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262A -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262A
KR20110030262A KR1020100021721A KR20100021721A KR20110030262A KR 20110030262 A KR20110030262 A KR 20110030262A KR 1020100021721 A KR1020100021721 A KR 1020100021721A KR 20100021721 A KR20100021721 A KR 20100021721A KR 20110030262 A KR20110030262 A KR 2011003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etting
oligomer
electrode paste
electrode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건호
정미혜
정용준
고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10002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262A/ko
Publication of KR2011003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262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우수한 부착력, 고해상도, 낮은 접촉저항, 우수한 보관 안정성 및 전기 비저항을 나타내어 무선인식태그, 인쇄 회로 기판, 태양전지 등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THERMOSETTING ELECTRODE PASTE COMPOSITION FOR LOW TEMPERATURE FIRING}
본 발명은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우수한 부착력, 고해상도, 낮은 접촉저항, 우수한 보관 안정성 및 전기 비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종래에는 도전성 분말, 에폭시 또는 우레탄 등의 열경화 수지, 단량체, 경화제, 및 용매 등을 혼합하여 전극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극 페이스트를 가열 경화하여 생성된 전극은 세라믹기판, 실리콘기판에서 밀착성이 우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극 페이스트의 제조에 사용되었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의 경우, 가열 경화에 의하여 생성되는 우레탄(urethane) 화합물은 반응속도가 느려 장시간의 경화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세라믹 기판에 대해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온(25 ℃) 보관 중에 점차 경화가 진행되어 페이스트 점도가 상승하는 안정성 문제를 나타내기도 한다. 에폭시 수지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열 경화반응시 페이스트의 급격한 수축에 의해 패턴 전극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거나 기재(또는 기판)로부터 벗겨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성과정에서 부여되는 열에너지(200-300 ℃ 미만)에 의해 수지의 산화분해가 발생하여 전극의 탈락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부착력, 고해상도, 낮은 접촉저항, 우수한 보관 안정성 및 전기 비저항을 나타내어 무선인식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태양전지(solar cell) 등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한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도전성 분말;
(b) 열경화성 올리고머;
(c) 열경화 개시제;
(d) 바인더; 및
(e) 용매
를 포함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경화도가 우수하여 저온 (300 ℃ 이하)에서도 우수한 전기 비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둘째, 건조온도가 낮은 온도 (200 ℃ 미만)에서 페이스트의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전극 선폭의 퍼짐현상이 없다.
셋째, 저온소성온도 (150-300 ℃ 미만)에서 기판과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넷째, 태양전지의 전극 형성에 이용한 경우, 유리프릿이 없는 페이스트이기 때문에 형성된 전극에서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섯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이 우수하여 높은 종횡비 (aspect ratio)를 구현할 수 있다.
여섯째, 점도 변화가 적어 보관안정성이 뛰어나다.
일곱째, 폴리머, 유리, 금속, 세라믹 등 기판 재질에 관계없이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어 무선인식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태양전지(solar cell) 등 폭넓은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극 페이스트의 제조시 열경화성 올리고머를 이용함으로써, 전극 형성시 전극 페이스트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줄일 수 있고, 단량체에 비해 많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올리고머로 인해 같은 양의 개시제 사용시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올리고머를 이용한 전극 페이스트로 제조된 전극 도막은 강도가 우수하고 치밀하며, 기판 부착력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 즉, 본 발명은 전극 품질의 개선 및 공정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올리고머를 이용한 전극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상온(25 ℃) 보관 중에 경화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열경화성 양이온 또는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보관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는,
(a) 도전성 분말 30-95 중량%, (b) 열경화성 올리고머 1-30 중량%, (c) 열경화 개시제 0.01-10 중량%, (d) 바인더 0.1-30 중량% 및 (e) 잔량의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페이스트'에는 적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나,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판과 같은 회로형성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소자 및 RFID 소자 등에 사용되는 전극뿐만 아니라 이들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배선도 여기에 해당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도전성 분말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분말로는 금(Au), 은(Ag), 니켈(Ni), 구리(Cu) 등 통상 전극의 제조시 도전성 분말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은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평균입경은 0.05 내지 10 ㎛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다양한 입자 크기와 형상을 갖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평균입경이 0.05-2 ㎛의 분말과 평균입경이 2-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분말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의 형상은 구형, 비구형 그리고, 판상(플레이크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입자 형상과 크기를 갖는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인쇄의 정밀성을 높이고, 태양전지에 적용시 태양전지의 Fill Factor(이하 "FF"라 한다)를 크게 향상시켜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성 분말은 페이스트에 3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분말의 양이 30 중량% 미만일 때는 페이스트의 점도가 너무 낮아 인쇄하여 고해상도의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우며, 기판에 전극이 형성 되더라도 전극의 퍼짐 현상이 매우 심하여 패턴의 종횡비가 매우 낮아지며, 또한 금속분말의 양이 95 중량%를 초과할 때는 점도가 매우 높아 인쇄가 용이 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 위에서의 전극 형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기물 함량이 낮아 기판과의 접착력이 좋지 않아 건조 후 전극의 탈락 현상이 생긴다.
