완료(이것은 전체 리소스 사용 효율성 측면에서는 최적의 접근법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소자들이 재구성되어야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적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하거나, 또는
2) 도 16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것처럼 현재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간섭 리소스 블록의 세트를 용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이다.
상응하는 결정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라 새롭게 진입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1700)를 도시한다.
단계(1702)에서,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진입하길 원할 수 있다.
단계(1704)에서, 무간섭 동작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무간섭 동작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단계(1704)에서 "예"),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단계(1706)).
만약 무간섭 동작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단계(1704)에서 "아니오"), 단계(1708)에서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그것이 사용하고자 하는 무선 리소스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무선 리소스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단계(1708)에서 "아니오"), 전체 네트워크에 대해 무선 리소스의 완전한 재할당이 시작될 수 있다(단계(1710)).
만약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무선 리소스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있다고 결정되면(단계(1708)에서 "예"), 단계(1712)에서 현재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에 대한 추가적인 간섭을 허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식별될 수 있다.
단계(1714)에서, 식별된 리소스는 새로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라 간섭의 감소와 결합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활성화의 예시(18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는 도 12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도 18의 상단에서, 도 12의 제 1 내지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하며, 부분적으로 간섭을 겪는다.
이용가능한 무선 리소스의 양이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무선 리소스가 오버랩될 것을 요구한다고 가정하면,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장 원거리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오버랩된 리소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예를 들어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가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X표(1808)로 표시된 것처럼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8)가 스위칭오프된 후에,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4)의 무선 리소스가 화살표(1804)로 표시된 것처럼 새로운 무선 리소스(1806)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에 따라 어떠한 간섭도 없이 통신할 수 있으며, 즉 더 이상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활성화에 대한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스위치오프되는 경우에, 아래의 단계들이 관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차지되었던 무선 리소스와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1) 가장 단순한 경우: 모든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이전과 같이 계속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에 대한 재분배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단순하지만, 전체 리소스 사용 효율적 측면에서는 최적의 접근법이 아닐 수 있다.
2) 간섭의 방지: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겪고 있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선택적인 무선 리소스 재분배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도 18에서 설명되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상응하는 프로세스가 아래에서 구체화되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오프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프로세스를 설명한 순서도(1900)를 도시한다.
단계(190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스위칭오프되길 원할 수 있다.
단계(1904)에서,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무간섭 동작을 하고 있는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무간섭 동작을 하고 있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904)에서 "예"), 관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1906)의 재분배를 수행하지 않고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만약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무간섭 동작을 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904)에서 "아니오"), 단계(1908)에서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몇몇이 스위칭오프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스위칭오프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될 수 없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908)에서 "아니오"), 관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1910)의 재분배를 수행하지 않고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남아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스위칭오프될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고 결정된 경우에(단계(1908)에서 "예"), 스위칭오프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될 스펙트럼을 사용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식별될 수 있다(단계(1912)).
단계(1914)에서, 식별된 리소스는 식별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식별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할당될 수 있다.
도 20은 3GPP LTE에 대한 프레임 구조(2000), 특히 프레임 구조 타입 2(TDD(시간 할당 듀플렉스) 모드)를 도시한다. 리소스 소자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지만, 동기화 시퀀스 필드 등과 같은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서는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부분들이 아래에서 설명되었다. 구조(2000)는 예컨대 길이 153600, Ts=5ms인 두 개의 1/2 프레임(2004)을 포함하는, 길이 Tf=307200, Ts=10ms인 하나의 무선 프레임(2002)을 도시한다. 이 프레임은 예컨대 길이 30720Ts인 복수의 서브프레임 2006i로 분할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2008)은 길이 Tslot=15360Ts인 하나의 슬롯일 수 있다. 