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446A -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446A
KR20110029446A KR1020090087124A KR20090087124A KR20110029446A KR 20110029446 A KR20110029446 A KR 20110029446A KR 1020090087124 A KR1020090087124 A KR 1020090087124A KR 20090087124 A KR20090087124 A KR 20090087124A KR 20110029446 A KR20110029446 A KR 2011002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il
unit
coupling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615B1 (ko
Inventor
최환종
정승현
류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15B1/ko
Priority to US13/382,734 priority patent/US20120103008A1/en
Priority to EP10817336.0A priority patent/EP2479521B1/en
Priority to PCT/KR2010/001669 priority patent/WO2011034267A1/ko
Publication of KR2011002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1Heat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히터 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 조화기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유닛에는, 부착 대상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 장착부; 상기 히터 장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류가 통하여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히터 장착부에 결합되는 자성 부재; 상기 코일 및 자성 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히터 장착부가 상기 부착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유닛은 공기 조화기에 탈부착이 용이한 모듈 구조로서, 분리 및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기액 분리기, 히터 유닛, 인덕션 히터

Description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 heate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히터 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 조화기에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 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설치형태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공조공간 내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에서 충분한 열교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를 압축, 팽창 등을 수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 과정에서, 실외 열교환기에 제공되는 온도 센서에 의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 표면에 착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인버터 압축기를 낮은 주파수로 유도하여 사방 밸브를 절환시킨 후, 일시적으로 냉방 사이클을 가동하여 착상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면,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기능을 하게 되며, 냉방 상태에서 제상을 해야 하므로 실내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전환되고, 그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에 고온의 냉매가 제공됨으로써,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상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히터 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 조화기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피부착 대상물에 대하여 유연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유닛에는, 부착 대상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 장착부; 상기 히터 장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류가 통하여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히터 장착부에 결합되는 자성 부재; 상기 코일 및 자성 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히터 장착부가 상기 부착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토출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출구측 또는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에 제공되며, 냉매 중 액냉매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액 분리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에 제공되는 히터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히터 유닛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어셈블리; 상기 기액 분리기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 어셈블리 및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기액 분리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난방과 제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속난방 제상운전에 의하여 실내 난방성능이 증대되고, 실외 열교환기의 착상이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히터 유닛이 모듈 구조로 제공되어 공기 조화기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히터 코일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히터 유닛에 제공되는 실리콘 시트는 다양한 크기의 기액 분리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절연 및 난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히터를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시트는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이 가능하므로, 히터의 피부착물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에 인덕션 히터가 제공됨으로써 외기로 손실되는 열전달량이 줄어들며, 상기 인덕션 히터로부터 냉매에 열전달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방 과정에서 인덕션 히터로부터 난방 사이클의 저압측 냉매에 열량을 가해줌으로써 압축기의 출력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과정에서, 인덕션 히터를 가동함으로써 저압측 냉매에 보다 많은 열량을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제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싸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의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21)와,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를 실내로 불어주는 실내기 팬(22)과, 열교환된 냉매가 저압으로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 장치로서 캐필러리(30)와, 팽창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41) 및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를 외부로 불어주는 실외기 팬(42)이 포함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를 통하여 난방 사이클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에는 상기 압축기(10)를 통하여 압축된 냉매가 저온으로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가 적용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에는, 상기 캐필러리(30)를 통하 여 감압된 액상의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기가 적용된다.