(b) 열경화성 올리고머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열경화성 올리고머로는 아크릴계 올리고머, 메타 아크릴계 올리고머, 아크릴 카복실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폭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1500의 범위가 적합하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는 다관능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공중합체를 사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EBECRYL 1200(제품명, 싸이텍사, 미국), HSOL-500(제품명, 한수화학, 한국)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Miramer ME 2010(제품명, 미원 상사, 한국), CN 150/80(제품명, Sartomer 사, 미국), EPA 1300(제품명, 한수화학, 한국) 또는 3020-A80(제품명, AGI 사, 미국) 가교밀도가 높은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1-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올리고머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반응이 충분치 않아 기판과의 부착력이 불충분하며, 올리고머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올리고머의 잔존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절연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접촉저항을 높게 한다.
(c) 열경화 개시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열경화 개시제로는 양이온 또는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개시제는 올리고머의 열경화를 저온에서 고속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암모늄/안티몬 헥사플루오라이드, 트리아릴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염, 트리아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톨리큐밀) 아이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아이오도늄,(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 힉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옥틸 디페닐아이오도늄 헥시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아릴아이오도늄염, 벤질설포늄염, 페나실설포늄염, N-벤질피리디늄염, N-벤질피라지늄염, N-벤질암모늄염, 포스포늄염, 하이드라지늄염, 암모늄 보레이트염, 트리페닐 메틸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안티몬 헥사플루오라이드, 트리아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 메틸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peroxide), 라우로일퍼옥사이드(lauroylperoxide), 디아세틸퍼옥사이드(diacetylperoxide), 또는 디-t-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등의 퍼옥사이드계 화합물(peroxides);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hydroperoxide) 등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화합물(hydroperoxides); 및 시아노(-CN)관능기를 가지는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α,α'-azobisisobutyrilonitril,AIBN), 2,2'-아조비스[2-메틸-N-(2-(1-히드록시부틸))피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부틸-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시클로헥실-2-메틸프로피온아미드]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아조비스(cyclohexane-carbonitrile)계 화합물은 100 ℃ 이상에서 분해되어 반응하기 때문에 건조온도(100-200 ℃ 미만) 영역에서부터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전극 패턴의 퍼짐현상이 억제되고 그 결과 고해상도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상온에서는 경화반응이 억제되어 25-40 ℃ 보관 조건하에서 점도변화가 없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 개시제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개시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올리고머와의 가교화가 충분하지 않아 미반응 올리고머에 의한 경화도 저하가 발생하게 되며, 개시제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불필요한 개시제의 잔존으로 접촉저항을 높게 할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다.
(d) 바인더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바인더로는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아크릴계수지는 ELVACITE 2045(제품명, ELVACITE사, 미국), ELVACITE 2046(제품명, ELVACITE사, 미국)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0.1-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인쇄성이 좋지 못하여 전극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기판과의 부착력도 좋지 못하다. 또한 바인더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성 후 바인더의 잔존량 증가로 인하여 전도성 분말간의 밀착도 저하를 야기시켜 비저항 특성을 저하시키고, 태양전지 셀에서의 접촉저항을 높여 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e) 용매
상기 (a)-(d)의 성분들은 용매 중에서 혼합 분산되어 사용된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 부틸 셀루솔브, 프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테르피네올, 텍사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메틸아미노 포름알데히드, 메틸에틸케톤, 감마부티로락톤, 에틸락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N-메틸 피롤리돈, N-에틸 피롤리돈, N-부틸 피롤리돈, 테트라 하이드로퓨란 및 셀루솔브 유도체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테르피네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a)-(d)의 성분들은 제외한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f) 모노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상기 성분 외에 모노머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에폭시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타놀디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페녹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 기페리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라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는 20 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모노머가 불순물로 잔존하여 경화 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g) 기타 첨가제
상기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통상적으로 페이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들을 필요에 따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의 예로는 증점제, 안정화제, 분산제, 탈포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0.1-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극 페이스트는 상기 기재한 필수성분과 임의의 성분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배합하고, 이를 블렌더 또는 3축 롤 등의 혼련기로 균일하게 분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페이스트는 브룩필드(Brookfield) HBT 점도계를 사용하여 #51 스핀들로서 온도 25 ℃하에서 shear rate 3.84 sec-1조건으로 측정하는 경우 1 내지 300 Pa . 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의 수축에 의하여 발생한 내부 응력이 없으므로 기판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건조온도 (100 ℃-200 ℃ 미만)에서 페이스트가 빨리 경화되어 전극의 퍼짐현상이 없기 때문에 고해상도(high resolution)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건조온도 (200 ℃ 미만)에서 경화도가 우수하여 저온(300 ℃ 이하)에서도 우수한 전기 비저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극 페이스트는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이중에서도 태양전지 분야에 적용했을 경우 유리프릿이 없는 페이스트로 소성 후 실버 파우더의 밀집성이 높으므로 전극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비정질/결정질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에 적용할 경우 효과가 더욱 크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 페이스트를 기재 위에 인쇄하고, 건조 및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재료 전극형성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재료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재료는 무선인식태그, 인쇄 회로 기판, 또는 태양전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상기 전자재료는 태양전지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는 비정질/결정질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이다.