특정한 서브프레임이 예컨대 동기화 시퀀스 필드와 같은 특정한 필드(2010, 2012, 2014)의 전송을 위해 보존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 타입 2에 있어서, 최초 동기화 신호는 DwPTS(Downlink Pilot Timeslot) 필드(2010)의 제 1 심볼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위 프레임 구조가 유지되어야한다면 완전한 직교 방식으로 예컨대 FC-BS와 같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데이터-전달 필드("리소스 소자" 구조로 구성됨)와 비교하여 이러한 특별한 필드들(특히, DwPTS 2010, GP(Guard Period) 2012 및 UpPTS(Uplink Pilot Timeslot) 2014) 사이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전달 필드는 충분히 높은 처리량 모드를 가능케 하기 위해 높은 SINR을 요구할 수 있지만, 특별한 필드들(특히, DwPTS, GS 및 UpPTS, 파일럿 등)은 낮은 SINR 레벨에서도 충분히 잘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데이터-전달 필드에 대한 높은 SINR 레벨과 특별한 필드들에 대한 평균 SINR 레벨을 보장하는 리소스의 분배를 획득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개의 반송파 및 예컨대 리소스 소자 서브-세트와 같은 별개의 무선 리소스 서브-세트의 예로서 FC-BS와 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 인터리빙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별개의 반송파 및 별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 인터리빙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2)에는 제 1 반송파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4)에는 제 2 반송파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6)에는 제 1 반송파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8)에는 제 2 반송파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2110)에는 제 1 반송파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제 1 반송파 주파수는 제 2 반송파 주파수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는 전술된 것과 같이 오버랩되지 않은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2112)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2),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6) 및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2110) 사이에서 예를 들어 무선 소자와 같은 무선 리소스 사이의 간섭이 직교 할당으로 인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주파수가 오버랩될 수 있지만 전송기가 구별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필드들에 대해서는 오직 낮은 레벨의 간섭만이 이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는 전술된 것과 같이 오버랩되지 않은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2114)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제 2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4)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8) 사이에서 예를 들어 무선 소자와 같은 무선 리소스 사이의 간섭이 직교 할당으로 인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주파수가 오버랩될 수 있지만 전송기가 구별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필드들에 대해서는 오직 낮은 레벨의 간섭만이 이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2116)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별개의 반송파 주파수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인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예컨대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2)와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4),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4)와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6), 제 3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6)와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8) 및 제 4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8)와 제 5 무선 통신 디바이스(2110) 사이에서)간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2100)는 다섯 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도시되었지만, 할당 인터리빙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수는 5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자연수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시나리오(2100)에서 두 개의 반송파 주파수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되었지만, 개별적인 반송파 주파수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자연수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시나리오(2100)가 1차원의 이웃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도시되었지만,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일렬로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할당 인터리빙이 2차원 방식으로 제공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의 시나리오(1000)가 할당 인터리빙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하여라.
도 22는 예컨대 HRRM을 가능케 하는 ETSI RRS SDR 아키텍처의 확장과 같은,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2200)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시스템(2200)의 일부분은 도 8의 시스템(800)의 일부분과 동일하며, 이들 부분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다. 시스템(2200)은 프로토콜 섹션(2204) 및 엔진 섹션(2202)을 추가로 포함한다.
HRRM의 사용은 ETSI RRS에 의해 도입된 UE 아키텍처로 추가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서, 기능들이 아래와 같이 보충될 수 있다:
1) 애플리케이션 측의 리소스 할당 관리부(2208)(UE가 아닌 BS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음),
2) FC-BS에 부착된 UE로 이용가능한 리소스 소자를 할당하는 것을 실제로 도출하기 위해 SDR 디바이스 내에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 포함될 수 있는, SDR 프로세서 측의 리소스 할당 관리부(2206),
3) 애플리케이션 측의 FC 게이트웨이(2210)로의 접속부.
다시 말하면, HRRM 디바이스는 듀얼 모드 FC-BS/UE 디바이스로 집적될 수 있으며, SDR UE 아키텍처의 세 가지 확장이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된다:
1) 특정한 FC-BS로 할당되는 리소스 소자의 서브-세트를 관리하기 위해 새로운 리소스 매니저가 애플리케이션 상에 추가될 수 있다;
2) 새로운 리소스 매니저가 SDR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리소스 관리 계산기(2206)는 FC-BS에 귀속되는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 소자를 고려하여 FC-BS에 부착되는 UE로 리소스 소자를 할당하는 것의 도출을 수행할 수 있다;
3) 새로운 리소스 매니저가 SDR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리소스 매니저는 FC-BS에 귀속되는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 소자를 고려하여 FC-BS에 부착되는 UE로 리소스 소자를 할당하는 것의 도출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관리부(2208) 및 예를 들어 ARM 프로세서와 같은 RRM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206)가 접속부(2212)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접속될 수 있다.
ETSI RRS 아키텍처 표현에서, 애플리케이션-중심 부분에 의해 기능들이 제공되는 것이 강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즉, 블록 관리자(802), 이동성 정책 매니저(804) 및 네트워킹 스택(806)을 포함하는 최상단 레벨 상에서).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무선 시스템의 아키텍처(2300)를 도시한다. 특히, 이 아키텍처는 확장된 리소스 액티베이터(2302)가 ETSI RRS 아키텍처로 포함된 것으로 도시한다.
SDR 프로세스 내의 리소스의 일부가 디바이스가 FC-BS로서 동작하는 경우(그리고 표준 UE로서 동작하지는 않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모듈(확장된 리소스 액티베이터(2302))이 원한다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SDR 프로세스 상의 추가적인 FC-BS 리소스를 활성화시킨다.