여기서, 난방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캐필러리(30)를 통과하기 전에는 고압이 형성되고, 상기 캐필러리(30)를 통과한 이후에는 저압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필러리(30)를 통과하기 전의 냉매를 고압측 냉매라 하고, 통과한 후에는 저압측 냉매라 칭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토출측 또는 상기 압축기(10)의 입구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41)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 중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액 분리기(10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에는, 상기 압축기(10)를 통과한 냉매 핫가스(hot gas)가 적어도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입구측 또는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81)가 제공된다. 즉, 상기 바이패스 유로(81)는 상기 압축기(10)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입구측 및 상기 압축기(10)의 입구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81)에는, 바이패스 되는 냉매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 1 밸브(80)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밸브(8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 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0)의 입구측 냉매의 증발 온도 및 압력은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입력일(부하)가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의 용량과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의 용량 사이에서 발생되 는 불균형이 해소되어 난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 됨으로써,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제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밸브(80)에 의하여 냉매가 바이패스 됨으로써, 난방 및 제상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방식을 연속 난방 제상 방식이라 한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81)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입구측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2 밸브(90)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밸브(90)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의 일반 난방모드시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입구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밸브(90)에는 체크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의 토출측에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절환되도록 하는 4방 밸브(70)가 제공된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41)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4방 밸브(70)를 거쳐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 후 압축되며, 압축된 냉매는 상기 4방 밸브(70)를 거쳐 상기 실내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반면에, 냉방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41)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4방 밸브(70)를 거쳐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 후 압축되며, 압축된 냉매는 상기 4방 밸브(70)를 거쳐 상기 실외 열교환기(41)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외측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냉매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 유닛(200)이 제공된다. 상기 히터 유닛(200)은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 유닛(200)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기에 히터 유닛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기액 분리기에 장착되는 히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장착부의 구성이 도시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기(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액-기체 혼합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 배관(120) 및 상기 흡입 배관(120)의 타측에 제공되며 액 냉매가 분리된 기체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배관(1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소정의 열량을 제공하는 히터 유닛(200)이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 유닛(200)이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외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상기 기액 분리기(100)외에 이와 유사한 탱크 형상의 "부착 대상"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 유닛(200)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터 유닛(200)에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어셈블리(2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어셈블리(250) 및 상기 제 1,2 어셈블리(210,250)가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2 결합부재(260,270)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어셈블리(210) 및 제 2 어셈블리(250)는 히터가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모듈 구성으로서, 각각의 구성은 서로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어셈블리(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어셈블리(210)에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히터 장착부(220)와, 상기 히터 장착부(2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소정의 열을 발하는 인덕션 히터(230) 및 상기 인덕션 히터(230)의 외측에 제공되는 커버 부재(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인덕션 히터(230)에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231)과, 상기 코일(231)의 일측에 제공되며 소정의 자성을 가지는 자성 부재(23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히터 장착부(220)에는, 상기 코일(231)이 장착되는 코일 장착면(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이면은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장착부(220)에는,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코일(231)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돌기(22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돌기(222)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일(231)은 내부가 비어 있는 도우넛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231)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222)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32)는 상기 코일(231)의 내주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 돌기(222)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230)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인덕션 히터(230)는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한 가열기로서 교류 전류가 흐르는 코일(231)과, 상기 코일(231)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류 자기장이 통과하는 자성 부재(235)가 포함된다. 상기 교류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는 자력선이 통과하게 되며,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전류에 의하여 소정의 열이 발생된다.