본 발명의 전자재료 전극형성방법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기재, 인쇄, 건조 및 소성은 통상적으로 전자재료의 전극제조에 사용되는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기재는 Si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 후면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인쇄는 스크린 인쇄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100-250 ℃에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소성은 150-300 ℃의 저온에서 10분 내지 60분간 이루어지는 저온소성을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인쇄는 10 내지 50 ㎛의 두께로 인쇄를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전자재료 전극형성방법은 정밀성이 높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는 고효율, 고해상도이며, 특히 저온소성에 적합하여 양상성에 뛰어나며, 비정질/결정질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에 적용할 경우 효과가 더욱 좋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 후, 3롤 혼련기로 혼합 분산시켜 전극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전극 페이스트(중량부)전극 페이스트(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도전성
분말
은 분말 30 70 85 85 70 85 85 30 85

바인더
셀룰로오스계
수지
6 6 2 2 6 2 2 - 2
아크릴계수지 4 - 1 - - 1 - - -
에폭시 수지 - - - - - - - 10 5


열경화성 올리고머
아크릴계올리고머와 에폭시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 7 5 6 - - - - -
에폭시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 - - - 7 - - - -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 - - - - 5 - - -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 - - - - - 6 - -
모노머 아크릴계 모노머 1 - - - - - - 10 -
경화제 아민계 - - - - - - - 1 0.5
열경화
개시제
라디칼개시제1 1 - - 0.5 0.7 0.5 0.5 - -
라디칼개시제2 - 0.7 - - - - - - -
양이온개시제 - - 0.5 - - - - 1 -
용매 테르비네올 25 7.5 2 3 7.5 2 3 25 4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20 7.5 3 2 7.5 3 2 20 2
첨가제 탈포제 2 0.3 0.5 0.5 0.3 0.5 0.5 2 0.5
분산제 1 1 1 1 1 1 1 1 1
상기 표 1에 기재된 구체적인 성분명은 다음과 같다.
- 은 분말: 평균입도 2.5 ㎛를 갖는 판상형 은분말.
- 셀룰로오스계 수지: 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 아크릴계 수지 : ELVACITE 2045
- 에폭시수지: 비스페놀 A계 수지.
- 아크릴계 올리고머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BECRYL-1200와 Miramer ME 2010을 4:1 중량비율로 혼합.
-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Miramer MU 3702.
-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Miramer PS 610.
- 아크릴계 모노머: TMPTA와HDDA가 7:3 중량비율로 혼합.
- 아민계 경화제: 폴리아마이드
- 라디칼개시제1 : 아조비스계 개시제(Azobisisobutyronitrile)
- 라디칼개시제2 : 벤조일퍼옥사이드
- 양이온 개시제 : 트리페닐 메틸 클로라이드
- 탈포제: 실리콘계 탈포제.
- 분산제: 알킬올 암모늄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전극 페이스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저항, 기판 부착력, 해상도, 접촉저항, 종횡비 및 점도 변화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비저항(*10-5Ω.cm)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전극 페이스트를 각각 기재에 인쇄한 후 180 ℃에서 15분, 200 ℃에서 15분 및 220 ℃에서 15분 으로 경화시킨 후 4 point probe를 사용하여 비저항을 측정하였다.
2) 기판 부착력
격자부착성 평가(ASTM D3359)에 의거하여, 기재 위에 인쇄되어 경화된 페이스트에 crosscut knife로 100개의 격자 무늬를 만들어서 금속부착력 전용 테이프(3M, #610)를 붙였다가 띄어내어 떨어진 격자수를 기록하였다.
3) 해상도(㎛)
선폭이 60-110 ㎛ 패턴을 가지는 해상도 마스크로 인쇄, 건조, 소성한 후 패턴의 선폭변화율이 10%이내인 경우를 해상도로 기록하였다.