시스템(2300)의 일부분은 도 22의 시스템(2200)의 일부분과 동일하며,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시스템(2300)은 추가로 구성 매니저(808)를 제어할 수 있는 확장된 리소스 액티베이터(2302), 통합 무선 애플리케이션(818) 및 리소스 매니저(816)를 포함한다. 통산 무선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SDR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8, 도 22 및 도 23의 제어 정보와 구성 정보가 서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즉 어디에서든 제어 정보가 상호변경된 것으로 표시되면, 제어 정보 또는 구성 정보가 상호변경될 수 있고, 유사하게 구성 정보가 상호변경된 것으로 표시되면, 제어 정보 또는 구성 정보가 상호변경될 수 있다.
확장된 리소스 액티베이터(2302)는 UE에 추가로 FC-BS의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리소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펨토-셀 또는 표준 UE로서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현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아래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1) 펨토-셀 BS가 이동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펨토-셀 BS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잠재적으로 다른 국가로 사용자에 의해 수송될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상응하는 요청이 국가 표준으로부터의 입력으로서 제공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FC-BS는 FC-BS가 스위칭온 되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지식을 획득할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표준 UE를 동작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Macro-BS로의 접속을 유지하고 상응하는 정보를 복구하도록, FC-BS가 표준 UE로서 동작해야 함이 예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준 UE 모드뿐 아니라 FC-BS로서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2) 사용자 디바이스는 UE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고속 인터넷 접속(케이블 연결 등)을 할 수 있고, 그외에 대해서는 BS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시나리오는 유사할 수 있다. 한 명의 사용자가 고속 인터넷 접속(케이블 연결 등)을 갖는 동시에 다른 디바이스들이 무선 링크를 통해 동작하도록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한 명의 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가 표준 UE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FC-BS로서 동작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FC-BS뿐 아니라 표준 UE 모드로도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 UE 및 FC-BS 동작 모드 사이에서 사용자가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재구성가능한 UE의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추가적인 기능들을 최상위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특별하게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형태 및 세부사항에 있어서의 다수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의미 및 범주 내의 모든 변경사항들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25)

  1.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서,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interference)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허용 결정기(interference allowance determiner)와,
    상기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간섭 허용 결정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새롭게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무선 리소스 사용을 중단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중단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상기 무선 리소스 매니저가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리소스 재할당 결정기는, 상기 가상 무선 리소스 할당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재할당이 수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는, 주파수-시간 평면 내의 서브영역과 3GPP LTE 리소스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상기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상기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간섭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비독점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기는,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가 비독점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12.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와,
    상기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는, 상기 간섭 허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에서 설정된 상기 간섭 허용 정보를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리소스 정보 획득기는 상기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허용 정보 전송기는, 상기 간섭 허용 정보가 상기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에서 변경된 경우에 상기 간섭 허용 정보를 재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를 추가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를 위해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허용 결정기와,
    상기 결정된 간섭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허용 정보 설정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명령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요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간섭 허용 정보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는, 주파수-시간 평면 내의 서브영역과 3GPP LTE 리소스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2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기능 회로를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회로(extension circuit)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회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회로 액티베이터(extension circuit activato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신청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24.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중에 신호 전송의 간섭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로서,
    무선 리소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KR20100090973A 2009-09-17 2010-09-16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1258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61,557 2009-09-17
US12/561,557 US9144077B2 (en) 2009-09-17 2009-09-17 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393A true KR20110030393A (ko) 2011-03-23
KR101258757B1 KR101258757B1 (ko) 2013-04-29

Family

ID=4373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0973A KR101258757B1 (ko) 2009-09-17 2010-09-16 무선 리소스 매니저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8) US9144077B2 (ko)
KR (1) KR101258757B1 (ko)
CN (2) CN105744633B (ko)
DE (1) DE102010037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1740B1 (en) * 2008-10-27 2018-12-12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US9144077B2 (en) 2009-09-17 2015-09-2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US8295335B2 (en) * 2009-12-31 2012-10-2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uplink power
KR101802756B1 (ko) 2010-04-05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58807B2 (en) * 2010-05-03 2016-02-09 Intel Deutschland Gmbh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s