상기 인덕션 히터(230)는 연속 난방 제상방식에서 저압측 냉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41)측 냉매에 열량을 제공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상승시키고,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덕션 히터(230)는 고압측 냉매, 즉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측 냉매에도 열량을 제공하여 응축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덕션 히터(230)에 의하여, 냉매의 증발온도 및 응축온도가 상승됨으로써 난방 효율이 개선될 수 있으며, 제상 효율도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덕션 히터(230)는 일반 난방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측에 열량을 제공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의 배관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에 취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인덕션 히터(230)에는, 상기 히터(230)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버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 온도 및 제상이 필 요한 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열량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220)에는, 상기 자성 부재(235)가 결합되는 복수의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가 포함된다. 상기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에는,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상부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자성부재 결합부(224a)와,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하부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 2 자성부재 결합부(224b)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는 상기 코일 장착면(2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에는 각각, 상기 자성부재(235)가 삽입되는 삽입 홈(225)이 형성된다. 상기 자성부재(235)는 상기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의 삽입 홈(2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히터 장착부(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부재(235)는 상기 복수의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에 결합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의 각각에는, 상기 커버 부재(24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돌기(226)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 돌기(226)는 상기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일 장착면(221)과 상기 제 1,2 자성부재 결합부(224a,224b)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60) 및 제 2 결합부재(270)가 배치되는 이격 공간(22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재(260) 및 제 2 결합부재(270)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격 공간(227)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결합부재(260)는 상기 제 1 자성부재 결합부(224a)와 코일 장착면(2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227)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270)는 상기 제 2 자성부재 결합부(224b)와 코일 장착면(2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227)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6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223a)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 장착면(221)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결합부재(270)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223b)가 형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2 결합부재(260,27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210) 및 제 2 어셈블리(250)가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2 어셈블리(210,250)의 둘레를 감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결합부재(260,270)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또는 벨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2 어셈블리(210,250)의 교체 또는 수리시 절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결합부재(260,27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210) 및 제 2 어셈블리(250)가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1 어셈블리(210) 및 제 2 어셈블리(250)의 분리시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 유닛(200)은 제 1,2 결합부재(260,270)에 의하여 상기 기액 분리기(200)에 용이하게 탈부착 될 수 있는 바, 상기 히터 유닛(200)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제공하거나, 용접등의 방법이 필요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 장착부(220)에는 실리콘 시트(silicon sheet)가 적용될 수 있다. 실리콘 시트는 절연성 및 난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인덕션 히터(230)의 발열 과정에서 화재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시트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자체 성질이 유연하므로,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성 부재(235)에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는 준강자성으로서 약한 자기장을 띠며, 자기투과성이 커서 상기 인덕션 히터(230)의 자기유도 과정을 도와주며, 절연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어셈블리(210)에 제공되는 코일(231)과, 상기 제 2 어셈블리(250)에 제공되는 코일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균일하게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40)는 상기 자성 부재(235)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히터 유닛(200)의 구성들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히터 유닛(200)에는, 복수의 히터 어셈블리(210,250)가 포함되고, 상기 히터 어셈블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100)를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히터 어셈블리(210,250)가 상기 기액 분리기(10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므로, 상기 히터 유닛(200)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장착부(220)는 실리콘 시트로 구성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고 그 성질이 유연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액 분리기에 적용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220)는 절연성 및 난연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기액 분리기(100)에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 발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싸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기에 히터 유닛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기액 분리기에 장착되는 히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장착부의 구성이 도시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1)

  1. 부착 대상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 장착부;
    상기 히터 장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류가 통하여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히터 장착부에 결합되는 자성 부재;
    상기 코일 및 자성 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히터 장착부가 상기 부착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는 히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에는 상기 코일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코일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히터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자성 부재가 결합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복수의 자성부재 결합부가 제공되는 히터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결합 홀이 더 포함되는 히터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히터 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케이블 타이 또는 벨트 부재가 포함되는 히터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에는,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코일 장착면;
    상기 코일 장착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자성부재 결합부; 및
    상기 코일 장착면과 자성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결합부가 포함되는 히터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에는 실리콘 시트가 포함되는 히터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착부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복수의 히터 장착부가 상기 부착 대상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히터 유닛.