4) 접촉 저항(mΩ.cm)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전극 페이스트를 태양전지셀(Cell)의 후면에 스크린 프린팅기법으로 인쇄하고 열풍식 건조로를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그리고, 전면에 선폭 110 ㎛의 전극패턴을 인쇄하여 16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제조된 셀(cell)을 소성로를 사용하여 220 ℃에서 15분간 소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cell에 대해 코어스캔(Correscan)을 이용하여 접촉 저항을 측정하였다.
5) 종횡비(%)
소성 후 전극패턴의 높이 및 패턴 선폭을 각각 SEM으로 측정하고, 패턴의 높이/패턴선폭 비율을 구하여 종횡비(%)를 기록하였다.
6) 점도 변화율(%)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전극 페이스트를25 ℃에서 1개월간 보관후 점도 변화를 브룩필드(Brookfield) HBT 점도계를 사용하여 #51 스핀들로서 온도 25 ℃하에서 shear rate 3.84 sec-1조건으로 측정하여 점도변화율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저항
(*10-5Ω·cm)
180 ℃에서 15분
경화
4.77 4.18 3.62 2.31 33.40 10.70
200 ℃에서 15분
경화
2.30 2.38 1.94 1.45 30.10 4.33
220 ℃에서 15분
경화
2.09 1.80 0.94 0.89 14.20 3.20
기판부착력 테이프 부착력
(ASTM D3359)
0 0 0 0 10 30
해상도
(㎛)
인쇄 후 선폭변화율 10 % 이내 구현 60 60 70 70 90 90
접촉저항
(mΩ·cm)
태양전지 셀 평가 6 7 7 7 9 9
종횡비
(%)
소성후 패턴높이/패턴선폭 비율 17.23 27.45 30.8 31.06 7.11 14.6
점도변화율
(%)
25 ℃-1개월 보관후 점도 변화율 2.19 3.8 5.02 4.66 완전
경화
완전
경화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의 전극 페이스트와 비교하여 전기 비저항, 기판 부착력, 해상도, 접촉저항, 종횡비 및 점도변화율 면에서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전극 페이스트는 저온소성시 비저항 개선 효과가 보다 현저하였다.

Claims (8)

  1. (a) 도전성 분말 30-95 중량%;
    (b) 열경화성 올리고머 1-30 중량%;
    (c) 열경화 개시제 0.01-10 중량%;
    (d) 바인더 0.1-30 중량%; 및
    (e)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2. 상기 열경화성 올리고머가 아크릴계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 개시제가 양이온 또는 라디칼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 개시제가 아조비스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셀룰로오스계 유도체 또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페이스트가 아크릴계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페이스트가 증점제, 안정화제, 분산제, 탈포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태양전지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KR1020100021721A 2010-03-11 2010-03-11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KR20110030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1A KR20110030262A (ko) 2010-03-11 2010-03-11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1A KR20110030262A (ko) 2010-03-11 2010-03-11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987A Division KR100972012B1 (ko) 2009-07-28 2009-09-17 태양전지 전극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262A true KR20110030262A (ko) 2011-03-23

Family

ID=4393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21A KR20110030262A (ko) 2010-03-11 2010-03-11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67A1 (ko) * 2014-08-26 2016-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67A1 (ko) * 2014-08-26 2016-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1404A1 (en) Thermosetting electrode paste fireable at a low temperature
CN102203164B (zh) 导电聚合物组合物、触点、组件和方法
KR20130031414A (ko) 저온소성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20140094690A (ko) 전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JP6018476B2 (ja) 熱硬化型導電性ペースト
KR20120008135A (ko) 접착증진제를 함유하는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JP5568125B2 (ja) 低温焼成可能な太陽電池電極形成用ペースト組成物
CN111886292A (zh) 导电性组合物以及使用其的导电性结构体
KR100972012B1 (ko) 태양전지 전극형성방법
KR20110030262A (ko) 저온소성용 열경화성 전극 페이스트
JP5082281B2 (ja) カチオン硬化型導電性インキ
WO2011013928A2 (ko) 태양전지 전극형성용 페이스트
KR20130136725A (ko) 저온 경화형 태양전지용 전극 페이스트 조성물
DE102013004706A1 (de) Ferrit enthaltende polymerdickschicht-abschirmzusammensetzung
KR101351699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의 제조방법
KR101064846B1 (ko) 오프셋 인쇄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JP7376920B2 (ja) 導電性ペースト
KR20130020367A (ko) 은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극의 형성방법
TW202124552A (zh) 遮蔽電磁波用之糊料
JP2014037491A (ja) 無機粒子含有ペーストおよび塗布形成物
KR20130000803A (ko) 인쇄용 도전성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5196A (ko) 전자재료용 전극 형성 방법
KR101431509B1 (ko) 태양전지 전극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KR20180045505A (ko) Semi―IPN 구조를 도입한 무기재 타입 도전성 점착필름
JP2014037490A (ja) 無機粒子含有ペーストおよび塗布形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