KR101285398B1 (ko) 2010-09-08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37633B2 (en) 2011-07-29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carriers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FR2986687B1 (fr) 2012-02-08 2015-06-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Gestion dynamique de petites cellules pour optimiser la consommation energetique d'un reseau
US9923689B2 (en) * 2012-07-27 2018-03-20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processor for assigning radio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an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WO2014077769A1 (en) 2012-11-14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satisfying multiple performance constraints
WO2014077768A1 (en) * 2012-11-14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to maximize the total data rate in sc-fdma uplink
US9832655B2 (en) * 2013-05-10 2017-11-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mechanism using co-primary spectrum sharing
US9520903B2 (en) * 2014-05-20 2016-1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connection fabric with protocol agnostic switch for flexible radio avionics
CN104468314A (zh) * 2014-12-09 2015-03-25 北京歌华有线数字媒体有限公司 一种4g基站网络系统
KR20170021748A (ko) * 2015-08-18 2017-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재구성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0568106B2 (en) * 2016-05-04 2020-0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on of parameters used for determining a signal-to-interference measure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8175639A1 (en) 2017-03-21 2018-09-27 Spidercloud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llocating spectrum among cross-interfering radio nodes of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10588148B2 (en) * 2017-08-10 2020-03-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ble groups of control channel resource se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674408B2 (en) * 2017-12-05 2020-06-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allocation in a shared access system
US11463884B2 (en) 2018-08-13 2022-10-04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terference contribution from a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EP3837896A4 (en) * 2018-08-13 2022-10-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RADIO EQUIPMENT IN A TIME DUPLEX SYSTEM
CN110198201A (zh) * 2019-04-02 2019-09-03 华中科技大学 一种分层的rcm译码方法和系统
US11979892B2 (en) * 2021-04-30 2024-05-07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cellular spectrum uti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041B1 (en) * 1997-08-06 2001-04-24 Nortel Networks Ltd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195554B1 (en) * 1999-02-16 2001-02-27 Ericsson Inc. Channel assignment based on uplink interference level and channel quality measurements with a forward and backward reassignment step
US6418327B1 (en) * 1999-04-06 2002-07-09 Spike Broadband Systems, Inc. Methods and determining an optimum sector distribution within a coverage are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438470C (zh) * 2001-05-08 2008-11-26 索尼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控制装置和方法
US7424268B2 (en) * 2002-04-22 2008-09-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shared frequency band
WO2004077777A1 (en) * 2003-02-28 2004-09-10 Nortel Networks Limited Sub-carrier allocation for ofdm
US20060084444A1 (en) * 2004-10-20 2006-04-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cognitive transceiver for ad hoc networking
US20090143070A1 (en) * 2005-01-20 2009-06-04 Kodo Shu Supporting an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US7353030B2 (en) * 2005-07-29 2008-04-01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overs between base radios
US8165073B2 (en) * 2006-08-04 2012-04-24 Nokia Corporation Relay-station assignment/re-assignment and frequency re-use
US8588054B2 (en) * 2006-10-26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ilenc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198142B (zh) * 2006-12-06 201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n频点小区的频点间负荷均衡方法
US8676223B2 (en) 2007-03-23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communication for interference management
GB0725052D0 (en) * 2007-12-21 2008-01-30 Fujitsu Lab Of Europ Ltd Communications system
US8863235B2 (en) * 2008-05-13 2014-10-14 At&T Mobility Ii Llc Time-dependent white list generation
WO2010077318A1 (en) * 2008-12-17 2010-07-08 Airhop Communications, Inc. Base station with coordinated multiple air-interface operations
US9144077B2 (en) 2009-09-17 2015-09-2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6385B (zh) 2017-06-20
CN105744633A (zh) 2016-07-06
US9888481B2 (en) 2018-02-06
US20210037538A1 (en) 2021-02-04
US20110065446A1 (en) 2011-03-17
US20220007373A1 (en) 2022-01-06
US10660106B2 (en) 2020-05-19
DE102010037215A1 (de) 2011-05-05
US20180324814A1 (en) 2018-11-08
US11683824B2 (en) 2023-06-20
US11096183B2 (en) 2021-08-17
US20160044687A1 (en) 2016-02-11
CN102026385A (zh) 2011-04-20
US20180132249A1 (en) 2018-05-10
US10645706B2 (en) 2020-05-05
US20180132250A1 (en) 2018-05-10
US10397934B2 (en) 2019-08-27
CN105744633B (zh) 2019-09-03
US9144077B2 (en) 2015-09-22
US10616899B2 (en) 2020-04-07
US20180324813A1 (en) 2018-11-08
KR101258757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106B2 (en) 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US9521681B2 (en) Spectrum sharing
KR10117719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를 배분하는 방법 및 무선 네트워크
US201602421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te-u and wifi services in unlicensed bands
JP633659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646861B1 (ko)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EP32690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adapt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s
EP2734006B1 (en) Resource allocation for minimum satisfaction guarantees in multi-service and multi-antenna networks
GB2497081A (en)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to a terminal device
US2017003471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874657A1 (en) Utilizing nr guard band for efficient deployment of lte-m in coexistence with nr
US20240172181A1 (en) Assigning uplink and downlink resources within bandwith parts
JP2019092085A (ja)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US20240172098A1 (en) Terminal
CN114586319A (zh) 与nr共存的lte-m子载波打孔的适用性
CN117223249A (zh) 跨多个时隙的探测参考信号资源集
CN115399017A (zh) 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