  1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토출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출구측 또는 상기 압축기의 입구측에 제공되며, 냉매 중 액냉매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액 분리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에 제공되는 히터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히터 유닛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어셈블리;
    상기 기액 분리기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 어셈블리 및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기액 분리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셈블리 및 제 2 어셈블리 각각에는,
    유도 전류에 의한 발열이 이루어지는 인덕션 히터;
    상기 인덕션 히터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 및
    상기 히터 장착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090087124A 2009-09-15 2009-09-15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62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24A KR101626615B1 (ko) 2009-09-15 2009-09-15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3/382,734 US20120103008A1 (en) 2009-09-15 2010-03-18 Heate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10817336.0A EP2479521B1 (en) 2009-09-15 2010-03-18 Heate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PCT/KR2010/001669 WO2011034267A1 (ko) 2009-09-15 2010-03-18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24A KR101626615B1 (ko) 2009-09-15 2009-09-15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446A true KR20110029446A (ko) 2011-03-23
KR101626615B1 KR101626615B1 (ko) 2016-06-01

Family

ID=4375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124A KR101626615B1 (ko) 2009-09-15 2009-09-15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03008A1 (ko)
EP (1) EP2479521B1 (ko)
KR (1) KR101626615B1 (ko)
WO (1) WO20110342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62U (ko) * 2017-09-06 2019-03-14 김수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8629B (zh) * 2012-05-02 2014-07-02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可拆式制冷剂电加热体
US8931288B2 (en) * 2012-10-19 2015-01-13 Lennox Industries Inc. Pressure regulation of an air conditioner
KR102091870B1 (ko) * 2018-08-20 2020-03-20 (주)건양아이티티 분리결합형 히터를 갖는 차량 내장재 폴드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114A (ja) * 2005-12-02 2007-07-12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2009109141A (ja) *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87016A (de) * 1944-05-11 1952-11-15 Bbc Brown Boveri & Cie Einrichtung zum induktiven Erwärmen vorzugsweise langgestreckter Metallgegenstände.
US2513242A (en) * 1945-10-11 1950-06-27 Hollis C Inman Electric fluid heater
US4429544A (en) * 1982-09-30 1984-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nt storage system for a heat pump
US5334819A (en) * 1993-11-08 1994-08-02 Lin Hsiao Chih Instant heating type water heaters
JPH07324846A (ja) * 1994-05-31 1995-12-12 Sanyo Electric Co Ltd 冷媒加熱式空気調和装置
JP2000220912A (ja) * 1998-11-25 2000-08-08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2001091111A (ja) * 1999-09-20 2001-04-06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2001091065A (ja) * 1999-09-27 2001-04-06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2001108332A (ja) * 1999-10-01 2001-04-20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4188521B2 (ja) * 1999-11-05 2008-11-26 株式会社新陽社 誘導加熱式融雪装置
JP3815302B2 (ja) * 2001-11-12 2006-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807042B2 (ja) * 2005-11-07 2011-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加熱装置
JP5168357B2 (ja) * 2008-09-17 2013-03-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114A (ja) * 2005-12-02 2007-07-12 Daikin Ind Ltd 冷媒加熱装置
JP2009109141A (ja) *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62U (ko) * 2017-09-06 2019-03-14 김수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267A1 (ko) 2011-03-24
US20120103008A1 (en) 2012-05-03
EP2479521A1 (en) 2012-07-25
EP2479521A4 (en) 2017-04-12
EP2479521B1 (en) 2018-06-13
KR101626615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031B1 (ko) 공기조화기
KR101324935B1 (ko) 공기조화기
CN102197269B (zh) 空调装置
US9377225B2 (e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104110907B (zh) 单冷型空调器和冷暖型空调器
KR100997284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348937B (zh) 空调装置
KR2011002818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729029A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EP2667109B1 (en) Air conditioner
CN213395606U (zh) 一种空调器
KR101626615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02494469B (zh) 用于冰柜的制冷系统和具有该制冷系统的冰柜
CN109210619A (zh) 一种空调器室内机和空调系统
KR100929192B1 (ko) 공기 조화기
KR20110029447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23872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KR101680095B1 (ko) 일체형 히트펌프 공조기
KR20160147074A (ko) 에어컨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CN101726140B (zh) 一种感应电加热器
CN205860538U (zh) 单冷型空调器
CN208901510U (zh) 一种空调器室内机和空调系统
KR101053659B1 (ko) 4웨이밸브에 의한 히트펌프식 이동형 냉각제습기의 동작방법
KR102007301B1 (ko) 공기조화기
CN111076459A (zh) 一种热泵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